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07Y1 -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07Y1
KR890000707Y1 KR2019850010746U KR850010746U KR890000707Y1 KR 890000707 Y1 KR890000707 Y1 KR 890000707Y1 KR 2019850010746 U KR2019850010746 U KR 2019850010746U KR 850010746 U KR850010746 U KR 850010746U KR 890000707 Y1 KR890000707 Y1 KR 890000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signal
resistor
col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469U (ko
Inventor
박상조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0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707Y1/ko
Publication of KR870004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본 고안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녹색피크치 홀드회로 2 : 칼라영상신호 검출회로
3 : 적분회로 4 : 레벨표시회로
5 : 자동화이트 밸런스표시회로 6 : 이상레벨 공통 검출회로
IC1: 에미터 플로워소자 IC2, C3: 비교기
Q1, Q2... Q7: 트랜지스터 R1, R2... R17: 저항
C1, C2, C3: 콘덴서 ZD : 발광다이오드
VR1,VR2: 가변저항
본 고안은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에 관한 것으로 3관식 칼라비데오 카메라에 사용하여 적절한 촬영을 기할수 있게 한 것이다.
비데오 카메라에는 자동조리개의 기능 및 자동화이트 레벨 조정기능을 보유하고 있어서 촬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지만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서는 자동조리개의 기능 및 자동화이트 레벨조정기능을 행할수 없는 이상레벨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상기와 같은 이상레벨이 발생되었을때 뷰우파인더내에 일정한 패턴이 나타나게 하여 비정상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줄수 있는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비데오 카메라의 촬영시 영상신호(R)(G)(B)의 영상레벨이 갑자기 증가하여 자동조리개가 구동할수 없을 경우 뷰우파인더내에 일정한 패턴(제브라패턴)을 표시할수 있게하고, 자동화이트 밸런스가 조정될 경우에 촬영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여 정상상태를 나타내며 자동화이트 밸런스를 맞출수 없을때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뷰우파인더내에 제브라 패턴이 나타나게 하여 비정상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수 있는 검출신호가 출력되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칼라 영상신호 검출회로(2)는 인가되는 칼라 영상신호(R)(G)(B)가 저항(R8)(R9)(R10)에서 합성되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측에 인가되게 구성하는 동시에 콘덴서(C4) 및 저항(R11)으로 구성된 적분회로(3)의 출력으로 저항(R5-R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Q3)(Q4)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직류 성분이 출력되게 구성시키며 칼라 영상신호 검출회로(2)에 인가되는 녹색신호(G)가 트랜지스터(Q1)(Q6)를 통하여 콘덴서에 충전된후 에미터 플로워소자(IC1)를 통하여 출력되게 녹색피크치 홀드회로 (1)를 구성한 것으로 저항(R1-R3)는 분배저항이고 콘덴서(C1)(C2)는 커플링 콘덴서이다.
그리고 녹색피크치 홀드회로(1)의 출력을 기준전압으로 하는 출력이 자동화이트 밸런스표시회로(5)의 가변저항(VR1) 및 저항(R25)으로 분배되어 비교기(IC2)의 타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며 일측단자(+)에는 칼라 영상신호검출회로(2)의 출력이 저항(R13)을 통하여 인가되어 비교되게 자동화이트 밸런스 표시회로(5)를 구성하고 칼라영상 신호 검출회로(2)의 출력이 저항(R24)(R26) 및 가변저항(VR2)으로 분배되어 촬영 발광다이오드(ZD) 및 이 분배된 출력이 비교기(IC3)를 통하여 출력되게 레벨표시회로 (4)를 구성한다.
그리고 레벨표시회로(4)와 자동화이트 밸런스표시회로(5)의 공통출력단에 연결된 이상레벨 공통 검출회로(6)은 저항(R14) 및 커플링 콘덴서(C5)(C5)를 통하여 임피던스 매칭용 트랜지스터(Q7)에서 제브라 패턴신호와 합성되어 출력되게 구성한 것으로 이 출력 신호와 뒷단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합성(ENC신호)되어 이상레벨신호 (VF)로 출력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비데오 카메라를 구동시키면 피사체에 따라 촬상관에서 촬영한 칼라 영상신호(R)(G)(B)가 칼라 영상신호 검출회로(2)에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녹색신호(G)는 녹색피크치 홀드회로(1)의 버퍼용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 (Q2)(Q1)를 통하여 콘덴서(Q2)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에미터 폴로워소자(IC1)를 통해 자동화이트 밸런스 표시회로 (5)의 저항(R26) 및 가변저항(VR1)으로 분배된 전압이 비교기(IC2)의 타측에 인가되어 기준전압으로서 비교를 하게 되는 것으로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의 출력은 에미터 폴로워 집적소자(IC1)로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칼라영상신호 검출회로(2)에 인가되는 칼라 영상신호(R)(G)(B)는 저항 (R5-R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Q3)(Q4)를 출력되는 동시에 저항(R8-R10)에 의하여 합성된 휘도신호가(0.3R + 0.1G + 0.6B)가 트랜지스터(Q5)에 인가되어 점(A)로 출력하게되고 이때에 콘덴서(C4) 및 저항(R11)으로 구성된 적분회로(3)에 의하여 출력되는 직류성분의 신호가 트랜지스터(Q2-Q4)의 콜렉터측을 클램핑시키므로 저항 (R12)의 전압은 칼라 영상신호(R)(G)(B)의 피크값만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 피크치의 출력이 저항(R13)을 통하여 비교기(IC2)의 일측단자(+)에 인가되므로 비교기(IC2)는 녹색 피크치 홀드회로(1)에서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에 자동화이트 밸런스 표시회로(5)에서 자동화이트 레벨이상 신호를 이상레벨 공통회로(6)에 출력시키게 되고 정상적인 경우에는 비교기(IC2)에서 출력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칼라 영상신호 검출회로(2)의 출력과 휘도신호와 합성된 출력이 가변저항 (VR2) 및 저항(R26)으로 분배되어 레벨 표시회로(4)의 비교기(IC3)에 인가되는 것으로 휘도신호와 합성된 영상신호가 더 큰 경우에는 자동조리개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수가 없는 이상레벨 공통검출회로(6)에 출력시키게 된다.
즉 자동조리개 기능을 발휘할수 없을때에는 레벨표시회로(4)로 출력되며 자동화이트 레벨 조종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때는 이상레벨을 자동화이트 밸런스 표시회로(5)에서 출력되게 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모두 이상레벨상태의 감지신호가 이상 레벨공통검출회로(6)에서 제브라패턴 신호와 트랜지스터(Q7)에서 합성되어 뷰우파인더에 이상레벨신호(VF)가 출력되어 비데오 카메라의 뷰우파인더에 제브라패턴이 발생되어 사용자는 비정상적인 구동상태임을 감지할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자동조리개 기능 및 자동화이트 밸런스 기능이 동작될때에는 뷰우파인더에 아무런 패턴이 나타나지 않게 되고 칼라 영상신호 검출회로(2)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는 저항(R24)(R26) 및 가변저항(VR2)으로 분배되는 발광다이오드 (ZD)를 점등시키므로 촬영시 자동화이트 레벨이 조정되는 것을 알수 있어 정상적인 촬영을 기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조리개 기능 및 자동화이트레벨 조종 기능을 정상적으로 행할수 없을때에 뷰우파인더로 제브라패턴을 발생시키며 정상적인 동작중에 자동화이트 레벨이 조정되는 것을 발광다이오드(ZD)의 점등으로 알수 있어 적절한 촬영을 기할수 있는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 레벨 검출회로를 제공할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칼라 영상신호(R)(G)(B)가 저항(R5-R1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Q5)에 인가될때에 적분회로(3)에서 직류 성분이 추출되게 칼라 영상신호 검출회로(2)를 구성하여 저항(R24)(R25)(R26)및 가변저항(VR2)으로 분배된 기준전압과 비교기(IC3)에서 비교되게 레벨표시회로(4)를 구성하고 녹색신호(G)가 트랜지스터(Q1)(Q6)를 통하여 콘덴서(C3)에 충전된후 에미터 폴로워소자(IC1)로 출력되게 녹색 피크치 홀드회로(1)를 구성시켜 자동화이트 밸런스 표시회로(5)의 비교기(IC2)의 기준전압이 설정되어 저항(R25)및 가변저항(VR1)으로 분배되어 인가되게 구성한후 통상의 이상레벨 공통 검출회로(6)로 출력되게 구성한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 레벨 검출회로.
KR2019850010746U 1985-08-23 1985-08-23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KR890000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746U KR890000707Y1 (ko) 1985-08-23 1985-08-23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746U KR890000707Y1 (ko) 1985-08-23 1985-08-23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69U KR870004469U (ko) 1987-07-31
KR890000707Y1 true KR890000707Y1 (ko) 1989-03-13

Family

ID=1924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746U KR890000707Y1 (ko) 1985-08-23 1985-08-23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7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69U (ko) 198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0032A (en) Automatic white balance adjusting system for a color video camera
US4935613A (en) Light projecting type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KR890000707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이상레벨 검출회로
US4769693A (en) Exposure-control device for use in video camera
KR950009557Y1 (ko) 캠코더의 자동 백 라이트(BACK-Light) 조절회로
KR910006375B1 (ko) 오토 매스터 페데스털 조정회로
KR900004346Y1 (ko) 최대값 신호의 비교 검출 합성회로
US5335024A (en) Automatic kinescope bias arrangement
KR200166997Y1 (ko) 칼라 비디오 도어폰 카메라
KR890004420Y1 (ko) 과대광량에 대한 촬상관 보호용 경보회로
KR900005314Y1 (ko) 비데오 카메라 오토포커스 체크회로
KR920008525Y1 (ko) Rf신호 레벨 상태 표시 회로
KR910010120B1 (ko) 자동 화이트밸런스 경고회로
KR900005660Y1 (ko) 자동 색 조정장치
KR890000780B1 (ko)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조리개 조절방법
KR910005928Y1 (ko) 정튜닝시 표시회로
KR970011201B1 (ko) 야간 프레쉬 촬영시 피사체 구도설정용 보조램프 구동장치
KR930007744Y1 (ko) 오토 포커스 기구의 포커스 모드 전환 회로
KR100272333B1 (ko) 플래시 발광량 측정 장치
KR880000668Y1 (ko) 촬상관의 블랭킹 회로
KR940001632Y1 (ko) 광량자동가변장치
JPS6362152B2 (ko)
JP2821195B2 (ja) 自動調光回路
KR930003241Y1 (ko) 자동 역광 보정회로
KR890005763Y1 (ko) 적외선 수신 표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