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16Y1 - 폐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16Y1
KR880002616Y1 KR2019850015170U KR850015170U KR880002616Y1 KR 880002616 Y1 KR880002616 Y1 KR 880002616Y1 KR 2019850015170 U KR2019850015170 U KR 2019850015170U KR 850015170 U KR850015170 U KR 850015170U KR 880002616 Y1 KR880002616 Y1 KR 880002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impurity
cylinder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386U (ko
Inventor
황인찬
Original Assignee
황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찬 filed Critical 황인찬
Priority to KR2019850015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616Y1/ko
Publication of KR870008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31Dissolved air flotation mac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수처리 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의 일부 측단면도로서, 제1도는 압축 튜브측의 측단면도이고, 제2도는 정화탱크측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튜브 3 : 제트노즐
4 : 압축공기유입관 5 : 정화탱크
6 : 공급관 7 : 폐수유입관
8 :흔합공급관 9 : 외통체
10 : 분배관 11 : 내통체
12 : 정화물통체 13 : 불순물통체
14 : 불순물수거기 14' : 불순물배출관이다.
본 고안은 물과 압축된 공기를 분사시켜서 발생되는 무수한 기포에 의하여 폐수중에 함유된 불순물을 응집부유시켜서 이를 제거하여 정화토록 하는 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폐수장치는 응고제를 투입하여 이 응고제가 폐수중에 함유된 불순물을 응고시켜서 침전조에 장시간에 걸쳐 침전시키고, 이 상부의 정수된 물을 다시 여과장치를 거치게 하므로서 완전히 정화된 물을 얻도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다수개의 침전조를 대형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면적이 크게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고, 페수를 다수개의 침전조에 여러번 거치게 하여야 하므로 그 침전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되어 폐수를 정화하는 시간이 상당히 장시간을 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폐수중에 함유된 불순물을 응집시켜서 기포와 기포사이에 발생되는 표면장력으로 기포사이에 유착되게 하여 이를 부상시켜 제거하므로서 제거과정이 연속적으로 되어 정수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그 설치면적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튜브 상단의 제트노즐 일측 사이에 압축공기 유입관을 접속하고, 상기 압축튜브 하방 일측과 정화탱크 하방사이에 공급관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정화탱크 하방에 폐수유입관을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도록 하여 혼합공급관과 접속 연동시키고, 정화탱크의 외통체 상방에 혼합공급관과 접속된 분배관을 설치한 다음 내통체를 접속하되 이의 상방에 불분물수거기를 설치하고, 이의 불순물 배출관 일측을 정화물 통체 내측의 불순물통체 상방 일측에 위치시켜서 수거된 불순물을 안내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압축튜브 일측의 제트노즐로 공급되는 물에 압축공기를 압측튜브 내부로 혼힙 분사시키면, 공지와 물이 혼합된 미세한 분자 즉, 기포된 상태로 낙하되고, 이 낙하된 기포와 압축공기를 하부의 공급관을 따라 폐수 유입관과 합류시켜서 혼합공급관에 혼합되어 이 선단의 분배관으로 정화탱크 내부의 수중에 토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폐수는 미리 응고제를 투입하여 폐수중의 불순물을 응고시킨다.
따라서, 정화탱크 내부의 폐수는 이에 함유된 불순물이 응고되어 물과 불순물이 분리된 상태로 공존하고, 이에 토출된 기포와 압축공기는 새로운 기포룰 무수히 형성하면서 그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폐수 상면으로 부상하게 되는데, 이때 기포는 그들 사이에 표면장력을 발생하여 상오 응집하려는 힘을 발생하기 때문에 기포와 기포사이에 응고된 불순물이 유착되면서 기포와 함께 폐수 상면으로 부상되어 이를 정화탱크 상방의 불순물수거기로 수거하여 외부로 제거시키고, 이때 폐수하부는 정수가 되어서 외통체에서 내통체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물이 적정수위에 도달하면 정화물통체로 유출낙하하게 되어서 이 정화물 통체의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폐수를 정화시키거나, 이를 공업용수 등으로 재사용 또는 외부로 방출시키고, 일부는 압축튜브 측으로 공급하여 재순환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그 장치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므로서 지하수를 정화하여 공업용수로 이용한다거나, 각종 공장의 폐수정화 및 하수폐수정화 등에 유용하게 이용되어 환경오염방지 및 공업용수 이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튜브(1) 일측방에 콤프레셔(2)와 접속된 압축공기공급관(15)(15')을 복수개 접속시키고 타측방에 분사공(3')을 갖으며 물공급관(20)이 접속된 제트노즐(3)을 약간 상단부측으로 설치하되, 압축튜브(1) 상단과 제트노즐(3) 일측사이에 압축공기유입관(4)을 접속하고, 압축튜브(1) 하방 일측에 공급관(6)을 접속시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탱크(5) 하방에 설치된 응고제 유입관(7') 및 폐수유입관(7)과 연통되도록 하여, 이를 혼합공급관(8)으로 접속시켜서 이 선단을 정화탱크(5)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분배관(10)으로 분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화탱크(5)는 외통체(9)로 하여 내부에 내통체(11)를 설치하여 이 일측 하방에 정화물 공급관(11')을 접속하고, 상기 내통체(11) 내부로 정화물통체(12)를 내설하여 이 일측하방에 정수배출구(12')를 연결함과 동시에 정화물통체(12) 내측으로 불순물통체(13)를 설치하며, 이의 상방 일측에 불순물 수거 배출관(14')을 위치시키고, 불순물통체(13) 하방에 불순물 배출관(13')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불순물 수거배출관(14') 일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동수거체가 설치된 불순물유입구(14")를 갖는 불순물수거기(14)를 모터(도시안됨)로 작동되게 설치하여, 정화탱크(5)의 외통체(9) 상방에 부상된 불순물을 수거하도록 하고, 이 수거된 불순물을 불순물 배출관(14')을 통하여 상기 불순물 통체(13)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4'는 제트노즐(3)과 안전밸브(19) 사이에 설치된 밸브이고, 16은 압력조정기, 16'는 압력게이지, 17은 공기조절밸브, 18은 압축공기조절벨브로서 안전밸브(19)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18'는 압축공기 조절밸브(18)에 연결된 호스이다.
21은 모터, 22는 모터(21)에 연결된 펌프, 23은 밸브, 24는 펌프(22)에 접속된 물유입관으로 정화탱크(5)측의 정화물통체(12) 하방의 정수배출구(12')의 적정위치에 접속하여, 배출되는 물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되어있고, 25는 공급관(6)의 임의 위치에 설치된 공급량 조절밸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정화탱크(5)에서 정수된 물의 일부를 물유입관(24)으로 공급받아서 펌프(22)로 펌핑하여 물공급관(20)을 통하여 압축튜브(1) 일측에 설치된 제트노즐(3)로 공급시킨다.
그리고, 공기를 콤프레셔(2)로 압축하여 압축공기 공급관(15)(15')을 통하여 압축튜브(1) 내부로 공급시키는 한편, 이 압축공기가 압축튜브(1) 상부의 압축공기 유입관(4)을 통하여 제트노즐(3) 후방으로 공급되어 이미 제트노즐(3) 후방으로 공급된 물과 함께 선단의 분사공(3')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압축공기와 물이 혼합된 미세한 분자 즉, 기포된 상태로 압축튜브(1) 하방으로 낙하된다.
이어서 기포와 압축공기가 혼합된 물은 압축튜브(1) 하방일측의 공급관(6)으로 유입되어 압축튜브(1) 일측의 정화탱크(5)의 화방의 폐수 유입관(7)으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폐수처리하고자 하는 폐수는 폐수유입관(7)으로 공급되고 응고제유입관(7')으로 응고제가 투입되어 이에 기포와 압축공기가 혼합된 물과 함께 혼합공급관(8)을 통하여 정화탱크(5)의 내통체(9)에 담겨지게 된다.
따라서, 압축튜브(1) 측에서 공급된 기포와 압축공기가 혼합되어진 물이 혼합공급관(8)을 통하여 선단의 다수개의 분배관(10)으로 수중에 토출되어 지는데, 토출될 때 폐수속에서 무수한 기포들이 발생되어 이 기포들이 표면장력을 일으켜 상호 응집하려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폐수중에 이미 응고된 불순물을 상기 기포와 기포사이에 유착시켜 폐수상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폐수상면에 부상된 불순물은 외통체(9) 상방에 설치된 불순물수거(14)의 불순물유입구(14")를 통하여 별도의 모터로서 구동되는 회동수거체(도시안됨)에 수집되어 일측의 불순물배출관(14')으로 배출시키게 되고, 이 배출되는 불순물은 배출관(14') 하방의 불순물통체(13)에 낙하되어 이에 접속된배출관(13')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폐수상면으로 부상되어 불순물이 수거된 외통체(9) 하붕의 물은 깨끗하게 정화되어서 이 정화된 물은 내통체(11) 하부에 접속된 정화물공급관(11')으로 유입되어 내통체(11)에 차제되고, 어느 정도 물이 유입되어 차게 되면 내통체(11) 내측의 정화물통체(12)상부로 흘러내려서 하부의 정수배출구(12')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정수된 물은 배출구(12')로 배출되어 공업용수로 재사용되거나 하수로 방출하게 되고, 일부는 전술한 압축튜브(1) 측의 펌프(22)에 연결되어 있는 물유입관(24)으로 공급되어서 연속적인 재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물과 압축공기를 분산시켜 기포를 발생케하여 이를 폐수속에 토출시키므로서 기포와 기포사이에 불순물을 유착하여 부상시켜서 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지하수를 정화하여 공업용수로 이용한다거나, 공장에서 폐수를 정화하는 경우 및 하수폐수를 정화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되어, 간단한 구조로서 환경오염방지 및 공업용수 이용에 크기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수반되는 것이다.

Claims (1)

  1. 압축튜브(1) 상단과 제트노즐(3) 일측사이에 압축공기유입관(4)을 접속하고, 상기 압축튜브(1) 하방일측과 정화탱크(5) 하방사이에 공급관(6)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정화탱크(5) 하방에 폐수유입관(7)을 상기 공급관(6)과 연통되도록 하여 혼합공급관(8)과 접속연통시키고, 정화탱크(5)의 외통체(9) 상방에 혼합공급관(8)과 접속된 분배관(10)을 설치한 다음 내통체(11)를 접속하되 이의 상방에 불순물수거기(14)를 설치하고, 이의 불순물배출관(14') 일측을 정화물통체(12) 내측의 불순물통체(13) 상방 일측에 위치시켜서 수거된 불순물을 안내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KR2019850015170U 1985-11-19 1985-11-19 폐수처리 장치 KR880002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170U KR880002616Y1 (ko) 1985-11-19 1985-11-19 폐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170U KR880002616Y1 (ko) 1985-11-19 1985-11-19 폐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386U KR870008386U (ko) 1987-06-11
KR880002616Y1 true KR880002616Y1 (ko) 1988-07-15

Family

ID=7028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170U KR880002616Y1 (ko) 1985-11-19 1985-11-19 폐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6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386U (ko) 198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8305A (en) Waste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160029272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20140032661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60032067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880002616Y1 (ko) 폐수처리 장치
KR20000000201A (ko) 이동식 수질 정화장치
DE3865995D1 (de) Fahrbare vorrichtung zum absaugen von schaedlichen fluessigkeiten.
KR100761457B1 (ko) 침전장치
KR940002443Y1 (ko) 사용용수를 집수, 정화처리하여 재사용 가능케한 용수의 리싸이클 장치
CN2180334Y (zh) 气体自吸循环射流式浮选机
KR200292147Y1 (ko) 연속세척식 여과기의 여재세정장치
SU13035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SU952754A1 (ru) Аппарат дл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загр зненных жидкостей
KR200188553Y1 (ko) 센드세퍼레이트장치
KR200313476Y1 (ko) 오ㆍ폐수 처리장치
CN220285727U (zh) 一种多元配注装置
SU874649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01746358U (zh) 污水高效除油分离装置
CN200985284Y (zh) 快速絮凝反应气浮装置
RU2356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KR920005416Y1 (ko) 정수장치
SU81274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ВОд
RU183322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SU175979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SU1082767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