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374Y1 -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 Google Patents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374Y1
KR890002374Y1 KR2019860005497U KR860005497U KR890002374Y1 KR 890002374 Y1 KR890002374 Y1 KR 890002374Y1 KR 2019860005497 U KR2019860005497 U KR 2019860005497U KR 860005497 U KR860005497 U KR 860005497U KR 890002374 Y1 KR890002374 Y1 KR 890002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brid circuit
key system
resistor
transform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5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475U (ko
Inventor
김병무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5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374Y1/ko
Publication of KR870017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04Q3/0045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involving hybrid, i.e.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or multi-vend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9Echo-cancelling; Hybrid; Amplifier; Atten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하이브리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신증폭부 20 : 수신증폭부
30 : 저역필터부 OP1,OP2: 연산증폭기
R : 수신단 T : 송신단
T1: 변압기 L1, L2: 국선
R1-R7: 저항 C1-C4: 콘덴서
: 접속점
본 고안은 간이 교환장치인 키시스템(key system)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국선 인터페이스 또는 전화기인 키스테이션에 내장되어서 음성 신호의 송, 수신을 분리하는 하이브리드 회로에 관한 것이다.
키시스템 내에서 음성신호의 송, 수신을 분리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하이브리드 회로로는형 또는 T형 등 단순 하이브리드 회로와 전자식 하이브리드 회로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형 및 T형의 단순 하이브리드 회로는 이에 사용되는 변압기가 고효율의 특성을 가진 대형의 것이 아니면 송, 수신 분리도가 주파수에 따라 변하고 저주파에서 그 특성이 악화되어 실제 통화측 음이 너무 커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식 하이브리드회로는 구성소자들을 너무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회로가 복잡하고 사용부품의 오차나 변이에 의한 통화품질의 변화도가 매우 크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들을 감안하여 T형의 단순 하이브리드형을 기본구성으로 하되 저항 및 콘덴서로 된 저역필터를 부가시킴으로써 송, 수신 분리도가 뛰어난 하이브리드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T형의 단순 하이브리드 회로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먼저 변압기(T1)의 일측단과 송신단(T) 사이에 연산증폭기(OP1), 저항(R1)(R2)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송신증폭부(1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변압기(T1)의 다른 일측단과 수신단(R) 사이에는 연산증폭기(OP2), 저항(R3)(R4)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수신 증폭부(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변압기(T1)의 중간 유도코일에 접속되는 접속 점과 접지점사이에 저항(R5)및 콘덴서(C3)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접속점 과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변합기(T1)에 인가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자 사이에 저항(R6)(R7) 및 콘덴서(C4)로 구성된 저역필터부(30)가 연결되어서 본 고안의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단(T)에서 들어온 음성신호는 송신증폭부(10)에 의하여 증폭되며, 상기 변압기(T1)를 거친 음성신호는 결국 국선(L1)(L2)으로 실려지게 된다.
이때 송신되는 음성신호의 상태를 수신단(R)에서 어느정도 측음으로 들리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변압기(T1)의 인덕턴스 성분이 작고, 상대선로 회로의 특성으로 인하여 대량의 저주파 군의 신호가 수신 증폭부(20)의 저항(R1)을 거쳐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것이다.
이렇게 입력된 신호는 증폭되어서 수신단(R)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때 실제로 통화자가 느끼게 되는 측음의 크기는 수치상으로 나타나는 정도 이상의 음량으로 들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음의 크기를 적절한 음량으로 줄이기 위해서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자로 입력된 상기 저주파 성분의 신호를 상쇄하는 신호를 수신 증폭부(20)에 인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쇄 신호는 변압기(T1)의 중간 접속점에 들어온 신호를 이용하게 되는데 접속점의 신호는 선로 임피던스와 등가회로를 이루는 저항(R5) 및 콘덴 서(C1)를 통과하고 이렇게 통과된 신호는 저항(R6)(R7) 및 콘덴서(C4)로 구성된 저역필터부(30)를 지나면서 필터링되게 된다.
이러한 필터링 신호가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자 즉 원 수신 신호가 입력된 신호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으로 입력되어서 상기한 저주파 성분의 지나치게 큰 측음 요인을 상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는 저주파 성분에 따라 송, 수신 분리도가 크게 영향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저항 및 콘덴서로 구성된 저역필터부를 설치하여 측음에 실린 저주파 성분을 상쇄시키는 신호를 인가시킴으로써 우수한 송, 수신 분리효과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부품에 따른 오차와 변이에 의한 통화 품질의 악화요인을 없앴으며 원가절감의 효과도 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변압기(T1)와 송신증폭부(10) 및 수신증폭부(20) 등으로 구성되는 키시스템의 T형 단순 하이브리드 회로에 있어서, 변압기(T1)의 중간 접속점과 접지된 접속점사이에 저항(R5) 및 콘덴서(C3)를 연결시켰으며, 상기 접속점,과 수신단(R)에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자 사이에 저항(R6)(R7) 및 콘덴서(C4)로 구성된 저역필터부(30)를 연결시켜서 측음에 실린 저주파 성분을 상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KR2019860005497U 1986-04-23 1986-04-23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KR890002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497U KR890002374Y1 (ko) 1986-04-23 1986-04-23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497U KR890002374Y1 (ko) 1986-04-23 1986-04-23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475U KR870017475U (ko) 1987-11-30
KR890002374Y1 true KR890002374Y1 (ko) 1989-04-20

Family

ID=1925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5497U KR890002374Y1 (ko) 1986-04-23 1986-04-23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3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475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0189A (en) Microphone output transmission circuit
FI863169A (fi) Fullstaendigt dubbelriktad hoegtalartelefon foer radio- och kabeltelefonsystem.
US2245365A (en) Audio-frequency amplifier
EP0823779A2 (en) High-frequency amplifier
US4496859A (en) Notch filter system
CN100576866C (zh) 非线性回声消除器
US322649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elephone instruments
KR100427231B1 (ko) 아날로그 에코 필터
US4787080A (en) PCM coder and decoder circuit having digital balancing network
KR890002374Y1 (ko) 키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회로
US4288661A (en) Interface circuitry for acoustic coupler compensation
US6608898B1 (en) Band pass and notch filters for echo reduction with less phase distortion
US3852531A (en) Answer-originat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4236048A (en) Electronic device for subtracting signals and associated system employing such device
US4536624A (en) Telephone answering machine interface circuit
KR20030094083A (ko) 임피던스정합기 및 그것을 설치한 잡음제거필터
US4491689A (en) Amplifier for use with telephone transmitter mounted in hand held telephone unit
JPS6126740B2 (ko)
US4412353A (en) Mixing circuit
US4230904A (en) Signal control circuit
RU1803983C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влени местного эффекта телеф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KR950013307B1 (ko) 셀룰라폰을 이용한 팩스 및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싱회로
KR920011070B1 (ko) 측음 억제회로
JPH06284090A (ja) 光受信器
JPS62249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