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84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84B1
KR890000784B1 KR1019830000656A KR830000656A KR890000784B1 KR 890000784 B1 KR890000784 B1 KR 890000784B1 KR 1019830000656 A KR1019830000656 A KR 1019830000656A KR 830000656 A KR830000656 A KR 830000656A KR 890000784 B1 KR890000784 B1 KR 89000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paper
guide plate
paper guide
box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849A (ko
Inventor
세이이찌 도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노리 쑤 겐뀨센터
니시모또 간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노리 쑤 겐뀨센터, 니시모또 간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노리 쑤 겐뀨센터
Publication of KR84000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 린 터
제1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로서,
제1도는 전체 프린터의 사시도.
제2도는 프린터의 부분 사시확대도.
제3도는 프린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4도는 음화필름 마스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음화필름마스크 지지디스크 및 피결합성분들의 종단면도.
제5도는 광학농도결정 창 및 피결합 성분들을 포함하는 프린터의 일부분의 수직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음화필름 마스크의 일부분인 평면도.
제7도는 노출 및 인화시 성분들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거울 지지 작동기구의 측면도.
제8도는 트리밍시 성분들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제7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9도는 제7도의 거울지지 작동기구의 정면도.
제10도는 한쌍의 절첩문형상 안내핀이 반개방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의 프린터의 노출부에 대한 사시도.
제11도는 절첩문형상 안내판이 완전 개방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의 제10도의 노출부의 단면도.
제12도 절첩문 형상 안내판이 완전 밀폐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의 제10도의 노출부의 단면도.
제13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로서,
제13도 내지 제14도의 선 13-13에 따른 프린터의 노출부를 부분 절개한 정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14-14에 따른 프린터의 노출부의 단면도.
제15도는 솔레노이드가 자화되고, 종동로울러가 구동로울러로 부터 떨어져 있을때의 위치관계를 확대 도시한, 구동 및 종동로울러의 단면도.
제16도는 솔레노이드가 비자화되고, 인화지가 개재되어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종동로울러가 구동로울러와 접하게 될때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제15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7도는 가동 인화지 안내판의 이동을 탐지하기 위한 감지기의 장착장소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프레임구조의 부분 사시도.
제18도는 프린터의 개략 수직단면도.
제19도내지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로서,
제19도는 노출부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선 20-20을 따라 취한 노출부의 단면도.
제21도는 인화지 추진부재를 포함하는 노출부의 일부분의 정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선 22-22에 따른 노출부의 수직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선 23-23에 따른 노출부의 단면도.
제24도 내지 제26도는 제19도 내지 제23도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의 변형의 예시로서,
제24도는 노출부의 정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선 25-25에 따른 노출부의 수직단면도.
제26도는 제24도의 선 26-26에 따른 노출부의 확대단면도.
제27도는 프린터의 개략 수직단면도.
제28도 (a),(b),(c)및 (d)도는 인화지 추진부재가 처리기에 이송되는 인화지 쉬트의 위치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노출부들의 각각의 개략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음화필름 마스크 부착부 4 : 트리밍창
11 : 트리밍 암상자 12 : 노출 및 인화암상자
13 : 인화지 암상자 14 : 제어상자
1105 : 스크린 305,1106 : 거울
304,1107 : 거울지지대 1250,1260 : 운반부
1202,2202,3202 : 수직인화지 안내판
2206,2207 : 가동 인화지 안내판 1218,2218,3218 : 구동로울러
1221,1222,2221,3221 : 종동로울러 1305,3210 : 이송로울러
1201,2201,3210 : 노출부
2214,3214,3215,3235,3256,3257 : 풀리
2280,3249 : 스테핑모터 3206, 3209 : 안내홈,
3240,3250 : 인화지 추진부재
본 발명은 보통 자동사진인화지로 불리우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히는 종래 프린터의 폭과 거의 같지만 현저하게 축소된 길이를 가지며, 이 축소된 길이가 보장되면서 자동현상기 및 건조기와 함께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완전한 세트의 사진처리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개량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대량처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자동사진인화기로 불리우는 종래의 프린터는 지금까지 테이블형으로 만들어졌었다. 특히, 종래의 프린터는 감겨 있는 감광지로울 즉, 인화지로울이 프린터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암상자의 전단부에 있는 지지축상에 결착되고, 이 로울러부터 풀려진 인화지 스트립이 암상자와 후단부에 위치된 감기부분을 향해 단속적으로 진행되며, 인화는 인화지의 진행이 정지되는 동안 암상자의 중앙부에서 달성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프린터가 테이블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터 또는 암상자의 길이를 더 짧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어떤 제한된 범위내로 한정되므로, 결과적으로 프린터를 설치하는 데는 넓은 면적 또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프린터 사용자들 사이에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인화, 현상 및 건조작업을 포함하는 모든 사진처리 단계를 단일 라인에서 수행하기 위해서, 프린터 및 다른 처리부가 사진시스템내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히 더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사실로부터, 프린터 및 다른 결합부를 더욱 더 작은 크기로 설계 및 구성할 필요성이 생겨나, 프린터와 다른 사진철기 및 장치를 특수화하여 제조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종래 프린터에 대한 상기 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화지의 스트립이 광원으로부터 트리밍 암상자로 내려오는 광선의 광학측과 평행하게 거의 아랫방향으로 노출부속으로 단속적으로 인입되고, 광선의 광학축으로부터 원근 이동되도록 적용된 거울이 암상자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노출부에 확고하게 유지되어 있는 인화지를 향해 광선의 전파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개량에 있다. 상기 개량효과로, 이 프린터는 종래의 프린터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이지만, 현저하게 축소된 길이를 갖는다. 또한, 트리밍 암상자에 배치된 거울이 광선의 광학경로를 멀리하는데 적용되도록 하는 배열 때문에, 트리밍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실시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화지 로울이, 종래의 프린터 폭과 거의 같은 폭이지만 종래의 프린터의 길이보다는 실질적으로 작은 길이를 가진 노출 및 인화암상자내에서, 단속적으로 자동 인화되도록 하는 형식의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리밍 및 인화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축소된 길이를 가진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현상기, 건조기 및 다른 장치들과 함께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관한 하기 설명으로 명백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본발명의 3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이하 보다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가 제1도 및 제2도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제1도는 프린터 전체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프린터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상부판을 나타내며, 이 상부판위에는,음화필름 마스크부착부(2), 광학농도결정 창(3), 트리밍 창(4), 제어판(5), 키보드(6) 및 포켓(7)을 포함하는 복수의 필수성분들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음화필름 마스크부착부(2)는 제3도에 도시된 음화마스크(15)용 스터퍼(207 및 207')를 가지며 광학농도 결정창(3)은 덮개(도시되지 않음)로 씌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음화필름이 적당한 농도를 갖는지 그리고 색부족은 없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트리밍 창(4)도 역시 덮개(도시되지 않음)로 씌워지게 되어 있으며, 제어판(5)은 프린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다이알 및 다른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키보드(6)는 프린터 작동에 유효한 다수의 키들을 갖추고 있으며, 포켓(7)은 음화마스크 및 다른 작은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부판(1)은 이 상부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컬럼(8)을 포함하여 이 지지컬럼상에는, 음화필름 마스크부착부(2)와 광원상자 (10)의 바로 위에 위치된 거울통로(104)가 견고히 지지되었다. 참조번호 11은, 트리밍 작업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는 암상자를 표시하며, 여기에는 상부판(1)은 암상자(11)의 일부는 구성한다. 참조번보 12는, 인화지에 대하여 노출 및 인화가 실시되도록 하며 암상자(11)의 뒤에 병렬관계로 위치되어 있는 암상자를 표시한다. 참조번호13은 인화될 인화지로울이 수납되도록 하며,암상자(11)의 뒤에 그리고 암상자(12)의 위에 위치되어 있는 또 다른 암상자를 표시한다. 또한, 참조번호 14는 제어상자로서 상부판(1)의 아래에 위치되며 정면에서 보아서 왼쪽에서 암상자(11)에 인접하고 있는 제어상자를 표시한다. 제어상자(14)는 프린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주 스위치 및 다른 스위치들이 배열되는 스위치판(141)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제어상자(14)내에는 프린터의 시동, 운전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해 주 전기회로가 들어 있다.
상부판(1), 트리밍용 암상자(11), 노출 및 인화용 암상자(12), 및 인화지 로울 수납용 암상자(13)은, 광선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일체화되어 있으며, 암상자(11및 12)사이의 경계면은 단지 트리밍이 실행될 때에만 하기 단계에 의해 차단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다음에, 프린터를 구성하는 부품들 및 성분들은 제3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그 구조에 관하여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우선, 제3도 및 4도를 참조하여 특히 광원상자(10)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광원상자(10)는, 각각 종래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구성되어 있는 광원(101), 광조정필터(102), 셔터(도시되지 않음)에 인접배치된 커트필터(103), 및 거울통로(104)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부음화필름 마스크 지지디스크(015)가 음화필름 마스크(15)를 위하여 거울통로(104)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디스크(105)는 그안에 깊이 박힌 수개의 영구자석(106)을 가지며 후술할 음화필름 지지기(1510)가 이 영구자석에 대하여 맞닿게 되도록 적용되는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4도 및 5도를 참조하여 특히 음화필름 마스크부착부(2)에 관해 기술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상부판(1)은 과통형성된 다단구멍(201)을 가지며 이 구멍에는, 노출 및 인화를 위해 형성된 트인구멍을 가진 음화필름 마스크를 지지하는 지지디스크로서 기능을 하는 음화필름 마스크 지지디스크(203)가 끼워지며, 상기지지디스크(203)는 2개의 판스프링(202)(하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분배된 탄성력의 영향을 받아 상부지지디스크(105)와 접촉하도록 가압되는데, 이 판스프링의 한쪽 끝부분은 상부판(1)의 바닥표면에 고착되고 다른쪽의 자유단은 구멍 (201)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 하부지지디스크(203)의 양쪽 바닥표면에 대하여 작동적으로 맞닿아져 있다. 제2도에서 잘 도시되어있는 바와같이, 오목부(204)가 (제2도의 참조부호 Y로 표시되어 있는)음화필름 마스크(15)의 삽입방향에서 볼 때 거울통로(104)의 뒷쪽위치에 상부판(1)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오목부(204')는 거울통로(104)에 대하여 왼쪽위치에 상부판상에 형성되이 있다. 이들 오목부(204,214')에는, 축(205,205')이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 오목부(204,204')의 축벽을 통해서 연장되므로써 오목부(204,204')에 의해 정해지는 공간부내에 음화필름 마스크스토 퍼 (207,20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 준다.
스토퍼(207,207')의 자유단에는 밑으로 구부러진 부분(206,206')이 있는데, 스프링(208,208')에 의해 생기는 탄성력으로 하부지지디스크(203)의 상부표면위로 돌출된다. 참조번호(209 및 209')는 오목부(204,204')에서 스토퍼(207,207')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이다.
다음에는 제6도는 참조하여 특히 음화필름 마스크(15)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4도도 아울러 참조한다. 참조번호 1501은 음화필름 마스크 몸체로서 그 후단부에는 측모서리(1503) 및 바닥모서리(1504)로 정해진는 절단부(1502)가 포함되어 있는데, 측모서리(1503)는 스토퍼(207,207')의 휘어진 부분(206,206')의측모서리와 유착되며, 바닥모서리(1504)는 구부러진 부분(206,206')의 앞모서리와 접촉한다. 또한 앞모서리 부분에는 음화필름 마스크(15)를 지지해주고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높여진 모서리부분(1505)이 위를 향해 구부러져 있다. 참조번호 1506은 구멍트인고, 1507은 수직모서리 부분, 1508은 필름안내판 및 1509는 피벗지지 핀을 각각 도시한다. 또한 참조번호 1510은 음화필름 지지판, 1516은 구멍트인곳,1517은 지지판(1510)의 양쪽 측면모서리 부분의 뒤에 형성시켜 놓은 수직 모서리부분, 1518은 필름안내핀(1508)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그러므로, 구멍트인곳(1506 및 1516)이 서로결합하여 완전한 한세트의 노출 및 인화구멍부(1520)을 이루는 것이다. 음화필름 마스크 (15)를 삽입하여 양쪽 상하부 지지디스크(105,203)에 의해 정해진 공간내로 밀어넣어 스토퍼(207,207')의구부러진 부분(206,206')이 음화필름 마스크(15)의 뒷모서리부분상에 있는 절단부(1502)와 끼워 맞춰져, 영구자석(106)에 의한 자기인력으로 상부지지 디스크(105)상에서 음화필름지지판(1510)이 고정상태로 될 수 있도록 마스 크 (15)가 정지되었을때, 음화필름 마스크(15)의 노출 및 인화구멍부(1520)의 중심은 같은 광학축을 갖는 거울통로(104)의 중심과 일직선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음화필름 마스크(15)를 양쪽 상하부 지지디스크(105,203)사이의 선정된 위치에 견고히 유지시킨 후, 삽입시킨 음화필름이 정상적인 광학농도(정당학 노출)를 갖는지를 확인한 다음 즉시 노출 및 인화작업을 시작할 준비가 되는 것이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듯이, 음화필름을 삽입시키고 정위치에 놓는 작업은 높여진 모서리부분(1505)을 눌러 음화필름 마스크 몸체(15601)가 하부지지디스크(203)를 향해 내려가게 함으로써 매우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음화필름 마스크 부착부로부터 음화필름 마스크를 취하고, 음화필름 지지기를 상승시키고, 음화필름을 삽입시키거나 변위시키는 여러단계의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광원상자(10)와 관련해서 기술한 상부음화 필름 마스크 지지디스크(105)도 필요에 따라 제거시킬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다음에는 제3도 및 5도를 참조하여 특히 광학농도 결정창(3)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301은 암상자(11)(관측창과 관측자의 눈사이에 놓진 덮개는 제3도에 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상부판(1)에 형성시켜 높은 관측창을 나타내는데, 이 관측창은 투명유리판으로 덮혀있다. 참조번호 302는 관측창(301)으로 부터 연장된 경사진 광선 안내슬리브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305는 거울부착 디스크 (304)의 위에 견고히 부착시켜 놓은 거울을 나타내며, 이 부착디스크는 회전식 솔레노이드(303)에 의해 움직이게 되어 있어, 거울은 경사진 안내슬리브(302)의 개방된 자유단과 확실히 만날 수 있게 된다. 거울(305)이 경사진 안내슬리브(302)의 개방된 자유단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 외부로부터 암상자(11)의 내부로 전혀 빛이 들어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거울(305)의 바깥둘레부 또는 거울부착 디스크(304)는 경사진 안내슬리브( 302)의 개방된 자유단과 직접 접촉해서 되는 광차단 재료를 라이닝하는것이 좋다. 그래서, 거울(305)이 경사진 안내슬리브(302)의 끝부분면으로 부터 떨어져 나와 스토퍼(3 06)에 접촉하게 될 때, 상하부디스크(105 및 203)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음화필름 마스크(15)상에 있는 음활필름을 볼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제3,7,8 및 9도를 참조하여 특히 암상자(11) 및 트리밍창(4)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1104는 초점거리 및 인화크기에 맞게 수직으로 놓여 있는 노출 및 인화렌즈를 나타내며 (1105)는 암상자(11)의 하부에 위치된 스크린을 나타낸다. 또한, 거울(1106) 및 상기 거울(1106)을 확고하게 지지하는 거울지지 대(1107)는 스크린(1105)을 사용하여 초점조절, 인화크기 결정 및 트리밍을 실시할 때 격벽(1102)에 있는 광선안내 개구부(1103)를 차단시키기 위해 암상자(11 및 12)사이의 격벽(1102)를 향해 렌즈(1104)로 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광선통로상에서 멀리 떨어질 수있도록 암상자(11)에 회전이 가능토록 놓여있다.
한편, 암상자(12)로 이송되는 인화지(P')에 노출 및 인화가 실시될 때는 거울 (1106) 및 거울지지대(1107)은 광선통로로 들어가게 된다. 특히, 거울지지대 (1107)에는 지지대가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암상자(11)의 양측벽(1101,1101' : 이중하나는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장된 최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축(1108)이 있는데, 측벽(1101과 1101')은 격벽(110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다. 축(1108)은 측벽(1101)의 외부를 향해 위치된 최외단부(1109)에 고정되어 있는 캠판(1110)을 갖고 있는데, 이 캠판(1110)은 그 위에 고정된 거울(1106)과 함께 거울지지판(1107)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캠판(1110)에는 제7도 및 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좌측 모서리를 따라 캠표면(1111)이 포함되는데, 이 캠표면 (1111)은 저속으로 거울지지대(1107)을 회전시키는 캠부분(1112)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캠부분(1113) 및 회전동작에는 관여하지 않는 캠부분(1114)으로 이루어진다. 후술할 로울러(1117)는 각각의 캠부분(1112 내지 1114)과 구름접촉되도록 가압된다. 또한, L형의 브래킷(1115 및 1115')은 축(1108)의 최외단부(1109)의 근처에서 측벽(1101)에 고정된다. 이 L형의 브래킷(1115 및 1115')은 서로 수직정렬을 이루어 2개의 안내로드(1116 및 1116')가 수직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며 볼록(1120)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동가능한 블록(1120)에는 캠판(1110)의 캠표면(1111)과 구름 접촉하게 되는 로울러(1117), 피니언(1123)과 톱니바퀴를 물리게 하는 래크(1118) 및 상하부 리미트 스위치(1125 및 1125')에 결합되도록 한 리미트 스위치 작동판(1119)등이 포함된다. 피니언(1123)은 감속기구(1122)에 의해 측벽(1101)에 장착된 역전식 전기모터(1121)로 회전되는 한편, 상기 리미트 스위치(1125 및 1125')는 역전식 모터(11)의 회전을 멈추기 위해 측벽(1101)에 서로 수직으로 정렬시켜 놓은 다른 L형의 브래킷 (1123,1124')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판(1126)이 고착되어 있는 회전축(1127)은 측벽(110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맞닿음판(1126)은 래크(1118)가 상승운동을 정지하고, 스트링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최상부 위치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서 랙크(1118)의 상단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회전축(1127)에는 암상자(11)의 내부에 위치된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풀리(1128)가 있으며, 이 풀리(1128)는 와이어 로우프(1129)의 당겨진 길이의 중간쯤에 위치된 인장풀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피벗지지축(404)에서 풀리(도시되지 않음)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로우프(1129)를 움직여준다. 피벗지지축(404)은 유리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되어 있는 투명판(402)과 결합된 트리밍창(4)의 구멍트인곳(40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판(403)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판(403)의 위치가 제3도(제8도의 위치와 동일함)에 도시된 실선위치에 있다면, 거울지지대(1107)는 노출 및 인화를 위한 광선통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격벽(1102)과 접하게 되므로써 광선안내 구멍트인곳( 1103)이 차단되는데, 이렇게되면 관측자는 창(4)의 구멍트인곳(401)을 통해 스크 린(1103)에 투사된 음화필름의 상을 볼 수 있을 뿐아니라 트리밍작업도 행할 수 있다.
반면에, 거울지지대(1107)가 제3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 즉, 커버판(403)이 창(4)의 구멍트인곳(401)을 닫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노출 및 인화를 위한 광선통로로 들어갈 수 있도록 거울지지대(110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제 7도와 같은 위치)에 있다면 통로는 암상자(11)의 뒤에 나란히 위치되어 있는 암상 자 (12)를 향하게 된다.
암상자(12)에는 인화지(P)의 로울을 지지해주는 암상자(13)으로부터 이송되는 한장의 인화지(P')가 지지되는 동안 노출 및 인화작업이 진행되고, 고속운반부 (1205) 및 저속운반부(1260)가 들어있는 노출부(1201)가 포함되어 있다.저 속운반부(1260)는 그 작동속도가 암상자(12)에 연결되어 있는 처리기(도시되지 않음)에서의 (P')의 처리속도에 맞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한 각각의 부분(1201,1250 및 1260)은 암상자(12)를 구성하는 측벽중 하나를 분리한 다음 암상자(12)로 연결되어 해체시킬 수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먼저 노출부(1201)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참조번호 1202는 다수의 공기통로구멍(1203)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의 인화지 지지 및 안내판을 나타낸다. 안내판 (1202)은 프레임구조(1204)에 수직으로 지지되어서 노출 및 인화도중 인화지(P')를 지지해주며, 이로썬 렌즈(1104)와 거울(1106)사이의 거리는 보통렌즈(1104)와 스크 린(1105)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1205는 노출부(1201)내의 감압하에서 안내판(1202)의 앞면을 향하여 인화지(P')를 당겨주는 수직의 안내 판 (1202)의 뒤에 위치되어 있는 팬(fan)을 나타낸다. 참조번호(1206, 1207)은 수직의 안내판(1202)의 앞에 근접하여 위치시킨 한쌍의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을 나타낸다.
특히, 제1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120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안내판(1207)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연다. 이들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1206 및 1207)에는 프레임구조(1204)의 측벽에 고정된 상하부 베어링 (1210 및 1211)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는 그 기초부에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축(1208 및 1209)이 포함되어 있다. 참조번호 1212는 인화지가 통과하여 아래로 이동되는 절첩문형상의 안내판(1206 및 1207)과 수직의 안내판(1202)사이에 형성된 슬롯형상 인화지 안내통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213은 수직안내판(1202)의 뒷표면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정렬되어 있는 수평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나타낸다. 회전축(1213)은 프레임구조 (1204)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프레임구조 (12 04)의 외부를 향해 위치된 최외단부에 고정된 풀리(1214)를 갖는다. 제10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축(1213)은 풀리(1214), 무한궤도(1215), 구동풀리 (1216), 무한구동궤도 (1217) 및 구동전기장치(도시되지 않음)등의 조합에 의해 회전된다. 참조번호 1218은 회전축(1213)의 각각에 맞춰진 구동로울러를 나타낸다. 구동로울러(1218)의 일부는 수직안내판(1202)상에 형성된 트인구멍(1219)을 통하여, 안내통로(1212)내의 인화지(P') 후표면에 대하여 맞닿을 때까지 짧은 거리만큼 인화지 안내통로(1212)속으로 돌출된다.
반면에, 참조번호(1221 및 1222)는 수직의 안내판(1202)상의 구동로 울러 (1218)에 따른 위치에서 2개의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1206 및 1207)에 놓여있는 각각의 종동로울러를 나타낸다. 종동로울러(1221 및 1222)는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 (1206 및 1207)에 회전가능토록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1206 및 1207)(인화지 안내통로(12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의 후면에 놓여있는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종동로울러(1221 및 1222)의 일부도 또한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1206 및 1207)에 형성시켜 놓은 구멍트인곳(1225 및 1226)을 통해 인화지 안내통로(1212)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인화지(P')는 구동로울러(1218) 및 그에 대응되는 종동로울러(1221 및 1222)의 조합으로 인화지 안내통로(1212)를 통해아래로 이동되며, 노출이 완료된 후, 안내통로(1212)에서 빠져 나가게 된다.
게다가, 절첩문 형상의 안내판(1206 및 1207)을 회전시켜 지지축(1208 및 1209)의 최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아암(1227 및 1228)을 터언버 클(1229 및 1230)과 연결판(1231 및 1232)을 이용하여 왕복회전디스크(1233)에서 핀(1234 및 1235)에 연결된다. 상기 핀(1234 및 1235)는 감속기어상자(1236)에 의해 왕복회전디스크(1233)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전식 전기모터(1237)을 이용하여 90°범위 내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왕복회전 디스크(1233)의 중앙에서 편심된 곳에 위치되어 있다.
특히, 절첩문 형상 안내판(1206 및 1207)을 개폐시키는 작동기구는 아암 (1227 및 1228), 터언버클(1229 및 1230), 연결판(1231 및 1232), 핀(1234 및 123 5), 왕복회전 디스크(1233), 감속기어상자(1236) 및 역전식 전기모터(1237) 등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역전식 전기모터(1237)용 스위치, 및 구동로울러 (1218)를 회전시키는 전기모터(도시되지 않음)용 스위치등은 자동적으로 켜지고 꺼짐으로써, 구동로울러(1218)의 회전의 정지 또는 시작과 관련해서 작동기구가 여닫이 안내판(1 206 및 1207)을 개폐시킨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참조번호 1238 및 1239는 연결판(1231 및 1232)에 수직으로 부착된 결합핀을 나타낸다. 인장스프링(1241 및 1242)은 연결판(1231 및 1232)상의 핀(1238 및 1239)과 왕복회전 디스크(1233)상의 핀(1234 및 1235)사이에서 당겨지게 된다. 연결판(1231 및 1232)상의 길쭉한 구멍(1243 및 1244)이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오프-셋위치에서 왕복회전 디스크(1233)가 정지할 때 생길지도 모르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고, 구동로울러(1216)와 종동로울러(1221 및 1222)사이의 접촉압력이 인장스프링(1241 및 1242)와 다른 스프링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의 영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스프링들은 인화지 안내통로(1212)를 향해 종동로울러(1221 및 1222)의 축을 밀어주는데 효과적이다.
고속운반부(1250) 및 저속운반부(1260)는 구동로울러 및 종동로울러의 조합으로 구조되는데 이들 로울러는 연장되어 있는 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암상자(12)의 측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이 측벽은 그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지주에 서로 연결되도록 같은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저속운반부(1260)의 각각의 로울러에는 인화지(P')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만 이들 로울러를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전진하는 인화지(P')는 가능한한 단거리로 다른 전진하는 인화지(P1635)와 떨어져 있게 된다. 인화지(P')는 암사자(13)내에 선정된 길이로 인화지 스트립을 절단하고, 이렇게 절단된 인화지를 암상자(12)내의 노출부(1201)로 이송시키며, 그 내부에서 노출 및 인화작업이 행해지도록 하며, 고속운반부(1250)를 통해 저속운반부(1260)로 운반하는 각각의 단계로 작업되는 것이다. 참조번호 1261은 노출된 인화지가 통과하여 처리기(도시되지 않음)로 전진되는 배출구를 나타낸다.
다음은 제3도를 참조하여 인화지의 로울을 포함하는 암상자(13)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암상자(13)를 포함하는 측벽중 최소한 하나는 연결을 풀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인화지(P)의 로울을 지지하는 축(1301), 자유롭게 회전하는 로울러(1302 및 1304), 인장로울러(1303), 하나가 구동로울러인 한쌍의 이송로울러(1305), 및 커터(1306)등이 암상자(13)에위치되어 있다. 이 부재들의 각각은 암상자(12)의 내부에 있는 노출부(1201)에 인화지(P')를 이송시키기 위해 이들의 작동을 시작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터(1306)은 암상자(13)에 위치시켰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암상자(12)의 노출부(1201)의 근처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인화지의 어떠한 손실도 막기 위해서 인화지(P)의 스트립을 선정된 길이로 이송시키고, 커터(1306)로 길이에 맞게 절단하고, 선정된 길이로된 인화지(P')를 노출 및 이화가 행해지는 노출부(1201)로 보내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커터(1306)을 암상자(13)에서 처리기로 유도하는 배출구의 근처에 위치시키는데 여기서는 고속운반부가 제거되었으므로, 운반이 저속운반부(1260)상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커터(1306)을 노출부(1201)와 고속운반부(1250)와의 사이에 위치시켜, 노출부(1201)의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1202)상의 노출부분을 지나 커터(1306)에 의해 절단되게끔 되는 동안에도 절단작업이 이루어짐이 없이 한장의 사진길이만큼 단소적으로 인화지(P)의 스트립이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개선 방법으로서는, 수직의 안내판(1202)의 앞표면을 향해 인화지를 당기는 역할을 하는 펜(1205)를 중단없이 연속해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프린터의 작동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작동을 시작하기전에 거울(1106)을 격벽(1102)에 접하도록 하여 광선안내트인구멍(1103)을 제3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닫아버린다. 반면에 창(4)의 커버(403)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시켜둔다. 또 창(3)의 하부에 위치시킨 거울(305)도 개방시켜둔다. 음화필름이 지지되는 음화필름마스크(15)를 상하부 지지디스크(105 및 203)사이의 공간에 삽입시키고 광원(101)을 켠다. 또한, 창(4)를 통해 스크린(1105)에 나타난 상을 보면서 음화필름으로 트리밍작업을 실시할 준비를 한다.
다음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거울(305)이 경사진 슬리브 (302)의 개방된 단면을 차단시킬때 까지 회전식 솔레노이드(303)을 작동시켜줌으로써 거울(30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1121)가 회전하기 시작하면(제7도), 거울(1106)은 도면에 2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광선통로의 위치로 될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거울(1106)이 회전하기전에 커버(403)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닫힌다.
노출 및 인화를 행하기 전에, 암상자(13)내에 있는 축(1301)에 장착된 인화지 (P)의 로울 및 인화지의 선단부를 자유롭게 회전하는 로울러(1302), 인장로 울러 (1303) 및 로울러(1304)등을 통해 한쌍의 이송로울러(1305)로 안내시킨다. 반면에 절첩문형상 안내판(1206 및 1207)을 인화지 안내통로(1212)를 갖는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1202)의 반대편에 위치시키며, 한편, 구동로울러(1218)을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응되는 수동로울러(1221 및 1222)와 구름접촉하도록 한다.
수직의 안내판(1202)위의 구동로울러(1218)뿐만 아니라 한쌍의 이송로울 러(1305)내의 구동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인화지(P)의 스트립을 한장의 사진 길이만큼의 거리로 전진시킨다. 정지하게 되면, 커터(1306)을 작동시켜 인화지가 준비되도록 한다. 이때 인화지(P')의 선단을 이미 노출부(1201)로 들어갔지만 선정된 노출위치로 된 것을 아니다. 그래서, 다시 구동로울러(1218)을 구동시켜서 올바른 노출위치로 전진하게 된다.
구동로울러(1218)가 정지된 후, 팬(1205)은 작동을 시작하게 됨으로써, 인화지(P')는 수직의 안내판(1202)에 지지될때까지 팬(1205)에 의해 발생된 감압하에서 수직의 안내판(1202)를 향해 끌려가게 된다. 다음에 역전식 모터(1237)가 구동되며, 이로써 감속기어상자(1236)에 의해 왕복회전디스크(1233)가 제12도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핀(1234 및 1235), 연결판(1231 및 1232), 터언버클(1229 및 1230)과 회전가능한 아암(1227 및 1228)을 통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쯤 개방된 상태에서 절첩문형상 안내판(1206 및 1207)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전히 개방된다. 그러므로 한장의 사진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인화지(P')는 감압을 발생키는 팬(1205)에 의해 수직의 안내판(1202)상의올바른 노출부에 지지되고 있는 동안에 노출을 받게 된다.
인화지(P')에 대한 노출 및 인화작업이 완료되면, 역전식 모터(1237)는 역회전하며, 왕복회전디스크(1233)는 제1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절첩문형상 안내판(1206 및 1207)은 닫혀지게 되며, 제12도와 같이 원래 위치로돌아가게 된다.
이때 팬(1205)은 동작을 멈추고, 구동로울러(1218)는 종동로울러(1221 및 1222)와 함께 고속운반부(1250)에 노출된 인화지(P')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회전된다. 마지막으로 저속운반부(1260)에 의해서 인화지는 처리기(도시되지 않음)로 가게된다.
상기한 작동단계를 반복실시하여 다음에 나오는 인화지를 인화시킨다.
다음에는 제13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18도에서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제3도에 도시)에 따른 프린터의 노출부(1201)를 개량시킨 노출부(2201)로 대치시켰다. 그러므로, 노출부외의 부품, 부재 및 부분들은 제1실시예에서의 것들과 거의 같다.
제13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여 노출부(2201)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부분단면 상태를 보여주는 노출부(2201)의 정면도인 제13도의 14-14선을 따라 취한 같은 단면도인 제14도에서 참조번호 2202는 다수의 공기통로구멍(2203)을 자체내에 갖고 있는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을 표시하며, 수직의 안내판(2202)의 전체가 프레임구조 (2204)내에서 견고히 지지된다. 참조번호 2205는 감압하에서 후방으로 인화지를 당겨주는 수직의 안내판(2202)의 뒤에 놓여진 흡입팬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2206 및 2207은 수직의 안내판(2202)을 향해 그 근처에 놓여있는 가동안내판을나타낸다. 참조번호 2208은 한쌍의 형태로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의 상하부에 위치된 미끄럼이동편을 나타낸다. 미끄럼 이동편(2208)은 프레임구조(2204)의 양측벽 사이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하부 안내로드(2209)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은 이 가동안내판에 있는 미끄럼 이동편 (2208)에 의해 안내로드(2209)상에 가동할 수 있게끔 지지된다. 참조번호 2210 및 2211은 이빨이 앞을 향하게끔되어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의 하부에서 그 앞표면에 부착된 래크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228은 역전식전기모터(2227)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구동기어를 나타낸다. 래크(2210)는 중간기어(2229 및 2330)에 의해 구동기어(2228)와 함께 작동하며, 또한 다른 중간기어(2231 및 2232 및 2233)등과도 함께 작동한다. 이로써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은 수직의 안내판(2202)의 수직 중앙선에 대해 외측 또는내측으로 놓여짐으로써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으로 잘 알 수 있듯이, 미끄럼이동편(2208) 및 수평으로 연장된 안내로드(2209)의 조합으로 가동안내판을 안내장치가 이루어지는 반면, 래크(2210 및 2211), 역전식모터(2227), 구동기어(2228)및 중간기어(2229 내지 2233)등의 조합으로 가동안내판을 개폐하는 작동장치가 이루어진다.
참조번호 2212는 한장의 인화지가 아래로 통과하게 되는 수직의 안내판 (2202) 및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사이에 형성된 나타낸다. 이 회전축(2213)은 수직의 안내판(2202)의 뒷표면상에 서로놓여있는 복수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이 회전 축(2213)의 각각은 프레임구조(2204)의 양측벽사이의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측벽에 맞춰있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4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각의 축(2213)에는 프레임구조(2204)의 한쪽벽의 외부로 위치시킨 최외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풀리(2214)가 포함된다.
무한궤도(도시되지 않음)를 축(2213)이 서로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풀리 (2214)의 주위에 연장시켰다.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축(2213)은 전동기 구(2281)에 의해 스테핑모터(2280)로 동기적으로 구동된다.
참조번호 2218은 안내판(2202)의 수직중앙선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서 축 (2213)의 좌우의 양쪽에 위치된 구동로울러를 나타낸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로울러(2218)의 일부는 안내통로(2212)를 통해 이동하는 인화지의 뒷표면과 접할때까지의 수직의 안내판(2202)상에 형성시켜 놓은 구멍 트인곳(2219)을 통해 인화지 안내통로(2212)로 돌출된다.
참조번호 2221은 구동로울러(2218)의 위치와 같은 위치에 놓여있는 종동로울러를 나타낸다. 종동로울러(2221)의 일부는 안내통로(2212 ; 제15도 및 16도 참조)로 밀려들어가고 빠져나오는 방법으로,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상에 형성된 구멍트인곳(2225)을 통해 인화지안내통로(2212)로 돌출된다. 제15도 및 제16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종동로울러(2221)가 장착되어 있는 축(2234)의 양단부는 U형의 가동 프레임(2235)의 양측면부재에 끼워맞춰진 베어링(2336)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참조번호 2237은 U형의 가동프레임(2235)내에 위치된 U형의 고정프레임을 나타내는데, 이 고정프레임(2237)은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에 고정된다. 고정프레임(2237)에는 종동로울러 (2221)의 축(2234)상에 있는 베어링(2236)이 놓여지는 양측면부재상에 슬롯(2238)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2239는 안내통로(2212)를 향해 베어링(2236)을 밀어 줄 수 있는 슬롯(2238)에 포함된 신장스프링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수동로울러(2221)는 신장스프링(2239)에 의해 나타나는 일정한 압력하에서 구동로울러(2218)와 만나게 되는데, 이로써 구동로울러(2218)는 종동로울러(2221)와 함께 작동하여 안내통로(2212)를 통해 한장의 인화지를 전진시킨다. 참조번호 2240은 가동프레임(2235)의 중앙축의 자유단부에 고정된 솔레노이드를 나타낸다. 솔레노이드가 자화되어 고정프레임(2237)을 밀어주면, 가동프레임(2235)은 스프링(2239)의 탄성력으로 고정프레임(2237)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므로써 수동로울러(2221)는 구동로울러(2218)와 접촉이 떼어지게 된다.
참조번호 2241은 감지기를 나타내며 이에 의해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이 완전히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역전식모터(2227)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한편 (2242)는 다른 감지기로서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이 완전히 닫혔는지를 감지하고, 역전식 모터(2227)의 역회전을 정지시킨다. 제13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감지기(2241)는 프레임구조(2204)의 상단부에서 각각의 측벽의 내부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감지기(2242)는 지지판(2243)의 바닥표면에 부착되어 있는데, 지지판 (2243)은 프레임구조(2204)의측벽의 상단부 사이에 가교를 이루고 있다. 감지기 (2241 및 2242)를 작동시키기 위해, 탐지부재(2244 및 2245)가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의 상부의 앞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가동안내판(2206 및 2207)를 개폐시키는 상기 기구는 구동로울러(2218)의 회전이 시작하고 중지함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이 서로 열려지기 전에 솔레노이드(2240)가 자화되며, 닫히면 자성이 없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을 수직의 안내판(2202)에 대해 병렬로 설치하였으나, 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단일 가동안내판 대신에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을 대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들 판들을 안내레일로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안내판 작동기구에 있는 래크 및 기어의 조합대신에 크랭크 및 캠의 조합으로 대치시킬 수도 있다.
역전식 모터(2227), 솔레노이드(2240) 및 스테핑모터(2280)등은 제어상자( 14 : 제1도 참조)에 있는 콤퓨터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다음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작동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프린터를 작동시키기전에는 제18도의 2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광선안내 구멍트인곳(1103)을 차단시키기 위해 암나사(11 및 12)사이에 있는 격막과 거울(1106)이 접하고 있다 트리밍창(4)은 커버(403)가 아래쪽으로 회전된 상태로 열려진다. 트리밍작업이 완료된후 거울 (1106)은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광선통로의 위치로 될때까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에 커버(403)는 제1실시에에서와 같이 닫혀진다. 상기 작동에 앞서서, 인화지 로울(P)는 암상자(13)내의 한쪽측벽에만 연결되어 있는 지지축에 끼워둔다. 이때, 솔레노이드(2240)는 자성을 잃게되며, 종동로울러(2221)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장스프링(2239)에 의한 탄성력의 영향으로 구동로울러(2218)과 압접된다.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은 제13도 및 제14도에서와같이 닫혀 버린다.
다음에, 팬(2205) 및 스테핑모터(2280)는 시동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줌으로써 작동이 시작된다. 팬(2205)이 작동되면, 암상자내의 공기는 수직의 안내판 (2202) 및 구멍(2203)의 앞에 위치한 챔버, 수직의 안내판(2202)의 뒤에 위치한 챔버, 및 프레임구조(2204)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통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순환된다. 쌍을 이루는 이송로울러(1305), 구동로울러(2218), 종동로울러(2221) 및 운반부 (1250)에 있는 다수의 로울러등은 스테핑모터(2280)에 의해 회전된다. 암상자(13)에 포함된 인화지로울(P)은 이송로울러(1305)에 의해 풀어지며, 구동로울러(2218)에 종동로울러(2221)와 작동하는 동안 노출부(2201)내의 인화지 안내통로(2212)로 들어간다. 인화지(P)가 아래로 이송되는 동안, 팬(2205)에 의한 공기 흡입의 영향을 받아 수직안내판(2202)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따라 수직안내판(2202)의 앞표면을 따라 편평하게 된다. 인화지(P)가 선정된 길이로 안내통로(2212)내로 들어가면, 이송로울러 (1305) 및 구동로울러(2218)는 정지하고 커터(1306)가 작동하기 시작하여 한장의 인화지(P')가 인화지의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다.
그다음, 인화지(P')는 노출부로 가게되며, 종동로울러(2221)는 다시 멈추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2240)가 자화되며,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신장스 프링(2239)의 탄성력에 의해 종동로울러 (2221)가 구동로울러(2218)로부터 떨어져 있게된다. 종동로울러(2221)가 구동로울러(2218)에서 떨어져 위치된후, 제14도에서와같이 역전식 모터(22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가동안내판(2206)은 구동기어(2228), 중간기어(2229 및 2230), 래크(2210)등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작동시켜 줌으로써 왼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된다. 반면에 가동안내판(2207)은 구동기어(2228), 중간기어(2231, 2232, 2233), 래크(2207)등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작동시켜줌으로써 오른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된다.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이 모두 서로 충분히 개방되게 되는 미끄럼운동의 최외부에 도달하게되면, 감지기(2241)는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의 상부에 부착된 탐지부재(2244)를 탐지하여 제어판(5 ; 제1도 참조)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역전식 모터(2227)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꺼지고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은 서로떨어져 개방되고 있는 동안 정지하게된다. 이때 한장의 인화지(P')는 팬(2205)에 의해 발생된 감압으로 인한 흡인력으로 수직안내판(2202)의 앞표면과 접하게 된다. 그렇게되면, 노즐 및 인화를 실시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노출 및 인화가 완료되면, 역전식 모터(222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며,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은 구동기어(2228), 중간기어(2229 내지 2233), 래크 (2210 및 2211)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 시스템을 작동시켜줌으로써 같이 닫혀지게 된다. 가동안내판이 서로 닫혀지게되는 최대부에 도달하면, 감지기(2242)는 지지판 (2243)의 바닥에 부착된 탐지부재(2245)를 탐지하여 제어판(5)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역전식모터의 스위치(2227)는 다시 꺼지고,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서로 닫혀지는 동안 정지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2240)는 자성을 잃고, 종동로울러(2221)는, 제16도에서와 같이 신장스프링(2239)에 의해 구동로울러(2218)과 만나게 된다
솔레노이드(2240)가 자화되고 가동안내판(2206 및 2207)을 개폐시키기전에 구멍트인곳(2225)에 포함된 종동로울러(2221)가 안내통로(2212)의 외부에 놓여지기 때문에 종동로울러(2221) 및 인화지(P')사이에는 마찰접촉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그다음, 스테핑모터(2280)는 다시 회전하게되며, 노출된 인화지(P')는 노출부(2201)로부터 운반부(1250)를 통하여 처리기(도시되지 않음)로 이송된다.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후 스테핑모터(2280)는 멈춰지고, 시동버튼(도시되지 않음)은 꺼지고, 작동시작 전의 상태로 돌아가며, 다음 작동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제19도 내지 제2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제2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은 제1실시예(제3도 참조)에서의 노출부(1201)를 개량한 노출부(3201)로 대치시킨 것이다. 개량된 노출부(3201)를 제외한 다른 부품, 부재 및 부분등은 제1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다. 노출부(3201)에 대해 제19도 내지 제26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한다. 노출부(3201)의 정면도인 제19도 , 제19도의 20-2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제20도의 각각의 도면에서, 참조번호 3202는 프레임구조(3204)의 수직위치에 지지되는 수직인화지 안내판을 나타낸다. 다수의 공기통로구멍(3203)이 노출부(3212)와 수직안내판 (3202)상의 노출부(3212)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안 내판 (3202)의 수직중앙선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는 2개의 수직 연장홈(3206)이 형성되어 있다. 제23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안내홈(3206)은 T자형의 단면형태를 취하며, 수직안내판(3202)의 뒤에 형성된 구멍트인곳(3207)은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체 재료로 만드러진 탄성판(3208)로 덮혀있다.
참조번호 3210은 수직안내판(3202)의 상부에 위치된 한쌍의 이송로울러를 나타내는 한편, 참조번호 3230은 수직안내판의 하부에 위치된 한쌍의 배출로울러를 나타낸다. 이송로울러(3210)는 회전가능한 축(3213)에 장착된 구동로울러(3218), 다른축(3220)에 장착된 종동로울러(3221)로 이루어지는데 구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가 서로 같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2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구동로울러(3218)의 일부분은 수직안내판(3202)의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트인곳(3219)을 통해 돌출되어 있다. 회전가능한 축(3213 및 3220)은 프레임구조(3204)의 양측벽 사이에 지지된다.
참조번호 3214 및 3215는 프레임구조(3204)의 오른쪽 외부에 위치된 회전가능한 축(3213)의 돌출부상에 장착시켜 놓은 한쌍의 풀리를 나타낸다. 인화지(P')의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구동로울러(3218) 및 종동로울러(3221)가 작동하는 동안 이송로울러(3210)는 수직안내판(3202)의 앞표면을 따라 노출부(3212)로 인화지(P')를 전진시킨다. 배출로울러(3230)는 축(3231)에 장착된 구동로울러(3232) 및 다른 축(32 33)에 장착된 종동로울러(3234)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구종 및 종동로울러는 함께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가능한 축(3231 및 3233)은 모두 프레임구조(3204)의 양측벽 사이에 지지된다.
참조번호 3235는 프레임구조(3204)의 오른쪽 외부에 위치된 회전가능한 축 (3231)의 돌출부상에 장착시켜놓은 풀리를 나타낸다. 인화지(P')의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구동로울러(3232)와 종동로울러(3234)가 작동하는 동안 배출로울러(3230)는 노출된 인화지(P')를 노출부(3212)의 외부로 전진시킨다. 이송로울러(3210)의 회전축 (3213)과 배출로울러(3230)의 회전축(3231)은 제2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무한궤도, 풀리,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전달기루(3281) 및 스테핑모터(3280)에 의해 구동된다.
참조번호 3240은 인화지 추진부재로서,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안내홈(3206)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수직안내판(3202)에 있는 안내홈 (3206)에 끼워 맞춰진다. 제2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인화지 추진부재(3240)의 앞표면은 수직안내판(3202)의 앞표면과 같은 평면높이를 이룬다.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부재(3240)에는 쐐기형의 경사부분(3241) 및 돌출된 접합부 (3242)가 모두 상부에 있다.
참조번호 3243은 추진부재(3240)의 뒷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재의 지지핀을 나타낸다. 제2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지지핀(3243)은 구멍트인곳 (3207) 및 탄성판(3208)을 지나 뒤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핀(3243)의 최단부는 무한궤도(3245)에 부착된 횡단판(3244)에 고정된다. 제2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무한궤도(3245)는 상부폴리(3246) 및 하부폴리(3247)사이에서 당겨져서, 인화지 추진부재(3240)가 무한궤도(3248)에 의해 스테핑모터(3249)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하부폴리(3246 및 3247)는 모두 프레임구조(3204 ; 제19도 참조)상에 지지된 회전축 (3236 및 3227)에 장착된다. 스테핑모터(3249)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인화지 추진부재(3240)는 이들이 안내홈(3206)을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는 동안 상향 또는 하향으로 놓여지게 된다. 다음에는 제3실시예를 변형시킨 것을 제24도 내지 제26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이송로울러(3210) 및 배출로울러(3230)가 안내판 (3202)의 수직중앙선에 대해 대칭으로 상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실시예에서 보다 더 큰폭을 가진 단일의 안내홈(3209)를 따라 수직으로 미끄러지도록 상기 실시예에서 보다 더 큰폭을 갖는 한개의 인화지를 추진부재(3250)가 수직안내판(3202)은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참조번호 3251은 추진 부재 지지핀(3243)에 의해 추진부재(3250)의 뒷표면에 고정된 암나사 너트를 나타내며 수직으로 연장된 숫나사로드(3252)는 암나사너 트(3251)에 물리게 된다. 숫나사로드(3252)의 상하단부는 프레임구조(3204)와 양측벽사이에 연장된 상부지지판(3253) 및 중간지지판(3254)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참조번호 3256은 중간판(3254) 아랫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숫나사로드(3252)의 최하단부상에 고정된 풀리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3257은 프레임구조(3204)의 양측벽사이에 연장된 하부지지판(3255)의 위로 돌출된 스테핑모터(3249)의 축의 최상단부에 고정된 풀리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3258은 상기 풀리(3256 및 3257)사이에서 걸려 있는 무한궤도를 나타낸다. 스테핑모터(3249)를 정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인화지추진부재(3250)는 안내홈(3209)를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수직으로 변위된다. 본 실시예에서 추진부재(3250)는 암나사너트(3251), 숫나사로드 (3252) 및 무한궤도(3258)와 협력하여 수직으로 변위된다. 횡단판(3244) 및 무한궤도(3245)와 협력하여 변위될 수도 있다.
참조번호 3205는 수직안내판(3202)을 향해 인화지를 당겨주는 팬을 나타내며, 팬(3205)의 각각은 제20도, 25도 및 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안내판(3202)의 뒤에 위치된다. 팬(3205)를 작동시킴으로써, 노출부에 들어갔던 인화지(P')는 수직안내판(3202)의 앞표면으로 항상 밀리게 된다. 팬(3205)에 의해 생기는 흡입력을 결정하여, 이송로울러(3210)와 배출로울러(3230)가 위치되어있지 않은 노출부(3212)상에서 인화지(P')가 편평하게 되도록 한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작동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작동을 시작하기전에 제27도의 도시된 바와같이,광선안내 구멍트인곳(1103)을 닫아주도록 암상자(11 및 12)사이의 격막에 거울(1106)을 접촉시킨다. 트리밍창(4)은 도면에서와 같이 커버(403)가 아래쪽으로 회전상태로 개방유지되어 있다. 트리밍작업을 완료한 후 도면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커버(403)을 닫고,거울(1106)은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가 광원통로의 위치로 한다. 작동하기전에, 인화지(P)로울은 제1실시예와 같이 암상자(13)의 한쪽 측벽에만 연결되어 있는 지지축에 맞춰진다. 이때 인화지 추진부재(3240 또는 3250)는 최상부로 올라간다. 이들 부재(3240 및 3250)는 구조나 기능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므로 단순히 부재(3240)만을 기술한다.
시동버튼(도시되지않음)을 누르면, 핀(3205)은 회전하게되며 암상자속의 공기는 수직안내판(3202)의 앞에 위치된 챔버, 수직안내판(3202)의 노출부(3212)상에 있는 구멍(3203), 이 수직안내판 뒤에 위치된 챔버, 프레임구조(3204)으 외부에 놓인 공기통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순환된다. 이송로울러(1305,3210), 배출로 울러 (3230) 및 운반부(1250)는 스테핑모터(3280)에 의해 작동된다. 제28(a)도에서 보듯이, 암상자내의 인화지(P)로울을 이송로울러(1305)에 의해 풀고, 인화지 추진부재 (3240)의 경사진 부분(3241)으로 올려놓은 다음에 수직안내판(3202)상에 있는 노출부로 들여보낸다.
선정된 거리만큼 인화지(P)가 전진되면, 이송로울러(1305)는 그 동작을 멈추고, 동시에 한장의 사진길이와 같도록 인화지(P')를 자르기위해 커너(1306)가 작동한다. 이 잘려진 인화지(P')는 전진된다. 이송로울러(3210)로 인화지를 노출부를 완전히 들여보내게되면, 인화지(P')는 수직안내판(3202)의 앞표면을 향하게 됨으로써 제28 (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팬(3205)에 의해 생긴 감압하에서 확실히 유지된다.
다음에, 스테핑모터(3249)가 작동을 시작하면, 인화지(P')가 제28(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정된 노출부(3212)내의 위치에 도달할때까지의 수직안내판(3202)을 향해 당겨지는 동안 인화지 추진부재(3240)는 인화지(P')와 함께 아래에 놓이게 된다. 인화지(P')가 노출부(3212)에 도달되면, 모터(3249)는 잠정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인화지가 노출부(3212)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에 노출 및 인화가 수행된다. 노출 및 인화가 완료된 후, 스테핑모터(3249)가 다시 작동을 하게되어 인화지 추진부 재 (3240)는 인화지(P')와 함께 다시 아래로 놓여지게 됨으로써 제28(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화지는 배출로울러(3230)에 붙잡히게 된다. 다음에는 제2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운반부(1250)에 의해 처리기(도시되지않음)로 이송된다. 인화지(P')가 배출로울러(3230)에 붙잡히게된후, 모터(3249)는 역회전하여 인화지추진부재(3240)를 위로 올라가게 한다. 이 부재(3240)가 최상위치에 도달하면, 시동버튼은 꺼지고, 작동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다시 그 다음의 반복작동을 위해 준비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광범위하게 변형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있어서 한정된 바 이외의 특정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광원의 아래에 배치되는 트리밍암상자, 상기 암상자 뒤에 위치되는 노출 및 인화암상자, 이 트리밍암상자 뒤에 그리고 상기 노출 및 인화암상자위에 위치되는 인화지 수납암상자, 지지축상에 지지되는 인화지로울을 가지는 상기 인화지 수납암상자, 및 프린터의 다양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의 전기회로를 갖는 제어상자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트리밍암상자는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트리밍창, 트리밍암상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판상에 양자 모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및 상기 트리밍창, 인입광선의 광축과 일직선상태로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아래에 위치되는 노출 및 인화렌즈, 트리밍암상자의 바닥근처의 위치에 수평지지되는 스크린, 음화필름의 화상이 트리밍작업을 위해 투사되는 평면으로서 기능을 하는 상기 스크린, 거울 지지체상에 고착되는 거울, 노출 및 인화암상자를 향해 광선의 전파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렌즈와 스크린과의 사이에 위치되며 트리밍이 달성될 때 노출 및 인화암상자를 차단하도록 광축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적용되는 상기 거울을 포함하며, 노출 및 인화암상자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내의 노출면적으로부터 노출된 인화지를 인출시키기 위한 운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부는 필수적으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 한쌍의 인화지 안내판, 상기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과 상기 한쌍의 안내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인화지 안내통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 및 안내판 작동기구의 뒤에 배치된 복수의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은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발생된 감압하에서 앞표면에 대해 인화지를 확고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을 가지며, 그 위에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구동로울러가 있으며 반면에, 상기 한쌍의 인화지 안내판은 상기 인화지 안내판 작동기구에 의해 트리밍암상자를 향개 개방될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의 양측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수직지지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로울러와 협동하도록 수직의 인화지안내판상의 상기 구동로울러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종동 로울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로울러 및 상기 종동로울러 양자의 일부분은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과 인화지 안내판상에 형성된 구멍트인곳을 통해 인화지 안내통로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인화지안내판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종동로울러가 구동로울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는 동안 인화지는 노출 및 인화도중 감압하에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과 확고하게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인화지 안내판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종동로울러가 인화지의 인입중 또는 노출 및 인화의 완료후 구동로울러와 접촉하게 되어 인화지가 이들사이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인화지가 인화지 안내통로내의 노출면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지 안내판은 한쌍의 절첩문형상 안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광원의 아래에 배치되는 트리밍암상자, 상기 암상자뒤에 위치되는 노출 및 인화암상자, 이 트리밍암상자 뒤에 그리고 상기 노출 및 인화암상뒤에 그리고 상기 노출 및 인화암상자위에 위치되는 인화지 수납암상자, 지지축상에 지지되는 인화지로울을 가지는 상기 인화지 수납암상자, 및 프린터의 다양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의 전기회로를 갖는 제어상자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트리밍암상자는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트리밍창, 트리밍암상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판상에 양자 모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및 상기 트리밍창, 인입광선의 광축과 일직선상태로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아래에 위치되는 노출 및 인화렌즈, 트리밍암상자의 바닥 근처의 위치에 수평지지되는 스크린, 음화필름의 화상이 트리밍작업을 위해 투사되는 평면으로서 기능을 하는 상기 스크린, 거울 지지 체상에 고착되는 거울, 노출 및 인화아상자를 향해 광선의 전파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헨즈와 스크린과의 사이에 위치되며 트리밍이 달성될때 노출 및 인화암상자를 차단하도록 광축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적용되는 상기 거울을 포함하며, 노출 및 인화암상자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내의 노출면적으로부터 노출된 인화지를 인출시키기위한 운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부는 필수적으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 한쌍의 가동인화지 안내판, 상기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과 상기 한쌍의 가동안내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인화지 안내통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 및 가동인화지 안내판 작동기구의 뒤에 배치된 복수의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은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발생된 감압하에서 앞표면에 대해 인화지를 확고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을 가지며 그위에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구동로울러가 있으며 반면에, 상기 한쌍의 가동인화지 안내판은 상기 가동인화지 안내판 작동기구에 의해 개방시 서로 이격 이동하고 폐쇄시 서로 근접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로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적용되고 상기구동로울러와 협동하도록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상의 상기 구동로울러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종동로울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로울러 및 상기 종동로울러 양자의 일부분은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과 가동인화지 안내판상에 형성된 구멍트인곳을 통해 인화지 안내통로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인화지 안내판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종동로울러가 구동로울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는동안 인화지는 노출 및 인화도중 감압하에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과 확고하게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가동인화지 안내판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종동로울러가 인화지의 인입중 또는 노출 및 인화의 완료후 구동로울러와 접촉하게 되어 인화지가 이들 사이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인화지가 인화지 안내통로내의 노출면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지 수납암상자는, 인화지를 인화지 안내통로내의 노출면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한쌍의 이송로울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이송로울러는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상에서 구동로울러와 협동하여 회전하도록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광원의 아래에 배치되는 트리밍암상자, 상기 암상자뒤에 위치되는 노출 및 인화암상자, 이 트리밍암상자 뒤에 그리고 상기 노출 및 인화암상자위에 위치되는 인화지 수납암상자, 지지축상에 지지되는 인화지로울을 가지는 상기 인화지 수납암상자, 및 프린터의 다양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의 전기회로를 갖는 제어상자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트리밍 암상자는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트리밍창, 트리밍암상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판상에 양자 모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및 상기 트리밍창, 인입광선의 광축과 일직선 상태로 음화필름마스크 부착부 아래에 위치되는 노출 및 인화렌즈, 트리밍암상자의 바닥 근처의 위치에 수평지지되는 스크린, 음화필름의 화상이 트리밍작업을 위해, 투사되는 평면으로서 기능을 하는 상기 스크린, 거울 지지체상에 고착되는 거울, 노출 및 인화암상자를 향해 광선의 전파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렌즈와 스크린과의 사이에 위치되며 트리밍이 달성될때, 노출 및 인화암상자를 차단하도록 광축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적용되는 상기 거울을 포함하며, 노출 및 인화암상자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내의 노출면적으로부터 노출된 인화지를 인출시키기 위한 운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부는 필수적으로, 다수의 구멍을 가진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 노출면적위에 위치된 적어도 한쌍의 이송로울러,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스테핑모터에 의해 회전하는데 적용되는 구동로울러인 상기 이송로울러중의 하나와 상기 구동로울러와 접촉하여 그 사이에 인화지를 유지하는 상태가 되도록 적용되는 종동로울러인 상기 이송로울러중의 다른 하나, 수직의 인화지안내판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구동로울러의 일부분, 인화지를 유지하기 위해 노출면적 아래에 위치된 최소한 한쌍의 배출로울러, 최소한 하나의 인화지추진부재, 수직인화지 안내판과 인화지추진부재 작동기구의 뒤에 배치된 복수의 흡입팬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인화지 추진부재는,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의 중앙부에 또는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의 수직 중앙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된 곳에 위치된 수직연장 안내홈을 따라 상하로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상에 배치되므로, 인화지 추진부재는, 인화지가 추진부재위의 노출부로 인입된후에 이 인화지를 노출면적상의 선정된 위치로 밀어내리는 단계와, 노출 및 인화가 완료된후에 인화지가 한쌍의 배출로울러에 의해 물리게되는 위치로 곡 밀어내리는 단계와 그 다음 상승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에 의해 상기 인화지 추진부재 작동기구의 협력으로 작동되며, 이에 의해 인화지는 노출 및 인화도중 흡입팬에 의해 발생된 감압하에서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과 확고하게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인화지는 인화지의 인입도중 또는 노출 및 인화의 완료후 노출부내의 노출면적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지 수납암상자는, 인화지를 노출부내의 노출면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한쌍의 이송로울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이송로울러는 수직의 인화지 안내판상에서 한쌍의 이송로울러와 협동하여 회전하도록 적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830000656A 1982-02-08 1983-02-18 프린터 KR890000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23649 1982-02-18
JP57023649A JPS58142328A (ja) 1982-02-18 1982-02-18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849A KR840003849A (ko) 1984-10-04
KR890000784B1 true KR890000784B1 (ko) 1989-04-06

Family

ID=1211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656A KR890000784B1 (ko) 1982-02-08 1983-02-18 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42328A (ko)
KR (1) KR890000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2Y2 (ko) * 1986-05-13 1993-0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42328A (ja) 1983-08-24
JPS6342766B2 (ko) 1988-08-25
KR840003849A (ko) 1984-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4166A (en) Self-developing camera and viewer
EP0297566A2 (en) Original reading apparatus
US3921878A (en) Apparatus for removing exposed films and backing strips from cassettes
US4465365A (en) Printer
JPS6021557B2 (ja) 写真ビユ−ア
KR890000784B1 (ko) 프린터
US4488803A (en) Slit exposure type copying camera
US3964107A (en) Radiographic film cassette
US4495634A (en) X-Ray apparatus
US5005818A (en) Sheet feed device having a sheet cassette locking mechanism
US4313675A (en) Episcope
US3744390A (en) Automatic coin-operated photographic apparatus utilizing self-developing film units
US4091397A (en) Automatic film cassette changing apparatus for use in automatic photostudio
US3415988A (en) X-ray film sheet changer having conveyor means for supplying and removing film sheets at an exposure station
US4611895A (en) Metering roll film holders and multi-format camera
US3179031A (en) Photo-copying apparatus
US4172650A (en) Film cassette having focal plane shutter
US4676618A (en) Device for producing photographic pictures with a plane film platform
US4469425A (en) Photographic film processing apparatus
CA1289790C (en) Slide projector system
US3748038A (en) Device for producing copies using a transfer material
JPS5828565B2 (ja) フクシヤソウチ
JPH0521075Y2 (ko)
JPS5820599Y2 (ja) シ−トフイルムの分離装置
JP2688869B2 (ja) ポストカードプリンタの写真原板装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