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66B1 - 테이프카셋트 - Google Patents

테이프카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66B1
KR890001466B1 KR1019830002742A KR830002742A KR890001466B1 KR 890001466 B1 KR890001466 B1 KR 890001466B1 KR 1019830002742 A KR1019830002742 A KR 1019830002742A KR 830002742 A KR830002742 A KR 830002742A KR 890001466 B1 KR890001466 B1 KR 89000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tape cassette
leaf spr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57A (ko
Inventor
더블류.후버 존
Original Assignee
딕타폰 코포레이션
리차드 에이.웻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딕타폰 코포레이션, 리차드 에이.웻손 filed Critical 딕타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57Guiding means
    • G11B23/08771Pressure p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셋트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카셋트의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테이프 카셋트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카셋트에서 상부벽을 떼어내고 들여다 본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테이프 카셋트에 사용되는 누름완충부의 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테이프 카셋트에 사용하는 다리 구조물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곽 14 : 상부벽
16 : 하부벽 18 : 후면 주 계벽
20, 22 : 좌우측면 주 계벽 30, 32 : 캡스턴 삽입 구멍
34, 36 : 릴 중심부 38, 40 : 공급 및 회수릴
46, 48 안내롤러 52 : 중심부 구멍
54, 56 : 양측부 구멍 58 : 깊숙한 홈
60 : 정면 모서리의 오목부 62 : 후면 주 계벽의 오목부
64 : 누름완충부 스프링 76, 78 : 누름완충부
82 : 내측지주 86,88 : 외측지주
92, 94 : 테이프 안내부재 테이프 길 96,98 : 정지지주
본 발명은 테이프 카셋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주 작음에도 불구하고 속에내장된 자기테이프의 녹음 용량은 충분한 엄지손가락만한 크기의 테이프 카셋트에 관한 것이다. 녹음과 아울러 그 재생용 자기테이프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곽(artridage)속에 내장시킨다는 사실은 잘 알려진 바이다. 자기테이프를 곽속에 내장시켜서 사용하면 주변 환경으로부폭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기테이프를 곽속에 내장시켜서 사용하면 녹음 및 재생장치에 간단하게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게 수송과 보관을 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나온 자기테이프 곽의 형상과 구조는 여러가지가 있다. 예컨데, 소위 여덟개의 음향대역을 갖춘 곽(8-track cartridge)에서는 그 곽에 주 계벽에 나 있는 입구들을 가로질러 지나가는 길을 따라서 무한 테이프 릴이 안내되면서 트랜스듀서나 캡스턴(capstan)과 같은 동작 소자들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공지의 테이프 곽으로서는 소위 "표준(standard)" 카셋트라고 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표준 카셋트는 릴-투-릴(reel-to-reel)장치를 내장시킨 것으로서, 자기테이프가 공급릴과 회수릴간의 길을 따라서 안내되게끔 한것이다. 이 카셋트의 정면 주 계벽의 중심 구멍을 통해서는 트랜스듀서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한편, 양측 구멍으로는 펀치롤러(yunch roller)가 들어가게끔 되어 있다. 이 펀치롤러와의 사이에다 테이프를 맞물어서 공급릴과 회수릴간의 테이프를 추진시키는 캡스턴을 삽입시킬 수 있게끔 카셋트의 상하부벽에 구멍이 축선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끔 뚫려 있다. 트랜스듀서를 자기테이프에 정확하게 접촉시키기 위해서 정면 주 계벽의 중심 구멍 부근의 테이프 길 후방에는 통상 스프링에 의해서 누름완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는 매초당 대략
Figure kpo00001
인치 정도의 비교적 낮은 속도로 추진된다.
이러한 표준 카셋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개발되어 나온것으로서 소위 "미니카셋트"라고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미니카셋트에서는 공급릴과 회수릴을 직접 추진시켜서 그들간의 테이프를 움직인다. 따라서 이러한 미니카셋트에는 캡스턴-핀치롤러 장치가 없다. 문제는 카셋트 곽의 크기를 줄이게 되면 그 곡에 내장시킬 수 있는 레이프의 양도 아울러 준다는 데에 있다. 즉 대표적인 표준 카셋트의 가능한 테이프 내장량 은 에컨데, 90분 정도의 연속적인 녹음을 할 수 있을 만큼 되는데 비해, 대표적인 미니카셋트의 가능한 테이프 내장량은 대략 20분 정도의 연속적인 녹음을 할 수 있을 만큼밖에 되지 않는다.
테이프 곽의 크기를 더욱 줄이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마이크로 카셋트"라는 것이 있다. 이 마이크로 카셋트는 그 크기가 "표준 카셋트"에 비해 상당히 줄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캡스턴으로 추진되는 릴-투-릴 테이프 장치로서 구현되어 있다. 여기서 캡스턴은 정면 주 계벽을 지나는 테이프 길의 중심부 후방에 직접 삽되는 한편, 정면 주 계벽에는 핀치롤러 및 그 양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랜스듀서를 삽입시킬 수 있는 수 많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의 진행속도는 매초당
Figure kpo00002
인치로서 대략 30분 정도의 연속적인 녹음용량을 얻을 수 있다. 이 진행속도를 더욱 줄여서 매초당
Figure kpo00003
인치 정도로 하면 녹음용량을 두배로 늘일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이 테이프의 속도를 줄이면 녹음된 신호의 질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음된 신호의 질을 가능한 저하시키지 않고 아울러 연속 녹음시간의 양을 줄이지 않고서도 테이프 카셋트의 크기를 더욱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테이프 곽의 크기를 줄이면 통상의 테이프 안내구 지지돌기(support riv) 또는 누름완충부 조립체(pressure kpad assembby)를 설치해 놓을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 아울러, 사실상 곽의 전 공간에 테이프가 들어차게 되어 테이프 카셋트를 테이프 녹음 및 재생장치 속에 삽입할때 필요한 구멍에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한, 공간이 곽속에 제한된다는 관점에서 볼때 카셋트를 동일한 녹음 및 재생장치에 의해서 양쪽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즉,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반쪽씩 녹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테이프와 트랜스듀서 및 테이프와 캡스턴-핀치롤러 조합부간의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칭적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바의 목표를 성취함과 아울러 결점을 제거하여 아주 소형화시킨 엄지손가락 크기만한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최소한 30분간 연속적으로 녹음할 수 있는 테이프 양을 내장하고 있음과 아울러 양쪽에서 모두 녹음할 수 있는 아주 작은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카셋트를 테이프 녹음 및 재생장치속에 정확하게 삽입부착시켜 트랜스듀서를 테이프 녹음 및 재생위치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러가지 안내 소자를 갖춘 아주 소형의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양쪽에서 모두 쓸 수 있도록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개량한 누름완충부 스프링 및 지지조립체를 갖춘 아주 소형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신규한 구조의 테이프 당김장치(tensioning)를 갖춘 아주 작은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얻어 낼 수 있는 엄지손가락만한 크기의 테이프 카셋트는 장방형 곽속에 공립릴과 회수릴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테이프는 릴 사이로 통과시켜 곽의 정면 주 계벽 후방으로 안내시킨다. 곽의 정면 모서리 부근의 내부에는 테이프 안내롤러를 배치하여 테이프를 정면 주 계벽 후방에서 그 주 계벽에 대하여 나란히 안내 되도록 한다. 정면 주 계벽에는 중심부와 그 양측부에 구멍을 형성시켜 놓는다. 중심부의 구멍 속으로는 테이프 카셋트를 녹음 및 재상장치속에 삽입시킬때 핀치롤러가 들어가도록 하는 한편 양측부 구멍 속으로 트랜스듀서가 들어가도록 한다. 곽의 상부 및 하부벽에서 그 정면 주 계벽 중심부의 구멍에 인접한 부위에는 동심축의 구멍을 형성시켜 테이프 카셋트를 녹음 및 재생장치 속에 삽입시킬때 그 속으로 캡스턴 이 들어가도록 한다. 상부 및 하부벽에서 정면 주 계벽의 중심부 구멍에서 멀리 떨어진 양측부 구멍의 서로 반대목 가장자리 부위에는 테이프 길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깊숙한 홈을 형성시켜 놓는다. 이 깊숙한 홈속으로 통상 트랜스듀서에 부착시킨 테이프 안내구가 들어가도록 한다. 곽의 정면 모서리에 정면 주 계벽에 대하여 후방으로 패이도록 하여 층이 형성되게끔 하여 테이프 카셋트를 녹음 및 재생장치 속에 삽입시킬때 예정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면들중 하나는 한쌍의 누름완충부를 갖춘 스프링을 한쌍의 누름완충부가 테이프 길이의 후방에서 정면 주 계벽의 양측부 구멍과 마주보도록 곽속에 지지시킨다는 데에 있다. 이 누름환충부 스프링은 일체의 연속적인 판스프링을 중심부 양쪽에서 구부려서 그 중싱부 양쪽으로 두개의 가지가 형성되게끔 하여 만든다. 이 관스프링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내측지주를 곽속에 형성시킴과 아울러, 이 내측지주의 양측 에서 내측지주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한쌍의 외측지주를 형성시켜 판스프링과 접촉시킴으로써 그 각 가지가 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별한 면은 그 외측지주를 단일의 다리구조물의 일부로서 형성시키는 한편, 다리구조물은 정면 주 제벽의 중심부 구멍 부근에서 곽 구조물을 지지토록 한다는 데에 있다. 이 다리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정면 주 계벽의 중심부 부근에 동심으로 배열된 구멍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별한 면은 카셋트의 취급 및 선적등의 작업시에 테이프가 풀려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곽속에다 테이프 당김장치를 한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해서 첨부된 도면을 예로 들어 더욱 상세히 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 도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엄지손가락만한 크기의 테이프 카셋트(10)를 제 1-3도에 도시하였다. 이 카셋트는 상부벽 (14)과 하부벽(16) (제3도에 확실하게 도시하였음)및 주 계벽으로 이루어진 장방형과 곽(10)으로 구성한다. 주 계벽은 후면 주 계벽(18), 좌우측면 주 계벽 (20 및 22) 및 정면 주 계벽(24)으로 구성한다. 잘 알수 있는 바, 테이프 카셋트(10)는 테이프 녹음 및 재 생장치속에 삽입시켜 그 곽(12)속에 내장된 테이프(T)상이 기록된 음성신호와 같은 정보가 재생되어 나오도록 한다. 제1도에서 잘 알수 있는 바, 곽(12)의 정면 주 계벽(24)에는 다수의 구멍(52,54 및 56)을 형성시켜 그곳을 통해서 트랜스듀서나 핀치롤러와 같은 테이프 동작장치들이 테이프(T)와 접촉하도록 한다. 편의상 카셋트의 정면은 정면 주 계벽(24)이 있는 부위로 하여, 이것을 기준으로 후면 및 좌우측면을 결정한다.
일 예를 들자면, 하부벽(16)과 일체로 주 계벽을 형성시킨 다음, 그 위에다 상부벽(14)을 조립시켜 나사(26)와 같은 적당한 결합구에 의해서 고정시킨다. 또는, 주 계벽을 상부벽과 일체로 형성시켜 높을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주계벽의 반은 상부벽과 일체로, 나머지 반은 하부벽과 일체로 형성시켜 놓을 수도 있다. 또한, 곽(12)을 조립시킬때에는 나사(26) 대신에 초음파 용접과 갈은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상부벽(14)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좌우반쪽부에 대칭으로 릴 구멍 (28)을 형성시켜 놓는데, 물론 하부벽(16)에도 그와 동심으로 릴 구멍을 형성시켜 놓는다. 이 릴 구멍을 통해서 녹음 및 재생장치의 릴 추진 스핀들이 곽(13)속으로 들어가서 테이프 릴 중심부와 맞물리게 된다. 이 스핀들이 추진됨에 따라서 테이프 릴 중심부도 회전하여 테이프를 진행시키게 됨을 두말할 것도 없다.
제2도에서 알수 있는 바, 상부턱(14)에 구멍(30)을 형성시키는데, 이같은 구멍(32)을 하부벽(16)에도 형성시켜 놓는다. 이들 구멍 (30 및 32)은 구멍 (52)뒤에 동심으로 배열시켜 카셋트(10)를 녹음 및 재생장치 속에 삽입시켰을때 캡스턴을 받아 들이도록 한다. 구멍(30 및 32)의 형상은 카셋트를 녹음 및 재생장치속에 삽입했을때 그 캡스턴에 대하여 단지 측방향으로만 충분한 여유를 줄 수 있도록 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 곽속(12)에 설치한 한쌍의 릴 중심부(34 및 36)는 편의상 각각 공급릴과 회수릴 중심부라고 부를 것이다. 물론 카셋트를 뒤집으면 먼젓번 공급릴 중심부가 회수릴 중심부로 바뀌게 될 것임은 당연하다. 이 릴 중심부 둘레로 테이프(T)가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공급릴 중심부(34)상에 감겨진 테이프(T)가 공급릴(38)을 형성하게 되는 한편, 회수릴 중심부(36)상에 감겨진 테이프가 회수릴(40)을 형성하게 된다. 테이프(T)의 양단은 각각 공급릴과 회수릴 중심부(34및 36)에 핀(42 및 44)에 의하여 고정시키는데, 이 핀은 릴 중심부에 적절하게 형성시켜 놓은 홈속에 삽입시킨다.
녹음과 같은 정상적인 동작시에는, 통상 테이프(T)가 공급릴 중심부(34)상에 완전히 감겨진 상태에서 회수릴 중심부(36)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테이프(T)는 공급릴과 회수릴 양쪽으로 모두 움직일 수 있게끔 함으로써 녹음 및 재생시에 정상적인 저속 전진과 아울러 고속 전진은 물론 테이프를 일부 또는 전부 되감을때와 같은 경우의 후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테이프(T)는 공급릴과 회수릴 사이에서 움직여서 그 한목에서 풀려 다른쪽으로 감기게 된다.
제3도에 도시 바와같이, 곽(12)의 각 모서리 부구에는 안내롤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하부벽(16)에다 일체로 축을 형성시킨 다음, 그위에 슬리이브를 조립시켜 안내롤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안내롤러(46)는 후방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시킴과 아울러, 안내롤러 (48)는 전방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시킨다. 안내롤러(46)은 공급 및 회수릴(38 및 40)에서 테이프를 집어내는 역할을 하는 반면 안내롤러(48)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주 계벽(24)후방에 나란하게 테이프 길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테이프(T)는 예컨데, 안내롤러(46)에 의해서 공급릴(38)로부터 빠져 나와서 안내롤러(48)에 의해서 정면 주 계벽(24) 후방의 테이프 길을 안내된 다음, 안내롤러 (48 및 46)에 의해서 회수릴(40)의 외주로 안내된다.
지금까지 나온 데이프 카셋트들 중에는 후방의 안내롤러(46)가 없는 것이 몇가지 있다. 이러한 테이프 카셋트에서는 공급릴과 회수릴에서 테이프 길로 이어지는 테이프 통로가 공급릴과 회수릴 각각의 직경의 함수 로서 결정된다. 각 릴의 직경이 변항에 따라서, 테이프 통로도 변한다. 따라서 테이프 길로 안내되는 테이프가 나쁜 영향을 받게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결점은 안내롤러(46)를 사용하면 극복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안내롤러에 의해서 테이프 길로 이어지는 테이프 통로가 정학하게 한정되기 때문이다. 이 가이드롤러(46)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또 한가지 잇점은 테이프(T)에 장력이 걸려서 카셋트 취급시에 테이프가 곽속에서 풀려나오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안내롤러(48) 부근에는 한쌍의 테이프 안내핀(56)을 설칙한다. 예컨데, 안내핀(50)은 하부벽(16)과 일제로 형성시켜 상방으로 연장시켜 놓을 수 있다. 이 안내핀은 안내롤러(46)에서 안내롤러(48)로 이르는 테이프의 통로를 대략 "S" 자형상으로 구부려 놓는다. 이렇게 하면 테이프가 움직일때 적당하게 끌리게 되어 트랜스듀서를 지나가는 속도가 균일해진다. 아울러 카셋트를 녹음 및 재생장치로부터 빼낼때, 이 안내핀(50)에 의한 끌림현상으로 인해서. 테이프가 테이프 길에서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카셋트를 녹음 및 재생장치속으로 삽일시킬때 테이프가 틈새에 끼이지 않게됨은 물론 카셋트 취급시에 테이프가 풀려나오지 않게 된다.
제1도와 상기한 바에서 알수 있는 바, 정면 주 계벽(24)에는 세개의 구멍, 즉 증심부 구멍(52)과 양측부 구멍 (54및 56)을 형성시켜 놓는다. 이들 구멍을 통해서 테이프(T)에 이를 수 있다. 이 구멍 (52,54 및 (56)들은 하부벽(16)과 일체로 형성시켜 놓은 경계주(53 및 55)에 의해서 구분된다.
카셋트(10)를 테이프 녹음 및 재생장치속에 삽일시키면, 녹음 및 재생장치의 캡스턴은 캡스턴 구멍(30 및 32)속으로 삽입되어 들어간다. 구멍(52)을 통해서 핀치롤러가 들어가서 캡스턴과 함께 협동하여 테이프(T)를 물어서 공급릴(38)에서 회수릴(40)로 이송시킨다. 또한, 녹음과 아울러 또는 재생헤드와 같은 트랜스듀서는 구멍 (54)에 속으로 들어가서 테이프(T)와 접촉하여 녹음이나 재생작업을 하도록 한다. 물론, 카셋트(10)를 뒤집을지라도 여전히 캡스턴은 구멍(30 및 32)속으로 들어가게 되며, 핀치롤러는 구멍(52)을 통해서 테이프(T)와 접하게 된다. 그러나, 트랜스듀서는 먼젓번과 반대측에 있는 구멍(54)속으로 삽입되어 테이프 와 접촉하게 된다.
상부벽(14)과 하부벽(16)에 한쌍의 깊숙한 홈(58)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면 주 계벽에서 후방으로 연장시켜 놓는다. 이 깊숙한 홈(58)은 중심부 구멍(52)에서 멀리 떨어진 양측부 구멍(54및 56)의 서로 반대측 가장자리에 형성시켜 놓는다. 또한, 이 깊숙한 홈(58)은 정면 주 계벽(24)의 구멍 후방을 지나는 테이프 길에 대하여 사실상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시킨다. 이 깊숙한 홈(58)을 통해서, 통상 트랜스듀서에 부착된 두개의 가지로 이루어진 테이프 안내부재가 들어가서 그 사이에 테이프(T)를 속박하여 테이프가 트랜스듀서를 지날때 안내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 테이프(T)의 폭은 테이프의 종방향 가장자리와 상하부벽(14 및 16) 사이에 틈새가 거의 존지하지 않을 정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곽(12) 속에는 상기한 테이프 안내부재가 삽입되어 들어갈 여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깊숙한 홈(58)을 형성시켜 상기한 테이프 안내부질의 두가지가 들어갈 수 있도륵 하는 것이다.
곽(12)의 정면 좌우측 모서리에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60)를 형성시켜 놓는다. 즉. 정면 주 계벽(24)과 측면 주 계벽 (20 및 22)간의 모서리를 오목하게 파서 층을 형성시켜 놓는다. 이 오목부는 카셋트(10)를 테이프 녹음 및 재생장치속에 삽입할때 예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오목부(60)가 녹음 및 재생장치속의 멈춤구나 안내구와 접하여 카셋트를 그 장치속에서 정확하게 정렬 시키게 된다. 또한 후면 주 계벽(18)에도 오목부(62)를 형성시켜 녹음 및 재생장치상에 형성된 안내부재를 받아들이도록 한다. 이러한 오옥부(60 및 62)에 의해서 카셋트를 매치한다는 점은 지금까지 나온 카세트의 배치장치와 비교할때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 다르다. 즉 공지의 카셋트이 내부공간은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테이프 녹음 장치상의 안내핀이나 안내지주가 그 내부 공간속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카셋트는 그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다량의 테이프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안내핀이나 안내지주를 받아 들일만한 여유가 없다. 따라서, 오목부(60,62)를 이용한것 같으면 곽속으로 안내요소를 삽입시키지 않고서도 카셋트를 충분히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곽(12)속의 공간은 테이프(T)를 내장시킬 수 있는 용도로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셋트(10)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누름완충부 스프링(64)은 누룸완충부(76,78)를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시켜 곽(12)의 내부에서 그 누름완충부가 양축부 구멍(54및 56) 바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킨다. 이 누름환충부(76 및 78)는 테이프(T)률 곽(12)의 전방 외측으로 밀어서 측부 구멍속으로 상임되는 트랜스듀서와 테이프(T) 표면간의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누름완충부 스프링은 일체의 연속적인 판스프링을 그 중심부(70) 양쪽에서 구부려서 한쌍의 가지(72, 74)가 형성되도록 하여 만든다. 이 판스프링에는 그 중심부(70) 양쪽에 단지 두개의 굽힘부(60및 68)만이 존재하게 된다. 이 굽힘부(66 및 68)에 의해서 중심부(70)와 각 가지(72 및 74) 사이에 동일한 둔각 (Q)이 형성된다. 예컨대, 이 둔각 (Q)의 크기는 대략 160°-165'정도 된다. 도시한 바, 누름완충부(76 및 78)는 가지 (72 및 74)의 단부에 고정시킨다.
잘 알수 있는 바, 이 누름 완충부 스프링(64)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만들기가 쉽다. 이 누름완충부 스프링이 종래 카셋트에서 사용한 것과 다른점은 다음과 갈다. 즉, 종래 카셋트의 스프링 구조물은 다수의 굽힘부(예컨데, 4개)가 통상 U자형의 중심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스탬핑이나 성형작업시에 조심스럽게 해야 한다. 아울러, 그 스프링 구조물의 표면에 본 발명의 누름완충부 스프링(64)에서는 필요없는 오목 볼록부와 같은 불연속부들을 형성시켰다.
누름완충부 스프링(64)의 중심부(70)의 종방향 가장자리에는 한쌍의 꼭지 (80)를 형성시켜 놓는다. 이 꼭지는 곽(12)속의 내측지주상에 형성시킨 홈속에 삽입되어 들어가도록 한다. 제3 및 5도에서 알수 있는 바, 내측지주(82)는 예컨데, 하부벽 (16)과 일제로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전방으로 향한 부분은 평면을 형성하게끔 하는 한편 오목부(84)에 의해서 다리(85)를 형성토록 한다. 제3도에서 알수 있는 바, 꼭지(80)은 오목부(84)속에 들어가서 누름완충부 스프링(64)을 제자리에 안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리(85)는 누름완충부 스프링(64)의 중심부(70) 배면을 지지한다. 물른, 스프링의 "배면"이라함은 카셋트(10)의 후방을 향한 표면 을 가리킨다.
내측지주(82)의 다리(85) 근방에는 한쌍의 외측지주(86 및 88)를 설치하여 의추에서 누름완충부 스프링(64)를 지지토록 한다. 즉, 이 외측지주 (86 및 58)는 내측지주(82)를 바라보고 위치하여 누름완충부 스프링의 정면과 접촉함으로써 각 가지 (72 및 74)를 지지한다. 도시한 예에서, 외측지주(86)는 스프링의 굽힘부(66) 부근에서 중심부(70)의 정면을 지지하며. 외측지주(88)는 굽힘부(68) 부근에서 중심부의 정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굽힘부는 각 외측지주와 가지(72 및 74)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환언하면, 이 외축지주(86및 88)는 기본적으로 테이프(T) 길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내측지주(82)의 축상평면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외추지주(86 및 88)는 단일의 다리구조물(90)의 일부로서 형성시킨다. 이 다리구조물은 내측지주(82)와 카셋트 구멍 (30 및 32) 사이에 배치되도륵 한다. 이 다리 구조물의 형상은 카셋트(10)의 상부에서 내려 다 보았을떼 그 카셋트 구멍(30.32)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한다. 다리구조물(90)의 양단은 테이프 안내부재(92 및 94)로서 형성시켜 테이프(T)의 바로 후방에서 가각 경계주(53 및 55i)와 마주하여 정렬되도록 한다. 다리구조물(90)은 곽(12)의 정면 주 계벽 중심부 구멍(52) 부근에서 상하트벽 (14 및 16) 사이에 개재시켜 이 벽돌을 구조적으로 가하게 지지토록 한다.
다리구조물(90)에 테이프 안내부재(92 및 94)는 테이프가 그 길을 벗어나서 곽(12)속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테이프가 캡스턴 구멍(30 및 32)의 전방에 놓여지게 되므로 카셋트(10)를 테이프 녹음 및 재생장치속에 삽입할때 테이프가 틈새에 끼인다던가 또는 캡스턴 후방으로 들어가게 될 염려없이 쉽게 할 수 있다. 한쌍의 정지지주(96 및 98)를 하부벽 (16)에다 형성시켜 상부벽(14)를 향하여 연장시켜 놓는다. 제3도에 도시한 바, 정지지주(96)는 가지(72)의 점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한편, 정지지주(98)는 가지(74)의 정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정지지주에 의해서, 외측지주(86 및 88)를 중심으로 한 가지(72 및 74)의 전방 굽힘운동이 억제된다. 외측지주(86 및88)와 정지지주(96 및 98)는 모두 누름완충부 스프링의 정면과 접하게 되는 반면, 내측지주(82)는 그 배연과 접하게 된다.
누름완충부 스프링(64)에 의해서 테이프는 그 길 바깥으로 밀려서 정면 주 계벽 (24)과 평행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그 대신 테이프 길은 좌측 안내롤러(48)에서 누름완충부(76)까지의 제1부분(T1), 누름완충부(76)에서 누름완충부(78)까지의 정면 주 계벽에 나란한 제2부분(T2), 및 누름완충부(78)에서 다른 안내롤러(48)까지의 제 3부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및 제3부분(T1, 및 T3)은 제 2부분(T2)과 함께 180℃ 약간 미만의 동일한 둔각을 형성토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카셋트이 판스프링 부재에서와 같이 오목 볼록부들을 형성시키지 않고서도 누름완충부(76 및 78)의 탄성압력을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완충부 스프링을 제작하여 곽(12)속에 조립시키는 과정이 간단해지므로 카셋트(10)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해서, 특히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정신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각종의 변형예를 들 수 있음을 쉽사리 간파할 수 있는 것 이다. 예컨데 곽(12)의 상하부벽 내면에 미끄럽지(slrn-apeet)를 붙여서 테이프가 마찰하지 않고 쉽사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누릉완충부 스프링(64)의 꼭지(80)는 필요에 따라서 하나만 형성시켜도 좋다. 또한, 곽(12)의 상하부벽의 가장자리를 단순히 절단해 내는 대신에 캡스턴 구멍(32)을 이용하는 것은 녹음 및 재생장치의 캡스턴이 테이프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카셋트(10)가 움직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핀치롤러가 중심부 구멍 (52)속으로 삽입되기 전에 테이프가 캡스턴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셋트(10)의 칫수에 관한 일 예를 들자면, 대략 폭1.4인치, 깊이 1인치 및 높이 0.16인치로 들 수 있다.

Claims (8)

  1. 정면벽의 중심부와 그 양축부에 구멍을 형성시켜 놓은 장방형 곽, 이 곽속에 설치되어 테이프가 감겨 지도록 한 공급릴과 회수릴, 상기 정면벽의 구멍을 통해서 테이프에 접근되며 그 정면벽의후방에서 테이프를 안내하는 안내장치, 일체의 연속적인 판스프링을 가지고 그 중심부 양쪽을 구부려서 2개의 굽힘부 외측 으로 가지부가 형성되게한 누름환충부 스프링, 각 가지부에 부착시킨 누름환충부, 상기 곽 안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와 접촉하도록 판스프링의 일측면상에 위치한 내측지주, 그리고 상기 곽 안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차 접촉되고 각 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내측지주와 대향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면상에 위치한 한쌍의 외측지주를 구비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만한 크기의 테이프 카셋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외측지주는 누름완충부 스프링의 중심부 가 굽힘부 부근에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곽속에서 각 외측지주와 누름완충부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여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하게 하고 그 가지부가 외측지주를 중심으로 선회치목하도록 하는 정지지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지주는 정면벽 중심부 구멍에 대향되고 중심부 구멍과 상기 내측지주 사이에 위치한 단일의 다리구조물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곽은 상하부 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리구조물이 정면벽 중심부 구멍 부근에서 상하부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부벽을 구조적으로 지지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구조물의 외측지주와 대향하는 단부가 테이프 안내부재로 형성되어 테이프가 주행로에서 곽의 안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
  7. 제5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셋트를 그 상부벽에서부터 보았을때 다리구조물과 정면벽 중심부 구멍 사이에 동심의 구멍이 상기 상하부벽에 형성되고, 다리구조물은 상기 동심 구멍이 주변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주와 정지지주가 상기 판스프링의 동일한 표면을 접촉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
KR1019830002742A 1982-06-15 1983-06-15 테이프카셋트 KR890001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388,539 US4476510A (en) 1982-06-15 1982-06-15 Tape cassette
US388,539 1982-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57A KR840005257A (ko) 1984-11-05
KR890001466B1 true KR890001466B1 (ko) 1989-05-04

Family

ID=2353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742A KR890001466B1 (ko) 1982-06-15 1983-06-15 테이프카셋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476510A (ko)
EP (1) EP0096994B1 (ko)
JP (1) JPS593757A (ko)
KR (1) KR890001466B1 (ko)
AT (1) ATE26762T1 (ko)
AU (1) AU553791B2 (ko)
BR (1) BR8303208A (ko)
CA (1) CA1194995A (ko)
DE (1) DE3371136D1 (ko)
ES (1) ES8405988A1 (ko)
HK (1) HK95787A (ko)
IE (1) IE54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7501A (en) * 1985-01-14 1987-06-30 Dictaph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dications of instructions in previously recorded messages
JPH0454628Y2 (ko) * 1985-06-03 1992-12-22
US5246298A (en) * 1986-07-15 1993-09-2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Ink ribbon cartridge and installation methods relating thereto
GB2196466A (en) * 1986-10-14 1988-04-27 Minnesota Mining & Mfg Tape guide for videotape cassette
JPH0713103Y2 (ja) * 1989-10-04 1995-03-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ット
GB2257418B (en) * 1991-07-09 1995-03-01 Minnesota Mining & Mfg A video cassette incorporating a slack limiter post
JPH06124568A (ja) * 1992-10-09 1994-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339A (en) * 1968-02-05 1971-08-10 Olympus Optical Co Tape cassette for use in tape recorders
JPS492318B1 (ko) * 1970-03-03 1974-01-19
FR2188905A6 (ko) * 1971-07-07 1974-01-18 Siden
DE2216769A1 (de) * 1972-04-07 1973-10-18 Leo Dr Steipe Tonbandkassette
JPS5246086Y2 (ko) * 1972-05-09 1977-10-20
GB1409452A (en) * 1972-05-09 1975-10-08 Sony Corp Magnetic tape cassettes
JPS5428985Y2 (ko) * 1974-01-18 1979-09-17
US4131243A (en) * 1975-07-23 1978-12-26 Sony Corporation Tape cassette
US4087845A (en) * 1975-07-29 1978-05-02 Olympus Optical Co., Ltd. Tape pad support assembly for use in magnetic tape cassettes
US4097006A (en) * 1975-08-11 1978-06-27 Olympus Optical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
JPS571346Y2 (ko) * 1977-12-13 1982-01-09
US4205809A (en) * 1978-11-14 1980-06-03 Lau Wan Yuen Tape cassette
JPS5824308Y2 (ja) * 1979-05-07 1983-05-2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US4293885A (en) * 1979-10-16 1981-10-06 Hideo Shirako Pad spring for a tape cassette
JPS593417Y2 (ja) * 1979-10-26 1984-01-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の磁気記録テ−プガイド装置
JPS5687266A (en) * 1979-12-14 1981-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cassette
US4368497A (en) * 1980-02-20 1983-01-11 Olympus Optical Company Ltd. Tape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3757A (ja) 1984-01-10
BR8303208A (pt) 1984-01-31
KR840005257A (ko) 1984-11-05
HK95787A (en) 1987-12-24
DE3371136D1 (en) 1987-05-27
US4476510A (en) 1984-10-09
EP0096994A1 (en) 1983-12-28
AU553791B2 (en) 1986-07-24
CA1194995A (en) 1985-10-08
ES523249A0 (es) 1984-06-16
AU1563383A (en) 1983-12-22
EP0096994B1 (en) 1987-04-22
IE54538B1 (en) 1989-11-08
IE831195L (en) 1983-12-15
ES8405988A1 (es) 1984-06-16
ATE26762T1 (de) 198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2705B1 (en) System comprising an apparatus and a cassette, an apparatus and a cassette suitable for use in such a system, and magnetic-head unit suitable for use in such an apparatus
US4191984A (en) Tape cassette
US4262860A (en) Tape cartridge with increased tape capacity
US3751043A (en) Tape magazine for recorder/reproducer
US6118630A (en) Compliant edge guiding and following system for tape
KR890001466B1 (ko) 테이프카셋트
US6062500A (en) High speed reel
KR890001467B1 (ko) 테이프 카셋트
US4000519A (en) Cassette and apparatus for tape recordings on both tape sides
KR920020440A (ko) 기록 테이프 경로 및 테이프 구동장치
US4012787A (en) Video tape recorder
AU638028B2 (en) Magnetic-tape cassette
US3854674A (en) Tape drive unit with offset backplate
US3620467A (en) Endless loop tape cartridge
US4013239A (en) Continuous loop tape cassette
US4079431A (en) Indicia display and audio storage cassette
US4484242A (en) Tape guide for tensioning tape and regulating the running thereof in a small or mini-cassette
US5330128A (en) Magnetic tape cassette with motion limiting fingers
US4564157A (en) Magnetic recording tape cassette
US4646186A (en) Cassette tape recorder with plural tape guide structure
US3289963A (en) Tape cartridge
US4529149A (en) Miniature video cassette
US3873994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grooved recording medium and tracking guide
US3685767A (en) Magnetic tape transportation device for use in tape recorder using miniature cassette
CA1061899A (en) Cassette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