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225Y1 - 사무용 의자 - Google Patents

사무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225Y1
KR880002225Y1 KR2019850003643U KR850003643U KR880002225Y1 KR 880002225 Y1 KR880002225 Y1 KR 880002225Y1 KR 2019850003643 U KR2019850003643 U KR 2019850003643U KR 850003643 U KR850003643 U KR 850003643U KR 880002225 Y1 KR880002225 Y1 KR 880002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se
support frame
connecting pipe
kne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2840U (ko
Inventor
신종득
Original Assignee
신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득 filed Critical 신종득
Priority to KR2019850003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225Y1/ko
Publication of KR860012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2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25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무용 의자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종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받침대
3 : 시트받침틀 4 : 시트기대
5 : 무릎받침틀 2',3',4',5' : 연결관
3" : 걸림봉 4",5" : 고정핀
6 : 링크 7 : 걸림편
8 : 시트 9 : 무릎받침쿠션
본 고안은 앉는 자세의 위치에 따라서 시트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하여 사무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무용 의자들은 사람이 앉아서 뒤로 기대면 어느정도만큼 뒤로 제쳐질 수는 있었으나, 실제 사무를 볼 때에는 사람의 자세가 앞으로 쏠리게 되며 이에 맞추어 의자가 변형되지 못하고 그대로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무처리를 하다보면 쉽게 피로를 느끼게되어 사무능률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제 업무를 볼때 앉는 자세의 위치에 따라 시트가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하여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업무를 보면서도 몸의 무리와 피로가 오지않도록 한 사무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대의 전방을 절곡하여서된 받침대의 끝단에 연결관을 설치하고, 후방을 수직 및 수평절곡하여서된 시트받침틀의 끝단에 연결관을 설치하며, 상기 기대를 복수개로하여 걸림봉 및 지지봉으로 일정간격이 되도록 지지하고, 시트기대와 무릎받침틀을 링크로 회동자재토록 연결하며, 시트기대 양측으로 연결관을 각각 부착하여 이를 상기 시트받침틀의 연결관에 고정핀으로 회동자재토록 고정시키고, 무릎받침틀의 양측으로 연결관을 설치하여 이를 상기 받침대의 연결관에 회동자재토록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며, 저면에 걸림편을 부착한 시트를 시트기대에 설치하고 무릎받침틀에 무릎받침쿠션을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은, 업무를 볼 때 자세가 앞으로 쏠리면서 양무릎이 무릎받침쿠션을 밀게되면 무릎받침틀이 연결관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량은 링크를 통하여 시트기대에 전달되어 연결관을 중심으로 시트기대를 회전시키므로 시트의 각도가 전방으로 기울게되며, 시트저면에 설치된 걸림편은 의자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기울면 걸림봉에 걸리게되어 시트가 지나치게 경사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사무처리를 하지 않고 등받이에 기대게되면 시트기대가 사람의 체중에 의하여 원위치로 되며 시트기대에 링크로 연결된 무릎받침틀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일반 의자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무를 볼 때는 변화되는 몸의 자세에 따라 앞으로 쏠리는 신체무게중심의 위치변화에 의해 무릎받침대에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시트도 대응하여 기울게함으로써 몸에 무리가 오지 않으면서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업무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대(1)와, 이 기대(1)의 일측에 회동자재로 고정된는 시트기대(4)와, 이 시트기대(4)에 링크(6)로 회동자재토록 연결되고 기대(1)의 일측에 회동자재로 고정되는 무릎받침틀(5)과 시트기대(4)상에 장착되는 시트(8)로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대(1)는 복수개로 평행되게하고, 이 전방의 끝단부위를 상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절곡하여 받침대(2)로하고 이의 끝단에 연결관(2')을 각각 부착시키며, 기대(1)의 후방 끝단부위를 수직 및 수평으로 절곡하여 시트받침틀(3)을 형성하고 이의 끝단에 연결관(3')을 각각 부착시키고, 상기 받침대(2)중간부위에 지지봉(2")과 상기 시트받침틀(3)의 상면 중간부위에 걸림봉(3")을 각각 고정 설치하여 상기 복수개로된 기대(1)가 소정폭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트기대(4)는 ""형으로 절곡형성하되, 그 폭을 상기 기대(1)보다 약간 크게하고, 상기 시트 받침틀(3) 끝단에 부착시킨 연결관(3")과 대웅되게 양측으로 연결관(4')을 각각 부착시킨다.
또한, 상기 무릎받침틀(5)은 ""형으로 절곡형성하여 상기 받침대(2) 끝단에 부착시킨 연결관(2')과 대응되게 양측으로 연결관(5')을 부착시키고, 이 무릎받침틀(5) 하단부의 상기 시트기대(4) 하단부를 링크(6)로써 회동자재토록 연결한다.
또한, 시트기대(4)의 연결관(4')을 기대(1)의 시트받침틀(3) 끝단에 부착시킨 연결관(3')에 고정핀(4")으로 회동자재토록 고정하고, 무릎받침틀(5)의 연결관(5')을 기대(1)의 받침대(2) 끝단에 부착시킨 연결관(2')에 고정핀(5")으로 회동자재토록 고정한다.
또한, 시트(8)의 저면 내부로 설치한 받침판(8')에 ""형으로 절곡한 걸림편(7)을 나사못(7')으로 고정시키고, 이 걸림편(7)이 상기 시트받침틀(3)의 걸림봉(3")에 걸리도록 시트(8)를 시트기대(4)상에 설치하며, 무릎받침틀(5)의 상부에 무릎받침쿠션(9)을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8"는 시트(8)를 시트기대(4)에 고정시키는 나사못, 9'는 무릎받침쿨션(9) 내부에 설치된 받침판, 9"는 무릎받침쿠션(9)을 무릎받침틀(5)에 고정시키는 나사못, 10은 등받이틀, 11은 등받이틀(10)을 기대(1)에 고정시키는 고정보울트, 12는 등받이, 12'는 등받이(12) 내부에 설치된 받침판, 12"는 등받이(12)를 등받이틀(10)에 고정시키는 나사못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를 보기위해서 자세가 앞으로 쏠리는 경우 양 무릎이 무릎받침쿠션(9)을 밀게되고 이에 따라 무릎받침틀(5)이 연결관(2')(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무릎받침틀(5) 하단에 고정된 링크(6)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링크(6)의 일단에 하단이 회동자재로 고정된 시트기대(4)가 연결관(3')(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에 따라서 시트기대(4) 상단에 장착된 시트(8)가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시트(8) 저면에는 걸림편(7)이 부착되어 있어서 이 걸림편(7)이 걸림봉(3")에 걸려서 시트(8)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무처리를 끝내고 상체를 등받이(12)에 기대게 되면 시트(8)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의 연계동작과 역순으로 무릎받침틀(5)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일반의자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사무를 볼 때는 변화되는 몸의 자세에 따라 시트(8)도 자동적으로 사무처리를 위한 몸의 자에 적합하도록 기울어지므로 몸에 무리가 오지 않으면서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대(1)의 전방으로 상향절곡된 받침대(2)의 끝단에 연결관(2')을 부착하여 이에 무릎받침쿠션(9)이 취부된 무릎받침틀(5)의 연결관(5')을 고정핀(5")으로 회동 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기대(1)의 후방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절곡되고 걸림봉(3")이 설치된 시트받침틀(3)의 끝단에 연결관(3')을 부착하여 이에 시트기대(4)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연결관(4')을 고정핀(4")으로 회동 자재로 설치하되, 이 시트기대(4)의 상면에 시트(8)를 고정시켜서 이의 저면에 취부된 걸림편(7)내에 상기 걸림봉(3")을 위치시키고 상기 시트기대(4)와 무릎받침틀(5)의 하단 중앙을 링크(6)로 연결하여 연동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무용 의자.
KR2019850003643U 1985-04-02 1985-04-02 사무용 의자 KR880002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643U KR880002225Y1 (ko) 1985-04-02 1985-04-02 사무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643U KR880002225Y1 (ko) 1985-04-02 1985-04-02 사무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840U KR860012840U (ko) 1986-11-05
KR880002225Y1 true KR880002225Y1 (ko) 1988-06-22

Family

ID=1924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643U KR880002225Y1 (ko) 1985-04-02 1985-04-02 사무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2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840U (ko) 1986-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529B2 (ja) 動的にバランスのとれたシートの組み立て
US5536067A (en) Chair
US4793655A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CA1145240A (en) Sitting device
US3309134A (en) Interchangeable luggage-chair structure
US4555136A (en) Furniture construction
US2550811A (en) Multiple purpose chair
KR930700032A (ko) 고밀도 적층 가능한 가요성 의자
US3741607A (en) Chair
US3762765A (en) Chair having a tip up seat
US5123697A (en) Multiposition chair
US4865387A (en) Articulated support rod for forward folding backs of seats such as sofa, armchair or the like
AU2001242093A1 (en) Chair and table assembly
EP0941679A2 (en) Rocking and gliding mechanism
US6135554A (en) Recliner chair
KR880002225Y1 (ko) 사무용 의자
US3709554A (en) Adjustable chair
US4699422A (en) Reclining and swingable chair
GB209847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hair
JP2812543B2 (ja) マルチ健康座椅子
US6402243B1 (en) Safety harness structure for rocking chairs
US3278224A (en) Barber chair with adjustable seating angle
ES1000371U (es) Dispositivo autobloqueante para variar, mediante los brazos,la inclinacion del respaldo de sillon con varias posiciones de empleo
JPS638294Y2 (ko)
US3870364A (en) Reclinable chairs and s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