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645B1 -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 Google Patents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645B1
KR890000645B1 KR1019860003646A KR860003646A KR890000645B1 KR 890000645 B1 KR890000645 B1 KR 890000645B1 KR 1019860003646 A KR1019860003646 A KR 1019860003646A KR 860003646 A KR860003646 A KR 860003646A KR 890000645 B1 KR890000645 B1 KR 89000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vibration
drive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373A (ko
Inventor
서석용
Original Assignee
서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용 filed Critical 서석용
Priority to KR101986000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645B1/ko
Publication of KR87001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제1도는 본원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동력발생장치의 일실시예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동력발생발전기와 본원의 일실시예로서의 전동부와의 연결 상태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간·만조에 따른 작동 설명도.
제4도는 파력과 조력에 따른 본원 발명의 에너지발생 상태도.
제5도는 일례로서의 종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발전방법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풀리 2a : 앙카체
2b : 부력구동전달장치 3 : 부유체
4 : 스프링 5 : 와이어(또는 벨트)
6 : 고리 7 : 풀리샤프트
8 : 턴버클 9 : 발전기
본 발명은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해수를 이용하는 발전방법에 있어서 해수를 막는 댐을 설치하고, 조수의 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조력발전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조수의 간만에 따른 조수높이의 낙차(落差)를 이용한 것으로, 설비비도 엄청나고 규모가 방대하며 그 용도 또한 특정되어 있어 일반 민생용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대규모의 방대한 조력발전방법이 아니며, 또한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서 채택되고 있는 첨부도면 제5도에서와 같은 해수의 일정공간을 밀폐시켜서 파도의 높이변화에 따른 밀폐공간상의 공기 압력변화(4P)를 이용하여 터빈(T)을 회전시켜서 얻는, 예컨대 일본에서 최근 이용되고 있는 등대의 전원공급 방법과도 다른 것으로, 본 발명은 해수의 파력(波力)에 따른 부유체의 진동을 이용하는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해저에 풀리(pulley)를 장착한 앙카체를 설치하고, 해안에 풀리를 장착한 부력구동 전달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앙카체와 발전기 또는 최종 사용체에 연결되어 있는 부력구동 전달장치의 사이에는 중공(中空)의 밀폐된 부유체를 설치하고, 해수의 파고에 의한 요동 내지 진동시의 장력을 조정하고 일정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턴버클과 탄성스프링을 연결한 와이어 또는 벨트의 일단을 상기 부유체에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 또는 벨트의 타단을 상기 앙카체와 부력구동 전달장치에 고리연결하여 해수의 파고차이를 이용하므로써 풀리를 정(正)·부(負)방향으로 전회시켜 상기 파고의 진동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 또는 기계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진동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일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고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상의 동력발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해안에서 얕은 해저에 풀리(1)를 장착한 앙카체(2a)를 설치하고, 이 앙카체(2a)와 대응된 형태 및 구조를 가진 부력구동 전달장치(2b)를 해안에 설치한다. 이 부력구동 전달장치(2b)의 일실시예를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상의 베어링(21)지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풀리샤프트(7)를 발전기(9) 또는 기타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7)상에 제2도에서와 같이 아이들구동(idle)하는 풀리(1)를 설치한 구조에 의하여 해수의 파고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 또는 기계에너지로 변환 사용할수 있다. 상기 풀리(1)는 해수의 파고에 따라 정·부 방향의 전회운동을 임의로 반복한다. 상기 해저의 앙카체(2a)와 해안의 부력구동 전달장치(2b)와의 사이에는 와이어(5) 또는 벨트 등을 제1도와 같이 양측 풀리(1)에 걸어 연결하고, 이 와이어(5) 또는 벨트의 중간부에는 내부가 밀폐되어 있는 실린더형의 용기, 즉, 부유체(3)를 설치하는데 이 부유체(3)를 설치하는데, 이 부유체 (3)의 외벽에 용접된 고리(6)에 상기 와이어(5)의 단부를 끼워 체결하고, 상기 와이어 (5)의 타부분에는 턴버클(8)을 연결 설치하며, 이 턴버클(turn buckle)(8)의 일단부에 스프링(4)을 와이어(5)의 다른 끝부분과 고리(6)로 연결 설치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중공의 부유체(3)는 내부가 빈 밀폐용기로 되어 있어 해수에서 부력을 가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해면에 떠서 해수의 파도에 의한 요동이 가능하도록 되고, 이 부유체(3)의 요동에 따른 위치변동에 탄성적으로 대응시키기 위하여 턴버클(8)과 스프링(4)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턴버클(8)은 적정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의 일실시예를 들면, 중공의 튜브체와 이 튜브의 양단벽에 나사가공을 하고 이 가공된 나사부와 나합되는 넛트와 고리홈을 가진 볼트와로 구성된다. 이 볼트의 고리홈의 일단은 탄성을 가진 스프링(4)과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어(5)와 연결된다. 상기 턴버클(8)은 적정 장력의 셋팅과 일정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서, 최소 설치시 해수의 파도를 감안하여 적정위치로 볼트조임을 하여 두면 된다.
상술한 일실시예로서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종래의 파도의 파고를 이용한 제5도에서와 같은 방법과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즉 제4도에서와 같이 본원 발명의 원리는 조수의 간조 또는 만조를 막론하고 즉, 간만의 차(H)에 관계없이 파고의 차이(d)를 이용한 에너지발생(빗금부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조시(B)보다 만조시(A)의 경우에는 밀폐된 공간(S)이 좁아지게 되어 그만큼 배출압력(P)이 커지므로 발생전력은 더욱 커지게 되고, 간조시 (B)에는 이와 반대이므로 간·만조에 따른 압력변화가 심하여 동력발생이 일정치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간만의 차(H)에 따라 동력발생에 차이가 심하다.
이와는 달리, 본원 방법인 경우에는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조수 만조시의 부유체의 진동 또는 요동(A)인 경우에나 조수 간조시의 부유체의 진동 또는 요동(B)인 경우에나 어느 경우를 막론하고 항상 조건의 급격한 변동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일실시예로서의 본원 발명의 구성을 이용하면 해수의 파도에 따라 부력을 가지고 해상에 떠 있는 실린더형 부유체(3)는 제3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해수의 파고에 따른 진동과 요동에 의한 위치이동을 하나 이 위치이동은 해저의 앙카체 (2a)와 해안의 부력구동 전달장치(2b)의 사이에서 임의대로 왕복 이동하면서 위치이동을 하므로, 이러한 위치이동에 따른 요동 내지 진동이 진동폭(d)만큼의 진동력으로 부력구동 전달장치의 풀리(1)를 정·부 방향으로 반복전회시켜서 동력을 발생케 하고, 이 발생된 운도에너지인 동력에 의하여 발전기(9)에서 전기에너지 또는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에너지는 비록 소규모의 것이라 하더라도 소규모의 발전이 가능하고 예를들어 해안가의 각종 수산물등의 건조도 가능케하므로 간단하고 저렴한 설치비와 저렴한 운영비로써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간이 진동발전 방법에 의하여 수시로 부유체의 요동 내지 진동을 이용한 전기에너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설치에 있어서도 극히 간단하여 저렴한 설치비로도 가능하고 사람에 의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이 무인가동으로 오로지 해수의 파력만 이용하는 것으로 해안가이면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가 있다 하겠다.

Claims (1)

  1. 해저에 풀리(1)를 장착한 앙카체(2a)를 설치하고, 해안에 풀리(1)를 장착한 부력구동 전달장치(2b)를 설치하며, 상기 앙카체(2a)와 발전기 또는 최종 사용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부력구동 전달장치(2b)의 사이에는 중공의 밀폐된 부유체(3)를 설치하고, 해수의 파고에 의한 요동 내지 진동시의 장력을 조정 유지하기 위한 턴버클(8)과 탄성스프링(4)을 연결한 와이어(5) 또는 벨트의 일단을 상기 부유체(3)에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5) 또는 벨트의 타단을 상기 앙카체(2a)와 부력구동 전달장치(2b)에 고리 (6)로 연결하여 해수의 파고 차이를 이용하므로써 풀리(1)를 정·부 방향으로 반복 전회시켜 상기 파고의 진동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 또는 기계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발전 방법.
KR1019860003646A 1986-05-10 1986-05-10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KR89000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646A KR890000645B1 (ko) 1986-05-10 1986-05-10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646A KR890000645B1 (ko) 1986-05-10 1986-05-10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373A KR870011373A (ko) 1987-12-23
KR890000645B1 true KR890000645B1 (ko) 1989-03-22

Family

ID=1924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646A KR890000645B1 (ko) 1986-05-10 1986-05-10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053A (ko) * 2001-04-25 2002-11-01 김홍철 해수,간만,부력,하중,입,출력,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373A (ko) 1987-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2222A (en) Ocean wave energy converter
US4023041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power from natural water flow
EP2461466B1 (en) Power generator with magnetic transmission gear
US7319278B2 (en) Ocean wave generation
KR970003600B1 (ko) 파동력 구동식 원동기
KR101508411B1 (ko) 파력발전유닛 및 파력발전방법
JP2007512469A (ja) 海の波を使用するエネルギー発生システム
KR20090038455A (ko) 파동에너지 변환장치
KR20150072491A (ko) 진동 수주형 파력 발전 장치
CN109779825B (zh) 矩形环管式振荡水柱对称翼透平发电装置
JPH06280732A (ja) 圧電素子撓曲型波力発電装置
KR890000645B1 (ko) 해수의 파도를 이용한 진동 발전방법
CN109120182B (zh) 一种基于振荡水柱式压电悬臂梁发电装置
Amarkarthik et al. Laboratory experiment on using non-floating body to generate electrical energy from water waves
KR101542537B1 (ko) 발전장치
KR102087997B1 (ko) 부유식 발전장치
CN111971473B (zh) 波浪能发电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10082785A (ko) 파도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장치
KR101532385B1 (ko) 파도 에너지 전환 장치
JPH10274145A (ja) 海水の干満を利用した発電装置
KR20200044521A (ko) 파력 발전 기능을 갖는 부유식 방파제
KR20010100372A (ko) 파도를 이용한 부유·기계형 동력발생장치
GB2381558A (en) Wave or tidal powered electricity generator
RU2753070C2 (ru) Динамически-гироскопический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энергии движения воды
KR102302003B1 (ko) 파력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