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351Y1 - 랜 턴 - Google Patents

랜 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351Y1
KR890002351Y1 KR2019860009335U KR860009335U KR890002351Y1 KR 890002351 Y1 KR890002351 Y1 KR 890002351Y1 KR 2019860009335 U KR2019860009335 U KR 2019860009335U KR 860009335 U KR860009335 U KR 860009335U KR 890002351 Y1 KR890002351 Y1 KR 890002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ground
wire
battery
transmis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719U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2019860009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351Y1/ko
Publication of KR880002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랜 턴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연결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스윗치부의 분해 사시도.
제4a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스윗치가 OFF된 상태의 저면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스윗치가 1단으로 작동된 상태의 저면도.
제4c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서윗치가 2단으로 작동된 상태의 저면도.
제4d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스윗치가 3단으로 작동된 상태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손잡이 3 : 전달축
4 : 고정구 5,5' : 지지볼트
6 : 고정판 7 : 개폐편
8,8' : 접지부 9,9',9",9''' : 접지구멍
10,10' : 정지편 11 : 접지판
12,12',12" : 접점부 13,13',13",13''',13'''' : 전선
14 : 밧데리 15 : 충전구
16 : 전구 R1,R2: 저항
19 : 패킹
본 고안은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불의 밝기를 조정할수 있으면서 밧데리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 랜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랜턴에 있어서는 일반 밧데리를 사용하여 랜턴의 작동을 단순히 ON, OFF 두 동작만을 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밝기 조정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밧데리의 소모가 많았고 또한 다 사용된 밧데리의 재활용이 어려웠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랜턴(1)에 있어서, 그 상부면의 손잡이(2)에 의해 회전할수 있게 결합된 전달축(3) 외측 둘레면에 전달축(3)의 이탈을 방지할수 있게 고정구(4)와 지지볼 트(5)(5') 그리고 패킹(19)이 삽입된 하부로 고정판(6)이 삽입됨과 동시에 고 정판(17)에 의해 전달축(3)과 함께 회전할수 있도록 개폐편(7)이 삽입고정되어지면서 이 개폐편(7)의 양끝단 접지부(8)(8')가 필요에 따라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접지될수 있게 고정판(6)의 하부면 일측에는 접지구멍(9)(9')(9")(9''')이 뚫리면서 양측 끝단에 정지편(10)(10')이 돌출된 접지판(11)이 부착되면서 또 다른 일측에는 저항(R1)(R2)이 연결된 접점부(12)(12')(12")가 부착되어지되 접지판(11)에 연결된 전선 (13)(13')중 하나의 전선(13)은 랜턴(1)의 내면에 내장되어 있는 밧데리(14)와 연결되고 또 다른 전선(13')은 랜턴(1) 상부일측에 설치된 충전구(15)와 연결됨과 동시에 접점부(12")와 전선(13")에 의해 연결된 전구(16)에는 밧데리(14)와 전선(13''')으로 연결된 충전구(15)에서 나온 전선(13'''')으로 연결되어서 구성되어진 것이다.
미설명부호 18은 충전기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밧데리(14)에 연결된 전선(13''')에 의해 충전구(15)와 연결됨과 동시에 전선(13'''')에 의해 충전구(15)와 전구(16)가 연결되어 있고 이때 밧데리(14)에 연결된 다른 전선(13)에 의해 고정판(6) 하부면에 부착된 접지판 (11)과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랜턴(1) 상부의 손잡이(2)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전달축(3)의 하부 끝단에 끼워져 있으면서 고정핀(17)으로 고정되어 전달축(3)과 함께 회전할수 있게된 개폐편(7)의 양측 접지부(8)(8')에 의해 접지판(11)에 형성된 접지구멍(9)(9')(9")(9''')과 고정판(6)의 일측에 부착된 접점부(12)(12')(12")를 선택적으로 3단 조절하여 연결시키게 되면 전원이 연결되어 전선(13")를 통해 전구(16)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구(16)의 불이 들어오게 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 제4도의 (a)에 도시된바와같이 밧데리(14)로 부터 전선(13)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접지판(11)에 밀착되어 있는 개폐편(7)의 접지부(8)를 통해 타측의 접지부(8')까지만 전원이 연결되어 전구(16)에는 불이 꺼져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손잡이(2)를 1단으로 돌리게 되면 전달축(3)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편(7)이 돌면서 도면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편(7)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접지부(8)가 접지구멍(9')에 밀착됨과 동시에 또 다른 일측 끝단의 접지부(8')가 접점부(12)에 밀착됨에 따라 전원이 연결되어 전구(16)에 불이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전류가 저항(R1)(R2)를 동시에 통과하기 때문에 전구(16)에 들어오는 불은 밝기가 최하가 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면 제4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편(7)을 이단으로 돌리게 되면 개폐편(7)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접지부(8)(8')가 접지판(11)의 접지구멍(9")과 접점부(12')를 동시에 연결시키면서 전구(16)에 불이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에는 저항(R2)만을 통과하기 때문에 1단보다는 불이 밝아지고 다시 도면 제4도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폐편(7)을 3단으로 돌리게 되면 개폐편(7)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접지부(8)(8')가 접지판(11)의 접지구멍(9''')과 접점부(12")를 동시에 연결시키면서 전구(16)에 불이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에는 저항(R1)(R2)를 거치지 않고 개폐편(7)을 통해 인가된 전원이 그대로 통과하여 전구(16)에 연결되어 불이 들어오기 때문에 불의 밝기가 최강인것으로 사용자가 스윗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불의 밝기를 마음대로 조절할수 있기 때문에 밧데리(14)의 소모가 적게 들고 또한 접지판(11)의 양측 끝단에 돌출된 정지편(10)(10')에 의해 개폐편(7)이 더이상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스윗치의 수명을 연장시켰고 또한 소모가 다된 밧데리(14)는 공지의 충전기(18)로 랜턴(1)의 상부일측에 설치된 충전구(15)를 통해 충전을 시키게 되면 충전구(15)와 접지판(11)를 밧데리(14)를 연결시킨 전선(13)(13')과 충전구(15)와 밧데리(14)를 연결시킨 전선(13''')에 의해 밧데리(14)에 충전되어 밧데리(14)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진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랜턴(1)에 있어서, 그 상부면의 손잡이(2)에 의해 회전할수 있게 결합된 전달축(3) 외측 둘레면에 전달축(3)의 이탈을 방지할수 있게 고정구(4)와 지지너트(5)(5') 그리고 패킹(19)이 삽입된 하부로 고정판(6)이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판(17)에 의해 전달축(3)과 함께 회전할수 있도록 개폐편(7)이 삽입고정되어지면서 이 개폐편(7)의 양끝단 접지부(8)(8')가 필요에 따라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접지될수 있게 고정판(6)의 하부면 일측에는 접지구멍(9)(9')(9")(9''')이 뚫리면서 양측 끝단에 정지편(10)(10')이 돌출된 접지판(11)이 부착되면서 또 다른 일측에는 저항(R1)(R2)이 연결된 접점부(12)(12')(12")가 부착되어지되 접지판(11)에 연결된 전선(13)(13')중 하나의 전선(13)은 랜턴(1)의 내면에 내장되어 있는 밧데리(14)와 연결되고 또 다른 전선(13')은 랜턴(1) 상부 일측에 설치된 충전구(15)와 연결됨과 동시에 접점부(12")와 전선(13")에 의해 연결된 전구(16)에는 밧데리(14)와 전선(13''')으로 연결된 충전구(15)에서 나온 전선(13'''')으로 연결되어서 됨을 특징으로 한 랜턴.
  2. 제1항에 있어서, 공지의 충전기(18)로 충전구(15)를 통해 인입되는 전선(13)(13')과 전선(13''')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충전되는 것으로 재 사용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밧데리.
KR2019860009335U 1986-07-01 1986-07-01 랜 턴 KR890002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335U KR890002351Y1 (ko) 1986-07-01 1986-07-01 랜 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335U KR890002351Y1 (ko) 1986-07-01 1986-07-01 랜 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19U KR880002719U (ko) 1988-04-09
KR890002351Y1 true KR890002351Y1 (ko) 1989-04-20

Family

ID=1925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335U KR890002351Y1 (ko) 1986-07-01 1986-07-01 랜 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3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19U (ko) 198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451A (en) Lamp means detachably securable on umbrella top
US4590543A (en) Trilight
US4575784A (en) Chargeable working light
KR890002351Y1 (ko) 랜 턴
WO2017118275A1 (zh) 电池包
KR20020078574A (ko) 비상 조명등
KR20070108783A (ko) 플래쉬 램프 장치
JP5696290B2 (ja) 携帯電灯
US2101680A (en) Electric light fixture
KR200173129Y1 (ko) 배전반용 조명등기구
JPH05207617A (ja) 非常灯付分電盤
CN211925584U (zh) 一种具有应急功能的灯具
CN217035432U (zh) 一种隐藏可调式照明令克棒
KR20000008027U (ko) 법당용 등조명기구
CN2157587Y (zh) 带有电源指示灯的调光壁开关
KR200236852Y1 (ko) 손전등의 스위치 구조
KR19980025465U (ko) 드라이버
KR860001557Y1 (ko) 절약형 랜턴
KR850003354Y1 (ko) 프럭겸용 스위치
KR790001399Y1 (ko) 절전형 소켓트
KR890001973Y1 (ko) 건설장비용 전기 배선 회전접속기
KR200154702Y1 (ko) 다기능스톱램프의구조
KR950000905Y1 (ko) 소형 손전등
JPS6215950Y2 (ko)
JPS6445001A (en) Emergency lighting appliance with built-i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