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94Y1 -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94Y1
KR890001094Y1 KR2019850012341U KR850012341U KR890001094Y1 KR 890001094 Y1 KR890001094 Y1 KR 890001094Y1 KR 2019850012341 U KR2019850012341 U KR 2019850012341U KR 850012341 U KR850012341 U KR 850012341U KR 890001094 Y1 KR890001094 Y1 KR 890001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oor
plate
fixing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019U (ko
Inventor
이충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094Y1/ko
Publication of KR870006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도어폐쇄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도어폐쇄시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도어개방시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도어개방시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본체 2 : 아랫본체
3 : 고정돌기 4 : 고정홈
5 : 장공 6 : 캠
7 : 이동유도판 8 : 걸림턱
9 : 도어 걸림홈 10 : 고정구멍
11 : 단자 12 : 우측판
13 : 이동판설치대 14 : 스프링
15 : 안내축 16 : 단자
17 : 산형부 18 : 고정구멍
19 : 이동판 20 : 고정돌기
21 : 힌지 22 : 밧데리 설치판
23 : 도어
본 고안은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 도어를 개방하면 밧데리가 상승하여 용이하게 밧데리를 수납장치 내에서부터 분리시키거나 상기 수납장치내에 결합시킬 수 있게한 밧데리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던 일반적인 밧데리수납구는 송신기본체에 도어가 끼워지도록 한 다음, 밧데리 설치대에 헝겁조각을 놓고 그 위에 밧데리가 얹혀 놓아지도록 하여 밧데리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헝겁조각을 윗쪽으로 들어올려 밧데리가 밧데리수납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반대로 밧데리를 밧데리수납구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헝겁조각을 밧데리수납구 밑에 깔고 그 위에 밧데리를 장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밧데리수납구는 밧데리를 수납구내에 장착시킬 때 헝겁조각를 밧데리밑에 필히 깔아 주어야 하며, 만일에 헝겁조각을 밧데리밑에 깔아주지 않고 밧데리를 밧데리수납장치 내에 장착한 경우에는 밧데리를 분리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밧데리가 밧데리수납구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는 불편한 점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밧데리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밧데리설치대는 일정방향 일정거리만큼 경사지게 이동하고, 밧데리양쪽전극과 접촉하여 있는 접촉자는 밧데리측면으로 일정거리 떨어지게 되어 밧데리를 밧데리수납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도록한 밧데리수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수납장치는 윗본체(1)와 아랫본체(2)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윗본체(1)에는 좌우측면 고정돌기(3)에 고정홈(4)이 끼워져 장공(5)이 형성된 캠(6)과 이동유도판(7) 및 걸림턱(8)이 설치된 도어(23)가 결합되고 상기 아랫본체(2) 내부 우측에는 고정구멍(10)이 형성되고 단자(11)를 설치한 우측판(12)이 설치되고 좌측에는 이동판설치대(13)에 스프링(14)이 끼워진 안내축(15)을 끼우므로 단자(16)가 설치되고, 산형부(17)와 고정구멍(18)이 형성된 이동판(19)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판(19) 상부에는 고정돌기(20)를 고정구멍(10, 18)에 끼우고 힌지(21)를 장공(5)에 끼워 밧데리 설치판(22)이 설치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4는 밧데리, A,B는 이동판의 이동방향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윗본체(1)를 아랫본체(2)에 붙여 접속시키므로 일체화된 리모콘송신기가 되게한다. 도어(23)는 밧데리(24)를 수납하고 분리할 때 개폐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도어(23)를 개방시키게 되면 고정돌기(3)에 끼워져 있는 고정홈(4)을 기준으로 도어(23)가 회전하며 개폐된다. 이와 같이 도어(23)가 개폐될 때에는 밧데리설치판(22)에 설치된 힌지(21)가 장공(5)내에서 이동하게 되며 이와 함께 캠(6)의 작동에 의해 밧데리설치판(22)은 고정돌기(20)를 중심으로 상하운동하므로 밧데리수납장치로부터 밧데리(24)를 분리하고 결합하기 용이하게 된다.
도어(23)에 형성시켜놓은 걸림턱(8)은 도어(23)를 폐쇄시켰을 때 도어걸림홈
(9)에 걸려져 도어(23)가 저절로 여닫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동판설치대(13)는 이동판(15)이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서 설치대(13)와 설치대(13)사이에는 스프링(14)을 위치시키고 안내축(15)을 끼워주므로서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판(19)이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만일 도어(23)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도어(23)에 형성시켜 놓은 이동유도판(7)이 산형부(17)를 우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판(19)은 스프링(14)의 탄성을 이겨내고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도어(23)를 개방시켜 주게 되면 이동유도판(7)에 의해 산형부(17)를 우측으로 누르고 있는 힘이 해제되므로 이동판(19)은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종합적인 작동상태를 알아보면, 밧데리(24)가 수납된 상태에서 도어(23)를 개방시켜 주게되면 이동유도판(7)이 산형부(17)를 우측으로 밀어주는 힘을 해제시키므로 이동판(19)은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A방향으로 이동하며 단자(16)와 밧데리(24) 사이에 틈이 생겨 밧데리(24)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헐거워지게되며 또한 장공(5)에 끼워진 힌지(21)는 캠(6)의 작동에 의해 밧데리 설치판(22)을 상부로 끌어올리므로써 밧데리(24)가 밧데리설치판(22)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밧데리수납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서 밧데리를 수납실내에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제품을 고급화 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윗본체(1)와 아랫본체(2)로 구성시키되, 상기 윗본체(1)에는 고정돌기(3)에 고정홈(4)을 끼워서 장공(5)이 형성된 캠(6)과 이동유도판(7)이 일체성형된 도어(2 3)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아랫본체(2)에는 우측으로 고정구멍(10)이 형성되고 단자(11)가 설치된 우측판을 설치하고 좌측에는 이동판 설치대(13)에 스프링(14)을 끼우고 안내측(15)을 끼워서 산형부(17)와 고정구멍(18)이 형성된 이동판을 설치하며, 상기이동판(19) 상부에는 고정돌기(20)를 고정구멍(10,18)에 끼우고 힌지(21)를 장공(5)에 끼워서 밧데리설치판(22)을 설치한 리모콘송신기의 밧데리수납장치.
KR2019850012341U 1985-09-24 1985-09-24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KR890001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341U KR890001094Y1 (ko) 1985-09-24 1985-09-24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341U KR890001094Y1 (ko) 1985-09-24 1985-09-24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19U KR870006019U (ko) 1987-04-25
KR890001094Y1 true KR890001094Y1 (ko) 1989-03-28

Family

ID=1924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2341U KR890001094Y1 (ko) 1985-09-24 1985-09-24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0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19U (ko) 198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0535A1 (en) Concentric plug
KR880004471A (ko) 테이프 카세트
KR890001094Y1 (ko) 리모콘 송신기의 밧데리 수납장치
DE59608437D1 (de) Schalter mit einem temperaturabhängigen Schaltwerk
JPS5453421A (en) Device for checking automotive door
KR100217571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910001740A (ko) 도어 개폐장치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JPH0425901Y2 (ko)
KR900003124Y1 (ko) 도어록킹장치
KR0130682Y1 (ko) 리어 러기지 램프커버 개폐장치
KR920006315Y1 (ko) Ic조작반이 설치된 냉장고 도어핸들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1798Y1 (ko) 배터리 케이스의 덮개판 고정장치
KR910000628Y1 (ko)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 스위치 개폐장치
KR880003911Y1 (ko) Vtr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입 방지장치
KR790002242Y1 (ko) 문개폐기(門開閉器)
KR880002377Y1 (ko) 연필심 케이스
KR90000845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홀더장치
KR870001195Y1 (ko) 전축 레크자동문 개폐장치
JP2524243Y2 (ja) カード錠
KR900000512Y1 (ko) 비디오 카세트의 테이프 보호덮개 개폐장치
KR900008201Y1 (ko) 전자식 냉장고의 온도 컨트롤 케이스
KR200151191Y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KR900003123Y1 (ko) 개방시의 도어 취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