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542Y1 -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 Google Patents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42Y1
KR890000542Y1 KR2019860007484U KR860007484U KR890000542Y1 KR 890000542 Y1 KR890000542 Y1 KR 890000542Y1 KR 2019860007484 U KR2019860007484 U KR 2019860007484U KR 860007484 U KR860007484 U KR 860007484U KR 890000542 Y1 KR890000542 Y1 KR 890000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power
conveyer
ben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656U (ko
Inventor
이오성
Original Assignee
이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성 filed Critical 이오성
Priority to KR2019860007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542Y1/ko
Publication of KR870017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곡편을 분리한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2(b)도는 본 고안과 비교되는 종래의 콤베이어 벨트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콤베이어 벨트의 동작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2' : 회전칼날
3,3',3" : 안내로울러 4 : 구동로울러
5 : 콤베이어벨트 6 : 절곡편
본 고안은 각종 농작물을 베는 동력 예취기(刈取機)에 있어서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의 외주면에 "ㄴ"자형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절곡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여 콤베이어 벨트의 절곡편에 의하여 베어진 작물포기를 한쪽으로 단정하게 재치어 정렬 시킬수 있게한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력으로 회전칼날을 회전시키어 각종 작물을 베면서 콤베이어 벨트의 회전에 의하여 베어진 작물 포기가 콤베이어의 회전방향으로 재치어 져서 발고랑위에 정렬하게 된 것이 있으나 콤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작은 삼각형의 돌조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을뿐 절곡편이 없기 때문에 벨트면에 접촉된 베어진 포기의 일부만이 벨트의 돌조에 걸리어 한쪽으로 넘어질뿐 나머지 포기는 넘어지는 다른 포기에 이끌리는 정도 이므로 베어진 작물 포기가 이리저리 흩어지게 되어서 단정하게 정렬되지 못하였고, 따라서, 후에 작물을 건조하거나 거두어 드릴때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회전칼날을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작물을 베게된 동력 예취기에 있어서, 예취기에 설치된 콤베이어 벨트의 외주면에 "ㄴ"자형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절곡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여 베어진 작물 포기가 온전하게 회전하는 콤베이어 벨트의 절곡편에 이끌리어 발고랑의 한쪽에 단정하게 재치어 정렬시킬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취기의 기체(1) 선단 하부측에 회전칼날(2) (2')을 설치하여 동력으로 회전 시킬수 있게 하고 기체(1)의 선단 상부측에는 수개의 안내로울러(3) (3') (3")와 구동로울러(4)에 의하여 무단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콤베이어벨트(5)에 있어서, 콤베이어벨트(5)의 외주면에 "ㄴ"자형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절곡편(6)을 체결나사(7)와 너트(7') 및 체결공(6') (5')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벨트에 부착하여서 작물(8)을 절곡편(6)이 적극적으로 끌어 당기어 정렬 시킬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공지의 요령으로 동력 예취기를 구동하여 회전칼날(2) (2')에 의하여 작물(8)을 베면서 전진하면 회전칼날과 함께 연동하는 콤베이어벨트(5)로 임의의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베어진 작물(8)을 절곡편(6)에 의하여 온전하게 모두 한쪽으로 끌어 당기어 베어진 발고랑위에 작물이 나란히 단정하게 정렬하면서 계속 예취하는 것으로 공지의 동력 예취기에 설치된 콤베이어 벨트의 외주면에 베어진 작물 포기를 여유있게 끌어 당길수 있는 크기의 절곡편을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였기 때문에 종래 벨트의 표면에 작은 삼각돌조를 돌설하던 것에 비하여 절곡편에 의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베어진 작물포기를 한쪽으로 양호하게 끌어당기어 일렬로 단정하게 정렬할 수 있어서 작물의 건조 및 후에 단으로 묶어 걷우어 드리기 간편하게 되는등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유효하게 작물을 베면서 정렬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동력 예취기의 기체(1)의 선단 하방측에는 회전칼날(2) (2')을 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하고, 기체(1)의 선단 상부측에는 수개의 안내로울러(3) (3') (3")와 구동로울(4)에 의하여 무단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콤베이어벨트(5)에 있어서 콤베이어벨트(5)의 외주면에 "ㄴ"자형으로 절곡된 절곡편(6)을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여서된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KR2019860007484U 1986-05-28 1986-05-28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KR890000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484U KR890000542Y1 (ko) 1986-05-28 1986-05-28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484U KR890000542Y1 (ko) 1986-05-28 1986-05-28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656U KR870017656U (ko) 1987-12-21
KR890000542Y1 true KR890000542Y1 (ko) 1989-03-11

Family

ID=1925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484U KR890000542Y1 (ko) 1986-05-28 1986-05-28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5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138B1 (ko) * 2008-05-26 2009-08-27 남병대 목초 예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138B1 (ko) * 2008-05-26 2009-08-27 남병대 목초 예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656U (ko) 198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4444A (en) Stalk pickup apparatus for harvesters
US2910819A (en) Harvester reel
GB1458612A (en) Harves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n ensilaging machine
DE59002465D1 (de) Pflückvorrichtung zum Ernten von Halmfrüchten, insbesondere Mais.
US3555798A (en) Mowing apparatus
US4864807A (en) Harvesting arrangement
US2642711A (en) Cutter and breaker bar for lawn mowers
ATE292368T1 (de) Erntemaschine für stengelartiges erntegut
KR890000542Y1 (ko) 동력 예취기의 콤베이어 벨트
US2790290A (en) Method of field curing forage crops
US2517390A (en) Auxiliary cutter for harvester platforms
US4211061A (en) Flexible disc crop pick-up device
US2347138A (en) Harvester
US4901510A (en) Rotary crop feed assist device for a row crop harvesting header
US2723667A (en) Cane stalk chopper and leaf stripping mechanism
JPH0317635Y2 (ko)
SU15477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скошенных растений
SU11459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молота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на корню
SU1709946A2 (ru) Корчеватель стеблей пр мосто щих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RU1819522C (ru)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US2686396A (en) Mower pickup attachment for forage harvesters
SU1644781A1 (ru) Комбайн дл уборки высокостебельных луб ных культур
JPS588029Y2 (ja) 排稈処理装置
SU1526601A1 (ru) Жатка дл раздельной уборки колосовой и стеблевой частей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JPS61240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