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476Y1 - 오ㆍ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ㆍ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476Y1
KR200313476Y1 KR20-2003-0003986U KR20030003986U KR200313476Y1 KR 200313476 Y1 KR200313476 Y1 KR 200313476Y1 KR 20030003986 U KR20030003986 U KR 20030003986U KR 200313476 Y1 KR200313476 Y1 KR 200313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ter
outlet
reaction tower
inlet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근
정현규
이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고
정현규
한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고, 정현규, 한상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고
Priority to KR20-2003-0003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오ㆍ폐수 처리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상단 및 하단은 밀폐된 세로로 긴 관형의 반응탑과; 반응탑 내로 오ㆍ폐수를 공급하는 오ㆍ폐수 공급장치와; 반응탑으로 유입된 오ㆍ폐수를 반응탑 외부로 펌핑하는 펌프와; 펌프의 토출구측에 설치되는 필터링 장치와; 어느 하나의 유입구는 필터링장치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오존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인젝터와; 유출구는 오ㆍ폐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구는 인젝터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오존 혼합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지 펌프에 의한 오ㆍ폐수의 순환만으로 거품을 발생시키므로 종래의 가압부상장치에 사용되는 컴프레셔 등이 필요 없게 되어 설비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며, 용이하게 운용할 수 있고, 펌프에 의한 순환 통로에 오존을 분사함으로써 거품이 더욱 많이 발생되고 오ㆍ폐수와 오존이 자연스럽게 혼합됨으로써 오염원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오ㆍ폐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and wastewater}
본 고안은 오ㆍ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압부상장치의 기능과 오존 발생장치의 기능이 결합된 오ㆍ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자상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오ㆍ폐수는 여과법, 필더프레스에 의한 압착법 및 기포분산에 의한 가압부상분리법 등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압부상분리법은 오염물질을 거품 형태로 부상시켜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다른 방식에 비하여 처리율이 양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등의 장점이 있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오ㆍ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종래의 가압부상장치는 면적은 넓지만 높이는 낮은 형태로 이루어져 거품 형태의 많은 오염물질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어렵고, 컴프레셔(compressor) 등과 같은 압축공기 발생장치가 부착되어 설비의 규모가 커지게 되며, 설치시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가동을 위해서는 전문가가 있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오ㆍ폐수의 유기물 및 악취 제거를 위하여 오존이 이용된다. 그런데, 오ㆍ폐수에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오ㆍ폐수 처리장치의 부피를 더 크게 하고, 오ㆍ폐수를 처리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의 가압부상장치와 오존 발생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오ㆍ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ㆍ폐수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반응탑 110 : 거품 배출구
120 : 처리수 배출구 130 : 오ㆍ폐수 유입구
140 : 슬러지배출구 200 : 오ㆍ폐수 공급장치
300 : 펌프 400 : 필터링 장치
500 : 인젝터 600 : 오존 공급장치
700 : 오존 혼합조 800 : 고ㆍ액분리 배관
810 : 처리수 유출구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ㆍ폐수 처리장치는: 상단 및 하단은 밀폐된 세로로 긴 관형으로, 상측에는 거품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거품 배출구와 상기 처리수 배출구 사이에는 오ㆍ폐수 유입구가 형성되는 반응탑과; 상기 오ㆍ폐수 유입구와 배관으로 연결되는 오ㆍ폐수 공급장치와; 상기 반응탑으로 유입된 오ㆍ폐수를 상기 반응탑 외부로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측에 설치되는 필터링 장치와; 하나의 유출구와 두 개의 유입구가 있으며, 상기 유입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유입구는 상기 필터링장치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오존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인젝터와; 유출구는 상기 오ㆍ폐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구는 상기 인젝터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오존 혼합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ㆍ폐수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ㆍ폐수 처리장치는 반응탑(100), 오ㆍ폐수 공급장치(200), 펌프(300), 필터링 장치(400), 인젝터(500), 오존 공급장치(600) 및 오존 혼합조(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배관으로 연결된다.
반응탑(100)은, 상단 및 하단은 밀폐된 세로로 긴 관형으로, 상측에는 거품 배출구(11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처리수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거품 배출구(110)와 처리수 배출구(120) 사이의 높이에는 오ㆍ폐수 유입구(130)가 형성된다.
오ㆍ폐수 공급장치(200), 예컨대 펌프는 반응탑(100)의 오ㆍ폐수 유입구(130)와 연결되어 반응탑(100) 내로 오ㆍ폐수를 공급한다.
펌프(300)는 반응탑(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반응탑(100) 내로 유입된 오ㆍ폐수를 반응탑(100) 외부로 펌핑한다.
필터링 장치(400)는 펌프(300)의 토출구측에 설치되어, 펌프(300)로부터 펌핑된 오ㆍ폐수를 유입받아 비중 또는 부피가 큰 오염원들을 필터링하고 유출시킨다.
인젝터(500)는 오존 공급장치(60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과 필터링 장치(400)를 거친 오ㆍ폐수를 각각 유입 받아 오존 혼합조(700)쪽으로 분사한다. 따라서, 인젝터(500)에는 오존 혼합조(700)와 연결되는 하나의 유출구와 오존 공급장치(600) 및 필터링 장치(400)와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유입구가 있다.
오존 혼합조(700)의 유출구는 반응탑(100)의 오ㆍ폐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구는 인젝터(500)의 유출구와 연결된다. 따라서, 오존 혼합조(700)에 유입된 오ㆍ폐수와 오존은 오존 혼합조(700)에서 충분히 혼합된다. 오존 혼합조(700)는 오ㆍ폐수 공급장치(200)와 오ㆍ폐수 유입구(130)를 연결하는 배관과 연결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반응탑(100)에 유입된 오ㆍ폐수는 펌프(300)에 의한 순환과정을 거치면서 오ㆍ폐수에는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고 오염원들이 제거되며, 오존과 접촉되게 된다. 즉, 오ㆍ폐수 공급장치(200)에 의하여 반응탑(100)에 유입된 오ㆍ폐수가 펌프(300)에 의하여 반응탑(100) 외부로 펌핑되면, 펌핑된 오ㆍ폐수에 포함된 오염원 중에서 비중 또는 부피가 큰 오염원들은 필터링 장치(400)에서 필터링되고, 오ㆍ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은 인젝터(500)에서 분사된 오존에 의하여 분해되며, 기타의 오염원은 거품에 부착된 상태로 거품과 함께 부상하게 되어 거품 배출구(11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오염원들이 제거된 처리수는 반응탑(100)의 처리수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반응탑(100)의 처리수 배출구(120)에는 고액분리 배관(800)이 더 설치된다. 이 경우에 고ㆍ액분리 배관(800)의 유출구(810)의 위치가 거품 배출구(110)와 오ㆍ폐수 유입구(130) 사이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처리수에 포함된 침전된 오염원들이 처리수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반응탑(100)의 하측에는 침전물들을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출구(140)가 더 마련되어도 좋다.
상술한 본 고안의 오ㆍ폐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단지 펌프에 의한 오ㆍ폐수의 순환만으로 거품을 발생시키므로 종래의 가압부상장치에 사용되는 컴프레셔 등이 필요없게 되어 설비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며, 용이하게 운용할 수 있다.
나아가, 펌프에 의한 순환 통로에 오존을 분사함으로써 거품이 더욱 많이 발생되고, 오ㆍ폐수와 오존이 자연스럽게 혼합됨으로써 오염원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

  1. 상단 및 하단은 밀폐된 세로로 긴 관형으로, 상측에는 거품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거품 배출구와 상기 처리수 배출구 사이에는 오ㆍ폐수 유입구가 형성되는 반응탑과;
    상기 오ㆍ폐수 유입구와 배관으로 연결되는 오ㆍ폐수 공급장치와;
    상기 반응탑으로 유입된 오ㆍ폐수를 상기 반응탑 외부로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측에 설치되는 필터링 장치와;
    하나의 유출구와 두 개의 유입구가 있으며, 상기 유입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유입구는 상기 필터링장치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오존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인젝터와;
    유출구는 상기 오ㆍ폐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구는 상기 인젝터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오존 혼합조가 구비되는 오ㆍ폐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유입구는 상기 반응탑의 상기 처리수 배출구와 연결되고, 유출구는 상기 거품 배출구와 상기 오ㆍ폐수 유입구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고ㆍ액분리 배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ㆍ폐수 처리장치.
KR20-2003-0003986U 2003-02-11 2003-02-11 오ㆍ폐수 처리장치 KR200313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986U KR200313476Y1 (ko) 2003-02-11 2003-02-11 오ㆍ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986U KR200313476Y1 (ko) 2003-02-11 2003-02-11 오ㆍ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476Y1 true KR200313476Y1 (ko) 2003-05-16

Family

ID=4940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986U KR200313476Y1 (ko) 2003-02-11 2003-02-11 오ㆍ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4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893B1 (en) Gas/liquid mixer with degasifier
KR101134099B1 (ko) 잉여공기를 재이용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와 침지식 막여과 장치의 일체형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220539B1 (ko) 수처리장치
KR100262730B1 (ko) 축산 폐수 처리 시스템
KR20010056230A (ko) 일체식 타워형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71047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313476Y1 (ko) 오ㆍ폐수 처리장치
KR200396223Y1 (ko) 가압부상조
KR200390937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50058765A (ko) 오존접촉식 가압부상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오폐수처리방법
RU2524601C1 (ru) Установка безреагентной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JP2014094322A (ja) 多段階の有機廃水処理システム
JP3181523B2 (ja) 汚水浄化装置
KR100763463B1 (ko) 경사판이 결합된 오존소독 및 부상분리 일체형 이중 원통형반응조
KR100302017B1 (ko) 일반폐수처리시스템
JP3238842U (ja) 水処理装置
CN211896223U (zh) 氧化气浮一体机
KR100457687B1 (ko) 공기를 이용한 활성오니정화시설의 처리수인출방법 및 그장치
KR200494191Y1 (ko) 수처리장치의 기포발생기
KR100302016B1 (ko) 폐수 처리 시스템
RU211406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JP6405411B2 (ja) 高濃度有機廃水の処理方法、及び該高濃度有機廃水の処理システム
KR100224323B1 (ko) 수용성 폐수처리장치
KR200287702Y1 (ko) 공기를 이용한 활성오니정화시설의 처리수 배출장치
JP3794589B1 (ja) 汚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