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816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16Y1
KR890001816Y1 KR2019860003251U KR860003251U KR890001816Y1 KR 890001816 Y1 KR890001816 Y1 KR 890001816Y1 KR 2019860003251 U KR2019860003251 U KR 2019860003251U KR 860003251 U KR860003251 U KR 860003251U KR 890001816 Y1 KR890001816 Y1 KR 890001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ter
filter
activated carbon
carb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559U (ko
Inventor
여운율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2019860003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816Y1/ko
Publication of KR870014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4Organic material, e.g. cellulose,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외형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물통 1' : 하부물통
2 : 제1필터 3 : 제2필터
4 : 고무패킹 5 : 받침구
5' : 턱 6 : 고무링
6' : 고무링 7 : 지지구
8 : 공기구멍 30 : 활성탄소물질
31 : 활성탄소물질함 32 : 이온수지
본 고안은 일반가정은 물론 사무실이나 음식점등에서 사용될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도 꼭지에 정수기를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정수기의 경우에는 많은 량을 정수할 수 없을 뿐더러 장시일 사용할 경우는 정수기의 역할을 할 수 없어 수도물이라 할찌라도 꼭 끓여 마셔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고져 고안한 것으로 활성탄소물질과 이온수지를 넣은 필터를 사용하여 정수를 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필터(2)를 내장한 상부물통(1)과 하부물통(1') 사이에 활성탄소물질(30)과 이온수지(32)를 넣은 제2필터(3)를 수장하고 물이 새어 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2필터(3)의 주연에 고무패킹(4)을 끼우고 고무패킹(4)의 상부에는 상부물통(1)을 지지하여주는 받침구(5)를 형성하고 상부물통(1)과 받침구(5)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무링(6)을 끼웠으며 또한 받침구(5)의 내부에는 턱(5')을 형성하여 활성탄소물질(30)을 내장한 망사로 된 캡슐형의 활성탄소물질함(31)을 올려 놓고 고무패킹(4)의 하부에는 제2필터(3)을 지지하여주는 지지구(7)를 형성하고 지지구 (7)의 일측에 공기구멍(8)을 뚫어 공기를 방출하게 하였으며 고무링(6')을 지지구 (7)와 하부물통(1') 사이에 끼워 기밀을 유지하게 하여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9는 받침판, 10과 11은 물통지지구, 12는 물꼭지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정수기는 상부물통(1) 상부의 뚜껑을 열고 물을 넣으면 상부물통(1) 내에 있는 제1필터(2)에 의하여 1차 정수가 되며 정수된 물은 캡슐형의 활성탄소물질함(31)에 들어있는 활성탄소물질(30)에 의하여 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물질을 흡수하고 계속 남아 있는 유해 물질은 이온수지(32)에서 흡수되며 제2필터(3)를 경유하여 물을 정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 하부물통(1')에는 계속하여 물이 많아지므로 많은 공기의 압력을 받기 때문에 물이 내려오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많은 량의 정수된 물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기구멍(8)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주면 많은 량의 물을 짧은 시간에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여러단계를 거쳐 물을 정수하기 때문에 거의 완전하게 유해물질은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상부물통(1)의 물의 무게만 가지고 고무링(6)(6')을 압착하여 물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내부의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신선하고 깨끗한 음료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1필터(2)를 내장한 상부물통(1)과 하부물통(1') 사이에 활성탄소물질(30)과 이온수지(32)를 넣은 제2필터(3)를 수장하고 물이 새어 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2필터(3)의 주연에 고무패킹(4)을 끼우고 고무패킹(4)의 상부에는 상부물통(1)을 지지하여주는 받침구(5)를 형성하고 상부물통(1)과 받침구(5)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무링(6)을 끼웠으며 또한 받침구(5)의 내부에는 턱(5')을 형성하여 활성탄소물질(30)을 내장한 망사로된 캡슐형의 활성 탄소물질함(31)을 올려 놓고 고무패킹(4)의 하부에는 제2필터(3)을 지지하여주는 지지구(7)를 형성하고 지지구(7)의 일측에 공기구멍(8)을 뚫어 공기를 방출하게 하였으며 고무링(6')를 지지구(7)와 하부물통(1')의 사이에 끼워 기밀을 유지하게 하여서된 정수기.
KR2019860003251U 1986-03-18 1986-03-18 정수기 KR890001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251U KR890001816Y1 (ko) 1986-03-18 1986-03-18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251U KR890001816Y1 (ko) 1986-03-18 1986-03-18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559U KR870014559U (ko) 1987-10-06
KR890001816Y1 true KR890001816Y1 (ko) 1989-04-08

Family

ID=1924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251U KR890001816Y1 (ko) 1986-03-18 1986-03-18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8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559U (ko) 1987-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4148A (ko) 주입깔대기가 구비된 정수기
CN100356885C (zh) 具有紫外线透射窗的灰尘容器和具有该容器的真空吸尘器
DE59000214D1 (de) Anordnung zur reinigung und belueftung von offenen gewaessern.
DE58906342D1 (de) Brunnen zum Austreiben leichtflüchtiger Verunreinigungen aus gespanntem Grundwasser.
EP0350455A3 (en) A container for gas in which the pressure is maintained constant when the amount, therein contained, changes, specifically suited for accumulating biogas generated from waste waters and biological sludges
KR890001816Y1 (ko) 정수기
ATE272477T1 (de) Saug- und austraggerät für eine spülflüssigkeit
DE59603763D1 (de) Sammelvorrichtung
CA1271017A (en) Instrument sterilization container
NO961101L (no) Stempel
DE69714756D1 (de) Staubsauger mit mindestens drei staubsammlungsstufen aufweisendem trennungslabyrinth mit einer zum teil unter wasser stehenden saugluftzufuhr
ATE166579T1 (de) Vorrichtung zum sammeln und groben reinigen von bei operationen an der operationsstelle anfallendem blut
AU4300399A (en) Moisture-absorbing device
SE9103534L (sv)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atsvis rening av avloppsvatten
JP3728835B2 (ja) 油濁物回収装置
KR920006120Y1 (ko) 어항용 정수기
JPH02215434A (ja) 電気掃除機
KR920005688A (ko) 무(無)필터 방식의 액체여과 진공청소기
KR910002530Y1 (ko)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KR910004253Y1 (ko) 탈취제 발산장치를 설치한 공기청정기
KR970014698A (ko) 장탈착 자재한 회수물통을 구비한 물제트 청소기
CN2284238Y (zh) 吸管式杀菌净化滤芯
JP2543873B2 (ja) 浄水器
KR200309051Y1 (ko) 공기흡입보조장치
KR0132737Y1 (ko) 버섯종균 배양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