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360Y1 -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 Google Patents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360Y1
KR880004360Y1 KR2019860021550U KR860021550U KR880004360Y1 KR 880004360 Y1 KR880004360 Y1 KR 880004360Y1 KR 2019860021550 U KR2019860021550 U KR 2019860021550U KR 860021550 U KR860021550 U KR 860021550U KR 880004360 Y1 KR880004360 Y1 KR 880004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belt
buckle
pin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389U (ko
Inventor
김범태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범태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태, 김정배 filed Critical 김범태
Priority to KR2019860021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360Y1/ko
Publication of KR880011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제1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연 상태의 일부절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탈출장치의 주연을 절개한 편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작동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면에서본 사시도.
제5도는 혁대 계착부의 착탈구조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비상탈출시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탈출장치 4 : 버클본체
5 : 계합구 6 : 지정핀
7 : 스프링 4'' : 절곡평면
4' : 계합턱 9 : 계합돌기
8 : 계합요구 15 : 지점핀
14 : 안내돌편 17 : 메탈
16 : 조작간 20 : 작동봉
19 : 분할첨 24, 24', 24'' : 완충돌기
22 : 지지구 27 : 후방돌기
26 : 돌출부 30 : 계합돌편
29 : 지지구 30' : 돌기
30'' : 톱니턱
본 고안은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에 관한 것으로 일상적으로 통상은 혁대로서 사용하면서 화재등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혁대를 맨채로 버클 내부에 수장된 탈출장치를 쉽게 분리하여 탈출장치를 사용하여 걸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할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같은 비상탈출용 혁대가 실용신안공보 85-397호 로서 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은 고정제동판의 굴곡부면과 유동제동판 굴곡부로 강선이 잘 풀리지 못하여 나봉으로 체중에 말려 주여주고 조정 볼트로 하강속도에 따라 유동제동판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작을 하면서 손잡이 끈과 혁대를 잡고 건물로 부터 뛰어 내리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화재와 같은 위급한 시기에 경황이 없을때 이와같은 조작을 하여 뛰어내리기에는 매우 어려운 일로서 특히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조정 볼트를 손으로 비틀어 조정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오히여 추락사할 위험이 있는 것이며 또한 구조가 매우 복잡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비상탈출용 혁대의 결합을 시정하고 안전하게 탈출할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참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혁대(1)내에 탈출용 와이어(2)를 수용하고 와이어(또는 끈)(2)의 풀림이 탈출장치(3)의 제동 기구에 의하여 조정되는 비상탈출 혁대에 있어서 버클 본체(4)의 뒷부분 상단에 계착부(5')가 형성된 계합구(5)를 지점핀(6)으로 지착하고 스프링(7)(7)으로 탄설되며 앞부분 상단에는 계합털(4')가 형성되고 하부면이 절곡 평면(4'')으로 되었으며 상기 계합턱(4')에 계합되는 계합 요구(8)와 상기 계합구(5)와 대응하여 계합케된 계합돌기(9)를 갖이며 후단이 하방 만곡된(10') 뚜껑(10)이 버클 본체(4)에 계착되어 계합구(5)를 버튼(11)으로서 계합을 해탈하여 뚜껑(10)을 분리 가능케 하였으며 버클 본체(4)내에는 탈출 장치(3)가 수용되어 후방에 끈(12)(12)으로 서로 연결하였으며 탈출장치(3)는 양 측면에 장공(13)(13)이 뚫려져 이에는 내측 중간에 안내 돌편(14)이 돌설되고 하단의 지점핀(15)으로 지착된 조작간(16)이 각각 출몰하도록 되었으며 탈출장치(3)의 중심부에는 메탈(17)이 고정되고 이에는 와이어(2)의 관통공(18)이 형성되고 상단에 분할척(19)이 형성된 상광하협의 작동부(20)가 끼워져 하단이 전기 조작간(16)의 안내돌편(14)과 연결끈(21)(21)으로 각기 연결된 지지구(22)간에 스프링(23)으로 탈발케 되었고 상부에는 와이어(2)의 해탈 완충돌기(24)(24')(24'')가 돌착되었으며 버클 본체(4)의 전방 절곡평면(4'')에 구멍(25)이 형성되어 이에는 후방 측면에 장공(27')이 형성된 후방돌기(27)와 이 전방에 돌출부(26)가 형성되어 양측면 중간에 톱니턱(26')이 형성된 지지구(29)가 삽입수용되고 일단의 양측면에 돌기(30') 저면에 톱니턱(30'')이 중앙에 계착돌기(30''')가 형성된 계합편(30)을 전기 지지구(29)와 핀(31)으로 지착되고 전기 지지구(29)의 장공(27')에는 버클본체(4) 간에 관삽된 핀(28)이 스프링(28')과 같이 삽통되어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1'는 혁대공, 32는 와이어끈 (2)의 선단에 부착된 걸이구, 33은 혁대 고정판으로서 나사(34)로 혁대첫단을 고정한다.
또 부호 35는 혁대(1)의 저면에 봉착한 표지로서 이 내부에 와이어(2)를 수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혁대는 통상은 혁대(1)의 끝을 버클본체(4) 저면으로 지지구(29)를 밀어올려 넣어 계합편(30)의 계착돌기(30''')에 혁대 구멍(1')에 끼워 계지한다.
그러나 화재등의 비상시 건물에서 탈출할때는 지지구(29)를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하여 돌출부(26)에 핀(31)으로 지착한 계합편(30)의 톱니턱(30'')과 돌출부(26)의 톱니턱(26')사이에 혁대(1)의 끝단을 밀어 넣어 계합편(30)을 재치면 계합 고정된다. 이러한 조작이 완료된후 버클본체(4)의 후방의 버튼(11)을 눌러 주면 제6도 점선 표시와 같이 계합구(5)가 경사되면서 게착부(5')가 계합돌기(9)에서 해탈됨과 동시에 뚜껑(10)의 만곡부(10')가 버클본체(4)에서 빠지며 버클 전망의 게합턱(4')에 계합된 계합요구(8)에서 빠져 분리되며 내부에 수용된 탈출장치(3)의 탈출와이어(2)의 선단의 걸이구(32)를 이용하여 적당한 걸이봉에 걸어 버클본체(4)의 측면에 노출된 조작간(16)(16)을 잡고 이때 압압하면 조작간(16)의 안내돌편(14)(14)이 끌어 올려지며 연결끈(21)이 당겨올려져 지지구(22)가 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본할척(19)이 해탈되어 와이어(2)를 버클본체(4)와 탈출장치(3)와의 연결끈(12)(12)의 길이만치 인출시킨후 창문등을 통하여 건물을 내려 오게되며 이때 탈출장치(3)의 조작간(16)(16)은 탕상조작치 않을때 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하여 메탈(17)에 분할척(19)이 끼어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2)가 고정된 상태로 됨으로 창문을 나온후 고정된 상태에서 탈출장치(3) 조작간(16)(16)을 잡고 매달림에 따라 척(19)에서 와이어(2)를 서서히 해방하여 내려오며 내려오는 속도는 완충돌기(24)(24')(24'')에형부로 결려 2중으로 완충하면서 안전하게 탈출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재나 비상시 고층 건물이나 높은 지대에서 안전하게 탈출 대피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혁대(1)내에 탈출용 와이어(2)를 수용하고 와이어(또는 끈)(2)의 풀림이 탈출장치(3)의 제동기구에 의하여 조정되는 비상탈출 혁대에 있어서 버클 본체(4)의 뒷부분 상단에 계착부(5')가 형성된 계합구(5)를 지점핀(6)으로 지착하고 스프링(7)(7)으로 탄설되며 앞부분 상단에는 계합털(4')가 형성되고 하부면이 절곡 평면(4'')으로 되었으며 상기 계합턱(4')에 계합되는 계합 요구(8)와 상기 계합구(5)와 대응하여 계합케된 계합돌기(9)를 갖이며 후단이 하방 만곡된(10') 뚜껑(10) 버클본체(4)에 계착되어 계합구(5)를 버튼(11)으로서 계합을 해탈하여 뚜껑(10)을 분리 가능케 하였으며 버클본체(4)내에는 탈출 장치(3)가 수용되어 후방에 끈(12)(12)으로 서로 연결하였으며 탈출장치(3)는 양측면에 장공(13)(13)이 뚫려져 이에는 내측 중간에 안내 돌편(14)이 돌설되고 하단을 지점핀(15)으로 지착된 조작간(16)이 각각 출돌하도록 되였으며 탈출장치(3)의 중심부에는 메탈(17)이 고정되고 이에는 와이어(2)의 관통공(18)이 형성되고 상단에 분할척(19)이 형성된 상광하협의 작동부(20)가 끼워져 하단이 전기 조작간(16)의 안내돌편(14)과 연결끈(21)(21)으로 각기 연결된 지지구(22)간에 스프링(23)으로 탈발케 되었고 상부에는 와이어(2)의 해탈 완충돌기(24)(24')(24'')가 돌착되었으며 버클 본체(4)의 전방 절곡평면(4'')에 구멍(25)이 형성되어 이에는 후방 측면에 장공(27')이 형성된 후방돌기(27)와 이 전방에 돌출부(26)가 형성되어 양측면 중간에 톱니턱(26')이 형성된 지지구(29)가 삽입 수용되고 일단의 양측면에 돌기(30') 저면에 톱니턱(30'')이 중앙에 계착돌기(30''')가 형성된 계합편(30)을 전기 지지구(29)와 핀(31)으로 지착되고 전기 지지구(29)의 장공(27')에는 버클본체(4) 간에 관삽된 핀(28)이 스프링(28')과 같이 삽통되어서된 비상탈출장치를 갖이는 혁대.
KR2019860021550U 1986-12-29 1986-12-29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KR880004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550U KR880004360Y1 (ko) 1986-12-29 1986-12-29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550U KR880004360Y1 (ko) 1986-12-29 1986-12-29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389U KR880011389U (ko) 1988-08-25
KR880004360Y1 true KR880004360Y1 (ko) 1988-12-12

Family

ID=1925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550U KR880004360Y1 (ko) 1986-12-29 1986-12-29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3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389U (ko) 198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316A (en) Tie hanger
JP2001120312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
KR880004360Y1 (ko) 비상탈출 장치를 갖이는 혁대
US3006431A (en) Apparatus connecting the safety belt with the safety appliance
US4684096A (en) Mounting device for helmet
US2499077A (en) Tension catch
KR890005823Y1 (ko) 카세트의 손잡이 장치
US5377390A (en) Adjustable tie chain
JP6480679B2 (ja) 房掛け
CN216795952U (zh) 一种高稳定性苗木根部固定装置
SU619263A1 (ru) Штамп дл рубки канатов
FR2397559A1 (fr) Plaque d'amarrage d'une corde sur cheville expansive
ZA861396B (en) A cable pulley arrangement
JP2781971B1 (ja) 樋支持具
JP2002371712A (ja) 安全ネットの吊下げ具
KR840001352Y1 (ko) 느슨한 강하기
KR840001675Y1 (ko) 벨트 삽입 기구
CA1250766A (en) Orthodontic apparatus
SU855157A1 (ru) Подкос дл временного закреплени и установки в проектное положение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JP2690224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操作ハンドル取り付け構造
KR950000529Y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KR860003442Y1 (ko) 쇠톱용 톱대
KR910003693Y1 (ko) 가방용 고리
JPH0632122Y2 (ja) 避難ロープ装置
KR200157057Y1 (ko) 핸드폰의 벨트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