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71B1 - 전력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71B1
KR890000971B1 KR8204279A KR820004279A KR890000971B1 KR 890000971 B1 KR890000971 B1 KR 890000971B1 KR 8204279 A KR8204279 A KR 8204279A KR 820004279 A KR820004279 A KR 820004279A KR 890000971 B1 KR890000971 B1 KR 89000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to
control
pulse width
output voltag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792A (ko
Inventor
다까노부 하다께야마
세이야 시마
다께끼 안도오
도시아끼 구로사와
히로미 이나바
히로아끼 구로하
사다오 호까리
요시오 사까이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840001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6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16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 H02M7/162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력변환 장치
제1도-제4도는 본원 발명의 동작원리 설명도로서, 제1도는 전력변환장치의 주회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회로의 동작설명용 파형도.
제3도는 전압지령에 대한 펄스폭과 위상각의 특성도.
제4도는 제3도 특성을 얻기 위한 함수발생 회로도.
제5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전력변환장치의 구체적인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동작설명용 파형도.
제7도는 본원 발명의 전력변환장치를 응용한 직류전동기의 제어회로도.
제8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전력변환장치의 주회로도.
제9도는 제8도의 동작 파형도.
제10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전력변환장치의 주회로도.
제11도는 제10도의 동작파형도.
제12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전력변환장치의 주회로도.
제13도는 제12도의 동작파형도.
제14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이루는 전력변환장치의 주회로도.
본원 발명은 제어정류회로, 예를 들면 전파(全波)브리지회로를 사용하여 교류와 직류의 전력을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단상교류 또는 3상교류와 직류간에 전력변환하기 위해서, 단상전파 브리지회로 또는 3상전파 브리지회로를 사용한 것이 여러가지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같이 전파브리지회로의 직류출력전압은 브리지회로의 각 암에 접속된 위상제어 가능한 제어정류수단, 예를 들면 다이리스터의 점호위상각을 가변함으로써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다이리스터의 게이트제어방법으로서는 전파브리지 플러스축 암에 접소된 다이리스터군과 마이너스축 암에 접속된 다이리스터군의 점호위상각을 갖게하여, 이 위상각을 가변해서 출력전압을 영에서 최대까지 제어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직류출력전압을 낮게 할수록 교류전압에 대한 교류전류의 위상지연이 커진다. 따라서, 무효전령이 증가하고, 역률(力率)이 나빠지는 동시에, 리플성분이 커지므로 전원에 대해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은 직류출력전압이 작은 영역에 있어서의 결점을 개량하는 방식으로서 미국특허 제4,245,293호에는 출력전압이 작은 영역에 있어서, 플러스축 다이리스터군과 마이너스축 다이리스터군의 점호위상각을 다르게 해서, 양 다이리스터군에서 단락모드를 갖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당한 역률 개선등을 도모할 수 있지만, 출력전류에 150Hz정도의 저주파의 전류리플이 생기며, 또한 역률개선이 더욱 요망되고 있다.
한편, 상기 역률개선을 도모하는 다른 방식으로서, 최근 제목이 (A Pulsewidth Controlled AC-to-DC Converter to Improve Power Factor and Waveform of AC Line Current)인 IEEE 트랙잭션(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 VOL IA-15, NO.6, 11월/12월 1979)에 다음과 같은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식은 전파브리지 회로의 플러스축 암에 전류차단 기능을 갖는 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자를 소정의 주기로 초핑동작시키는 동시에, 그 초핑펄스폭을 가변함으로써, 출력전압을 제어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교류전압과 전류가 같은 상으로 되므로 역률을 1에 접근시킬수 있다. 또, 그 직류출력전압에는 전원의 제6고조파성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으며, 출력전류의 리플성분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출력전압을 작은 값까지 연속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자의 초핑펄스폭을 매우 좁은 범위까지 연속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제어는 곤란하며, 초핑펄스폭을 좁게 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현재의 트랜지스터 또는 GTO(게이트 턴 오프 다이리스터)로는 상기 최소 초핑펄스폭의 관계에서 출력전압을 정격(定格)의 1/10정도 이하까지 제어할 수는 없다.
그런데, 정력전압의 1/10이하까지 제어하는 것이 요구되는 용도는 많으며, 예를들면 직류전동기로 구동되는 고속엘리베이터에서는 정격속도의 1/1000이하의 속도까지 연속해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 상기 방식은 적용할 수 없으며, 결국 상기 전파 다이리스터브리지의 플러스측 다이리스터군과 마이너스측 다이리스터군의 점호위상각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본원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역률이 좋고, 또한 출력전압을 광법위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한 교류-직류간의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전 제어범위에 걸쳐서 안정된 제어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전력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제1의 특징은 다이리스터 등의 위상제어가능한 제어정류수단을 포함하는 제어정류회로를 사용하여 교류직류간의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류회로의 직류출력을 초핑하는 개폐수단과, 소망출력전압에 따라서 상기 정류회로의 위상각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소망 출력전압에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을 초핑하는 펄스폭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소망 출력전압이 작은 범위에서는 상기 펄스폭을 일정하게 해서 상기 정류수단의 위상각을 제어하며, 출력이 큰 범위에서는 상기 위상각을 일정하게 해서 상기 펄스폭을 제어하도록 한것에 있다.
그밖의 목적 및 특징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제1도-제4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3상교류전원과 직류간의 전력교환을 예로 들면 전류차단기능을 갖는제어가능한 개폐수단으로서 GTO를 채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후술하는 단상교류 또는 다른 개폐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주회로 구성의 일실시예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파브리지는 모두 다이리스터(U1-W2)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전파브리지의 교류단자에는 3상교류전원(Ea)이 접속되며, 그 직류단자와 부하(L)과의 사이에는 게이트 턴 오프 다이리스터(GTO1),(GTO2)로 이루어진 초퍼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다이리스터((U1-W1) 및(GTO1),(GTO2)의 게이트를 제어하여 저항 (RL), 인덕턴스(LL), 직류전압(EL)을 포함하는 부하(L)에 가해지는 전압을 제어한다.
여기서, 부하(L)의 시정수(LL/RL)은 교류전원의 주기보다 충분히 길다고 가정하고, 직류전압(EL)은 출력전압(EO)보다 조금 낮은 값으로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들면 직류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해, 전기자회로를 부하(L)로 한 경우에 이와 같은 조건으로 된다.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을 파형도이며, 상전압 (U),(V),(W), 출력전압 (EO) 및 U상 전류(IU)의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이러스터(U1-W2)의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위상각을(α)(U1으로 설명하면, U-W상의 전압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반전한 시점으로부터의 지연각으로 나타내며, 이하 제어지연각이라고 함)로 하고, (GT O1)을 주기(T), 펄수폭(P)로 초핑하고, (GTO2)를 (T-P)의 펄수폭으로 초핑하는 것으로 한다.
제2도(b)는 제어지연각 α=0°의 상태에서(GTO1), (GTO2)를 초핑한 경우의 파형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도의 루프 ①로 나타낸 것처럼, (GTO1)을 점호하면 다이리스터(U1)(V2)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며, 전원(Ea)에 부하전류가 흐른다. 다음에, (GTO1)을 차단하는 동시에 (GTO2)를 점호하면, 부하전류(LL)은 루프②로 나타낸 경로를 흘러서, 전원(Ea)를 통과하지 않는다. 이때의 출력전압(E0)는 영으로 된다. 따라서, 출련전압(EO)의 전압파형은 제2도(b)에 나타낸 것처럼 펄스폭(P)로 결정되는 펄스상의 파형으로 된다. 그래서, 펄스폭(P)을 가변함으로써, 출력전압(EO) 및 U상 전류 (IU)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전압(EO)에 대한 상전류의 위상지연은 매우 작으며, 역률을 1에 접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펄스폭(P)을 좁게 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정격의 1/10의 정도 이하까지 출력전압(EO)을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펄스폭(P)의 최소로 되기까지 제어한 상태에서 그때의 펄스폭(P)을 유지하고, 다음에 제어지연각(α)를 제어함으로써 출력전압(EO)을 영까지 연속적으로 제어한다.
제2도(C)는 펄스폭(P)을 최소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어지연각 α= 약 90°즉 출력전압을 영부근으로 한 경우의 파형이다. 즉, 제1도의 다이리스터(U1-W2)를 제어지연각 90°로 점호하는 동시에, (GTO1)은 제어지연각 90°에 의해서 결정되는 다이리스터(U1-W2)의 도통가능 기간중에 최소펄스폭(P)로 초핑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무효전력을 충분히 작게할 수 있고, 저출력범위에 있어서의 역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기술한 출력전압에 대한 위상각(α) 및 펄스폭(P)의 관계를 제3도에 나타낸다. 도면은 전압지령(SV)에 대한 펄스퍽(SP)과 위상각(Sα)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가로축의 전압지령(SV)은 정력전압에 대한 비율, 세로축의 펄스폭(P) 및 위상각(α) 는 각기 전도통폭에 대한 비율 및 제어지연각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알수 있듯이, 정격정압의 0.1이상에서는 제어지연각(Sα)을 0°로 유지하여 펄스폭(S5)N가변하고, 정격전압의 0.1이하에서는 펄스폭(SP)을 최소로 유지하여 위상각(Sα)을 가변함으로써, 영전압에서 정격전압까지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압지령(SV)에 따른 펄스폭(P) 및 위상각(α)를 얻는 방법은 여러가지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일례를 제4도에 나타낸다. 이 제4도는 전압지령(SV)에 대해서 도시한 특성을 갖는 함수발생기(Fα) 및 (FP)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으로, 그 출력(Sα),(SP)는 전압지령(SV)에 대해서 제3도의 특성으로 된다. 따라서, 이 (SP) 및(Sα)를 각기 펄스폭지령 및 위상각지령으로 하고, (GTO1), (GTO2) 및 다이리스터(U1-W2)의 게이트를 제어함으로써, 전압지령(SV)에 따른 전압제어가 가능해진다.
즉, 펄스폭(P)을 0.1로 일정하게 해 놓고, 제어지연각(α)을 90°에서 0°까지 변화시키면, 출력전압은 0에서
Figure kpo00001
로 된다. 이어서, (P)를 0.1에서 1까지 변화시키면 출력전압은 최대
Figure kpo00002
까지 증가한다.
마이너스 출력전압을 제어할때는 α를 90°에서 180°까지 변화시키면 출력전압은 0에서
Figure kpo00003
로 된다. 이어서(P)를 0.1에서 1까지 변화시키면 마이너스 출력전압은 최대
Figure kpo00004
까지 증가한다.
이상 상술한 동작원리에 의한 본원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에 대해서 다음에 제5도,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전력변환장치의 전체구성도, 제6도는 그 동작설명도이다.
다음에, 그 상세한 점을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PS)는 다이리스터의 게이트펄스 발생회로이며, 3상전원(Ea)을 트랜스(Tr)에서 중성점(中性點)을 갖는 선간전압 (UW),(VU),(WV)로 변환하고, 3상 이상기(移相器)(PU),(PV),(PW)에 입력하고 있다. 이 이상기(PU),(PV),(PW)에는 위상지령신호(Sα)로 입력된다. 위상지령신호(Sα)는 전압지력신호(SV)가 큰범위, 즉 출력전압이 큰 범위에서 제오지연각(α)가 0으로 되는 출력(제3도 특성)을 갖는 함수발생기(Fα)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상기 (PU),(PV),(PW)는 위상지령신호(Sα)에 해당하는 제6도와 같은 광폭의 펄스(GU1-GW2)를 발생하고, 이들 퍼스(GU1-GW2)를 다이리스터(U1-W2)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여기서, 이상기(PU),(PV),(PW)의 핀번호 1로부터는 전원(Ea)의 플러스반파(半波) ), 핀번호 2로부터는 전원(Ea)의 마이너스의 반파를 제어하는 게이트펄스를 발생한다.
GTO 게이트 펄스발생회로(PP)에는 펄스폭 지령신호(SP)를 입력한다. 이 GTO 펄스폭 지령신호 (SP)는 전압지령신호(SV)가 작은 범위, 즉 출력전압이 작은 범위에서는 펄스폭이 작게 일정해지는 신호를 전압지령신호(SV)가 큰범위, 즉 출력전압이 큰범위에서는 펄스폭이 커지는 신호(제3도 특성)를 발생하는 함수발생기(FP)에 의해서 얻어진다.
따라서, GTO의 게이트 펄스발생회로(PP)는 펄스폭 지령신호(SP)에 해당하는 제6도(b)와 같은 펄스(GT1),(GT2)가 발생하며, 이들을 (GTO1),(GTO2)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이들 펄스(GTO1),(GTO2)에 의해, (P)의 기간은 (GTO1)을 도통으로 (GTO2)를 비도통으로 하고, (T-P)의 기간은 (GTO1)을 비도통으로, (GTO2)은 도통으로 한다.
이상 기술한 본원 발명에 의한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하여, 직류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할 경우의 응용예를 제7도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M)은 직류전동기의 전기자,(F)는 그 계자, (TH)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푸시풀다이리스터 증폭기, (FPS)는 그 이상기이다.
또, (PS)는 제5도에 나타낸 다이리스터(U1-W2)의 게이트 제어회로이며, (PA)는 전기자전류를 검출하는 진류변류기( CT)와 전기자전류지령(SC)을 비교하는 비교기이다.
전기자전류는 전기자전류지령(SC)에 따라서 일정하게 제어되고 있다. 속도지령 (SS)과 속도발전기(PG)로 검출된 속도와는 이상기(FPS)로 비교되며, 계자전류를 플러스, 마이너스로 제어함으로써, 속도지령에 따르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방식에 있어서는 전기자전류를 한방향으로 제어하는 것만으로, 전동기의 정·역전, 역행, 회생의 4현상운전이 가능해지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회생상태에 있어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 다이리스터회로의 출력전압이 0으로 되기 때문에 전기자전류가 급증하고, 다이리스터가 파괴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전기자회로에는 직류콘택터를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파브리지의 직류단자와 전동기간에(GTO1),(GTO2)로 이루어진 초퍼회로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자전류가 어떤 레벨을 넘어서면(GTO1),(GTO2)를 턴 오프하도록 오프펄수 게이트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전기자전류를 끊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직류콘택터가 불필요해지며, 장치의 소형화와 원가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본원 실시예에 의하면 3상교류전력의 변환 및 역변환의 역률이 개선되며, 전원의 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직류콘택터가 불필요해지는 등 공업적 효과는 크다.
제8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며, 제9도는 그 동작파형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교류에서 직류로의 변환 외에, 역변환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전파브리지는 모두 다이리스터를 사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역변환을 하지 않는 것이라면,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전파브리지의 플러스측에 다이리스터(U1),(V1),(W1)을 마이너스측에는 다이오드(D1),(D2), (D3)를, 그리고 이 전파브리지의 진류단자와 부하와의 사이에 1개의(GTO)를 접속하고, 부하와 병렬로 부하전류를 환류시키는 다이오드(D4)를 접속하면된다.
이 경우에 다이리스터(U1),(V1),(W1)의 제어지연각(α)를 제어했을때의 직류단자간 전압(EO)는 제9도(a)의 실선으로 나타낸 사이의 전압으로 된다. 그리고, 상시 제어지연각(α)을 유지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GTO)를 개폐하는 펄스폭(P)을 제어했을 때의 출력전압(EO)의 파형을 이 도면(b)에 나타낸다. 그리고, 여기서는 초핑회수를 5회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 순변환만을 할 경우도, 본원 발명은 유효하며, 위상각(α) 및 펄스폭(P)를 제어함으로써 고역률도 광범위한 전력변환이 가능해진다.
이상 3상교류와 직류간의 전력변환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그밖의 다상교류 또는 단상교류와의 전력변환에 대해서도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0도는 단상교류와 직류간의 직력변환하는 경우의 일실시예이며, 제11도는 그 동작파형도이다.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이리스터(R1-S2)로 이루어진 전파브리지회로의 직류단자와 부하(L)와의 사이에 (GTO1),(GTO2)로 이루어진 초퍼회로를 접속하고 있다.
이 다이러스터(R1-S2)의 위상각(α)만을 제어한 경우의 출력전압(EO)을 제11도(α)에 나타내고, 이 위상각(α)에 더해서(GTO1),(GTO2)를 펄스폭(P)로 개폐한 경우의 출력전압(EO)을 이 도면(b)에 나타낸다. 이 도면은 제어지연각(α)을 90°로 하고, 출력전압(EO)을 0으로 한 경우의 파형이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펄스폭(P)을 최소로 하면, 출력전압(E0)을 0으로 했을때의 역률을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어지연각(α)을 0-180°까지 제어하고, 펄수폭(P)을 최대에서 최소까지 제어하면, 순변환에서 역변환까지의 전 범위에 걸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본파 역률을 개선할 수 있지만,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교류전원에는 단속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고주파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고주파는 전파브리지와 초퍼회로와의 사이에 필터회로를 삽입함으로써 저감할 수 있다. 그 일실시예를 제12도에, 동작파형도를 제13도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LD)는 리액터, (CD)는 콘덴서이며, 이들로 필터회로를 구성하고, 리액터(LD)가 흐르는 전류(LLD)가 연속하는 상수로 선정하는 것으로 하면, 다이리스터스(U1-W2)의 제어지연각(α)를 0으로 했을때의 전파브리지의 출력전압(EO)은 제13도(b)의 파형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지연각 α=0을 유지하면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GTO1)을 펄스폭(P)으로, (GTO2)를 (T-P)의 펄스폭으로 제13도(g)처럼 개폐제어했을 때의 콘덴서(CC)의 단자전압(ECD), 리액터(LD)를 흐르는 전류(LLD), U상의 전류 (IU)는 제13도(c)-(f)처럼 된다.
이와같이 하면, 전원파형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파브리지의 출력전류 (ILD),가 연속되므로, 다이리스터(u1-w2)는 협폭의 게이트펄스러더 점호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펄스 발생회로가 간단해진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전류차단 기능을 갖는 개폐수단으로서, GTO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제14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지의 트랜지스터 (Q1)(Q2)로 치환해도 전적으로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원 발명에 의하면 넓은 범위에 걸쳐서 역률 좋게 전력변환할 수 있다.

Claims (10)

  1. 위상제어 가능한 제어정류수단을 포함하는 제어정류회로(U1-W2)를 사용하여 교류직류간의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류회로(U1-W2)의 직류출력을 초핑하는 개폐수단(GTO1, GTO2또는 Q1,Q2)와, 소망 출력전압(SV)에 따라서 상기 정류회로 (U1-W2)의 위상각(Sα)을 제어하는 수단(Fα,PS)와, 상기 소망 출력전압(SV)에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 (GTO1, GTO2또는 Q1,Q2)를 초핑하는 펄스폭 (SP)을 제어하는 수단(Fα,PP)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망 출력전압(SV)이 소정치이하일때 상기 위상각(Sα)을 가변하고, 상기 소망 출력전압(SV)이 소정치이상일때 상기 펄스폭(SP)을 가변하도록 구성한 전력변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제어수단(Fα,PS)는 상기 소망전압(SV)이 소정치이하일때 이 소망전압(SV)에 따라서 상기 위상각(Sα)을 가변하고, 상기 소망전압(SV)이 소정치이상일때 상기 위상각(Sα)을 최소(제어지연각의 경우)로 유지하도록 구성한 전력변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제어수단(Fα,PP)는 상기 소망 전압(SV)이 소정치이하일때 상기 펄스폭(SP)을 최소로 유지하고, 상기 소망전압(SV)이 소정치이상일때 이 소망전압(SV)에 따라서 펄스폭(SP)를 가변하도록 구성한 전력변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류회로(U1-W2)와 개폐수단(GTO1, GTO2또는 Q1,Q2)와의 사이에 필터회로(LD, CD)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전력변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류회로(U1-W2)의 출력을 초핑하기 위한 개폐수단은 전류차단 기능을 가진 개폐수단(GTO1또는 Q1및 GTO2또는 Q2)로 하고, 이 개폐수단을 상기 제어정류회로(U1-W2)와 부하(L)와의 사이 및 부하(L)와 역병렬로 각기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전력변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류회로(U1-W2)와 부하(L)와의 접속한 제1의 개폐수단(GTO1또는 Q1의 도통시, 상기 부하(L)와 역병렬로 접속한 제2의 개폐수단 (GTO2또는 Q2)를 차단하고, 상기 제1의 개폐수단(GTO1또는 Q1)을 차단시, 상기 제2의 개폐수단(GTO2또는 Q2)을 도통하도록 구성한 전력변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GTO1, GTO2또는Q1,Q2)의 출력단에 부하 (L)를 접속하고, 이 부하(L)와 역병렬로 반파정류(半波整流)소자(D4)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전력변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류회로는 전파정류브리지회로(U1-W2)로 구성한 전력변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망 출력전압(SV)은 이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전압지령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KR8204279A 1981-10-02 1982-09-22 전력변환 장치 KR89000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6197 1981-09-30
JP56156197A JPS5858868A (ja) 1981-10-02 1981-10-02 電力変換装置
JP56-156197 1981-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792A KR840001792A (ko) 1984-05-16
KR890000971B1 true KR890000971B1 (ko) 1989-04-15

Family

ID=1562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279A KR890000971B1 (ko) 1981-10-02 1982-09-22 전력변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5858868A (ko)
KR (1) KR890000971B1 (ko)
GB (1) GB2108783B (ko)
HK (1) HK54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0936A5 (de) 1983-04-13 1987-05-29 Bbc Brown Boveri & Cie Kontaktloser zweiquadrantenstromrichter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ssen ausgangsspannung.
JPS6238083A (ja) * 1985-08-13 1987-02-19 Canon Inc 焦点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5486A (en) 1986-01-31
GB2108783A (en) 1983-05-18
JPS5858868A (ja) 1983-04-07
GB2108783B (en) 1985-03-27
KR840001792A (ko) 1984-05-16
JPH0221225B2 (ko) 199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mpringham et al. Intelligent commutation of matrix converter bi-directional switch cells using novel gate drive techniques
US6900998B2 (en) Variable-speed wind power system with improved energy capture via multilevel conversion
Wheeler et al. Matrix converters
AU705486B2 (en) Control circuit for cryogenically-cooled power electronics employed in power conversion systems
EP0697763B1 (en) Multi-coupled power converter and its controlling method
US9252681B2 (en) Power converter with a first string having controllable semiconductor switches and a second string having switching modules
US20070147098A1 (en) Power converting apparatus
Espelage et al. Symmetrical GTO current source inverter for wide speed range control of 2300 to 4160 Volt, 350 to 7000 Hp, induction motors
Maswood et al. A unity power factor front-end rectifier with hysteresis current control
Bendre et al. A current source PWM inverter with actively commutated SCRs
Okayama et al. Large capacity high performance 3-level GTO inverter system for steel main rolling mill drives
Arslan et al. Comparison of phase and level shifted switching methods for a three-phase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KR840002366B1 (ko) 전력 변환장치
Nain et al. Synergetic control of three-phase AC-AC current-source converter employing monolithic bidirectional 600 V GaN transistors
Voss et al. Control techniques of the auxiliary-resonant commutated pole in the dual-active bridge
KR890000971B1 (ko) 전력변환 장치
KR900003483B1 (ko) 전력 변환장치
McMURRAY Power electronic circuit topology
Ishikawa et al. A novel soft-switched PWM current source inverter with voltage clamped circuit
EP2854271A2 (en)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electric machines
Lopes et al. Space-vector-modulated hybrid bidirectional current source converter
McMurray Power electronics in the 1990s
JPS5967877A (ja) インバ−タの電流制限方式
Venkataramanan Evaluation of inverter topology options for low inductance motors
Ouchi et al. A control scheme for a three‐phase current source inverter in utility interactive photovoltaic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