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077B1 - 제어변(制御弁) - Google Patents

제어변(制御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077B1
KR890000077B1 KR1019850005147A KR850005147A KR890000077B1 KR 890000077 B1 KR890000077 B1 KR 890000077B1 KR 1019850005147 A KR1019850005147 A KR 1019850005147A KR 850005147 A KR850005147 A KR 850005147A KR 890000077 B1 KR890000077 B1 KR 89000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solenoid
valve
wall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309A (ko
Inventor
히로시 오가와
요시데루 소노다
료오수께 도오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후지킨
오가와 슈우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후지킨, 오가와 슈우헤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86000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어변(制御弁)
제1도는 본 발명 제어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직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제어변의 측면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 제어변에 사용되어지는 솔레노이드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 제어변의 다른 실시예의 수직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 제어변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 제어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수직 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 제어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요오크 2 : 작동축
3 : 솔레노이드 4 : 밸브몸체
5 : 밸브스템 6 : 변환수단
12 : 캡상의 덮개 13 : 환상취부부재
14 : 턱 16 : 수직핀
18 : 변실 19 : 유입구
24 : 시이트링 32 : 패킹 시이트
33 : 패킹 35 : 프러그
42 : 인디게이터 프레이트 44 : 인디게이터 스케일
45 : 후렌지 46 : 대경부
51 : 제어기 69 : 격벽
73 : 본체 74 : 밸브덮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유체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시킬때에 각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데 사용되어지는 제어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제어변에 있어서는 다이야프렘형의 제어변이 사용되어져 왔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다이야프렘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절범위가 적게 되고 둘째로, 압축공기원과 압축공기 공급용 배관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로, 압축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 등의 외적 조건에 영향을 받게 되며, 다이야프렘 복귀용으로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히스테리시스가 큰 것이다.
넷째로, 압축공기, 다이야프렘 및 스프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분해하는데 많은 불편이 뒤따르며, 또한 다섯째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관계로 압력저하의 문제가 있고,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것이다.
또 압축공기는 공급될때에 다이야프렘에 도달하자마자 다시 압축하기 때문에 지령에 의한 밸브작동의 응답속도가 느린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모두 해소시킨 제어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변은 수직의 밑면을 갖는 원통상의 요오크와, 요오크 상단에 취부되고, 또한 입력전류의 크기와 흡인력의 크기가 비례하는 것으로, 그 흡인력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향된 작동축을 갖는 솔레노이드와 요오크의 저벽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몸체와 밸브몸체에 상하 이동자재로 보지되며, 또한 상부가 밸브몸체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여 요오크내에 삽입되어 있는 밸브스템과 요오크내에 수납되며, 또한 작동축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밸브스템의 변위(變位)에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변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조절범위가 크게 되며, 가는 케이블에 의한 광화이바의 사용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히스데리시스가 작으며, 또한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기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게 되므로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밸브작동은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그 응답속도는 압축공기에 의한 것보다 훨씬 빠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제어변은 저면을 갖는 수직원통상의 요오크(1)와 요오크(1)의 상단에 취부되고 또한 입력전류의 크기에 흡인력의 크기가 비례하는 것으로, 그 흡인력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향의 작동축(2)를 가진 솔레노이드(3)와, 요오크(1)의 저벽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몸체(4)와 밸브몸체(4)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고, 상부가 밸브몸체(4)로부터 상방에 돌출하여 요오크(1)내에 삽입되어 있는 밸브스템(5)과, 요오크(1)내에 수납되어서 작동축(2)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밸브스템(5)의 변위(變位)에 변환되는 변환수단(6)을 포함하고 있다. 요오크(1)의 주벽의 일부는 대향상(對向狀)으로 절결되어 있으며, 그것이 작업용 개구부가 되는 것이다.
요오크(1)의 외면 상단에는 외향턱(7)이 설치되어 있다. 요오크(1)의 내부에는 이들 상하 분리하는 격벽(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나사공(9)이 천설되어 있다. 요오크(1)의 저벽에도 나사공(10)이 천공되어 있다.솔레노이드(3)를 요오크(1)의 상단개구를 덮고 있는 솔레노이드 케이스 하단이 취부부면(11) 및 상단부에 덮여 있는 캡상의 카바(12)를 가지고 있다. 솔레노이드 케이스 하단에는 환상의 취부부재(13)가 끼워 덮혀 있는 것이다. 이 환상의 취부부재(13)는 요오크(1)의 외향 턱(7)에 하측부터 계합되어 있는 내향의 턱(14)을 가지고 있다.
볼트(15)가 취부부재(13)를 관통하여 카바(12)에 나설되는 것에 의하여 요오크(1), 솔레노이드(3), 카바(12) 및 취부부재(13)가 상호 일체화 되어 있는 것이다. 솔레노이드(3)는 푸쉬 타입이며, 비통전시에는 작동축(2)의 하단면이 취부면(11)보다 약간 인입되어 있으나, 통전시 흡인력이 작동축(2)를 취부면(11)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켜 요오크(1)내로 삽입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또 취부면(11)의 작동축(2) 양측에는 한쌍의 수직핀(16)이 입설되어 있다.
밸브몸체(4)는 상하단을 개구하며, 또한 격벽(17)에 의하여 상하 2개의 공간을 형성하여 있는 변실(變室)(18)과 변실(18)의 하부 공간에 통하여 있는 유입구(19) 및 변실(18)의 상부 공간에 통하여 있는 유출구(20)을 가진 몸체(21)와, 변실(18)의 하단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저면카바(22)와, 변실(18)의 상단개구를 폐쇄하고 또한 밸브스템(5)이 관통하고 있는 밸브덮개(23)를 구비하고 있다. 격벽(17)에는 시이트링(24)이 상하 관통상으로 삽입되어 있다. 변실(18)내주면의 상하개구부에는 나사(25)(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저면카바(22)에는 변실(18)의 하부나사(26)에 나착되는 수나사(27)가 착설되어 있다.
수직원통상의 밸브덮개(23)의 외주면 하단에 수나사(26)가 착설되어 변실(18)의 상부 암나사(25)에 나착하게 된다. 밸브덮개(23)의 외주면 상단에는 수나사(29)가 착설되어 있고, 이것이 요오크(1) 저벽의 나사공(10)에 나착되며, 또한 수나사(29)에 체결닛트(30)가 나착되어 요오크(1)에 체결됨에 따라 밸브몸체(4)가 요오크(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밸브덮개(23)의 길이의 중간정도에는 격벽(31)이 설치되어 있고, 밸브덮개(23)내의 격벽(31)의 상부에는 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밸브스템(5)을 포위하여 패킹시이트(32) 및 패킹(33)이 삽입됨과 동시에 그 상부로부터 패킹압압구(34)가 나착되어 있다.
밸브스템(5)의 하단은 변실(18)의 상부 공간을 관통하여 시이트링(24)내에 입설되어 있다. 밸브스템(5)의 하단에는 원추상의 프러그(35)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러그(35)의 원추면은 시이트링(24)의 내주면 하연부에 밀접되어 있다.
또 밸브스템(5)의 상단에는 수나사(36)가 설치되어 있다. 변환수단(6)은 요오크(1)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어 상단면에 솔레노이드(3)의 취부면(11)의 작동축(2)의 주위와 당접하며, 또한 하단에 밸브스템(5)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축(37)을 상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38)을 구비하고 있다. 요오크(1)의 격벽(8)에는 통상(筒狀)의 조정용 수나사부재(39)가 상하 관통된 상태로 나착됨과 동시에 조정용 수나사부재(39)의 상단에는 환상의 스프링 시이트(40)가 제치되어 있고, 수직축(37)의 하부는 조정용 수나사부재(39) 및 스프링 시이트(40)를 관통하고 있다.
수직축(37)의 하단에는 하부 방향의 나사공(41)이 천설되어 있으며, 이에 밸브스템(5) 상단의 수나사(36)가 삽입되고, 또한 수나사(36)에 인디게이터 프레이트(42) 및 체결닛트(43)가 착설되어서 체결닛트(43)가 인디게이터 프레이트(42)를 협지하여 수직축(37)에 밸브스템(5)이 고정되어 있다. 또 요오크(1)내의 인디게이터 프레이트(42)축방에는 인디게이터 스케일(44)이 착설되어 있다. 수직축(37)의 상단에는 후렌지(45)와 이에 연속하여 대경부(大徑部)(46)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후렌지(45) 및 대경부(46)를 상기 한쌍의 수직핀(16)이 관통하여 있다. 압축스프링(38)은 후렌지(45)와 스프링 시이트(40)의 사이에 협지되고 또한 수직축(37)에 협지되어 있다. 여기서 제3도 내지 제6도를참조하여 솔레노이드(3)의 특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표시한 것으로, 솔레노이드(3)의 본체에는 제어기(Controller)(51)가 접속되고, 솔레노이드(3)의 작동축(2)에는 스프링(52) 및 변위계(變位計)(5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51)에 도시하지 않은 포텐숀 메타등에 의하여 전압신호를 입력하면 제어기(51)는 그 입력전압에 따른 전류를 출력한다.
이 전류가 솔레노이드(3)에 입력되어서 솔레노이드(3)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는 바, 그 흡인력의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전류에 비례한다. 그 관계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3도는 흡인력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횡축의 스트록(mm)와 종축의 수평 흡인력(kgf)의 관계를 솔레노이드(3)에 흐르는 전류(A)의 크기의 관계에 있어 표시하는 도표이다.
제4도는 변위 특성을 표시한 것으로서, 횡축의 입력신호(V)와 종축의 변위(mm)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표이다. 또한 제5도에는 스템 응답을 표시하는 시간(S)과 변위(mm)의 관계가 표시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에의 비통전시에는 제1도에 표시한 상태와 같이 프러그(35)는 시이트링(24)에 밀접하여 유입구(19)와 유출구(20)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솔레노이드(3)에 통전하면 솔레노이드(3)는 그 작동축(2)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흡인력이 발생하고 압축스프링(38)에 대향하여 작동축(2)이 돌출하여 수직축(37)이 압상하게 된다.
그 결과 수직봉(37)에 연결된 밸브스템(5)과 프러그(35)가 동시에 하강하여 프러그(35)가 시이트링(24)으로부터 이탈하고 유입구(19)와 유출구(20)가 연통된다. 솔레노이드(3)에 통전을 정지하면 자기흡인력이 소멸하며, 스프링(38)에 의하여 수직축(37)이 압상되어서 작동축(2)이 후퇴하여 삽입된다.
그 결과 밸브스템(5)이 프러그(35)와 동시에 상승하여서 프러그(35)가 시이트링(24)에 밀접하고, 유입구(19)와 유출구(20)의 사이가 재차 차단된다.
제7도 및 제8도는 제어변의 타의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제어변은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저면을 갖는 수직상의 원통형 요오크(61)와, 요오크(61)의 상단에 취부되어, 또한 입력전류의 크기에 흡인력의 크기가 비례하며 그 흡인력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향된 작동축(62)을 갖인 솔레노이드(63)와, 요오크(61)의 저벽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몸체(64)와, 밸브몸체(64)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어 있으며, 상부가 밸브몸체(64)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요오크(61)내에 삽입되어 있는 밸브스템(65)과 요오크(61)내에 수납되며, 또한 작동축(65)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밸브스템(65)의 변위에 변환하는 변환수단(66)을 포함하고 있다.
요오크(61) 및 솔레노이드(63)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아 생략한다.
단 양자는 소레노이드(63)의 케이스 하단의 상부부터 이를 관통하여 짧은 보올트(67)가 요오크(61)의 상단에 계합된 환상 취부부재(68)에 나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호 일체화 되어 있다.
밸브몸체(64)는 상단을 개구하고 또한 격벽(69)에 의하여 상하 2개의 공간으로 되어 있는 변실(70)과, 변실(70)의 하부 공간으로 통하여 있는 유입구(71) 및 변실(70)의 상부 공간에 통하여 있는 유출구(72)을 가진 본체(73)와 변실(70)의 상단개구를 폐쇄하고, 또한 밸브스템(65)이 관통되어 있는 밸브덮개(74)를 구비하고 있다. 격실(69)에는 시이트링(75)이 상하 관통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체(73)에는 변실(70)에 연속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의 나사통부(76)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통상의 밸브덮개(74)의 하단측에는 턱(7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턱(77)의 상부측부터 그로브 닛트(78)가 덮혀져서 수나사 통부(77)에 나착되어 있다. 밸브덮개(74)의 상단부에는 소경(小徑) 수나사부(79)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하부에 단부(段部)를 통하여 대경(大徑)수나사부(80)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경 수나사부(80)가 요오크(61)의 저벽에 설치된 나사공(81)에 나착되며, 또한 대경 수나사부(80)에 착설되는 것에 의하여 밸브몸체(64)가 요오크(61)에 체결되어 있다. 밸브덮개(74)의 길이 중간정도에는 격벽(83)이 설치되어 있으며, 밸브덮개(74)내의 격벽(83)의 상부에는 하부로부터 차례로 밸브봉(65)을 포위하여 패킹 시이트(84) 및 패킹(85)이 협착되어 그 상부로부터 턱이 달린 패킹압압구(86)의 하반부가 협착되어 있으며, 또한 그 상부로부터 패킹압압닛트(87)가 덮혀져서 소경 수나사부(79)에 나착되어 있다.
밸브스템(65)의 하단에는 대경부(88)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경부에 하측부터 니들이 부착한 역 원추상 프러그(89)가 나착되어 있다. 프러그(89)의 원추면은 시이트링(75)의 내주면 상연부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대하고 있다.
변환수단(66)은 요오크(61)에 상하 이동자재로 보지되고, 또한 하단에 밸브스템(65)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축(90)과, 솔레노이드(63)의 취부면(91)의 작동축(62)의 주위와 상접하고 있는 정벽(頂壁)(92) 및 수직축(90)의 상단이 상하 이동자재하게 관통하고 있는 저벽(93)을 가진 중공상(中空狀)의 이동체(94)와, 수직축(90)의 상단에 고정되고 또한 이동체(94)의 저벽(93)에 상부부터 계합하여 있는 계합부재(95)와 이동체(94)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그 정벽(92)과 계합부재(95)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내부 압축 코일스프링(96)가 이동체(94)의 외부에 배치되고 또한 이동체(94)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고 있는 외부 압축코일스프링(97)을 구비하고 있다. 요오크(91)의 격벽(98)에는 수직축(90)을 협입한 관통공(99)이 천설되어 있다. 수직축(90)과 밸브스템(65)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수직축(90)의 상단에는 단을 두어 수나사(100)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부재(95)는 원환상을 형성하고 수직축(90)의 상단의 수나사(100)에 협지되어서 단상에 재치되어 있다. 계합부재(95)의 상부부터 수나사(100)에 닛트(101)가 협지되어 계합부재(95)를 착설하고 있다. 이동체(94)의 정벽(92)의 주연부에는 요오크(61)의 내주면에 접동자재되게 협지되고 또한 암나사(102)를 가진 수직상의 하향주벽(103)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저벽(93)의 주연부에는 암나사(102)에 협지된 수나사(104)를 가진 입상주벽(105)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 압축스프링(97)은 수직상의 하향주벽(103) 하단과 격벽(98)의 사이에 협지되고, 또한 입상주벽(105)에 협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63)의 비통전시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함과 같은 프러그(89)의 원추면은 시이트링(75)의 내주면 상연부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대하고 있기 때문에 유입구(71)와 유출구(72)는 연통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63)에 통전하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솔레노이드(63)에 작동축(62)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흡인력이 발생하고, 외부 압축스프링(97)에 대향하여 작동축(62)이 돌출하여 이동체(94) 및 수직축(90)이 밀려 내려진다. 그 결과 수직축(90)에 연속된 밸브스템(65)이 프러그(89)와 동시에 하강하여 프러그(89)가 시이트링(75)에 밀접하고, 유입구(71)와 유출구(72)의 사이가 차단된다.
그후에도 작동축(62)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을 계속하면, 밸브스템(65) 및 수직축(90)은 하강을 할 수 없으나, 내부 압축스프링(96)을 압압하여 눌러 줌으로서 작동축(62)와 동시에 이동체(94)는 하강한다. 그 결과 내부 압축스프링(96)의 압축량에 상당하는 탄력에 의하여 프러그(89)는 시이트링(75)에 밀리게 된다.
제9도 및 제10도는 제어변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제어변은 상기 2개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저면을 갖는 수직원통상의 요오크(111)와, 요오크(111)의 상단에 취부되고, 또한 입력전류의 크기에 흡인력의 크기가 비례하는 것이고, 그 흡인력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측방향의 작동축(112)을 갖는 솔레노이드(113)과, 요오크(111)의 저벽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몸체(114)와 밸브몸체(114)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고, 또한 상부가 밸브몸체(114)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여 요오크(111)내에 삽입하여 있는 밸브스템(115)와 요오크(111)내에 수납되고, 또한 작동축(112)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밸브스템(115)의 변위에 변환하는 변환수단(116)을 포함하고 있다.
요오크(111), 솔레노이드(113) 및 밸브몸체(114)는 어느 것이나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단, 상기 2개의 실시예의 솔레노이드(3)(63)는 어느 것이나 푸쉬타입의 것이었으나, 2실시예의 솔레노이드(113)는 풀타입(pull type)의 것이며, 비통전시에는 작동축(112)을 취부면(117)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요오크(111)내에 삽입시키고 있으나, 통전시에는 흡인력이 작동축(112)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밸브스템(115)의 하단에는 상기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니들이 부착한 역 원추상 프러그(118)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 프러그(118)는 시이트링(119)의 내주면 상연부에 밀접하고 있다.
변환수단(116)은 요오크(111)에 상하 동작자재하게 보지되고, 또한 하단에 밸브스템(115)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축(120)과 수직축(120)의 상단에 고정되고, 또한 솔레노이드(113)의 작동축(112)의 하단에 작동축(112)의 상부 방향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121)와 수직축(120)을 하부방향으로 부착하고 있는 압축스프링(122)을 구비하고 있다.
요오크(111)의 격벽(123)에는 수직축(120)을 협지한 관통공(124)가 천설되어 있다. 격벽(123)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수직축(120)의 외면 하단측으로 수나사(125)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21)는 솔레노이드(113)의 작동축(112)의 하단이 관통하고 있는 정벽(126)을 갖는 통상 수나사부재(127)와 저벽(128)을 가지고, 또한 수나사부재(127)에 나착된 통상 암나사부재(129)로 된다.
솔레노이드(113)의 작동축(112)의 하단에는 정벽(128)에 하부부터 계합하고 있는 계합부재(130)가 닛트(13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저벽(128)에는 하부측 돌출상으로 수나사부(132)가 설치되고 이것이 수직축(120)의 상단에 천설된 나사공(133)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수나사부(132)에는 수직축(120)의 상단에 착설된 체결닛트(134)가 협지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13)측으로의 비통전시에는 제9도에 표시한 상태와 같이 프러그(118)는 시이트링(119)에 밀접하여 유입구(113)와 유출구(136)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솔레노이드(113)에 통전을 하면 솔레노이드(113)에 그 작동축(112)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고 압축스프링(112)에 대항하여 작동축(112)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부재(121)에 의하여 수직축(120)이 인상된다.
그 결과 수직축(120)에 연결된 밸브스템(115)이 프러그(118)와 동시에 상승하여 프러그(118)가 시이트링(119)로부터 이탈되며, 유입구(135)와 유출구(136)가 연통된다.

Claims (7)

  1. 저면을 가진 수직통상의 요오크와, 요오크의 상단에 취부되고, 또한 입력전류의 크기로 흡인력의 크기가 비례하는 것으로, 그 흡인력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향된 작동축을 갖는 솔레노이드와, 요오크의 저벽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몸체와, 밸브몸체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며, 또한 상부가 밸브몸체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여서 요오크내에 입입되어 있는 밸브스템과, 요오크내에 수납되고, 또한 작동축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밸브스템의 변위에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제어변.
  2. 제1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는 푸쉬타입으로서 요오크의 상단개구를 덮고 있는 취부면을 가지며, 또한 통전시에 흡인력이 작동축을 취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요오크내에 삽입시키도록 작동하며, 몸체는 상하단을 개구하고 또한 격벽에 의하여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는 변실과 변실의 하부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와 변실의 상부 공간과 연통하는 유출구를 가진 본체와, 변실의 하단개구를 폐쇄하는 저면 카바와, 변실의 상단개구를 폐쇄하는 밸브스템이 관통되어 있는 밸브덮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격벽에 시이트링이 상하 관통상태로 삽치되고, 밸브스템의 하단이 변실의 상부 공간을 돌파하여 시이트링내에 삽입되며, 밸브스템의 하단에 원추상 프러그가 설치되고 프러그의 원추면은 시이트링의 내주면 하연부에 밀접되어 있으며, 변환수단은 요오크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어서 상단면이 솔레노이드의 취부면의 작동축의 주위와 당접하고 또한 하단은 밸브스템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축과 수직축을 상부 방향으로 부착시켜 있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제어변.
  3. 제2항에 있어서, 요오크의 내부에 이를 상하로 구분 형성하는 격벽이 설치되고 , 격벽에 통상(筒狀) 조정 나사부재가 상하 관통된 상태로 나착됨과 동시에 조정 수나사부재의 상단에 환상의 스프링 시이트가 재치되고, 수직축의 하부는 조정 수나사부재 및 스프링 시이트를 관통하고 있으며, 수직축의 상단에 후렌지가 일체로 설치되고 압축스프링은 후렌지와 스프링 사이에 협지됨과 동시 수직축에 협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변.
  4. 제1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는 푸쉬타입으로서 요오크의 상단개구를 덮고 있는 취부면을 가지고, 또한 통전시에 흡인력의 작동축을 취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요오크내에 삽입시키도록 작동하며, 밸브몸체는 상단을 개구하고 또한 격벽에 의하여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는 변실과 변실의 하부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및 변실의 상부 공간과 연통하는 유출구를 가진 본체와, 변실의 상단개구를 폐쇄하고 밸브스템이 관통하고 있는 밸브덮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격벽에 시이트링이 상하 관통상태로 삽입되고, 밸브스템의 하단에 역 원추상 프러그가 설치되고, 프러그의 원추면은 시이트링의 내주면 상연부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대하고 있으며, 변환수단은 요오크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고 또한 하단은 밸브스템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축과 솔레노이드의 취부면의 작동축의 주위와 당접하여 있는 정벽(頂壁) 및 수직축의 상단이 상하 이동자재하게 관통하는 저벽을 가진 중공상(中空狀)의 이동체와, 수직축의 상단에 고정되고 또한 이동체의 저벽에 상부부터 계합되어 있는 계합부재와, 이동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그 정벽과 계합부재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내부 압축코일 스프링과 이동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또한 이동체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고 있는 외부 압축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제어변.
  5. 제4항에 있어서, 요오크의 내부에 이를 상하로 구분하는 격벽이 설치되고 격벽에는 수직축을 삽입한 관통공이 천설되고, 이동체의 정벽의 주연부에는 요오크의 내주면에 접동자재하게 협착되고 또한 암나사를 가진 수하주벽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저벽의 주연부에는 암나사에 나착된 수나사를 가진 입상(立上) 주벽이 설치되고, 외부 압축스프링은 수하 주벽 하단과 격벽의 사이에 협지되고, 또한 입상 주벽에 협지되어 있는 제어변.
  6. 제1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는 풀 타입으로서 요오크의 상단개구를 덮고 있는 취부면을 가지고, 또한 비통전시에는 작동축을 취부면 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요오크내에 삽입시켜 주고, 통전시에는 흡인력이 작동축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이며, 밸브몸체는 상단을 개구하고 또한 격벽에 의하여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변실과 변실의 하부공간과 연통하는 유입구 및 변실의 상부 공간과 연통하는 유출구를 가진 본체와, 변실이 상단개구를 폐쇄하고 또한 밸브스템이 관통하고 있는 밸브덮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격벽에 시이트링이 상하 관통상태로 삽입되고 밸브스템의 하단에 역 원추상 프러그가 설치되고, 프러그의 원추면은 시이트링의 내주면 상연부에 밀접하고 있으며, 변환수단은 요오크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보지되고, 또한 하단에 밸브스템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축과, 수직축이 상단에 고정되고 또한 솔레노이드의 작동축의 하단에 작동축의 상부 방향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수직축을 하부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고 있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제어변.
  7. 제6항에 있어서, 요오크의 내부에 이를 상하로 구분하고 있는 격벽이 설치되고 격벽에 수직축을 삽입시킨 관통공이 천설되고, 격벽보다 하부 방향의 수직축의 외면하단측으로 나사가 설치되고, 연결부재가 솔레노이드의 작동축의 하단이 관통하고 있는 정벽을 가진 통상의 수나사부재와 저벽을 가지고 또한 수나사부재에 나착된 통상의 암나사부재로 되며, 솔레노이드의 작동축의 하단에 정벽에 하부로부터 계합하여 있는 계합부재가 고정되고, 저벽에 하측 돌출상으로 수나사부가 설치되고 이는 수직축의 상단에 나착되어 있는 제어변.
KR1019850005147A 1984-07-19 1985-07-19 제어변(制御弁) KR890000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1100 1984-07-19
JP59-151100 1984-07-19
JP15110084A JPS6131777A (ja) 1984-07-19 1984-07-19 制御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309A KR860001309A (ko) 1986-02-24
KR890000077B1 true KR890000077B1 (ko) 1989-03-07

Family

ID=1551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147A KR890000077B1 (ko) 1984-07-19 1985-07-19 제어변(制御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45176A (ko)
EP (1) EP0173836B1 (ko)
JP (1) JPS6131777A (ko)
KR (1) KR890000077B1 (ko)
CA (1) CA1277304C (ko)
DE (1) DE3575775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481B1 (ko) * 2011-08-12 2013-06-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밸브패킹 마찰계수 시험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373B2 (en) 1997-12-08 2004-12-07 Capture Business Cards Llc Business card stock with peel off labels, and method
DE102005022710A1 (de) * 2004-07-19 2006-03-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isch ansteuerbares Ventil
US9454158B2 (en) 2013-03-15 2016-09-27 Bhushan Somani Real time diagnostics for flow controller systems and methods
TR201813341T1 (tr) * 2016-03-18 2018-11-21 Forbes Marshall Private Ltd Bir kontrol valfi tertibatı.
US10983538B2 (en) 2017-02-27 2021-04-20 Flow Devices And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low sensor back pressure adjustment for mass flow controller
US11035574B2 (en) * 2019-05-20 2021-06-15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Cooktop having electrically controlled gas flow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4132C (de) * 1949-03-12 1952-11-17 Christian Buerkert Elektromagnetisches Absperrventil
FR1096559A (fr) * 1953-12-21 1955-06-22 Gen Thermique Procedes Brol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électro-vannes
JPS54167429U (ko) * 1978-05-17 1979-11-26
JPS56161306U (ko) * 1980-04-25 1981-12-01
JPS5790476A (en) * 1980-11-21 1982-06-05 Daikin Ind Ltd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type pressure control valve
JPS6119263Y2 (ko) * 1981-04-17 1986-06-10
NL8202471A (nl) * 1981-10-09 1983-05-02 Tylan Corp Met behulp van een solenoide verstelbare kle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481B1 (ko) * 2011-08-12 2013-06-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밸브패킹 마찰계수 시험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31777A (ja) 1986-02-14
JPH0585795B2 (ko) 1993-12-08
EP0173836B1 (en) 1990-01-31
CA1277304C (en) 1990-12-04
DE3575775D1 (de) 1990-03-08
KR860001309A (ko) 1986-02-24
EP0173836A1 (en) 1986-03-12
US4645176A (en) 198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1208A (en) Proportional flow valve
US4971287A (en) Solenoid operated flush valve and flow control adapter valve insert therefor
US4226259A (en) Regulator module
EP0625645B1 (en) Self-regulating hydraulic device
US6073904A (en) Latching coil valve
US5676342A (en) Proportional flow valve with diaphragm pressure member
US2710162A (en) Pressure responsive diaphragm operated valve
US3683962A (en) Valve construction
US4268009A (en) Solenoid valve
US2624542A (en) Valve construction
ES2004526A6 (es) Valvula piloto accionada por solenoide con control de flujo ajustable
EP0116855A2 (en) Control valve
CA2163685A1 (en) Valve controlled by fluid
KR890000077B1 (ko) 제어변(制御弁)
US3765644A (en) Controlled air gap in a solenoid operated valve
US3593738A (en) Electromagnetic injection valve
EP0027437B2 (en) A transducer for electrohydraulic or electropneumatic signal conversion
US3444895A (en) Three-way solenoid valve
US2887546A (en) High pressure, explosion proof, fluid flow controlled electrical switch
US4195811A (en) Electronic valve control means
US4109895A (en) Remote actuated metering valve
US2638927A (en) Fluid actuated valve
US5975488A (en) Lifting magnet arrangement
JPH0611067A (ja) 制御弁
US3006373A (en) Automatic modulating control 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