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681Y1 - 바인더 철구 - Google Patents

바인더 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681Y1
KR890000681Y1 KR2019860012404U KR860012404U KR890000681Y1 KR 890000681 Y1 KR890000681 Y1 KR 890000681Y1 KR 2019860012404 U KR2019860012404 U KR 2019860012404U KR 860012404 U KR860012404 U KR 860012404U KR 890000681 Y1 KR890000681 Y1 KR 890000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ubstrate
lock member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384U (ko
Inventor
고즈끼 가네다
Original Assignee
고즈끼 가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즈끼 가네다 filed Critical 고즈끼 가네다
Priority to KR2019860012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681Y1/ko
Publication of KR880004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2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 B42F13/2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pivotable about an axis or axes parallel to binding edges in two sections engaging each other when closed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바인더 철구
제1도는 종래의 록기구를 가진 바인더 철구(綴具)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록해제 상태의 동 바인더 철구의 부분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 철구의 평면도.
제4도는 동 측면도.
제5도는 동 정면도.
제6도는 동 정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 철구의 요부 확대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 A-A'에서 본 부분 단면 측면도.
제9도는 동 저면도.
제10도는 록해제 상태의 동 저면도.
제11도는 가동기판의 제8도와 마찬가지의 단면도.
제12도는 동 저면도.
제13도는 가동 록부재의 저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B-B에서 본 단면도.
제15도는 폐쇠 조작시의 록기구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평면도.
제17도는 동 저면도.
제18도는 록해제시의 동 저면도.
제19도는 추착(樞着)부의 분해 평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Ⅱ-Ⅱ 단면도.
제21도는 추착상태를 표시한 조립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기판 (2) : 가동기판
(3) : 고정록부재 (4) : 가동록부재
(5)(6) : 철환(綴環) (7) : 추착축(樞着軸)
(7') : 테이퍼면 (8) : 홈
(8') : 축착구멍 (9) : 리벳구멍
(10) : 추착축 (11) : 가동기판 자유단부(端部)
(12) : 구멍 (13) : 계지클릭
(14) : 스토퍼 (15) : 가장자리부(테이펴면)
(16) : 원통면(원형부분) (17) : 돌기부
(18): 홈 (19) : 스프링편
(20) : 평탄면 (21) : 원형구멍
(22) : 원형확대단부(段部) (23) : 평탄면
(24) : 원형릴리이즈 (30) : 하측판
(31) : 틈새 (32) : 상측판
(33) : 결합부분 (34)(35) : 잘라들어간 부분
(36) : 가장자리부 (37) : 계합부
(38) : 단판(端板) (39) : 단부(段部)
(40) : 좌상연(左上緣) (41) : 우상연
본 고안은 바인더 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인더 철구의 록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개폐자재한 철환(綴環)을 갖춘 바인더 철구는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의 바인더 철구는 2가지로 대별할 수 있으며, 한쪽은 2개의 길고가느다란 가동기판을 나란히 해서 맞대게 하고, 이들의 외변(外邊)을 탄성금속 칼집에 의해 구속하여, 가동기판에 박아세운 다수의 철환을 개폐시키는 방식이며, 다른쪽은 다수의 철환을 박아세운 길고 가느다란 고착기판의 일단부에, 이철환에 조합되는 철환을 박아세운 길고가느다란 가동기판의 일단부를 추착(樞着)시키고, 가동기판을 가로로 슬라이드 시켜서 철환의 개폐를 행하게 하는 방식이다. 본 고안은 후자의 바인더 철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런형의 바인더 철구에 있어서는 가동기판을 고정기판에 대해서 폐쇄한 후, 그 상태로 유지하고, 또 루우스리이프의 바꿔넣기등 때문에 폐쇄상태를 풀기위하여, 록기구를 기판의 자유단에 착설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록기구중,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중의 하나는 제1도~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기판(1)의 자유단에는 록수놈부재(3)를 착설하고, 가동기판(2)의 자유단에는 손가락으로 회동조작할 수 있는 록암놈부재(4)를 추착하여, 바인더철구의 폐쇄시에는 이들 암수놈부재(3)(4)를 게지시킨다. 철환(5)(6)을 열려면 제1도에 있어서 록암놈부재(4)를 손가락으로 화살표시(A)방향으로 눌러서 록수놈부재(3)로 부터 끄르고, 이어서 가동기판(2)을 추착점(도시하지 않음)의 주위에 회동시켜서 제2도와 같이 연다. 반대로 철환(5)(6)을 폐쇄시킬려면, 제2도에 있어서 가동기판(2)을 화살표시(B)방향으로 누르고, 또 록암놈부재(4)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록수놈부재(3)에 밀어넣어서 계지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러한 형의 록기구는 모두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바인더 철구의 개방상태로부터 가동기판을 고정기판에 향해서 구동시켜서 철환을 폐쇄시킬때에는, 루우스리이프가 철환으로부터 끌러지지 않도록 루우스리이프를 손으로 눌러둘 필요가 있기때문에, 조작이 귀찮으며, 폐쇄시에는 록이 자연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은 록암놈부재의 외에 스프링을 사용할려면 그렇게 하기위한 장소가 작아서 설계가 곤란하며, 또 제조코스트를 올리는 것으로 된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철환을 가진 고정기판의 일단부에, 복수개의 철환을 가진 가동기판의 일단부를 추착하여 개폐동작시키도록 한 바인더 철구에 있어서, 록작용이 간편한 수단으로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일단부에 있어서 고정기판에 가동기판을 추착하고, 타단부에 있어서 고정기판에는 고정록부재를, 가동기판에는 가동록부재를 착설하여 이루어진 바인더 철구에 있어서, 가동록부재의 가동기판으로의 추착축을 비원형 단면으로 하는 동시에, 홈에 의해 세로로 분할한 스프링축으로 하고, 한편 가동 기판쪽의 추착구멍도 마찬가지로 비원형 단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경우, 가동록부재는 강인한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작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동록부재의 추착축은 분할홈 때문에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며, 가동록부재를 회동하면 그 추착축이 이형(異形)이기때문에 분할홈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추착축은 휘어지고, 외력의 제거로 원래의 축모양을 복원하기 때문에, 가동록부재는 원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또한, 고정기판쪽의 고정록부재와 가동록부재와의 초기 접촉부는 캠면으로서 구성하고, 추착축의 스프링작용과 협동해서 기판을 폐쇄할 때에 자연적으로 상호 게지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플라스틱제 바인더철구의 전체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중 (1)은 고정기판, (2)는 가동기판, (5)(6)은 고정기판 및 가동기판에 일체적 형성해서 박아세운 철환이다. 고정 및 가동기판(1)(2)은 일단부에서 축(7)에 의해 추착되어 있다. 또한 (8)은 탄성부여를 위하여 고정기판에 형성된 홈이다. 또 (9)는 표지(도시하지 않음)에 리벳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양 기판의 반대 단부에는 록기구가 착설되어 있으며, 이 록기구는 고정기판쪽의 고정록부재(3) 및 이에 계지하는 가동록부재(4)로 이루어진다. 가동록부재(4)는 제5도(저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기판(2)에 형성된 이형축구멍에 감합된 추착축(10)을 가진다. 따라서, 가동록부재(4)를 화살표시(A)의 방향으로 추동(樞動)시켜서 록을 끄르고, 혹은 역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록을 행할 수가 있다.
제3도~제6도의 요부를 확대해서 제7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다.
제7도는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A-A단면도, 제9도는 저면도 및 제10도는 가동록부재를 추동시켰을때의 저면도이다. 가동록부재(4)는 추착축(10)을 가지고, 가동기판(2)의 자유단부(11)에 형성된 구멍(12)에 감합되어 있으며, 화살표시(A)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7도 및 제9도는 가동기판(2)을 고정기판(1)에 대해서 록한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고정기판(1)의 단부의 고정록부재(3)에 가동록부재(4)의 게지클릭(13)을 게지시키므로서 록을 행하고 있다. 또 제7도 및 제9도의 상태로부터 손가락으로 화살표시방향으로 가동록부재(4)를 이동시키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록부재(4)의 스토퍼(14)에 의해 가동록부재의 이동범위가 제어 된다.
이 스토퍼(14)는 추착축(10)에 대한 안전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은 뒤에 설명한다. 제10도의 개방록상태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가동록부재(4)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축(10)의 스프링작용으로 제9도의 위치로 복귀한다. 제10도와 같이 가동록부재(4)를 열고, 이어서 더욱 화살표시(A)방향으로 계속누르면, 가동기판(2)은 축(7)(제5도)의 주위에 추동하여 철환(5)(6)을 연다. 이와 같이 개환한 상태로부터 폐환상태로 복귀시킬려면 가동기판(2)을 도시한 위치로 되돌린다. 이때 가동록부재 (4)는 스프링작용으로 제7도, 제9도의 수평상태로 복귀되어 있으므로 그 게지클릭 (13)의 외면은 고정록부재(3)의 가장 자리부에 당접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게지클릭(13)의 외면은 테이퍼면으로 하고, 동시에 고정록부재(3) 가장자리부 (15)도 테이퍼면으로하여, 캠작용에 의해 게지클릭(13)이 가장자리부(15)에 따라서 슬라이드 하면서 안내되도록 한다.
가동록부재(4)는 아세탈수지등의 강인하고 탄성을 가진 플리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3도~제14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추착축(10)은 한쪽편이 평탄면 (20)으로 되어 있으며, 또 평탄면(20)에 평행인 홈(18)에 의해 분할되어서 스프링편(19)을 형성하고 있다. 평탄면(20)의 반대쪽은 원통면(16)으로 되어 있으며, 또 같은쪽의 축단부는 돌기부(17)를 가진다.
제11도~제12도에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가동기판(2)의 자유단(11)에 형성된 추착구멍(12)은 가동록부재(4)의 추착축(10)의 원통면(16)과 접촉하도록 입구쪽에 원형구멍(21)을 가지고, 또 출구쪽에는, 추착축(10)의 평탄면(20)과 접촉하는 평탄면(23)과, 추착축(10)의 돌기부(17)에 계합하여 그 탈락을 방지하도록 원형확대단부(22)를 가진다. 제13도~제14도에 도시한 가동록부재(4)를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가동기판(2)의 자유단부(11)에 조립해 넣을려면 단순히 추착축(10)을 구멍(12)에 밀어넣기만하면 되고, 스프링편(19)은 굽어휘어져, 돌기부(17)가 단부(22)에 계합하고, 또 평탄면(20)이 평탄면(23)에 계합해서 조립이 끝난다.
다음에 가동기판(2)과 고정기판(1)의 추착부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9도, 제20도,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기판(1)의 상단부는 저부(1')의 연장부분으로서 구성되는 하측판(30)과, 가동기판(2)의 상단부가 밀접하게 감합할 수 있는 틈새(31)만큼 이간시켜서 평행으로 배치된 상측판(32)과, 이들을 좌변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부분(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판(30)에는 추착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소망에 의해 추착구멍(7')으로부터 하축판 (30)으로 잘라들어간부분(34)(35 )을 형성하므로서 추착축(7)의 착탈시에 적당한 스프링작용을 부여해도 좋다. 또 상축판 (32)의 가장자리부(36)에는 적당한 곡선을 부어하므로서 가동기판(2)의 삽착시에 안내수단으로 해도 된다.
또, 결합부분(33)에는 적당한 계합면(37)을 형성하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기판(2)의 탈착작용을 행하게 한다. 이 계합면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도 되며, 가동기판(2)의 대응부분(후술)과의 관계에서 가동기판(2)이 90°이상 열렸을때에 가동기판 (2)의 일단부를 압압할 수 있으면 된다.
가동기판(2)의 상단부는 고정기판(1)의 상단부의 틈새(31)에 감합할 수 있는 두께의 단판(端版)(38)과 단판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추착축(7)으로 구성된다. 단판(38)의 좌상연(40)은 회전시에 고정판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r1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각(角)을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착축(7)의 선단부(하단부는 고정판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두껍게 된 테이퍼면(7')을 가진다. 이 때문에, 추착축(7)을 고정판의 추착구멍(8')에 감합시키는데 있어서, 가동기판(2)의 단판(38 )을 용이하게 상하측판(30)(32)사이의 틈새(31)에 삽입할 수 있다. 이 삽입을 돕기위하여 단판(38)의 두께보다 두터운 두께의 단(段)부(39)을 형성하고, 이것이 고정기판(1)의 상측판(32)의 가장자리부(36)와 상보형상을 이루도록 해도 된다. 또, 가동기판(2)의 단판(38)의 우상연(41)은 반경이 차차 커지는 원호를 그리는 가장자리로 하고, 가동기판 (2)이 폐쇠위치(제3도~재6도)로부터 직각(90°)이상의 어떤 각도로 열렸을때에 고정기판(1)의 계합면(37)에 당접하는 치수(r2)를 가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추착축(7)은 추착구멍(8')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끌려져 가동기판이 고정기판(1)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다음에 저면도를 표시한 제9도, 제10도 및 평면도를 표시한 제7도 및 제15도를 참조해서 동작과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가동기판(2)이 폐쇄하여 철환(5)(6)이 닫히고, 록기구가 도시한 록상태에서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화살표시(A)방향으로 손가락으로 가동록부재(4)를 회동시키면 게지클릭 (13)이 고정록부재(3)로부터 풀어져, 스토퍼(14)가 가동기판(2)에 당접할때까지 가동록부재(4)는 추동한다. 이사이에 추착축(10)의 평탄면(20)은 구멍(12)의 평탄면(23)에 대하여 무리하게 압압되게 되므로, 스프링편(19)은 홈(18)을 향해서 휘어지고, 복원방향으로의 힘을 발생한다. 그러나 추착축(10)의 기부(基部)쪽은 가요성이 없기때문에 평탄면(23)은 출구쪽에만 형성하고, 입구쪽에는 원형 릴리이즈(24)를 형성해두면 되는 것을 알수 있다. 또 스토퍼(14)는 축(10)이 극단적으로 회전해서 복원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한다.
제10도와 같이 가동록부재(4)를 열고 그대로 가로로 누르면 가동기판(2)은 축 (7)(제5도)의 둘레에 회동해서 열리고, 철환(5)(6)을 연다. 가동록부재(4)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스프링편(19)의 복원력으로 록부재(4)는 제15도의 자세로 복귀한다.
철환(5)(6)을 닫으려면, 제15도와 같이 가동기판(2)을 고정기판(1)을 향해서 추동시킨다. 그렇게하면, 가동록부재(4)의 게지클릭(13)의 바깥쪽 테이퍼면이 고정록부재 (3)의 테이퍼면(15)에 접촉하고, 게지클릭은 스프링작용에 반향해서 테이퍼면(15)에 따라서 슬라이드하여, 마지막에 클릭(13)이 고정록부재(3)의 선단부를 넘으면, 스프링작용에 의해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한 위치에 감입되어서 록 된다.
상기 예에서는 가동록부재(4)는 고정 및 가동기판의 하단부에 덮이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가동기판의 폐쇄시에 가동록부재의 우단부 (제7도,제15도)에 손가락을 걸어서 누른다. 이때 손가락은 스프링편(19)의 작용을 어느정도 구속하게 되어, 가동록부재(4)의 클릭부 외면이 고정록부재의 테이퍼면(15)에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약간 저해한다. 제16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이점을 개량한다.
즉, 고정기판단부(11)는 제17도, 제18도와 같이 대략 4각형상을 이루며, 그 겉쪽(제16도)의 우면에 마아진(11')을 가진다. 또 가동록부재(4)는 폭이 먼저의 예보다 좁게되어 있으며, 또 가동록부재(4)의 단판(端板)의 단부(端部)(14')는 기판단부(11)의 단면(端面)(14″)과 계합하므로서 스토퍼의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서 가동록부가 너무 열렸을 경우(제18도)에 스프링편(19)을 보호하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제18도와 같이 여는 일은 없다. 이상의 구성이므로, 가동록부재(4)의 폐쇄시에 손가락이 가동록부재(4)의 우편(제16도)에 접촉되는 일이 없으므로, 원활한 폐쇄록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록기구에 의하면, 가동록부재의 추착축을 스프링체로 구성하였으므로, 바인더 철구의 폐쇄시에 가동록부재(4)는 캠작용면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안내되어서 고정록부재(3)에 계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일히 손가락으로 계지를 할 필요도 없고, 또 별개로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도 없고, 제조공정상으로도 조작상으로도 뛰어난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1)

  1. 복수개의 철환(5)(6)을 가진 고정기판(1)과, 상기 고정기판(1)의 일단부에 추착되고 복수개의 철환(5)(6)을 가진 가동기판(2)과, 상기 고정기판(1)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록부재(3)와, 상기 가동기판(2)의 타단부에 형성된 추착구멍(12)에 감합하는 추착축(10)을 가지고 또한 상기 고정록부재(3)에 계지되는 가동록부재(4)를 가진 바인더철구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판(2)의 상기 추착구멍(12)은 대략 원호형상의 부분(21)과 평탄면 부분(23)을 가지고, 상기 가동록부재(4)의 추착축(10)은, 상기 평탄면(23)에 대접하는 평탄면(20)과, 분할홈(18)과, 상기 대략 원호형상의 부분(21)에 접하는 원형부분 (16)을 가지고 있으며, 또 가동기판(2)의 폐쇄조작시에 양록부재(3)(4)가 접하는 면은 가동록부재(4)가 미끄러질 수 있도록 테이퍼면 (15)으로 되어 있는 바인더 철구.
KR2019860012404U 1986-08-16 1986-08-16 바인더 철구 KR890000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04U KR890000681Y1 (ko) 1986-08-16 1986-08-16 바인더 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04U KR890000681Y1 (ko) 1986-08-16 1986-08-16 바인더 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384U KR880004384U (ko) 1988-05-07
KR890000681Y1 true KR890000681Y1 (ko) 1989-03-13

Family

ID=1925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404U KR890000681Y1 (ko) 1986-08-16 1986-08-16 바인더 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6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779B1 (ko) * 2000-12-28 2004-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봇의 케이블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384U (ko) 198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42591A (en) Knob and the like installations and fastener members for the same
US4571108A (en) Locking ring binder mechanism with control slide
EP0772380A1 (en) Printed circuit board wedge section retainer
KR950034928A (ko) 이젝트 기구 부착형 카드 에지 커넥터
US3504875A (en) Clip-in fastener receptacle
KR840003798A (ko)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DE69808566T2 (de) Papierschneider
KR890000681Y1 (ko) 바인더 철구
US5005458A (en) Low cost punch mechanism
DE3624978C2 (ko)
KR880010209A (ko) 슬라이더 자물쇠 장치
US4536626A (en) Timer drive mechanism
KR840000533Y1 (ko) 버클(혁대를 죄는 쇠 buckle)
KR0177291B1 (ko) 철구
GB1449227A (en) Fastener for securing equipment on a carrier rail
EP0487543B1 (de) Brieflocher
KR0110439Y1 (ko) 밧데리 착탈장치
GB2182711A (en) Snap fastening for electrical apparatus
KR200142619Y1 (ko) 케이블 보호용 지지간
KR0113430Y1 (ko) 냉장고 도어
KR950020693A (ko) 테이프 카세트(Tape cassette)
CN212042292U (zh) 冲压模具
JPH054017Y2 (ko)
KR20060042836A (ko) 루스 리프 고리 장치
KR96000186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카드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