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321Y1 -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321Y1
KR880004321Y1 KR2019860009163U KR860009163U KR880004321Y1 KR 880004321 Y1 KR880004321 Y1 KR 880004321Y1 KR 2019860009163 U KR2019860009163 U KR 2019860009163U KR 860009163 U KR860009163 U KR 860009163U KR 880004321 Y1 KR880004321 Y1 KR 880004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upport
frame
wheel shaft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694U (ko
Inventor
곽진석
장성구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9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321Y1/ko
Publication of KR8800006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8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incorporating d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mechanical damper or dynamic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완충 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도.
제6도는 종래의 현가 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차륜축 지지체
3, 3' : 조임판 4, 10 : 볼트
5, 5, ' : 판스프링 6 : 상부스프링지지구
7 : 하부스프링 지지구 8 : 스프링
9 : 쇽압쇼오버
본 고안은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정비성이 양호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현가장치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부분 스프링을 이용한 현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을 이용한 현가 장치에 있어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현가 장치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현가장치로서, 이는 차체를 구성하는 프레임(f) 하단부에 용착된 실린더 상체(C1)가, 차륜축지지체(Su)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하체(C2)내에 내삽되어 상하 유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에는 스프링(S)이 탄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상하체(C1)(C2)가 상호 접촉 마찰되는 내외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판(fd)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는 스프링(S)의 상부가 일측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편심방지체(e)와, 스프링(S)역조정을 위한 다수의 조정편(ap) 및 충격 흡수를 좀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연재의 지지체(u)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진동등에 의한 충격흡수를 원만히 발휘할수는 있으나, 구조상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마찰판(fd)의 마모가 심하여 정기적인 교환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매우 번거로운 폐단이 있는 동시에, 구조의 복잡성에 의해 분해 조립시 간단 용이하지 못한 결접이 수반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철도차량에 있어서, 차륜축지지체(Su) 양측에 각각1개의 현가 장치부가 구성된다고 볼때, 1대의 철도차량에는 최소8개의 동일 현가장치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철도 차량은 이루 헤이일수 없이 많다. 따라서, 그많은 현가장치부의 마찰판(fd)을 교환하기 위한 분해 조립, 즉, 정비작업에 있어서, 정비성이 양호치 못한 결점 및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은 현가장치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는 현가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생산성 및 정비성을 증대시킬 수가 있는 한편, 경제적인 절감을 기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에 일측이 차륜축 지지체(2)에 체결된 판스프링(5)(5')의 타단을 조임판(3)(3')에 삽입하여 볼트(4)로 고정시켜 서로 상반되게 결착하는 한편. 차륜축 지지체(2)의 양측에.상부스프링 지지구(6)의 하단을 내경이 큰 하부 스프링 지지구(7)내로 삽입하여 간격을 유지시키고 볼트(10)로 결합시켜 스프링(8)으로 탄지한 완충장치(Q)를 부착하여 프레임(1)을 지지구성하고. 쇽압쇼오버(9)의 상단은 프레임(1)에 고정되고, 하단의 차축지지구(2)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미설명 부호(11)은 차륜이다. 본 고안구조의 작용 및 그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진행중 정지를 하는데 있어서, 제동장치에 의하여 차륜(11)은 정지하게 되는데 반하여 추진력에 의하여 차체는 진행 방향으로 많은 힘을 받게되어 주, 정차시 차체의 슬립현상을 초래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판스프링(5)(5')을 사용하여 프레임(1)과 차륜축 지지체(2)를 견고히 고정시켜 줌으로써 방지되고, 레일의 연결부위를 지날때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전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완충장치(Q)의 하부 스프링 지지구(7)를 상. 하 운동케하여 스프링(8)에 그 진동이나 충격력을 흡수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의 스프링(8)은 진동이 계속되므로 쇽업쇼오버(9)를 부착시켜, 스프링(8)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스프링(8)의 피로를 적게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수도 있어, 제품의 품질향상을 꾀할수 있고, 종래의 복잡한 구성을 간단히 하여 줌으로써, 정비시에 매우 편리한 효과 있는 유용한 고언인 것이다.

Claims (1)

  1. 차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에 일측이 차륜축 지지체(2)에 체결된 판 스프링(5)(5')의 타단을 조임판(3)(3')에 삽입하여 볼트(4)로 고정시켜 상하로 서로 상반되게 결착하는 한편, 차륜축 지지체(2)의 양측에 상부 스프링 지지구(6)의 하단을 내경이 큰 하부 스프링 지지구(7) 내로 삽입하여 간격을 유지시키고 볼트(10)로 결합시켜 스프링(8)으로 탄지한 충격완화 장치(Q)를 부착하여 프레임(1)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쇽압쇼어버(9)의 상단은 프레임(1)에 고정하고, 하단은 차륜축 지지체(2)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의 현가 장치.
KR2019860009163U 1986-06-28 1986-06-28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KR880004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63U KR880004321Y1 (ko) 1986-06-28 1986-06-28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63U KR880004321Y1 (ko) 1986-06-28 1986-06-28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694U KR880000694U (ko) 1988-02-20
KR880004321Y1 true KR880004321Y1 (ko) 1988-12-08

Family

ID=1925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163U KR880004321Y1 (ko) 1986-06-28 1986-06-28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3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860B2 (ja) * 1997-07-17 2004-09-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移動体用衛星通信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694U (ko) 198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262A (en) Railway truck
US2758832A (en) Spring suspension for vehicles
EP0410680B1 (en) An improved vibration dampening suspension device for the cab of a truck vehicle
KR930003069B1 (ko) 철도대차보수용 마찰 슈조립장치 및 보수방법
KR920000773B1 (ko) 철도차량용 현수장치
US3964764A (en) Air spring axle assembly for spring suspension and sway restraining of vehicle chassis
US3913495A (en) Railway car bogie suspension system
MXPA96001815A (en) Frame beaming reduction assembly
KR880004321Y1 (ko) 철도 차량의 현가장치
ATE145597T1 (de) Laufwerk für schienenfahrzeuge
US4091739A (en) Resilient single axle truck
CN109334702A (zh) 轨道车辆用车间减振装置及轨道车辆
EP0775621B1 (de) Schienenfahrzeug mit einem Wagenkasten
DE3402401C2 (ko)
IE51214B1 (en) Bogie with steerable axles
KR100316887B1 (ko) 차량용 현가장치
US3259397A (en) Wheel suspension mounting
KR100492737B1 (ko) 철도차량용 피벗장치
US4715290A (en) Hunting control side bearing
US5255936A (en) Rear suspension assembly
US2578554A (en) Railway passenger car truck
US5338011A (en) Force dampening torque strut for an automobile engine
US2304201A (en) Vehicle truck and suspension system therefor
US2932475A (en) Vehicle air hose support
RU2120873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динам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надежности работающих на сжатие эластичных упругих и упруго-демпфирующих элементов. повод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люлечное подвешивание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поперечной установки надрессорной балки. амортизирующий блок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