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873Y1 -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873Y1
KR890002873Y1 KR2019860013381U KR860013381U KR890002873Y1 KR 890002873 Y1 KR890002873 Y1 KR 890002873Y1 KR 2019860013381 U KR2019860013381 U KR 2019860013381U KR 860013381 U KR860013381 U KR 860013381U KR 890002873 Y1 KR890002873 Y1 KR 890002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terminal
rela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053U (ko
Inventor
이준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3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873Y1/ko
Publication of KR880005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0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4Means for returning surplus or unused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각부 신호 파형도로서,
(a)는 반환주화가 없을 경우에 정전이 되었을 때의 레벨 비교기의 입력신호 파형도.
(b)는 메인보오드(8)의 동작상태 신호출력단의 신호 파형도
(c)는 레벨비교기의 ⑥번 스트로브 입력신호 파형도
(d)는 레벨비교기의 ⑦번 출력신호 파형도
(e)는 반환주화가 있을 경우 정전이 되었을 때의 레벨비교기의 입력신호 파형도 및 반환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전보상회로 2 : 코인메카니즘
3 : 예비전원장치 4 : 정전감지회로
5 : 반환신호 발생회로 6 :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 공급 제어회로
7 : 전원장치 8 : 메인보오드
47 : 레벨비교기 31, 52 : 릴레이접점
63 : 릴레이 73 : 정전압레귤레이터
80 : 코인메카니즘의 동작 상태 신호 출력단 81 : 마이컴
82 : 반환신호 입력단 83 : 리이프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정전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상동작시 투입된 주화의 잔액 또는 잔액을 정전시에 이동자에게 반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판매기의 정전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의 사용에 있어서, 이용자가 주화를 투입한 직후에 교류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정전시)에 투입된 주화를 반환하는 문제점, 또는 잔액 배출과정에서 교류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나머지 잔액을 반환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이는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킨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투입주화의 유무에 관계없이 정전시에는 예비전원을 공급하여 자동판매기를 정상상태로 유지하여 주화 반환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반환할 주화가 없을 경우에도 예비전원이 공급됨으로 불필요하게 밧데리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 개선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밧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시에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주화투입 유무에 따라 예비전원을 공급하였으나 그 회로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오동작의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정확하게 동작하면서도 매우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소형, 저가격의 자동판매기의 정전보상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인메카니즘(Coin Mechanism)의 전원장치의 DC-24 출력전압이 정전시 즉시 OV로 되지 않고 전원장치의 평활콘덴서의 방전시정수에 따라 감소되는 전압 변화를 설정된 기준레벨과 레벨비교기로 정전상태를 감지하며 코인메카니즘의 동작상태시에만 레벨비교기의 출력단에 접속된 릴레이를 구동시켜 코인메카니즘에 반환신호와 예비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회로도로서, 1은 정전보상회로이며, 2는 코인 메카니즘이다.
정전보상회로(1)는 예비전원장치(3), 정전감지회로(4), 반환신호 발생 회로( 5),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공급 제어회로(6)로 구성한다.
예비전원장치(3)는 밧데리(30)의 +측단자를 릴레이 접점(31)의 단자(33)측을 통하여 전원장치(7)의 정전압 레귤레이터(73)의 입력단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전원장치(7)의 다이오드(72)는 예비전원과 공급시 평활콘덴서(71)에 의하여 코인 메카니즘(2)에 예비전원의 공급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전보상회로(1)는 모든 동작이 정전이 된 시점 이후에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정전이 되었음을 감지하는 회로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전감지로(4)는 접지점(G)과 접속점(A)사이에 저항(40) 및 제너 다 이 오 드 (43)를, 그리고 저항(42) 및 저항(45)을 각각 접속시키고 상기 저항(40)과 제어다이오드(43)의 공통접점은 레벨비교기(47)의 -측 단자에, 저항(42)과 저항(45)의 공통접점은 레벨비교기(47) +측 단자에 각각 접속하여서 구성한다. 여기에서 일단 정류회로를 거친 DC전압에 있어서는 정전후 즉시 전압이 OV로 되지 않고 평활 콘덴서(71)의 방전 시정수에 의하여 어느정도 시차를 두고 OV로 되는 점을 착안하여 기준레벨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기준 레벨과 직류전압의 변화레벨을 레벨비교기(47)로 비교하여 그 출력단에 정전감지출력이 나타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설정기준레벨은 정상상태시 직류 전압 변동의 최소치 레벨 이하로 상기 직류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릴레이(63)의 구동전압 최소치레벨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정전을 빨리 감지하기 위하여 직류전압변동의 최소치 레벨에 가까운 값을 설정한다.
레벨비교기(47)의 -측 입력단에 인가되는 기준레벨을 제너다이오드(43)의 정격전압(V2)으로 하였을 경우 +측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분배 저항(42)(45)의 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정전이 된후에 반환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코인 메카니즘(2)에 반환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반환신호 발생회로(5)는 릴레이 접점(50)의 단자(51)를 통하여 마이컴(81)의 반환신호 입력단(82)에 접속하고 릴레이 접점(50)의 단자(52)를 통하여는 접지점(G)에 접속된 접속점(C)과 접속점(A)사이에 다이오드(53) 및 콘덴서(56)를 저항 (54) 및 저항(57)을 각각 접속시키고 상기 다이오드(53) 및 콘덴서( 56)의 공통접점과 저항(54)(57)의 공통접점 사이에 다이오드(55)를 접속하여서 구성한다.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 공급제어회로(6)는 코인메카니즘(2)의 동작상태신호와 정전감지회로(4)의 정전감지신호가 있을 경우에만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를 코인메카니즘(2)에 공급하여 보상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도록하기 위하여 레 벨 비 교 기 (47)의 +측 입력단과 ⑦번 출력단 사이에 저항(60) 및 다이오드(61)를 접속하고, 저항(66)을 통하여 접속점(A)에 에미터가 접속된 트랜지스터(65)의 콜렉터에 레벨비교기(47)의 ⑥번 스트로브일력단을 접속하며, 트랜지스터(65)의 베이스는 에미터가 접속점(A)에, 콜렉터가 저항(64)을 통하여 접지점(G)에 접속된 트랜지스터(67)의 콜렉터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67)의 베이스는 저항(68)을 통하여 매인보오드(8)의 동작상태신호 출력단(80)에 접속하고 또한 레벨비교기(47)의 ⑦번 출력단과 접지점(G)사이에 릴레이(63)를 접속하여서 구성한다. 여기서 레벨비교기(47)는 ⑥번 스트로브입력이 로우레벨상태이므로 ⑦번 출력단에는 입력신호에 관계없이 항상 하이레벨상태를 유지하며 하이레벨상태이면 ⑦번 출력단에는 입력신호에 따라서 그 응답출력이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다. 다이오드(61)와 저항(60)은 정전시 반환동작을 위한 예비전원의 공급을 위한 릴레이(63)의 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41은 콘덴서이며, 44는 다이오드로서, 이들은 자동판매기에 전원 인가시에 코인메카니즘(2)의 동작상태에서 릴레이(63)의 온/오프동작으로 인하여 예비전원장치(3)의 밧데리(34)에 전기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32는 릴레이접점(31)의 단자이며, 64, 69는 콘덴서, 62, 72는 다이오드, 73은 정전압레귤레이터, 83은 리이프스 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2도에 도시된 신호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간(t1)에서 주화가 투입되었을 경우 코인 메카니즘(2)은 동작상태로 되며 동작상태신호출력단(8)은 ⑤의 하이레벨상태로 전환된다. 이 신호는 정전보상회로(1)의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공급제어회로(6)의 트랜 지스터(67)의 베이스측에 입력되어 도통되므로 그 콜렉터측 출력은 로우레벨로 되고 이 신호가 트랜지스터(65)의 베이스측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65)는 차단상태로 되어 제2도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콜렉터측의 하이레벨신호가 레벨비교기(47)의 ⑥번 스트로브입력단에 입력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2도의 (e)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간(t2)에서 정전되었을 경우 교류전원(미도시)은 즉시 OV로 떨어지나 직류 전원은 평활콘덴서(71) 때문에 시차를 두고 OV로 되는 과정에서 저항(42)및 저항(45)에 의하여 분배되어 레벨비교기(47)의 +측 입력단에 인가된다.
+측 입력신호레벨이 -측 기준레벨과 동일하게 되는 순간인 시간(t3)에서 레벨비교기(47)의 ⑦번 출력상태는 제2도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우레벨상태로 전환된다. 그와 동시에 접지점(G)-릴레이 (63)-레벨비교기(47)의 ⑦번 출력단 -레벨비교기(47)의 ⓛ번 입력단-접속점(A)으로 직류루프가 형성되어 릴레이(63)가 온상태로 된다. 한편 그와 동시에 레벨비교기(47)의 ⑦번 출력단이 로우레벨 상태이므로 다이오드(61)는 도통되며 저항(60)과 저항(45)은 병렬접속되므로 레벨비교기(47)의 +측 입력신호레벨은 제2도의 (e)에 도시된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시간(t3)에서 급격히 레벨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릴레이(63)의 온상태 동작과 더불어 예비전원의 공급으로 레벨비교기(47)의 +측 입력신호레벨의 상승을 제어하므로 릴레이(63)를 온상태로 유지시켜 반환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예비전원의 공급을 유지케한다.
또한 시간(t3)에서 릴레이(63)가 온상태로 되므로 릴레이 접점(52)이 단자(50)측에서 단자(51)측으로 전환접속되어 제2도의 (e)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콘덴서(56)에 충전된 전압이 다이오드(53)를 통하여 방전되면서 매인보오드(8)의 마이컴(81)의 반환신호입력단(82)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코인 메카니즘(2)에서는 정상상태시 미도시된 반환레버에 의한 리이프스위치(83)를 접속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환동작을 수행하여 이용자에게 주화를 반환시킨다.
반환동작이 왼료된 시간(t4)에서 메인보오드(8)의 동작상태신호 출력단(80)의 출력상태는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이레벨에서 OV의 로우레벨로 전환되며 레벨비교기(47)의 ⑥번 스트로브 입력단에 로우레벨신호가 입력되므로 레벨 비교기 (47)의 ⑦번 출력단은 제2도의 (e)에서와 같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레벨비교기(47)의 +측 입력신호는 다이오드(61)가 차단됨으로 저항(42)(45)에 의한 분배레벨로 상승하며 릴레이(63)는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되어 코인메카니즘(2)의 대기상태에서 정전이 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비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제2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환주화가 없을 경우에 정전이된 경우에는 주화투입이 없는 대기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매인 보오드(8)의 동작상태신호 출력단(80)은 OV의 로우레벨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랜지스터(67)는 차단되어 트랜지스터(65)의 베이스측이 하이 레벨상태가 됨으로써 트랜지스터(65)는 도통되어 레벨비교기(47)의 ⑥번 스트로브입력단에 로우레벨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므로 레벨비교기(47)의 입력신호에 관계없이 ⑦번 출력단은 하이레벨 상태를 유지하므로 릴레이(63)는 오프상태로 되며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는 코인메카니즘(2)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반환할 주화가 없는 대기상태에서는 정전시에 불필요한 예비전원의 소모가 없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코인메카니즘(2)의 전원장치(7)의 직류전압의 레벨을 레벨비교기로 비교함으로써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반환할 주화가 있을 경우에만 릴레이(63)를 동작시켜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를 코인메카니즘(2)에 공급 함으로써 정전상태에서 반환할 주화를 배출하여 이용자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 회로구성이 종전의 기술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여 소형화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정전보상회로(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자동판매기와 동전 교환기등에도 저렴한 가격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예비전원장치, 정전감지회로, 반환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정전보상회로에 있어서, 밧데리(30)의 +측 단자가 릴레이(47)의 릴레이 접점(31)을 통하여 전원장치(7)의 정전압 레귤레이터(73)의 입력단의 접속점(B)에 접속하여서 된 예비 전원장치(3), 상기 정전압 레귤레이터(73)의 직류출력레벨을 세트된 기준레벨과 레벨 비교기(47)로 비교하여 정전상태를 감지하는 정전감지회로(4), 정상상태시에는 릴레이(63)의 릴레이 접점(50)의 단자(52)측을 통하여 충전되며 정전시 정전감지와 함께 릴레이(63)의 온 상태 동작에 따라 마이컴(81)의 반환신호 입력단(82)에 접속된 릴레이 접점(50)의 단자(51)측을 통하여 방전하는 콘덴서(56)로 구성된 반환신호 발생회로(5), 코인 메카니즘(2)의 대기상태 및 동작상태에 따라서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는 메인보오드(8)의 동작상태신호 출력단(80)의 출력신호를 트랜지스터(65)(67)을 거쳐서 레벨비교기(47)의 ⑥번 스트로브 입력단에 인가시키고 또한 레벨 비교기(47)의 ⑦번 출력단의 출력단의 출력신호를 다이오드(61)를 통하여 레벨비교기(57)의 +측 입력단에 피드백시켜서 상기 레벨비교기(47)의 ⑦번 출력단에 접속된 릴레이(63)를 제어함으로써 코인메카니즘(2)에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의 공급을 제어하는 예비전원 및 반환신호 제어신호(6)를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정전보상회로.
KR2019860013381U 1986-08-30 1986-08-30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KR890002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381U KR890002873Y1 (ko) 1986-08-30 1986-08-30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3381U KR890002873Y1 (ko) 1986-08-30 1986-08-30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53U KR880005053U (ko) 1988-05-11
KR890002873Y1 true KR890002873Y1 (ko) 1989-05-08

Family

ID=1925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381U KR890002873Y1 (ko) 1986-08-30 1986-08-30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8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316A (ko) * 2002-04-17 2003-10-2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자동판매기의 투입금 반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742B1 (ko) * 2001-08-21 2004-02-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전원보상회로를 갖는 자동판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316A (ko) * 2002-04-17 2003-10-2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자동판매기의 투입금 반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53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234A (en) Power supply unit with simplified circuitry
KR100259263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그 충전방법
US4743835A (en) Output hold-up circuit for a step-up voltage regulator
US5498913A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with a manually operable control switch
US5828207A (en) Hold-up circuit with safety discharge for preventing shut-down by momentary power interruption
KR910001557B1 (ko) 전지전압 검출회로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8319488B2 (en) Momentarily enabled electronic device
JP3003391B2 (ja) 電源装置
JPH11308776A (ja)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ー装置
KR890002873Y1 (ko) 자동 판매기의 정전시 보상 회로
US5804891A (en) Battery saving switching mechanism
EP0933864A2 (en) Electronic apparatus
JPH0715888A (ja) バッテリー・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US5126650A (en) Indication device for a vehicle charging and generating system
KR100377201B1 (ko) 백-업밧데리를내장한이동통신단말기및그의전원제어방법
KR0173184B1 (ko) 백업전원용 배터리 절체회로
KR890002771Y1 (ko) 자동판매기의 정전보상회로
KR0172805B1 (ko) 전원공급장치
GB2284322A (en) Battery saving operation of a portable device
KR960016376B1 (ko) 배터리 충방전 회로
JP2653235B2 (ja) 無停電電源装置とその放電終止検出方法
KR0129001Y1 (ko) 정전 보상 회로
JPH11220873A (ja) 電源回路
KR0114761Y1 (ko) 정전판단회로버
KR920000699Y1 (ko) 마이콤의 리셋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