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911Y1 -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911Y1
KR880002911Y1 KR2019850005919U KR850005919U KR880002911Y1 KR 880002911 Y1 KR880002911 Y1 KR 880002911Y1 KR 2019850005919 U KR2019850005919 U KR 2019850005919U KR 850005919 U KR850005919 U KR 850005919U KR 880002911 Y1 KR880002911 Y1 KR 880002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s
cylinder
rod shaft
charging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057U (ko
Inventor
조규영
이창무
조건현
이윤섭
홍국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창엔지니어링
조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창엔지니어링, 조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850005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911Y1/ko
Publication of KR860015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2Pneumatic feeding arrangements, i.e. by air bl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24B9/04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in clos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로우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회로의 블록도입.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자형 안내편
3 : 장입실 4, 4' : 앞뒷문
5, 5', 5", 5''' : 로울러 6, 6', 7, 7',16, 16' : 와이어로우프
8 : 연소실 9 : " [ "자형 밀대
9' : 연동간 10 : 격판
11, 11' : 로드축 12, 12' : 통공부
13, 13' : 걸림편 14, 14' : 작동편
15, 15' : 경첩 17, 17' : 고정안내간
18, 18' : 구멍 19, 19' : 호-스,
SW1, SW2, SW3: 마이크로스위치
R, R' : 릴레이 A, B : 솔레노이드
S : 쎈서
본 고안은 횡형 온수 보일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다수개(8개)의 연탄을 연소실로 장입하여 연소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온수 보일러의 연탄자동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 본체 정면에 연탄 장입실을 형성하고 이에 보일러의 앞문과 배면의 뒷문은 보일러 본체의 저면에 구성한 실린더의 로드축과 와이어 로우프로 연결시키고 또한 정면에서 연소실로 연탄을 장입하여 주는 밀대는 다른 실린더에 의한 로드축으로 연동시켜서 이들의 받침판상에서 콤프레셔와 연관된 에어탱크의 에어압력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장입실의 외측 하방에 형성한 통공부에 걸림편과 고정각을 유지한 작동각을 경첩으로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 로우프와 같이 구성된 별도의 와이어 로우프에 의해서 상기 밀대가 장입실의 연탄을 연소실로 장입시켜 줄때는 장입실의 연탄이 잠시 하강되지 않도록 안내 고정간의 구멍을 통한 와이어 로우프의 일단을 작동간에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서 콘트롤박스에 의한 쎈서와 마이크로 스위치 및 솔레노이드, 그리고 릴레이의 제동작으로 인한 상기 실린더에 의해서 2개의 새연탄를 연소실로 장입시켜 줌과 동시에 2개의 연소연탄이 재받이로 배출낙하되도록 자동으로 교체하여 주는 것이다.
종래 실시되어온 연탄의 교체방법은 연탄의 연소상태를 눈으로 확인한 후 새연탄을 인력으로 직접 장입하는 입식(立式)보일러로서 별도구성에 따른 수동방법으로 하부의 연소연탄재를 제거하여 왔다.
특히 이와 같은 입식보일러는 매우 하루 3회 이상 연탄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러움 때문에 가정주부들에게는 대단한 불편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더우기 연탄의 교체시간이 한밤중이거나 또는 지하실과 같은 곳에 설치된 보일러에 있어서는 수면방해와 나쁜 공기로 인해 건강은 물론 인체에도 해로울뿐만 아니라 다른 일에 열중하다 보면 연탄의 교체시간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여 종종 연탄불을 꺼드리는 일이 많았다.
그러므로 근자에 와서는 상기한 결점과 폐단을 다소 나마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자동식 연탄 교체장치"가 국내 실용신안공보(공번 82-662호)로 알려진바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이 갖는 기술상의 구성효과는 연소기에 모우터 및 스프로켓 체인으로 이루워지는 구동장치와 또 화덕과 조작봉 및 추와, 스위치 "ON" 작동부로 구성된 조작장치와, 끌림대 및 스위치 "OFF" 작동부와, 상기 스프로켓체인의 이동에 따라 끌리게 되는 끌림대에 의해 연소기의 앞문이 부착된 장입장치와, 이 장입장치에 일체로 부착된 구멍탄 멈추개 안내판과, 이 안내판의 안내홈에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2개의 구멍탄 멈추개를 갖는 저장장치 등으로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1개의 연탄만을 교체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열 효율이 극히 저조할 뿐만 아니라 연소기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스프로켓 바퀴에 의해 연동되는 조작봉이 전후진하면서 연탄을 밀어넣게되어 있어서 연탄을 교체하는 방법과 구성이 불편하고 더우기 2개의 연탄을 동시에 장입배출 할수 없었기 때문에 높은 열효율을 필요로하는 보일러에는 적합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결점을 시정하여 가정용으로는 물론 산업용으로도 적극 활용할수 있도록 연소실 내부로 항시 8개의 연탄이 장입되어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교체시간에는 자동으로 쎈서에 감지된 열이 마이크로스위치와 릴레이 및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는 구성에 의해 이와 연관된 2개의 실린더가 콤프레셔로 부터 에어탱크로 압축된 압축공기로 인한 로드축의 순차적인 작동에 의해서 보일러의 앞문과 뒷문이 동시에 개방된 2개의 새연탄이 밀대에 밀려 연소실로 장입됨에 따라 2개의 연탄 연소재가 뒷문으로 배출되어 재받이로 낙하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이 끝나면 밀대는 다시 후퇴하고 앞문과 뒷문도 하강하여 모든것이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이와 같은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4초 내에 행하여 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소효율을 증대시켜 가정용 및 산업용에 적합한 온수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연탄의 교체시간에 따라 2개의 새 연탄과 연소된 연탄재를 장입배출시켜 주고저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보일러의 본체 정면에 원형으로 형서한 장입실에 교체시 사용되기 위한 다수개의 새연탄을 미리 장입대기 시켜 둠으로서 교체시마다 일일히 연탄을 운반하는 불편과 번거러움을 제거하는 등의 보다 편리한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온수보일러(1)의 전체외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그 측면도로서 보일러본체(1)의 정면 중앙에자형의 안내편(2)을 두어 구성한 연탄장입실(3)의 하방을 내측으로 꾸부려 만곡시킨 만곡부(3') (3")에 의해 연탄(a…) (a…)이 장입실(3)에 장입되어 있게하고 이 장입실(3)과 사이의 정면에 앞문(4)이 배면의 뒷문(4')과 같이 보일러본체(1)내에 구성한 로울러(5) (5') (5") (5''')에 의한 와이어 로우프(6) (6') (7) (7')로 구성된다.
그리고 장입실(3) 하방의 만곡부(3') (3")로 위치한 연탄(a) (a)을 연소실(8)로 밀어주기 위한 " [ "자형의 밀대(9)가 격판(10)상에 고정된 실린더(C)의 로드축(11)과 연동간(9')으로 연결되며 또 장입실(3)의 외측하방으로 뚫린 통공부(12) (12')에는 고정각을 갖는 걸림편(13) (13')과 작동편(14) (14')을 구성하여 부착한 경첩(15) (15')에 의해서 상기 걸림편(13) (13')이 통공부 (12) (12')을 통해 장입실(3)로 진퇴되도록 작동편(14) (14')에 또 다른 와이어 로우프(16) (16')를 연결하여 로울러(5") (5''')로 안내되도록 만곡부(3') (3")의 저면에 현설시킨 고정안내간(17) (17')의 구멍(18) (18')을 경유하는 와이어로우프(16) (16')의 일단을 역시 격판(10)상에 고정한 또 다른 실린더(C')의 로드축(11')과 연결시켜 구성하는 한편 상기 실린더(C) (C')와 호-스(19) (19')로 연관시킨 콤프레셔(20)와 에어탱크(20')를 받침판(21) 상에 구성하고 이들이 보일러 본체(1)의 저면과 정면 상부에부설된 마이크로 스위치(SW1) (SW2)(SW3)와 릴레이(R) (R') 및 솔레노이드(A) (B)에 대한 쎈서(S)의 감지열로 동작되게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22는 콘트롤박스, 23은 수실, 23'는 연도, 23"는 온수관, 24는 재받이, 24'는 연탄재, 25는 급수관, 25'는 폐수관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소실(8)에는 항시 2열(2列)로 8개의 연탄(a…) (a…)이 들어갈 수 있고 또 장입실(3)에는 중앙에자형의 안내편(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에 각각 4개씩 8개의 새연탄(a…) (a…)을 장입대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연소실(8)의 배면으로 부터 연소하기 시작하는 연탄(…a) (…a)은 정면부로 그 연소 상태가 점차 이동됨에 따라 보일러 본체(1)내에 형성한 수실(23)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하여 온수관(23')으로 가열된 온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때 연소상태의 연소열(200°C)이 열감지 쎈서(S)에 도달하면 본 고안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릴레이(R)이 동작으로 마이크로 스위치(SW1)가 접점되면서 솔레노이드(A)에 의해 에어탱크(20')의 압력이 호스(19')를 통해 실린더(C')의 로드축(11')을 구동시켜 주게된다.
그러므로 이에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6) (6'), (7) (7') 및 (16) (16')는 각기 안내로울러(5) (5') (5") (5''')로 안내되면서 보일러 본체(1)의 앞문(4)과 뒷문(4')을 동시에 개방시켜주게 되며 이때 와이어 로우프(16) (16')에 연결되어 있는 장입실(3)의 외측하방의 작동편(14) (14')도 본 고안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안내간(17) (17')의 구멍(18) (18')을 경유하여 와이어 로우프(16) (16')가 끌리는 방향 즉 점선방향에서 실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경첩(15) (15')으로 구성된 걸림편(13) (13')이 통공부(12) (12')의 안쪽으로 밀려 만곡부(3') (3")에 위치한 연탄(a…) (a…)이 밀대(9)에 밀려서 연소실(8)로 장입되는 동안은 장입실(3)에 대기된 연탄(-a‥) (-a‥)이 하강되지 않도록 머물러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서 앞문(4)이 최대로 상승할때는 이 앞문(4)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SW2)가 접점됨으로해서 릴레이(R')가 동작하면서 솔레노이드(B)에 의한 에어탱크(20')의 압력이 호스(19)를 통해 실린더(C)의 로드축(11)을 구동시키므로 이와 연동간(9')으로 연동되어 있는 " [ "자형의 밀대(9)가 장입실(3)의 하방 만곡부(3') (3")로 장입되어 있는 2개의 연탄(a…) (a…)을 연소실(8)로 밀어 넣어준다.
이때 뒷문(4')으로는 2개의 연소된 연탄재(24')가 재받이(24)로 자동낙하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실린더(C)의 로드축(11)이 최상으로 작동하는 순간 마이크로 스위치(SW3)가 로드축(11)으로 인해 접점되면 " [ "자형의 밀대(9)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실린더(C')에 의한 로드축(11')도 와이어 로우프(6) (6') (7) (7') 및 (16) (16')를 풀어줌으로 해서 앞뒷문(4) (4')은 다시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축(11')이 복귀하는 동작과 같이 걸림편(13) (13')도 연탄(-a‥) (-a‥)으로 부터 해이되어 이에 걸러 있던 연탄(-a‥) (-a‥)이 자연히 장입실(3)의 하방만곡부(3') (3")로 하강함으로서 2개의 새연탄(…a) (…a)을 다시 장입시켜주면 반복하여연탄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정전시에도 콤프레셔(20)에 의해 저장된 에어탱크(20')의 에어압력으로 충분한 작동이 가능하여 가정용으로는 물론 산업용에 매우 적합한 실용성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Claims (1)

  1. 다수개의 연탄을 장입할 수 있는 온수보일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일러 본체(1)의 정면 중앙에자형의 안내편(2)으로 연탄장입실(3)을 마련하여 그 하방에 만곡부(3') (3")을 두고 이 장입실(3)과 사이에 앞문(4)이 정면에, 그리고 뒷문(4')이 배면에서 각기 본체(1) 내부에 설치한 로울러(5) (5') (5") (5''')로 안내작동하는 와이어로우프(6) (6') (7) (7')로 구성하고 이 로우프(6) (6') (7) (7')의 일단을 받침판(21)에서 콤프레셔(20)와 연관된 에어탱크(20')의 압축공기를 호-스(19')로부터 격판(10)상에 구성한 실린더(C')로 공급시켜 작동케하는 실린더(C')의 로드축(11')에 연결하고 또 만곡부(3') (3")에 장입된 연탄과 일치하는 " [ "자형의 밀대(9)는 그 정방에서 연동간(9')에 의해 실린더(C)의 로드축(11)과 연동시켜 주는 한편 상기 장입실 (3)의 외측하방에 뚫린 통공부(12) (12')에 걸림편(13) (13')과 작동편(14) (14')을 경첩(15) (15')으로 설치한 상기 작동편(14) (14')에 고정안내간(17) (17')의 구멍(18) (18')을 경유하는 로드축(11')에 의한 와이어로우프(16) (16')의 타단을 연결하여 작동되도록 보일러 본체(1)의 저면과 정면 상부에 부설된 마이크로 스위치(SW1) (SW2) (SW3)와 릴레이(R) (R') 및 솔레노이드(A) (B)가 연소실(8) 내측벽에 형성한 쎈서(S)의 감지열에 의해서 2개의 연탄을 자동으로 동시에 교체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자동연탄 자동교체장치.
KR2019850005919U 1985-05-21 1985-05-21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KR880002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919U KR880002911Y1 (ko) 1985-05-21 1985-05-21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919U KR880002911Y1 (ko) 1985-05-21 1985-05-21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057U KR860015057U (ko) 1986-12-30
KR880002911Y1 true KR880002911Y1 (ko) 1988-08-13

Family

ID=1924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919U KR880002911Y1 (ko) 1985-05-21 1985-05-21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9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057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911Y1 (ko) 온수 보일러의 연탄 자동 교체장치
KR101361483B1 (ko) 바이오매스 고체연료 보일러
CN210861109U (zh) 一种生活垃圾热解炉
CN201599806U (zh) 垃圾焚烧炉排炉溜槽挡板及破拱装置
CN206989212U (zh) 一种工业废物回收处理用燃烧炉
CN213977563U (zh) 一种制造生物质能用焙烧炉
CN212108440U (zh) 一种节能环保型焚烧炉
CN202092141U (zh) 推灰装置
CN220229214U (zh) 一种具有废渣回收存放结构的钢板壁炉
CN206861536U (zh) 一种垃圾焚烧炉炉排
CN220186798U (zh) 环保无压力锅炉
CN218820412U (zh) 一种固体废物焚烧处理装置
CN211399864U (zh) 一种存储式高燃料采暖炉
CN211925776U (zh) 一种可自动加料的垃圾焚烧炉
CN211424394U (zh) 用于病死猪的焚烧炉
CN212841494U (zh) 一种往复炉排双锅筒过热蒸汽生物质锅炉
CN213272706U (zh) 一种冬季施工采暖装置
CN214581237U (zh) 一种锅炉进料燃烧清渣装置
KR890000463Y1 (ko) 연탄보일러의 연탄자동 교체장치
CN215001704U (zh) 一种多功能燃烧炉具
CN219640288U (zh) 一种固废焚烧炉除尘装置
CN209840113U (zh) 一种生活垃圾焚烧炉推料机
CN214840766U (zh) 一种环保型立式锅炉
CN212108407U (zh) 一种环保节能焚烧炉
KR101155956B1 (ko) 자동 연탄 교체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