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57B1 - Selecting method of a homonym in a letter in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Selecting method of a homonym in a letter in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57B1
KR890001457B1 KR1019830006107A KR830006107A KR890001457B1 KR 890001457 B1 KR890001457 B1 KR 890001457B1 KR 1019830006107 A KR1019830006107 A KR 1019830006107A KR 830006107 A KR830006107 A KR 830006107A KR 890001457 B1 KR890001457 B1 KR 89000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homonym
display
displaye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8850A (en
Inventor
아끼라 가내고
타까시 모로호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샤켄
이시이 히로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샤켄, 이시이 히로고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샤켄
Publication of KR84000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8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Abstract

The device selects homonyms using a minimum of candidate letters, and few unnecessary letters. Using the select mode, selected letters appear on the screen. When the command is repeated, the high frequency letters on the screeen next to the letter previously shown, showing various choices of letters among homonyms. This device indicates the inputted letters, using an indicated apparatus, installed on an indicative screen which uses a scope to indicate possible homonyms. The device consists of a preferential frequency mode, a key to the direct indicative option mode, a keyboard, internal memory which holds possible homonyms, and a warning signal that alerts the user to the preferential frequencies.

Description

한문자 입력장치에서의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의 선택 방법How to choose the homonym in the one-character input device

제 1 도는 한문자 입력장치의 일반적이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one-character input device.

제 2 도는 동음이의어의 우성빈도순음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homonym.

제 3 도는 종래의 동음이의어의 선택표시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 selection display example of a conventional homonym.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음이의어의 선택표시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ng and displaying homony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5 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키이 보오드 2 : 제어부1: key board 2: control unit

3 : 메모리 4 : 사전 메모리3: memory 4: dictionary memory

5 : 표시 장치 6 : 프린터5: display device 6: printer

본 발명은 가나(일본의 음절문자)한문자 변환 방식의 한문자 입력장치에서의 동음이의어의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개략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의 동음이의어중에서 필요한 한문자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표시되고 있는 한문자다음에 우선적으로 빈도가 높은 한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지령을 여러번 반복한 후, 표시선택으로 필요한 한문자를 선택하는 모우드로 바꾸었을때 불필요한 한문자가 표시되지 않고 후부한문자의 수를 줄일 수 있게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음이의어의 선택방법에 과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lecting a homonym in a Kana (Japanese syllable character) Hanja input method of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method. When the necessary one character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homonyms, the currently displayed one character Nex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railing characters without displaying unnecessary one characters when the command for displaying one character with high frequency is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n changed to a mode for selecting one character required by display selection. It is too much to choose a homonym.

가나와 한문자 변환방식의 한문자 입력장치로 한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키이보오드에서 가나 또는 로마자로 한문자(여기에서는 하나의 글자로된 한문자 뿐 아니라 다수의 한문자로된 숙어를 포함하여 한문자라고 칭함. 이하도 같음)의 발음을 입력하고, 이것을 한문자 입력 장치중의 사전을 참조하여 한문자로 변환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은 같더라도 표기가 다른 동음이의어가 여러개 있는 경우에는 반듯이 필요한 한문자가 표시된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다음후보키이에서의 지령에 의하여 다음 동음이의어가 순번으로 표시되게 하거나, 또는 입력한 한문자의 음에 대응하는 동음이의어를 혹은 여러개를 화면에 표시하여 그중에서 키이 보오드에서의 지령에 의하여 필요한 한문자를 선택하는 등, 소위 표시 선택법에 의하여 필요한 한문자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한문자 입력장치는 보통 이와같은 양방의 기능을 구비하고 그 양방의 선택수단을 적절히 구분적으로 사용하여 동음이의어의 선택을 하고 있다.When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using the Kana and the one-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he one-character conversion method, one character is input from the keyboard or the Roman alphabet. The pronunciation of the same) is inputted, and this is converted into a single character by referring to a dictionary in a single character input device. However, even if the pronunciation is the same, if there are several homonyms with different notations, the necessary one letter cannot be displayed.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next homonym is displayed in order by the command of the next candidate, or the homonym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one letter or sever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ommand is required by the key board. One character was selected by the so-called display selection method, such as one character. And the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usually has such a function of both, and selects the homonym using the selection means of both.

제 1 도는 일반적인 한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인데, 키이모오드(1)로 입력한 문자 데이터는 제어부(2)를 통하여 메모리(3)에 기억되는 동시에 표시장치(5)에 표시된다. 한문자를 표시하는 경우는 키이보오드(1)에서 가나 또는 로마자 등으로 발음을 입력하고 제어부(2)로 사전 메모리(4)중의 사전과 입력된음을 조회하므로서 해당되는 한문자로 변환하여 메모리(3)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표시장치(5)에 표시한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one-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data inputted to the keyimod 1 are stored in the memory 3 through the control unit 2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5. In the case of displaying a single letter, the pronunciation is input from the keyboard (1) to Ghanaian or Roman letter, and the control unit (2) inquires the dictionary and the input sound in the dictionary memory (4), converts it into the corresponding one letter, and stores the memory (3) Are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5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5 at the same time.

이와같이 하여 입력 및 정정, 삭제등 여러가지의 편집이 끝나면, 프린터(6)나 프로피디스크등의 매체에 출력한다.In this manner, when various edits such as input, correction, and deletion are completed, the data is output to a medium such as the printer 6 or a profile disk.

사전 메모리(4)중에는 가나 인덱스와 한문자를 대응시키는 정보외에, 동음이의어를 표시할때의 표시순서의 우선 빈도를 나타내는 정보등도 동시에 격납되고 있다. 우선 빈도는 사용빈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조작자의 지시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In the dictionary memory 4,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in which the kana index is associated with one character,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iority frequency of the display order when the homonym is displayed is simultaneously stored. First of all, the frequency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se, but sometimes by the operator's instructions.

제 2 도는 사전 메모리중에 격납되고 있는 동음이의어의 일례로서 「こずも」(한글음으로는 고오끼)라고 읽는 한문자를 우선 빈도순으로 나타낸 것이다.2 shows an example of the homonym stored in the dictionary memory, which first reads the first character in the order of frequency.

통상적인 입력으로 동음이의어가 여러개있는 한문자는 "好奇 "(10)가 최초에서 제 3 도의 화면(5A)에 표시된다. 최초에 표시된 한문자가 필요한 한문자가 아닌 경우에는 키이 보오드(1)중의 다음 후보키이로 다음 우선빈도가 높은 한 문자를 표시하도록 지령하고 바라는 한문자가 표시될때까지 그 조작을 반복한다. 이것을 우선빈도 모우드라한다.In a normal input, a single character having multiple homonyms is displayed with "好奇" (10) on the screen 5A of the first to the third degree. If the first displayed character is not the required one, the next candidate key in the key board 1 is instructed to display the next higher frequency one character, and the operation is repeated until the desired one is displayed. This is called a frequency mode first.

또 바라는 한문자 미리 우선빈도가 낮은 것으로 짐작될때에는 표시선택으로 한문자를 표시하는 편이 선택속도가 빠르므로 표시선택 모우드의 지령을 한다. 그 경우에도 우선 빈도가 높은 순서에서 제 3 (b)도와 같이 화면(5A)에 표시되므로 그중에서 필요한 한문자를 커서로 지정하거나, 덴키이에서 한문자에 넣은 번호를 지령하는 등의 수단으로 지령한다. 더욱, 그림에 있어서(A)는 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범위이고, (B)는 동음이의어를 표시하는 범위이다.In addition, when it is estimated that the desired character has a low priority in advance, it is faster to select one character as the display selection. Therefore, the display selection mode is commanded. Even in this case, the order is first displayed on the screen 5A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so as to designate one of the necessary characters as a cursor, or to command the number entered in one character by Denki. In addition, in the figure, (A) is the range which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B) is the range which displays the homonym.

그러나 바라는 한문자의 우선빈도가 불명할때와 최초에 표시된 한문자가 바라던 것이 아닐 경우에는, 먼저 우선빈도 모우드로 바라는 한 문자가 표시될때까지 차례차례로 다음 후보키이를 조작하고 그래도 바라는 한문자가 좀체로 표시되지 않을때에는 보통 다음 후보 키이로 우선빈도 모우드 선택을 단념하고, 표시선택 모우드에 의한 선택으로 바꾼다.However, when the desired frequency of a desired character is unknown and the first displayed character is not what is desired, the next candidate key is operated in sequence until the desired character is displayed first, and the desired one is not displayed. Usually, the next candidate key gives up the priority mode selection and switches to the selection by the display selection mode.

지금 필요한 한문자 예를들면, 제 2 도의 우선 빈도 순위로 8번째의 "校旗"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에 다음후보키이에 의하여 가령 제 2 도의 6번째의 "香氣"까지 표시한 후, 표시선택 모우드로 바꾸먼 제 3 (b)도와 같이 우선 빈도가 즛은 한문자에서 몇개(그림의 예에서는 5)가 표시된다. 그러나 동음이의어의 표시범위(B)에 표시된 우선빈도1∼5의 한문자 한문자중에는 바라는 것이 없으므로 우선 빈도6∼10의 한문자를 표시하고, 그중에서 바라는 "校旗"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우선 빈도 모우드로 우선빈도 1번째의 "好奇"에서 6번째의 "香氣"까지 다음 후보 키이에 의하여 이미 표시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표시 선택모우드로 하였으므로 다시 우선 빈도 1에서 부터 표시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당히 조작이 불편하고 동음이의어의 결정에 시간을 빼앗긴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eighth letter "校旗" is displayed as the priority frequency of FIG. At this time, the next candidate is marked up to the sixth "香氣" in Fig. 2, and then changed to the display selection mode. Is displayed. However, since there is nothing to be desired among the one letters of the preferred frequencies 1 to 5 displayed in the display range B of the homonym, the first letter of the frequency 6 to 10 must be displayed, and the desired "校旗" must be selected. In other words, although the first frequency mode has already been displayed by the next candidate key from the first " favorite " to the sixth " flavor ", it is displayed as the display selection mode and is displayed again from the first frequency. Therefore, the operation is quite inconvenient and takes time to determine the homonym.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여러개의 동음이의어중에서 필요한 한문자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 표시되고 있는 한문자다음에 우선 빈도가 높은 한문자가 표시되게 하기 위한 우선 빈도 모우드에 의한 지령을 여러번 반복한 후, 표시 선택모우드로 바꾸었을때에는, 불필요한 한문자를 표시하지 않고 후보 한문자의 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은 여러개의 동음이의어 중에서 바라는 한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한문자 입력장치에서의 동음이의어의 선택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범위(A)와 동음이의어를 표시하는 범위(B)를 표시화면에 설치한 표시장치와 우선 빈도 모우드, 표시 선택 모우드를 지령하는 키이나 문자키이등이 배치된 키이보오드와 동음이의어에서 우선 빈도 정보를 부가하여 격납시킨 사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한 입력한 문자표시 범위(A)중의 동음이의어를 선택할때, 우선 빈도 모우드로 선택한 회수(K)를 기억하고, 표시 선택모우드로 바꾸었을때에는(K+1)의 우선빈도정보를 가진 후보 한문자에서 동음이의어 표시범위(B)에 표시되게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this regard, and in the case of selecting a required one character among several homonyms, after repeating the instruction by the priority frequency mode several times to make the one frequency of high priority appear after the currently displayed one character, When switching to the display selection mode, the object is to reduce the number of candidate characters without displaying unnecessary characters. In the method of selecting a homonym in a one-character input device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 desired one among a plurality of homonyms, a range A for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and a range for displaying a homonym B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panel installed on the display screen, a key board having a priority frequency mode, a key for selecting a display mode, a character key, and the like, and a pre-memory in which the same frequency information is added and stored in the homonym. When selecting the homonym 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range (A), remember the number of times (K) selected as the frequency mode first, and when changing to the display selection mode, the candidate character with the priority frequency information of (K + 1) The objection is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range (B).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음 이의어의 선택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우선 빈도 8번의 "校旗"를 바라는 한문자로 하여 선택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키이 보오드(1)의 문자키이에서 가나로「こずも」(고오끼)라고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2)는 사전 메모리(4)에서 우선 빈도가 제일높은 "好奇"(10)를 선택하여 화면(5A)에 제 4(a)도와 같이 표시한다. 조작자는 표시된 한문자가 바라는 한문자가 아니므로 우선 빈도 모우드에 의한 다음 후보키이를 누른다. 그러면 2번째로 우선 빈도가 높은 한문자인 "後期"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다시 다음 후보키이를 4번 눌러서 제 4(b)도와 같이 "香氣"(11)가 표시되었을때 여기에서 조작자는 우선 빈도 모우드에 의한 선택을 단념하고 표시 선택모우드로 바꾼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ng and displaying homony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frequency of "8" of the eighth frequency as the above is selected as one letter is specifically described. First of all, type in the letter key of the key board (1) in Kanaro "こ ず も". Then, the control unit 2 selects the "favorite" 10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dictionary memory 4 first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5A as shown in FIG. 4 (a). The operator first presses the next candidate key by the frequency mode since the displayed character is not the desired character. The second most frequent letter is "한". In this way, when the next candidate key is pressed four times and " 香氣 " 11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 (b), the operator first gives up the selection by the frequency mode and changes to the display selection mode.

그러면 화면(5A)은 제 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후보 키이에 의하여 이미 표시된 "香氣"(11)까지의 한문자 다음에 우선 빈도가 높은 한문자 "公器"에서 화면의 동음이의어의 표시범위(B)에 표시 가능한 수, 예를들면(P)개(도면에서 5)를 표시한다. 조작자는 구중에서 바라는 한문자 "校旗"를 선택한다. 그(P)개중에서 바라는 한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한문자에 붙친 번호(12)를 키이 보오드의 덴키이로 지시하거나 또는 커서을 이동하여 지시한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덴키이에 의하여 선택하는 것으로하여 설명한다.Then, as shown in Fig. 4 (c), the screen 5A displays the display range of the homonym of the screen in the first letter "公 器" with the first character up to the "香氣" 11 already indicated by the next candidate key. The number which can be displayed in (B), for example, (P) (5 in drawing) is displayed. The operator selects the desired letter "校旗" in the phras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desired one letter from the (P) indicates the number 12 attached to one letter to the Denki of the key board or by moving the cursor. In addition to this, various methods can be adopted.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y selecting by Denkii.

필요한 한문자 "校旗"로 표시범위(B)중의 2번에 표시되고 있으므로 덴키이로 2번을 지시하면, 제 4(d)와 같이 "校旗"(13)가 선택되어 소정위치에 표시된다. 그후, 계속하여 문장의 입력을 하면된다. 더욱 제 4 (c)도에서는 표시 선택 모우드의 상태로 바꾸어 놓은 곳에 동음이의어는 우선 빈도 모우드일때의 "香氣"(11)가 표시되고 있다. 이것을 표시 선택모우드로 바꾸었을때 동음이의어의 표시범위(B)에 표시되는 최초의 문자와 이때에 "公器"를 "香氣"(11)에 대신하여 입력문자 표시범위(A)에 표시되게 하면, 그대로 확정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작성이 좋게 된다고 할 수 있다.Since the one letter " 표시 " is displayed in the second of the display range B, when the second key is indicated by the denki, " 13 " is selected and display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as in the fourth (d). After that, the sentence is input continuously. Further, in Fig. 4C, the "scent" 11 when the homonym is the frequency mode is displayed first in the state where the display selection mode is changed. When this is changed to the display selection mode, the first character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range (B) of the homonym and at this time "公 器" is displayed in the input character display range (A) instead of "香氣" (11), Since it can be confirmed as it is, the operability becomes good.

제 5 도는 이상에서 설명한 것을 흐름으로나타낸 도면인데, 도면중(K)는 우성빈도이고, (P)는 표시선택할때 한번으로 화면의 표시범위(B)에 표시되는 후보한문자의 수이며, (Q)는 덴키이로 선택된 한문자에 넣은 번호(제 4(c)도의 12)를 뜻한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described above, in which (K) is the dominant frequency, (P) is the number of candidat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display range (B) of the screen at the time of display selection, ( Q) refers to the number (12 in Fig. 4 (c)) put in one letter selected with Denki.

아하 그 흐름도면에 따라 간결하게 설명한다.A brief explanation follows the flowchart.

S1: 한문자의 발음을 가나로 입력한다.S 1 : Enter the pronunciation of one letter into Kana.

S2: K=0(초기의 값)S 2 : K = 0 (initial value)

S3: 다음 후보키이에 의한 우선 빈도 모우드로 동음이의어를 선택할까 어쩔가를 지시S 3 : Indicates whether to select a homonym as the priority frequency mode by the next candidate key.

S4: S3에서 yes의 경우, K=K+1에 카운트 엎S 4 : If yes in S 3 , count down to K = K + 1

S5: 더욱 우선 빈도가 높은 우선 빈도 K=1의 한문자를 표시S 5 : Display one letter of priority frequency K = 1 with higher priority frequency

S6: S5로 표시한 한문자가 바라는 한문자인지 어떤지를 지시S 6 :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one character represented by S 5 is the desired character

S7: S6으로 no의 경우 다시 다음의 후보 키이로 다음 우선 빈도가 높은 한문자를 표시할까 어쩔가를 지시S 7 : If S 6 , no, indicate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next higher frequencyd one character with the next candidate key.

S8: S7에서 yes의 경우, K=K+1에 카운트 엎S 8 : If yes in S 7 , count to K = K + 1

S9: 다음에 우선 빈도가 높은 우선 빈도 K=K+1의 한문자를 표시S 9 : Display one letter of priority frequency K = K + 1 with higher priority next

S10: S9로 표시한 K=K+1의 한문자를 바라는 한문자인지 아닌지를 지시. no이면 S7S 10 : Indicates whether or not one letter of K = K + 1 indicated by S 9 is a desired letter. no to S 7

S11: S3에서 no의 경우 K=K+1에 카운트 엎S 11 : counts K = K + 1 for no in S 3

S12: S7에서 no의 경우 K=K+1에 카운트 엎S 12 : counts K = K + 1 for no in S 7

S13: 표시선택에 의하여 선택하는 모우드로 바꾼다.S 13 : Change to the mode selected by the display selection.

S14: 우선빈도(K)의 한문자에서 우선 빈도까지의 한문자까지 P개를 표시S 14 : Display P from one letter of priority frequency to one letter from priority frequency

S15: S14로 표시한 P개의 한문자중에 바라는 한문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지시S 15 : Indicates whether there is a desired one of the P characters represented by S 14

S16: S15로 no의 경우, K=K+P에 카운트 엎S 16 : If no with S 15 , count to K = K + P

S17: S15로 yes의 경우 표시된 한문자중에서 번호 Q를 덴키이(카솔)로 지시하는 선택한다.S 17 : If S 15 is yes, select the letter Q indicating Denki (casol).

S18: K=K+(Q-1)에 카운트엎S 18 : Count to K = K + (Q-1)

S18: S6, S10으로 확정한 한문자를 화면에 표시S 18 : Display one letter confirmed by S 6 , S 10 on the screen.

이상과 같이 제 5 도의 흐름표시 도면에 따라 처리를 진행하면 수시로 후보키이에 의한 선택에서 표시 선택에 의하여 선택으로 바꿀 수 있고, 이때에 불필요한 후보한문자는 표시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processing proceeds according to the flow display diagram of FIG. 5, the selection by the candidate key can be changed from the selection by the selection of the display to the selection at any tim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andidate one-characters from being display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의 하면, 동음이의어를 선택할때 다음 후보키이에 의한 선택에서 표시선택에 의한 선택으로 바꾸었을 경우에 다음 후보 키이에 의한 선택에 의하여 이미 표시된 한 문자 다음에 우선 빈도가 높은 한문자로부터 표시되게 하여 표시 선택을 할때의 후보한 문자를 줄일 수 있게 하였으므로 바라는 한문자를 선택할때, 능율적으로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monym is selected, the selection by the next candidate key is already performed when the selection by the next candidate key is changed from the selection by the next candidate ke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ndidate character when selecting the display by displaying the first character after the displayed character first, and thus have the effect of effectively performing the operation when selecting the desired character. .

Claims (1)

다수의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중에서 필요한 한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한문자 입력장치에서의 동음이의어의 선택방법에 있어서 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범위(A)와, 동음이의어를 표시하는 범위(B)를 표시화면(5A)에 설치한 표시장치(5)와 우선 빈도 모우드, 표시선택모우드를 지령하는 키이 또는 문자 키이 등이 배치된 키이보오드(1)와, 동음이의어에는 우선 빈도 정보도 부가하여 격납시킨 사전 메모리(4)를 구비하며, 상기한 입력문자 표시 범위(A)중의 동음이의어를 선택할때 우선빈도 모우드로 선택한 회수(K)를 기억하고 표시선택모우드로 바꾸었을때는(K+1)의 우선 빈도 정보를 가진 후보 한 문장에서 동음이의어의 표시범위(B)에 표시되게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문자 입력장치에서의 동음이의어의 선택방법.In a method of selecting a homonym in a one-character input device in which a single character is selected and input from a plurality of homonyms, a range (A) for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and a range (B) for displaying a homonym The display device 5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5A, the key board 1 in which the priority frequency mode, the key or character key which commands the display selection mode, and the like are added, and the frequency information is added to the homonym. And a preset memory (4), which stores the number of times (K) selected as the preferred frequency mode when selecting the homonym in the above-described input character display range (A) and changes the display selection mode to (K + 1). A method of selecting a homonym in a one-let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onym is displayed in the display range (B) of the candidate in a sentence having frequency information.
KR1019830006107A 1983-05-31 1983-12-22 Selecting method of a homonym in a letter input apparatus KR8900014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096100A JPS59221728A (en) 1983-05-31 1983-05-31 Selecting method of homophone for kanji input device
JP96069 1983-05-31
JP58-96100 1983-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850A KR840008850A (en) 1984-12-19
KR890001457B1 true KR890001457B1 (en) 1989-05-03

Family

ID=1415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107A KR890001457B1 (en) 1983-05-31 1983-12-22 Selecting method of a homonym in a letter input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221728A (en)
KR (1) KR8900014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00B2 (en) * 1987-02-10 1995-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Character conversion processor
JPH04299450A (en) * 1991-03-27 1992-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Document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850A (en) 1984-12-19
JPH0122945B2 (en) 1989-04-28
JPS59221728A (en) 198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5498A (en) Reduced keypad entry apparatus and method
JP4369245B2 (en) Mobile phon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JP20070120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mpletion of composite character
KR100947401B1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6490576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ctionary function
KR890001457B1 (en) Selecting method of a homonym in a letter input apparatus
JPH069046B2 (en) Text editing device
JPH02144763A (en) Kana/kanji converting device
EP0335644A2 (en) Text processing device
JPS5814248A (en) Kanji(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JP3442197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document processing method
JPS5816342A (en) Japanese word processor
JPS6218952B2 (en)
JPS61265664A (en) Homonym selecting mechanism in word processor
JPS61145677A (en) Kana (japanese syllabary) / kanji (chinese character) converting system
JPH05158916A (en) Document preparing device
JPH08106459A (en) Kana-kanji converting device with program searching function for next candidate
JPH04363755A (en) Wordprocessor
JPH05257926A (en) Document forming device
JP200018765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kana/kanji and storage medium
JPH05210654A (en) Information processor
JPH06309306A (en) Document creation device and output display control method
JPH05233601A (en) Document processor for setting automatically kana to kanji conversion mode
JPS5971530A (en) Japanese word processing system
JPS6069723A (en) Document cr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4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