KR890002907Y1 - 개방면 단추 - Google Patents

개방면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07Y1
KR890002907Y1 KR2019870016441U KR870016441U KR890002907Y1 KR 890002907 Y1 KR890002907 Y1 KR 890002907Y1 KR 2019870016441 U KR2019870016441 U KR 2019870016441U KR 870016441 U KR870016441 U KR 870016441U KR 890002907 Y1 KR890002907 Y1 KR 890002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button
annular flange
button bod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750U (ko
Inventor
히로카즈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6Assembling of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4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deformable counter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11Deflecting prong or rivet
    • Y10T24/3613Anvil or p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7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83Button with cavity for friction grip fastener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방면 단추
제1도는 단추가 단추몸체와 택을 포함하는 본 고안을 구현하는 개방면 단추의 분해된 축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단추몸체를 구성하는 보강판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수정된 단추몸체의 측단면도.
제5도는 단추몸체를 의복직물에 부착하기 위해 택이 삽입되어 박혀져 있는 단추몸체의 축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개방면 단추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21 : 단추몸체 39 : 평면 환상 두부턱
22 : 택(tack) 40 : 중앙구멍
52,23 : 단추후부 43 : 환상웨브부분
24 : 캡 44 : 환상중앙부분
25 : 보강판 45 : 홈
55,9,26 : 관상스템 46 : 보강리브
10,27,56 : 플랜지 48 : 돌기부
28 : 내관 49 : 원형두부
29 : 외관 50 : 생크(shank)
31 : 상부환상림 54 : 작은고리
32 : 플랜지의 외부주변 가장자리 53 : 플랜지 관상지지부
58,35 : 플랜지의 내부주변 가장자리 P : 펀치
36 : 랜드(land) C : 의복직물
37 : 캡의 내부주변 가장자리 D : 다이
38 : 캡의 외부주변 가장가리
본 고안은 진 또는 기타 의복직물에 부착하기 위한 개방면 단추에 관한 것이다.
개방면 단추는 첨부도면 제6도에 보여주는 것과 같이 제안된 것이 있는데, 이 개방면 단추는 관상의 스템(9)과 스템(9)의 상단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고 있는 환상의 플랜지(10)로 구성된 단추후부(8)를 갖는 단추몸체(7), 그리고 중앙구멍(12)을 갖고 플랜지(10)의 외부주변 가장자리위에 꼭 끼워진 캡(11)을 포함한다. 이 단추몸체(7)는 서로 협력하는 한쌍의 펀치(P)와 다이(D)에 의하여 택(13)을 의복직물(C)를 통과하여 단추몸체(7)속으로 박으므로서 의복직물(C)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개방면 단추의 단점은 환상의 플랜지(10)와 캡(11) 사이에 공극이 있기때문에 택(13)의 생크가 의복직물(C)을 통과하여 단추몸체(7)속으로 박힐때 단추몸체(7)에 가해진 힘에 의하여 환상의 플랜지(10)의 내부주변 가장자리(14)가 변형되어지거나 캡(11)을 향해 윗쪽으로 구부려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상플랜지(10)의 변형으로 관상스템(9)은 의복직물(C)로 부터 윗쪽으로 벗어나게 되어 생크의 유효길이는 그것이 단추몸체(7)와 택(13)을 결합시키도록 펀치(P)에 대해 박혀질때 내관(內管)의 상단위로 펼쳐지기에 불충분하게 된다. 생크가 박힐때, 그와 같은 불충분한 유효길이를 갖는 생크는 내관(15)속으로 나아가고나서 내관을 방사상으로 밖으로 확장시킨다. 이렇게 부착된 택(13)은 단추의 사용중에 견인력을 받았을때 단추몸체(7)로 부터 쉽게 이탈된다.
상기 단점에 비추어 본 고안의 목적은 단추몸체가 구조적으로 단단하고 따라서, 단추몸체를 의복직물에 부착하기 위해 택이 단추몸체속으로 박혀질때 바람직하지 못한 변형을 일으킴이 없이 의복직물에 확실하게 그리고 적절하게 부착될수 있는 개방면 단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개방면 단추는 단추후부를 포함하고 이 단추후부는 환상보강판을 갖는데, 이것은 단추후부의 환상플랜지와 환상캡 사이에 배치되어 랙이 단추몸체속으로 박혀질때 일어나는 환상플랜지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형을 막도록 단추몸체를 보강한다. 바람직하게 보강판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캡과 환상플랜지사이의 공간보다 얇고 환상플랜지와 접촉상태로 보유되는 수개의 방사상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각 보강리브는 돌기부를 갖는데 이 돌기부는 바람직하게 환상플랜지의 내부주변 가장자리와 접촉상태로 보유되어 택이 단추몸체속으로 밀어 넣어질때 집중된 힘이 미치는 그 내부주변 가장자리를 보강한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하기 설명으로부터 더 상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의 원리는 제1도에 보인 개방면 택단추(20)에 구현될 때 특히 유용하다. 단추(20)는 단추몸체(21)와 택(22)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이 함께 조립되어지므로서 의복직물에 단추(20)를 부착시킨다.
단추몸체(21)는 단추후부(23)와 그위에 장착된 캡(24) 그리고 단추후부(23)와 캡사이에 배치된 보강판(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추후부(23)는 속이 빈 2중벽의 관형스템(26)을 포함하는데, 이 스템의 상단으로 부터는 일체로 된 환상플랜지(27)가 방사상으로 밖으로 연장하여 있다. 이중벽으로 된 관형스템(26)은 내관(28)과 내관(28)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밖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스템(26)의 평형저부벽에 의해 그에 연결된 외관(外管)(29)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관(28)은 후술하는 것처럼 택(22)의 생크를 수용하는 세로구멍(30)을 한정하고 상부환상림(31)을 포함하는데 이 환상림(31)은 아치형으로 방사상으로 밖으로 말려있고 스템(26)의 저부벽을 향해 아랫쪽을 향하고 있다. 환상플랜지(27)는 외관(29)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밖으로 뻗어 윗쪽으로 구부러진 외부주변 가장자리 (32)에서 끝난다. 환상플랜지 (27)는 한쌍의 외부와 내부의 환상홈(33,34)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서로 동심관계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환상홈(33)과 외관(29)의 상단은 그 사이에 환상융기부(35)를 한정하고, 외부와 내부의 환상홈(33,34)은 그 사이에 환상랜드(36)를 한정한다. 랜드(36)는 융기부(35)의 수준보다 약간 더 높은 수준으로 연장한다.
캡(24)은 환상의 모양을 하고, 아랫쪽으로 구부러진 한쌍의 외부와 내부 주변 가장자리(37,38)와 그 주변가장자리(37,38)사이에서 연장하는 평면 환상두부벽(39)을 포함한다. 내부가장자리(37)는 중앙구멍(40)을 한정하는데, 이 중앙구멍(40)은 펀치(후술함)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외부가장자리(38)는 환상플랜지(27)의 외부 가장자리(32)위에 꼭 끼워진다. 환상 두부벽(39)은 그의 표면이 움푹들어가 있어, 환상플랜지(27)와 대면하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상랜드(41)를 제공한다. 이 랜드(41)는 환상플랜지(27)의 융기부(35), 홈(33), 랜드(36)그리고 홈(34)에 걸쳐있다.
제 1도부터 제3도까지 보여주듯이, 보강판(25)은 중앙구멍(42)을 포함하는 환상의 형을 하고, 캡(24)과 환상플랜지(27)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압축성형되어 있다. 압축성형된 보강판(25)은 무게가 가볍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소될 수 있다. 이 환상보강판(25)의 외경은 환상플랜지(27)의 윗쪽으로 구부려진 외부주변가장자리(32)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그 내경은 환상캡(24)의 내경보다 크다. 보강판(25)은 그 주요부분을 형성하는 환상웨브부분(43)과, 움푹들어간 좁은 환상 중앙부분(44)을 포함하는데, 이 환상중앙부분(44)는 구멍(42)주위에 연장한다. 움푹들어간 중앙부분(44)은 웨브부분(43)의 내부주변가장자리로 부터 환상플랜지(27)의 환상용기부(35)를 향해 아랫쪽으로 돌출하고 환상융기부(35)에 못미쳐 끝단다.
보강판(25)은 웨브부분(43)의 상부표면에서 연장하고 서로 같은 각을 이룬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이격된 수개의 방사상홈(45)(제2도에선 8개로 도시됨)과, 각홈(45) 윤곽에 보족적으로 웨브(43)의 하부표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같은 수의 보강리브(46)를 갖는다. 보강리브(46)는 웨브부분(43)의 전폭을 지나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움푹들어간 환상중앙부분(44)과 같은 면위에 놓여있다. 각 보강리브(46)는 47에서와 같이 후부로부터 움푹들어가 있어 보강리브(46)로부터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48)를 제공하는데, 이 돌기부(48)는 환상중앙부분(44)에 이웃하어 배치되어 있다. 캡(24)이 제1도에서 보여주듯이, 보강판(25)을 사이에 두고 단추후부(23)와 클린치될때, 환상웨브부분(43)의 상부표면은 캡(24)의 환상랜드(41)에 걸쳐 놓이고, 보강리브(46)와 돌기부(48)는 환상플랜지(27)의 랜드(36) 및 융기부(35)와 각각 접하여 보유된다.
택(22)은 원형두부(49)와 원형두부(49)의 중심에서부터 동축으로 돌출하는 원형단면의 생크(50)를 포함한다. 생크(50)는 뽀족한 말단에서 끝나는 점차 뽀쭉해진 말단부분(50a)을 갖는다.
단추몸체(21)를 택(22)으로 의복직물(C)(제5도)에 부착하기 위하여,생크(50)는 다이(D)에 의하여 의복직물(C)을 뚫기위하여 힘이 가해지고 단추몸체(21)가 움직일수 없게 고정되어지는 동안 내관(28)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캡(24)과 단추후부(23)의 환상플랜지(27)사이에 배치된 보강판(25)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단추몸체(21)는 환상플랜지(27)의 내부 가장자리를 캡(24)을 향하여 위로 변형시키거나 또는, 구부리는 힘에 대항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융기부(35)와 접하여 보유된 돌기부(48)는 환상플랜지(27)의 그같은 변형을 막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관형스템(26)은 의복직물(C)과 접촉한 상태로 보유되고 점차 뾰쪽해지는 말단부분(50a)(제1도)은 스템(26)의 환상림(31)을 넘어 윗쪽으로 연장한다.
다음에 택(22)은 펀치(P)와 다이(D)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점차 뾰족해지는 말단부분(50a)을 펀치(P)에 대고 변형시켜 내관(28)의 환상림(31)과 상호잠금결합상태로 보유되는,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방사상으로 팽창된 보유푸트(50b)(제5도)를 형성한다.
제4도에 보인 수정된 단추몸체(51)는 앞의 실시예의 단추몸체(21)와 동일하지만 예외로 단추후부(52)는 단추몸체(51)가 택부재(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추후부(52)는 원통형아이(54)주위에 꼭끼워진 플랜지관상 지지부(53)를 포함한다. 이 아이(54)의 상단은 단추후부(52)의 단일벽 관형스템(55)에 수용되고 스템(55)과 상호 잠금결합하도록 방사상으로 밖으로 구부려져 있다
단추후부(52)는 관상스템(55)의 상단으로부터 밖으로 뻗어있는 환상플랜지(56)를 포함한다. 이 환상플랜지(56)는 양주변 가장자리(58,59) 사이의 실질적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보강판(25)의 보강리브(46)와 접하여 보유된 환상랜드(57)를 포함한다. 각 리브(46)위에 있는 돌기부(48)는 보통 내부주변 가장자리(58)가 간격을 두고 떨어진 채로 보유되어 있으나 단추몸체(51)가 택과 클린치된 상태로 조립되어 질때 내부주변 가장자리(58)의 상향변형을 막기위해 내부주변 가장자리(58)와 결합할 수 있다.

Claims (8)

  1. 단추몸체(21)와 상기 단추몸체(21)를 의복직물(C)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단추몸체(21)와 결합하기 적합하게 된 택(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추몸체(21)가 상기 택(22)의 생크(50)를 수용하는 관형스템(26)과 상기스템(26)의 한쪽끝에서 방사상 바깥으로 뻗어있는 환상플랜지(27)를 가진 단추후부(23), 및 상기 단추후부(23)위에 장착되어 상기 환상플랜지(27)의 외부주변 가장자리(32)위에 꼭끼워져 있는 환상캡(24)을 포함하는 개방면 단추에 있어서, 상기 단추몸체(21)가 상기 환상캡(24)과 상기 환상플랜지(27)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생크(50)가 상기 단추몸체(21)를 상기 택(22)과, 결합시키도록 상기 관형스템(26)안으로 밀려들어갈때 상기 환상플랜지(27)의 부당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추몸체(21)를 보강하는 환상보강판(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면 단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5)이, 한쪽면이 상기 환상캡(24)과 상기 환상플랜지(27)중 하나와 접하여 보유된 평편한 환상웨브 부분(43)과, 상기 웨브부분(43)의 다른쪽면에 배치되고 상기 환상캡(24)과 상기 환상플랜지(27)중 다른것과 접하여 보유된 다수의 방사상 보강리브(46)를 포함하는 개방면 단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46)들이 상기 환상웨브부분(43)의 전폭을 가로질러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개방면 단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부분(43)의 상기 한쪽면이 상기 환상캡(24)에 편평하게 놓여있고, 상기 보강리브(46)들이 상기 환상플랜지(27)와 접하여 보유되어 있는 개방면 단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5)이, 상기 환상플랜지(27)의 내부주변 가장자리(35)와 간극을 두고 아주대하는 관계로 연장하는 움푹들어간 환상중앙부분(44)을 더 포함하는 개방면 단추.
  6.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보강리브(46)는 그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환상 중앙부분(44)에 인접하여 배치된 돌기부(48)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48)가 상기 환상플랜지(27)의 상기 내부주변 가장자리(35)와 접하여 보유되는 개방면 단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46)는 그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환상중앙부분(44)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돌기부(48)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48)가 상기 환상플랜지(48)의 상기 내부주변 가장자리(58)와 간극을 두고 떨어져 보유되는 개방면 단추.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5)이 상기 환상플랜지(27)와 상기 환상캡(24)사이의 간격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압축 성형된 개방면 단추.
KR2019870016441U 1986-09-29 1987-09-28 개방면 단추 KR8900029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49277U JPH0332250Y2 (ko) 1986-09-29 1986-09-29
JP149277 198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750U KR880005750U (ko) 1988-05-30
KR890002907Y1 true KR890002907Y1 (ko) 1989-05-10

Family

ID=1547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441U KR890002907Y1 (ko) 1986-09-29 1987-09-28 개방면 단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15173A (ko)
EP (1) EP0265646B1 (ko)
JP (1) JPH0332250Y2 (ko)
KR (1) KR890002907Y1 (ko)
AU (1) AU576703B2 (ko)
CA (1) CA1295456C (ko)
DE (1) DE3762081D1 (ko)
SG (1) SG299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049A (en) * 1995-09-15 1997-11-11 Wu; Hung-Ming Alloy button for jeans
US20100175226A1 (en) * 2009-01-12 2010-07-15 Foo-Yuen Wong Two-component tack button
JP5254451B2 (ja) * 2009-09-10 2013-08-07 Ykk株式会社 ボタン
JP6364550B2 (ja) * 2015-06-23 2018-07-25 Ykk株式会社 ボタンバック及びボタ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5055A (en) * 1928-08-06 1930-06-17 United Carr Fastener Corp Tack-attached sheet-metal button
US2451487A (en) * 1944-04-28 1948-10-19 Scovill Manufacturing Co Button staple
US2442362A (en) * 1944-12-22 1948-06-01 Scovill Manufacturing Co Tack button
US2622291A (en) * 1948-06-17 1952-12-23 Drell Arthur Detachable button
US3320644A (en) * 1965-04-09 1967-05-23 Scovill Manufacturing Co Tack-fastened button
JPS5948214B2 (ja) * 1978-01-20 1984-11-24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トレ−ジコンベヤに於ける荷後押し手段作動方法
JPS5915610A (ja) * 1982-07-15 1984-01-26 Hitachi Ltd 蒸気タ−ビン
JPS5925208U (ja) * 1982-08-11 1984-02-16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用釦
JPS5948214U (ja) * 1982-09-25 1984-03-30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用釦
JPS59156510U (ja) * 1983-04-07 1984-10-20 モリト株式会社 首振り釦
AU557267B2 (en) * 1983-04-13 1986-12-18 Nippon Notion Kogyo Co. Ltd. Button
JPS59166711U (ja) * 1983-04-26 1984-11-08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等用釦
JPS6065011U (ja) * 1983-10-13 1985-05-08 日本ノーション工業株式会社 被服等用釦
JPS6083406U (ja) * 1983-11-16 1985-06-08 日本ノーシヨン工業株式会社 釦等用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29992G (en) 1992-05-22
DE3762081D1 (de) 1990-05-10
KR880005750U (ko) 1988-05-30
EP0265646A1 (en) 1988-05-04
CA1295456C (en) 1992-02-11
EP0265646B1 (en) 1990-04-04
JPH0332250Y2 (ko) 1991-07-09
JPS6354311U (ko) 1988-04-12
US4815173A (en) 1989-03-28
AU576703B2 (en) 1988-09-01
AU7838687A (en) 198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7915B1 (en) Snap-fit button
KR850000877Y1 (ko) 단추
CA2236516C (en) Button attaching fastener
US4570307A (en) Button having plate for deflecting an attaching tack
US4706344A (en) Button assembly
US4698881A (en) Socket element assembly for snap fasteners
KR890002907Y1 (ko) 개방면 단추
US4672719A (en) Upholstery button
CA1317743C (en) Button
CA1274972A (en) Capped eyelet for attaching snap fastener
US4000547A (en) Snap fastener
US5375302A (en) Snap button assembly
EP0140248B1 (en) Button for garment
GB2187502A (en) Snap fastener
JP2594702Y2 (ja) スナップ釦の構造
US2622299A (en) Plastic cap for attachment of snap fastener sockets and the like
US1821616A (en) Flexible type button
JPS6237447Y2 (ko)
US4627134A (en) Ball-side piece of snap fastener
US2519965A (en) Capped prong ring
US2031429A (en) Eyelet socket
JPS5925211Y2 (ja) 合成樹脂製ホツク
JPS5837286Y2 (ja) 被服用釦
JPS6388Y2 (ko)
JPH05452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