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256B1 - 조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조력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256B1
KR880002256B1 KR8202954A KR820002954A KR880002256B1 KR 880002256 B1 KR880002256 B1 KR 880002256B1 KR 8202954 A KR8202954 A KR 8202954A KR 820002954 A KR820002954 A KR 820002954A KR 880002256 B1 KR880002256 B1 KR 88000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water
sea
reservoir
aber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740A (ko
Inventor
김세환
Original Assignee
김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환 filed Critical 김세환
Priority to KR820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256B1/ko
Publication of KR84000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력 발전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한 예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낙차수차와 발전수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낙차수차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타실시 요부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에서 일부를 절개한 배면사시도.
제 7 도는 제 5 도에서 일부를 절개한 골조정면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수량조절장치 확대 사시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평면 예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낙차지에 설치된 자동배수문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저수지에 설치된 입수문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수지 2,2a,2b : 땜
3 : 자동입수문 4 : 낙차지
5 : 발전소 6 : 자동배수문
7 : 자동수량조절장치 19 : 낙차수차
20 : 발전수차 29 : 안내부
30 : 수문 33 : 망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해안에 설치하여 만조시 방대한 량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저수지에 저장한 후 이 저장된 해수를 다음 만조시까지 낙차지로 낙차시키면서 발전수차를 회동시켜 발전에 필요한 막대한 동력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 조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조력발전장치는 조수간만의 차이가(약 7-9M정도)가 심한 해안에 해수를 저장할 수 있는 땜등을 건설하거나 부조등을 설치한 후 해수의 낙차 조수의 유속(流涑), 수위등을 이용하여 발전을 위한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이바, 이는 비교적 공사비는 막대하나 일잔 설치만 해놓으면 타발전장치에 비해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고 전력을 안정되게 반영구적으로 얻을 수 있어 여러 선진국에서 현재 연구시되고 있는 것으로, 현재 조력발전장치는 공사비에 반해 전력의 발전량이 미비하여 경제성이 희박한 상태이고, 특히 조수의 주기적인 간만에 의하여 균일한 동력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교적 저렴한 공사비를 투자하여 만조시 방대한 해수를 효과적으로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만조시 및 간조시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많은 전력을 균일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함이 조력발전장치를 실용화하는데 시급한 문제이며, 특히 자원이 풍부하지 못한 국내의 실정에 미루어보아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서해안 일대를 활용하여 막대한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이 내국경제의 안정을 기하고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기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조력발전장치에 관하여 많은 고안이 안출된 바가 있으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던 것으로, 즉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해안에 땜을 건설하고 바다와 연한 땜의 일정위치에 스크류형식의 발전터빈을 설치하여 만조시 저장된 해수를 상기 발전터빈을 통하게 함으로써 발전을 얻을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는 간조시에는 저수지내의 수위와 바다의 수위차가 있어 발전이 가능하나, 상기 수위가 같아지는 만조시에는 발전이 불가능하였으며, 실제 발전터빈에 의한 발전량 또한 미비하였다.
또한 바다와 연한 땜에 2중으로 발전터빈을 설치하여 간조시에는 저수지로부터 바다로 배출되는 해수를 이용하여 한발전터빈을 회동하도록 하여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만조시에는 바다로부터 저수지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다른 발전터빈을 회동토록 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된 것도 있으나, 이 역시 간만에 의해 저수지와 바다의 수위가 비슷해지면 양터빈의 동작이 미비하여 연속적이고 균일한 전력을 얻을 수 없으며 이 또한 발전량이 미비하였다.
또다른 고안으로 국내특허공보 80-1714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한 구조와는 달리 해안에 땜에 의한 저수지를 건설하는 것이 아니고 해안의 일정위치(예컨대 절벽 같은 곳)에 제방을 구축한 후 바다측에는 부조를 설치하고 이 부조와 레버로 연결된 해변측에는 실린더를 설치하여 만조시 부상된 부조내에 간조가 되기전까지 별도의구조로서 부조의 밸브를 개방시켜 그 부조내에 해수를 유입되게한 후 간조시 부조가 해수의 무게에 의해 하강되게 함과 동시에 실린더내에는 압축가능한 유체를 유입시켜 주거나 피스톤에 의해 압압시켜 주며, 이때 부조내의 해수는 별도의 타밸브에 의해 배출시켜 부력을 다시 부여하므로 다음 만조가 될 때 부조및 실린더간에 설치된 레버에 의해 실런더내의 유체가 압축되어 실린더 저부의 노즐을 통해 강력히 분사되게 하거나 피스톤이 상승되게 한 것으로 이는 교호하게 실린더를 작용시켜 연속적으로 발전용터빈을 돌려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이역시 간만의 차이를 이용한다 하나 구조상 큰 동력을 얻을 수 없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하거나 심하지 않음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차이가 나므로 효과적인 발전효율을 기대할 수 없었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발명의 결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즉, 발전소의 양측에 땜을 건설하여 저수지와 낙차지를 구비하되, 이 저수지와 낙차지를 일정높이(예컨대 만조시 수위와 간조시 수위간의 차이인 7-9M정도)의 차이를 두고 각각 구분설치하여 만조시에는 일시에 방대한 량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저수지내로 유입 저장케하고 그 저장된 해수를 발전소의 저수지측의 수량조절장치에 의해 낙차수차로 일정량의 해수를 공급케하며, 공급된 해수를 낙차 수차에서도 일정량씩 모아 일정높이의 차이가 있는 저부의 발전수차에 낙하시켜 주므로 균일한 그 낙하력과 낙차수량에 의해 발전수차를 강력한 힘으로 균일하게 회동케하므로 막대한 동력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발전수차를 통과한 해수는 수위가 간조시와 같은 낙차지로 떨어지게 한후 어느 정도 그 수위가 올라갈경우 다음 간조시 자동으로 배출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 1 도는 한지역을 선정하여 본 발명을 설치한 한 실시예시도로서, 1은 바다와 인점한 땜(2)에 자동 입수문(3)을 적당개수 설치한 저수지인데, 이 저수지(1)의 수위는 만조수위인 7-9M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위가 간조수위정도를 유지케한 낙차지(4)와 저수지(1)간에 땜(2a)에는 여러 단위의 발전소(5)가 설치되어 있고 낙차지(4)의 바다와 인접한 땜(2b)에는 자동배수문(6)이 다수 장설되어 있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발전소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7은 발전소(5)의 저수지(1)측에 설치한 수량조절장치인데, 이 수량조절장치(7)는 제 8 도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판(8)의 내면에 고착한 2개의 지지간(9)(9a)선단측부가 발전소(5)의 양측벽(10)에 회동자재하게 축설되어 있으며, 조절판(8)의 표면은 발전소(5)의 해수 입구측에 돌설된 수중뚝(11)의 만곡면(12)에 밀접되어 있다.
또한 지지간(9)(9a)과 조절판(8)의 연접된 부위에는 조절나봉(13)(13a)의 하단이 회동자재하게 축설되어 있고 조절나봉(13)(13a) 상부측에는 승강조절관(16)(16a)이 나합되어 있는데, 이 승강조절관(16)(16a)에는 부조(14)와 일체로 된 연결된(15)(15a)의 선단부가 연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17,17a는 부조(14) 양측바닥면에 돌출된 돌출관인데 그 내에는 저면부와 연통되어 있어 저수지(1)지면에 요지부동하게 고착된 안내봉(18)(18a)이 삽입되어 있어 저수지(1)내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안내봉(18)(18a)의 안내를 받으며 부조(14)가 수직상승 또는 수직 하강케되므로 자연히 부조(14)의 연결간(15)(15a)과 연통된 조절판(8)로 승강하게 되어 그 변화된 수위에 따라 수중뚝(11)의 만곡면(12)과 밀접된 상태로 승강하게 되므로 항상 저수지(1)의 수위(또는 부조(14)의 저면)와 조절판(8)의 상면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케되어 발전소(5)내에서는 항상 일정한 량의 해수만 유입토록되어 있다.
19는 수량조절장치(7)로부터 수량이 조절되어 균일하게 유입된 해수를 공급받아 일정량씩 모아 저부의 발전수차(20)에 낙하시켜 주도록 된 낙차수차인데, 이 낙차수차(19)는 발전수(1)의 중간부분인 해수낙차위치 직상의 양측벽(10)에 축설되어 있으며, 또한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축(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구획판(22)이 다수 장설되어 있는데, 이 구획판(22)의 위치가 각간격판(23)을 사이에 두고 교호하게 되어 있어 수량조절장치(7)로부터 공급된 일정량의 해수가 순차적으로 각 구획판(22)사이로 유입되어 일정량 량의 해수를 연속적으로 발전수차(20)에 낙하시켜 주도록 된 것으로서 이 낙차수차(19)의 구획판(22)내측으로는 통기공(24)이 천공되어 있고 이 통기공(24)에는 덮개(25)가 축설되어 있으며 별도의 받침형(26)에 의해 더 이상 벌어짐이 방지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는 해수받침판(27)이 축설되어 있고 이 역시 받침종간(28)에 의해 내측으로 오물어짐을 방지토록 되어 있으며, 이 해수받침판(27)과 대응진 위치에 안내부(29)가 설치되어 있어 해수를 공급한후 낙차수차(19)의 회동에 따라 순식간에 해수받침판(27)이 벌어져 해수를 하부로 낙하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낙차수차(19)는 공급되는 해수의 유입력에 의해 회동토록 되어 있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시도인데, 타구성은 본 발명과 동일하거나 낙차수차(19)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수압에 의하여 발전수차(20)를 회동케하여 발전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0은 수량조절장치(7)로부터 공급된 해수를 일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수문인데, 이는 낙차수차(19)나 발전수차(20)를 설치하거나 수리등을 하기 위해 저수지(1)의 해수가 발전소(5)에 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31,31a은 해수의 안내누두면으로서 발전수차(20)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어 있어 수압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32는 발전수차(20)를 설치시킬 수 있도록 발전수차(20)의 축을 재치시키는 베어링이다.
제 9 도는 수량조절장치의 평면예시도인데, 33은 저수지(1)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중의 불순물(예컨대 잡목이나 기타 오물)이 발전소(5)내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망이다.
제10도 및 제11도는 낙차지와 저수지에 설치된 자동배수문과 자동입수문을 나타낸 것으로, 자동배수문(6)에는 개폐판(34)을 내부 뒷쪽에 설치하여 간조시 낙차지의 수위보다 바다의 수위가 낮게되면 자동으로 점선과 같이 열리게 하고 만조시 반대로 바다의 수위가 낙차지(4)의 수면보다 높게되면 해수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 있으며, 자동입수문(3)에는 개폐판(34)이 내부앞쪽에 설치되어 있어 저수지의 수위보다 바다의 수위가 낮게되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 있고, 반대로 저수지의 수위가 바다의 수위보다 낮게 되면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공지의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설치하려면 우선 조수간만의 차이가 약 7-9M정도 되는 해안으로 간조시 노출된 저면에 땜(2)(2a)(2b)을 건설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발전소(5)의 발전수차(20)위치는 노출된 저면중 경사진 부위에 해야만 공사비를 절감하면서 효율적으로 해수를 유입 및 배수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조력발전장치를 설치한 한 예로서, 간조시 노출지역에 땜(2)(2b)을 건설하고 각각 바다와 연한 부분에는 다수의 해수 자동입수문(3)과 자동매수문(6)을 각각 설치하고, 땜(2)(2b)의 사이에는 격리땜(2a)을 구축하여 저수지(1)와 낙차지(4)를 구분되게 하며 상기 격리땜(2a)에 발전소(5)를 설치한 것으로, 만조시 땜(2)의 자동입수문(3)을 통해 해수가 자동입수되어 저수지(1)의 수위가 만조수위와 동일해진후 다시 바다의 수위가 저수지(1)의 수위보다 낮아지면 자동으로 입수문(3)이 폐쇄되어 저수지(1)에 해수가 자장되게 된다.
이때 낙차지(4)의 배수문(6)은 폐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간조시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저수지(1)에 저장된 해수는 발전소(5)의 수량조절장치(7)에서 수량이 자동조절되어 낙압수차(19)로 유입된후 일정량의 해수가 연속적으로 낙하되어 발전수차(20)를 강력한 힘으로 회동하게함에 따라 발전기(도시치 않았음)로부터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이며, 발전수차(20)를 통과한 해수는 낙차지(4)로 모여지게 되나 낙차지(4)가 상당히 광대하므로 저수지(1)에 해수가 다시 채워지는 다음 만조시가 될때까지 해수가 정상적으로 낙하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낙차지(4)의 수위가 간조시의 바다수위보다 높아졌을 경우에는 자동배수문(6)을 통해 자동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낙차지(4)의 수위가 거의 간조시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발전소(5)의 발전수차(20)를 통과한 몰량은 저수지(1)의 입수량 및 낙차지(4)의 집합량과 비례토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땜(2a)에 구축된 발전소(5)의 저수지(1)측에는 만조시 유입되는 해수량자체와 발전시 해수의 사용등으로 인해 저수지(1)의 수위가 약간의 변동이 있게 됨에 따라 수량조절장치(7)를 설치하였다. 그 목적은 상기 원인으로 인해 저수지(1)의 수위가 약간의 변동이 있다 하더라도 발전소(5)내로 공급되는 해수량이 항상 일정하도록 되어 있도록 된 것이다.
먼저 제 2 도 및 제 8 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발전소(5)의 양측벽(10)에 회동자재하게 축설된 지지간(9)(9a) 단부에 수중뚝(11)의 만곡면(12)과 밀접되게 조절판(8)을 장설하고 지지간(9)(9a)과 조절판(8)의 연접부분에는 조절나봉(13)(13a)하단을 축설하고, 조절나봉(13)(13a) 상부에는 연결간(15)(15a)으로 부조(14)와 연결설치된 승강조절관(16)(16a)을 나합시킨 것으로, 처음 설치시 승강조절관(16)(16a)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적당히 회동시켜 부조(14)저면과 조절판(8)상면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해수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예컨대 저수지(1)의 수위가 높아졌을 경우에는 부조(14)가 승강하면서 연결간(15)(15a) 그리고 승강조절관(16)(16a) 및 조절나봉(13)(13a)에 의해 연결된 조절판(8)도 수중뚝(11)의 만곡면(12)과 밀접된 상태로 승강하게 되며, 또한 저수지(1)의 수위가 낮아졌을 경우 부조(14)가 하강하면서 상기한 기구로 연결된 조절판(8)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항상 저수지(1)의 수위(또는 부조(14)의 저면)와 조절판(8)상면간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이를 통한 해수량도 일정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지(1)의 저면에 고착된 안내봉(18)(18a)이 부조(14)의 돌출된(17)(17a)에 삽입되어 있어 부조(14)는 안내봉(18)(18a)에 안내되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승강자재토록 되어 있으며, 제 9 도는 배시한바와 같이 부조(14)의 외측에는 망(33)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불순물 즉, 통나무가 기타 오물등이 발전소(5)내로 유입치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량조절장치(7)에 의해 공급된 해수는 낙차수차(19)로 유입이 되는데, 이 낙차수차(19)는 제 2 도 및 제 3 도, 제 4 도에서 밝힌 바와 같이 축(21)을 중심으로 다수의 구획판(22)이 방사상으로 장설되어 있고 각 구획판(22)에는 통기공(24)과 해수받침판(27)이 설치 되어 있는데, 통기공(24)에는 덮개(25)가 회동자재하게 축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덮개(25)의 벌림상태를 제지하여 주는 받침횡간(26)이 각 구획판(22)사이에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해수받침판(27)은 각 구획판(22) 외측으로 회동자재하게 축설되어 있어 안내부(29)의 누두면에 걸쳐지듯이 회동하여 해수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 받침판(27)이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받침종간(28)이 각 간격판(23)의 작당부위에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한 구조는 긴 낙차수차(19)의 동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데, 각 구획판(22)의 위치가 제 3 도와 같이 약간씩 차이가 있어 연속적인 순간회동이 가능토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낙차수차(19)는 공급된 해수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토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낙차수차(19)에 해수가 공급되면 각 구획판(22)의 해수받침판(27)과 그 일측의 안내부(29)에 의해 효과적으로 해수를 다음 후 회동하면서 해수 받침판(27)이 안내부(29)의 누두면 끝쪽을 통과하는 순간 해수받침판(27)이 자중과 수압에 의해 펼쳐 지면서 해수가 순식간에 하부로 떨어지게 되며, 이때 막혔던 통기공(24)의 덮개(25)가 자중에 의해 열리게 되므로 해수의 낙하시 발생되는 진공저항을 방지해 준다.
이러한 작용으로 계속 떨어지는 해수는
Figure kpo00001
형으로 된 안내누두면(31)(31a)에 의하여 하부로 밀어주듯이 하향하므로 이때 그 하향력에 의해 발전수차(20)의 회동날개를 강력하고 연속적으로 회동시켜 발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발전수차(20)의 내측에도 필요에 따라 통기공을 형성시켜 회동날개의 회동시 내측으로부터 공기의 진공저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본 발명의 타실시도를 나타낸 것인데, 이는 수량조절장치(7) 및 안내누두면(31)(31a) 그리고 발전수차(20)의 구조는 동일하나 낙압수차(19)를 설치하지 않고 그 자체수압으로서 발전수차(20)를 회동시켜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이러한 구조를 설치할 경우에는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고 수량이 많은 곳에서 아주 적합한 구조로서 상기한 제 2 도의 구조에 비해 그만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도, 제5도, 제6도에서 나타낸 수문(30)은 발전소(5)내의 낙차수차(19), 발전수차(20)등을 수리, 교체 및 설치할 때 저수지(1)의 해수를 발전소(5)내로 공급치 못하도록 된 것이며, 이는 일반적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0도 및 제11도는 자동배수문(6)과 자동입수문(3)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데, 자동배수문(6)은 낙차지(4)의 수위가 바다의 수위보다 높을 때 개폐판(34)이 실선에서 점선상태로 낙차지의 수압에 의해 회동되면서 열리게 되므로 낙차지(4)의 수위가 바다의 수위와 동일해질 때까지 해수가 배출되게 되며, 반대로 바다의 수위가 낙차지(4)의 수위보다 높아졌을 때는 개폐판(34)이 닫혀져 해수가 입수치 못하도록 되어 있으며, 자동입수문(3)은 이와 반대로 저수지(1)의 수위가 바다의 수위보다 낮아졌을 때 개폐판(34)이 실선에서 점선상태로 되어 해수가 입수되며, 반대로 바다의 수위가 저수지(1)의 수위보다 낮아졌을 때는 개폐판(34)이 닫혀 해수가 배출치 못하도록 하여 저수지(1)내에 저장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 해역에 땜을 설치하되, 저수지(1)와 낙차지(4)가 구분되도록 땜(2)(2a)(2b)을 각각 구축하고 땜(2a)에는 발전소(5)를 설치하여 저수지(1)의 해수가 수량조절장치(7)에 의해 일정량만 공급되게 하며, 이 공급된 해수는 낙차수차(19)에서 다시 일정량 해수를 연속적으로 구분 낙하시켜 그 낙차력에 의해 발전수차(20)를 회동케하여 발전된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무한한 조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막대한 량의 전력을 얻을 수 있는 현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업임과 동시에 이러한 시설로 인한 관광자원과 많은 농토를 확보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바다와 연한 해역에 자동입수문(3)과 배수문(6)이 장치된 땜(2)(2b)을 구축하고, 그 사이에 저수지(1)와 낙차지(4)를 구분토록 땜(2a)을 건설하며, 이땜(2a)에 수개의 발전소(5)를 설치하되, 이 발전소(5)에는 발전소(5)의 후부 양측벽(10)에 지지간(9)(9a)의 단부를 회동자재하게 축설하고, 지지간(9)(9a)의 선단에 착설된 조절판(8)을 수중뚝(11)의 만곡면(12)에 근접되게 설치하였으며, 지지간(9)(9a)과 조절판(8)의 연접부에는 부조(14)와 연결간(15)(15a), 조절관(16)(16a)으로 연동되도록 조절나봉(13)(13a)의 하단을 축설하여서 된 수량조절장치(7)와, 상기 수량 조절장치(7)의 좌측인 발전소(5)내의 입수문(30)내측 양측벽(10)에 회동자재하게 축(21)으로 축설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간격판(23)에 의하여 등간격으로 구분되게 하고, 각 간격판(23)간에는 축(21)을 기점으로 방사상의 구획판(22)을 상호 각각 교호하게 다수 장설하며, 각 구획판(22)내측에는 덮개(25)가 축설된 통기공(24)과 해수받침판(27)이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덮개(25)와 해수받침판(27)의 과도한 제침을 제지하는 받침횡간(26)과 받침종간(28)을 장설한 낙차수차(19)와, 낙차수차(19)의 해수받침판(27)을 받쳐주도록 해수유입구 일측에 설치한 안내부(29)를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조력발전장치.
KR8202954A 1982-07-02 1982-07-02 조력 발전장치 KR880002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2954A KR880002256B1 (ko) 1982-07-02 1982-07-02 조력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2954A KR880002256B1 (ko) 1982-07-02 1982-07-02 조력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740A KR840000740A (ko) 1984-02-27
KR880002256B1 true KR880002256B1 (ko) 1988-10-20

Family

ID=1922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954A KR880002256B1 (ko) 1982-07-02 1982-07-02 조력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56B1 (ko) * 2008-03-25 2009-02-12 장경수 수문발전과 해류발전을 겸하는 복합 해양발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56B1 (ko) * 2008-03-25 2009-02-12 장경수 수문발전과 해류발전을 겸하는 복합 해양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740A (ko) 198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0794B1 (en) Hydropower conversion system
US4241283A (en) Hydro-electric power plant
US4182123A (en) Hydraulic power plant
Tabor et al. The Beith Ha'Arava 5 MW (e) solar pond power plant (SPPP)—progress report
EP1029131B1 (en) Fishway system
US6396162B1 (en) Underground hydroelectric plant
US5385428A (en) Water intake fish diversion apparatus
CA2659578C (en) Apparatus for converting energy from wave of current flows using pipes acting as venturi pumps
US9163606B2 (en) Hydro-electric tube generation
CN101925737A (zh) 集潮汐发电和洋流发电于一身的综合电力系统
US4216655A (en) Wave-operated power plant
GB2460340A (en) Low head tidal barrage system
KR880002256B1 (ko) 조력 발전장치
RU2131993C1 (ru) Русловая бесплотинн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050055634A (ko) 구조물 외부의 수위변화에 의한 구조물 내·외부 물과 공기의 압력차이를 발전에 사용하는 조력에의한 청정에너지 생산용 고효율 복합발전장치
KR20200002084A (ko) 무전력 양수 및 소수력발전 시스템
KR101676695B1 (ko) 유도수로를 이용한 다중 수력발전시스템
JP3125134B2 (ja) 自動循環水式発電装置
KR101959850B1 (ko) 모듈화된 소수력 발전 시스템
CA2845214A1 (en) Parallel cycle for tidal range power generation
KR101211321B1 (ko)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장치
US20210123410A1 (en) Movable and semi-submerged power generator using waterwheel turbine
GB2153917A (en) Tide powered electrical generator
DE102004025769A1 (de) Einrichtungen zur Flussinfrastruktur-Modernisierung
JPS58133486A (ja) 海水落下式発電方法およ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