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03B1 - 차단 및 정합회로를 가진 전기신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차단 및 정합회로를 가진 전기신호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03B1
KR880002103B1 KR1019840008000A KR840008000A KR880002103B1 KR 880002103 B1 KR880002103 B1 KR 880002103B1 KR 1019840008000 A KR1019840008000 A KR 1019840008000A KR 840008000 A KR840008000 A KR 840008000A KR 880002103 B1 KR880002103 B1 KR 88000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hf
blocking
circuit
matching
ma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183A (ko
Inventor
제이섹 크로피엘니키 제르지
데이비드 라스트 제임스
이스터 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비에스에이치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데렉월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2443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8000210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6/561,982 external-priority patent/US4583097A/en
Application filed by 비에스에이치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데렉월러 filed Critical 비에스에이치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5000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Landscapes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단 및 정합회로를 가진 전기신호 분리장치
제1도는 직렬 VHF 정합 실시예의 간략화된 블록도.
제2도는 블록도 형태의 제1도에사 표시 된 직렬 VHF 정합회로의 상세한 설명.
제3도는 병렬 VHF 정합 실시예의 간략화된 블록도.
제4도는 블록도 형태의 제3도에서 표시된 병렬 VHF 정합 실시예의 상세한 개략도
제5도는 분할 통과대역 정합 실시예의 블록도.
제6도는 변형 차단회로의 인덕터.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L2 : 차단회로 L3,C5 및 L1,Ca : 입력회로
본 발명은 전기가열위동우의 가열소자수단, 즉 안테나 또는 공중선으로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자동차의 후면 윈도우 가열(성에 제거기)유니트가 가열(안개제거)목적을 위에(원할경우)사용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무선주파수 송신 또는 수신공중선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활용되는 전기신호분리장치 또는 차단 및 정합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크로피엘니키(Kropielnicki)의 미국특허 제4,086,594호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한 장치를 발표했으며 무선 신호를 전기 가열 윈도우의 가열전류로부터 분리시키는 전기신호 분리장치를 제공했고, D.C. 전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위한 저저항 경로를 제외하고 동상 파동전류를 위한 높은 임피던스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 2개의 상호결합 코일로 구성되는 분리 또는 차단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상호 결합코일 배열이 D.C. 전원으로부터 가열소자로 전류를 통과시키는 동안 무선주파수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는 이러한 장치는 자동차의 후면 가열윈도우가 무선 공중선으로 그리고 가열목적을 위해 사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또 다른 장치는 크로피엘니키의 미국특허 제4,422,077호이며, 이것은 상기 언급한 종래의 크로피엘니키 미국특허의 향상된 발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향상은 AM 또는 VHF/FM 파장에서 송신 또는 수신 공중선으로서 자동차의 전기가열 윈도우의 사용을 가능케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자동차의 전기가열 위도우로부터 공중선 입력단자에 수신된 신호의 VHF 전송이 실행되도록 윈도우 가열소자의 임피던스를 송신기의 공중선 피이더 회로에 효과적으로 정합시키도록 동작하는 정합 및 튜닝회로를 포함하고, 상호 결합 코일로 구성되는 차단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 발명의 분야에서 더 유리하고 개량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기 언급한 미국특허에서 발표된 장치의 특별한 개량을 더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공중선으로 특별히 설계되지 않은 자동차의 전기가열윈도우의 가열소자 VHF 범위 이내의 대역에서 수신공중선으로서 사용가능하도록 차단 및 정합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자동자 D.C. 전원연결용 입력리드, 상기 가열소자 연결용 출력리드, 수신기의 공중선 피이더회로 연결용 공중선 단자, 상기 입력 및 출력 리드와 결합되고 상기 출력리드로부터 상기 입력리드로 RF 신호의 통과를 차단 또는 저지하는 동안 상기 입력리드로부터 상기 출력리드로 D.C. 전력을 통과시키는 차단회로, 및 상기 출력리드와 상기 입력리드와 상기 공중선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공중선 정합회로로 구성되는 차단 및 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정합회로는 VHF 영역내의 대역 중심근처에서 공징하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정합회로가 상기 가열소자에 연결되어 배치된 부품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진회로의 임피던스를 공중선피이더의 임력임피던스에 정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직렬 VHF 정합 실시예인 일실시예인 상기 정합회로를 가열소자가 VHF 대역중심 근처에서 직렬공간을 일으키도록 한다 ; 즉 자동차의 전기가열 윈도우가 VHF 대역에서 부품들과 함께 직렬공진을 형성하여 표과적인 VHF 수신공중선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병렬 VHF 정합실시예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정합회로는 VHF 대역 중심근처에서 가열소자가 공진하도록 배열된 차단회로의 인덕턴스를 포함한다 ; 즉 자동차의 전기가열위도우가 VHF 대역에서 상기 부품들과 함께 병렬공진을 형성하여 효과적인 VHF 수신공중선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정합회로는 또한 VHF 방송대역 정합특성을 주도록 상기 부품들과 함께 동작하는 병렬공진회로를 포함한다.
분할 통과대역 정합실시예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정합회로는 두개의 VHF 통과대역, 즉 소정의 VHF 전송주파수 중심대역과 소정의 VHF 수신주파수 중심대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 즉, 자동차의 전기가열 윈도우가 효과적인 VHF 송신 및/또는 수신 공중선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차단회로는 가열소자가 VHF 대역 중심근처에서 병렬공진하도록 배열되고, 제1직렬공진기는 VHF 대역 중심근처에서 직렬 공진하도록 제공되고, 제2직렬공진기는 VHF 대역 중심근처에서 제2직렬공진하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정합회로는 두개의 VHF 통과대역을 제공하기 위해 배열되고 두개의 직렬공진회로를 더 포함하며 그중 제1직렬공진회로는 소정의 VHF 송신주파수에 직렬공진되고 제2직렬공진회로는 소정의 VHF 수신주파수에서 직렬공진하며 상기 두개의 직렬공진회로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직렬 공진기와 송신기/수신기의 공중선 피이터회로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의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의 도면과 도면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직렬 VHF 정합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간편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도에 표시된 장치의 동작이 이 이후에 4개의 부분으로 설명될 것이다.
신호주파수 입력 및 정합회로
자동차의 전기가열 윈도우와 가열소자(표시되어 있지 않음)는 두줄(bifilar 쵸우크가 될수 있는 2개의 두줄코일회로수단(L1과 L2)에 의해 해당신호 주파수에서, C3의 상부에 연결가능한 자동차의 D.C. 전원수단으로부터 차단된다. L1은 페라이트(ferrite)로드 코어로 되어 있으며 실제로 또는 대략적으로 VHF 범위내에서 자기공진하며, 반면에 L2는 페라이트 포트코어로 되어있고 AM 대역내의 주파수에서 높은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콘덴서(C3)는 상부에 연결된 가열기 공급선의 감결합(decoupling)을 제공한다.
콘덴서(C1과 C2)는 표시된 2개 경로를 신호주파수에서 윈도우 가열기 소자의 단자리드로 평행하게 효과적으로 결합시킨다.
탭코일(L4)의 누설 인덕턴스와 함께 성분(L3,C5)은 전기가열 윈도우 및/또는 가열소자가 VHF 대역의 중심근처에서 직렬공진이 되도록 배열된다. 병렬 공진회로(L4-C7)와 함께 이러한 직렬공진 특성은 가열소자의 단자리드를 TR2로 표시된 VHF증폭기 회로수단의 입력에 결합시키는 최적 근사(near-optimum)정합회로를 형성한다. L3과 탭코일(L4)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성분(C5)은 협정치를 가지며 VHF 증폭기 입력으로부터 AM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동작하며, 이점에 관한한 작은 값으로 표시된 AM 증폭기 입력은 용량부하를 감소시키도록 요망되나, 너무 작은 값은 VHF에서 직렬공진의 리액턴스 기울기를 증가시키고 얻을수 있는 대역폭과 성능을 감소시킨다. L1의 임피던스 특성은 VHF 신호가 효과적으로 차단되나 AM 신호는 자유로이 통과되며 콘덴서(C4)에 의해 AM 증폭기수단(TR3)에 결합된다.
[VHF 증폭기]
정합 FET인 TR2인 신호주파수에서 접지 게이트회로로 동작하며, 바이패스가 콘덴서(C8)에 의해 제공된다. TR2의 소오스(S)는 앞서 언급한 입력 정합회로 또는 제2도에서와 같이 L4-C7의 접합부에서 직접 결합된다. 드레인(D)은 무선수신기의 공중선 피이더회로와 접속하기 위해 공중선단자(표시되어있지 않음)을 갖는 RF출력회로선에 인덕터(L5)에 의해 결합되며, VHF 대역중심 근처에서 스트레이(strays)를 포함하는 드레인 용량과 공진하고 무선수신기에 연결된 피이딩케이블의 임피던스(예를들어 100Ω와) FET인 TR2의 드레인 임피던스 사이에서 최적 근사정합을 제공한다. 콘덴서(C9)는 드레인의 증폭기 공급전압이 FR신호 출력선으로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증폭기 공급전압은 L8의 우측에 표시된 +12V로 회로에 연결된다.
[AM 대역증폭기]
쌍극 트랜지스터인 TR3는 에미터폴로워단으로서 작용하며, 베이스부분은 저항(R1)을 경유하여 AM입력 결합콘덴서(C4)에 연결되고 출력부분은 블로킹콘던서(C10) 및 페라이트 인덕터 또는 쵸우크(L7)를 경유하여 무선수신기의 RF 출력선 접속부로 결합된다. L7은 VHF영역에서 자기공진하며 AM증폭기(TR3)의 낮은출력 임피던스가 VHF 증폭기(TR2)의 출력에 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VHF출력콘덴서(C9)의 리액턴스는 AM 신호가 VHF 증폭기의 드레인으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AM 영역에서 충분히 크다. 저항(R1)은 AM 증폭기 회로에서 고주파 기생발진을 방지하도록 동작하며 R1은 이 회로의 인쇄회로 기판배치에서 편의를 위해 서로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별도저항에 의해 대치될 수 있다.
[바이어스 공급회로]
공급전압 변동 및 FET 파라미터 변동체 대해 제1 및 제2도에 표시된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결합저항(R5와 R3)과 함께 제너다이오드(D1)와 트랜지스터(TR1)에 중심을 둔 이 회로의 부분은 전류원이 TR2의 소오스(S)에 연결된 상태에서 R4를 경유하여 TR2의 게이트 및 TR3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안정된 바이어스 공급전압을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표시된 증폭회로의 동작 파라미터의 무시할 수 있는 변동이 자동차에서 발샐하는 공급전압 변동의 통상범위내에서 일어난다. 전원전압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자동차의 D.C. 전원 또는 다른 적합한 소오스로부터 표시된 점에서 발생된 잡음 및 간섭은 필터성분(L8), 페라이트인덕터 및 C11에 의해 제거된다. 제너다이오드(D3)는 가능한 전압 천이로부터 소자를 보호하며, 공급전압에 대해 반대극성으로 접속된다. 필터성분(L8과 C11)에 관해, 이 성분에서 공급되는 필터공급전압은 AM 증폭기(TR3)의 콜렉터에 직접 연결되며, VHF 페라이트 인덕터 또는 쵸우크(L6)를 경유하여 TR2의 드레인(D)에 연결된다. 네온 튜브소자 및 다이오드(D2)와 같은 2개의 추가보호장치가 제2도의 회로 실시예에 포함되며, 어느 개별 또는 동시동작 또는 기능동안 자동차의 전기가열 윈도우의 가열소자에서 일어나는 스태틱방전의 경우에 보호를 위해 표시한 바와 같이 접속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언급한 차단회로에 관해, 이것은 2개의 상호 동일하게 결합된 코일로 감겨진 환상 또는 U형 코일 또는 두줄 권선으로 구성된 상호결합코일을 포함한다. 표시된 차단회로의 다른 수정과 변동은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에게 명백하며, 예를들어 상호 결합 코일회로 수단은 폐자계회로 형태에서 두줄 성분(L2)대신 대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실시예는 안테나 또는 공중선으로 특별히 설계되지 않으며 RF 주파수에서 실제로 비주기적이고 비공진이 되도록 자동차 전기가열 위도우의 가열소자 VHF 수신 공중선으로 유용하게 되도록 하며 적합한 수신기에 의해 AM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다. L1과 L2는 페라이트 코어의 두줄코일 배열로 표시되며, 상기와 같이 하나의 페라이트 로드코어로 되어 있고 다른 것은 페라이트 포트고어로 되어 있다.
지금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병렬 VHF 정합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직렬 정합실시예와 비교할때 병렬정합 실시예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VHF 정합회로의 수정형이며 차단회로와의 접속이다. 자동차 전기가열 윈도우 유니트의 규모와 상세한 배치 및 해당 VHF 대역의 주파수 범위에 의존해서, 전체 정합회로에 가열 윈도우 유니트를 포함시킬 경우 안테나로서 사용된 자동차의 전기가열 윈도우 유니트를 병렬공진회로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두줄 인덕터(L1)는 VHF 대역의 중심부에서 공진을 이루기 위해 단자리드를 경유하여 윈도우 가열기와 병렬로 배열된다. 편의를 위해,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된 장치의 동작은 이 이후에 4개 부분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호주파수 입력 및 정합회로]
자동차 전기가열 윈도우 유니트의 규모와 상세한 배치 및 특별한 차량에 대한 윈도우 유니트와 가열소자의 크기, 모양 및 위치와 같은 가열소자의 패턴에 관한 편의성에 의존해서,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윈도우 유니트를 병렬공진회로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더 편리하다. 끝으로, 68pF 콘덴서(Ca)의 리액턴스와 함께 두줄코일수단(L1)의 인덕턴스가 배열되고 서로 연결되며 윈도우 가열기 유니트는 VHF 대역의 중심근처에서 공진되도록 한다. 너무 작은 값은 세셉턴스 기울기가 증가되어 VHF 대역에서 대역폭/성능의 손실을 초래하며, 이러한 콘덴서의 큰 값은 AM 성능을 위험하게 하므로, 콘덴서(Ca)는 설계시에 협정치로 되어야 한다. 설명하기 위해 L1과 Ca의 상기 설명한 동작이 VHF 대역중심근처의 병렬공진을 발생시키며 가열기 단자리드 접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병렬공진은 광대역 정합특성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콘덴서(C5)에 의해 제2병렬공진호로수단(L4-C7)으로 결합된다. 앞서 언급한 부품(L1,L4,C5,C7 및 Ca)의 실제값은 차모델및/또는 전기가열 윈도우 유니트의 모양과 크기에 의존해서 변할 수 있다.
[VHF 증폭기]
접합 FET인 T2는 신호주파수에서 접지게이트회로로 동작하며 이 회로의 바이패스는 콘덴서(C8)에 의해 제공된다. T2의 소오스(S)는 정합회로의 상기 언급한 부품, 특히 탭코일(L4)에 직적 결합된다. T2의 드레인은 공중선 단자(표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는 RF출력회로선으로 페라이트 인덕터(L5)에 의해 결함되며, 이 인덕터는 VHF 대역중심 근처에서 스트레이와 함께 드레인 용량과 공진하며, 무선수신기에 공급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 또는 약 100
Figure kpo00001
인 공중선 피이더회로의 임피던스와 T2의 드레인 임피던스 사이의 최적 근사정합을 제공한다. 콘덴서(C9)는 T2의 드레인 측에서 증폭기 공급전압이 RF 신호출력회로선으로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이와 같은 증폭기 공급전압은 제4도에 표시했듯이 L8의 우측에 있는 12V접속점으로부터 입력된다.
[AM 증폭기]
FET인 T3는 소오스 폴로워단으로 동작하며, 게이트(G)는 저항(R1)을 경유하여 입력결합콘덴서(C4)에 연결되고, 드레인측(D)의 출력은 쵸우크인 페라이트인덕터(L7)와 블로킹콘덴서(C10)를 경유하여 소오스로부터 RF 출력연결기 선으로 결합된다. L7은 VHF 범위에서 자기공진하며 AM증폭기수단(T3)의 낮은 출력임피던스가 VHF증폭기수단(T2)의 출력으로 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VHF 출력콘덴서(C9)의 리액턴스 AM 신호가 VHF증폭기(T2)의 드레인으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저주파 AM 범위에서 충분히 크다. 저항(R1)의 T3의 AM증폭기 회로에서 고주파 기생발진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동작한다.
[바이어스 공급회로]
공급전압 변동 및 FET 파라미터 변동에 대해 표시된 실시예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결합저항(R5와 R3)과 함께 제너다이오드(D1)와 트랜지스터(T1)에 중심을 둔 이 회로의 부분은 제4도와 같이 전류원을 T2의 소오스(S)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T2 및 T3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안정된 바이어스 공급전압을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표시된 증폭회로의 동작파라미터의 무시할 수 있는 변동이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공급전압 변동이 통상범위내에서 일어난다. 자동차의 D.C.전원 또는 등가 증폭기 공급전압수단에 대한 잡음 및 간섭은 필터성분(L8,C11)에 의해 제거된다. 제너다이오드(D3)는 가능한 큰 전압 천이로부터 소자를 보호하며, 공급저압에 대해 반대극성으로 접속된다. 필터증폭기 공급전압은 표시한 바와 같이 AM 증폭기수단(T3)에연결되고 VHF페라이트 인덕터 또는 쵸우크(L6)를 경유하여 VHF증폭기(T2)의 드레인(D)에 연결된다. 동작동안 전기가열 윈도우 유니트의 가열소자내에서 발생하는 스태틱 방전의 경우에 보호를 하기 위해 다이오드(D2)의 추가보호장치가 포함된다.
병렬 정합실시예의 변경과 수정은 이 기술에 숙련되자에게 명백하며, 이점에 있어서 차단회로는 2개의 동일한 상호 결합코일로 감겨진 환상 또는 U형 코어 또는 두줄권선으로 구성되는 상호결합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형의 장치도 폐자계회로에서 L2 대신 대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했듯이, 직렬 및 병렬 VHF 저합실시예는 자동차 전기윈도우 유리의 가열소자의 임피던스을 무선 수긴기의 공중선 피이더회로의 공중선 입력 임피던스에 효과적으로 정합시키도록 동작하고 이것에 의해 VHF 신호 수신을 유효하게 하는 정합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실시예의 VHF 대역 증폭기는 상기에서 설명했던 정합기능을 갖는다. VHF 증폭트랜지스터는 저잡음 요소를 위해 선택되며 정합회로는 가능한 최적의 저잡음 소오스 임피던스에 근사한 소오스 임피던스를 나타내도록 설계되었다. 병렬정합 및 직렬정합실시예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동일한 성분은 제2 및 제4도에서 각각 같은 성분 배열로 표시되었다.
더우기, 제4도에 관해, 표시된 실시예에 대해 표시되었듯이, 성분치 표시 및 설명은 제시하기 위해 다음 사항이 제공된다 :
L1 4+4 턴(turns), 직경 9.5㎜, 와이어 1.6㎜ ;
L2 30㎜페라이트 톱코어에서 10-1/2+10-1/2턴, 와이어 1.4㎜, 1.2-1.4mH ;
L4 4+4 턴, 와이어 0.5㎜, 직경 6㎜ ;
L5 8 턴, 회로내의 98MHz에서 공진 ;
L6 16 턴, 회로내의 98MHz에서 자기공전 ;
L8 1mH 쵸우크인덕크
상기 값은 특정 모델에 대해 특수하다.
상기에서 직렬정합 및 병렬정합에 대한 실시예를 제시했고, 특히 각각의 정합회로 배열은 윈도우 가열기 안테나를 필요한 전체 대역폭을 초과하지 않는 VHF송식기/수신기유니트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VHF 송신기의 만족할만한/유효한 동작이 수신기에대해 허용될 수 있는 것보다더 좋은 질의 정합을 통상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해당 주파수대역에서 가열기안테나(및 정합회로로의 접속리드)의 자연공진 및 VHF송.수신 주파수의 분리에 따라, 단일 통과대역을 갖는 정합회로 또는 장치가 사용될 경우, 만족할만한 그리고 유효한 성능을 얻는 것을 어렵다. 앞서 제시한 직렬정합 실시예는 자연적으로 직렬공진하는 윈도우 소자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발표된 병렬정합실시예는 VHF 대역을 초과하여 자연적으로 병렬공진하는 윈도우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양 경우에, 실시예는 대략 88-108MHz의 광대역 VHF 수신 및 0.15-1.6MHz의 AM 방송대역을 위해 설계되었다.
단일 통과대역을 갖는 정합회로의 만족할만한/유효한 성능을 얻는데 있을 수 있는 난점때문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분할통과대역 정합실시예를 표시하는 제5도에서 제공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표시된 실시예는 본 예에서와 같이 82 및 98MHz와 같은 비교적 넓게 분리된 송신 및 수신 주파수의 근처에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2개의 통과대역을 갖는 차단 및 정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코어 두줄인덕터장치로 구성되는 차단회로수단(L1)은 자동차 D.C. 전원 또는 데미스터(demister)전원공급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윈도우 가열기를 위한 경로를 제공하며, 이러한 차단 회로수단은 윈도우가열기의 가열수단이 VHF 대역의 중심근처에서 병렬공진 하도록 또한 설계된다. 이러한 두줄배열은 또한 2개의 소정된 송신 및 수신주파수의 중간 또는 평균주파수 근처에서 가열소자 병렬공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리드 및 스트레이 인덕턴스와 함께 콘덴서(C1)는 이러한 중심주파수에서 직렬공진기 수단을 형성하며, L3-C2는 제2직렬공진기를 구성한다. 나중에 설명될 직렬공진 특성과 함께 상기에서 언급한 병렬공진의 효과는 송신주파수의 영역에서 그리고 또한 수신주파수의 영역에서 병렬공진 특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지며, 여기서 이러한 주파수는 사전에 결정된다.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제2직렬공진기 수단(L3-C2) 및 송신/수신 유니트의 공중선 피이더 회로와의 접속을 위한 공중선단자(표시되어 있지 않음)사이에 연결된 회로(L4-C3과 L5-C4)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각2개 주파수에서 직렬공진 특성을 제공한다.
송신/수신유니트는 양방향 VHF 통신 트랜시이버(transceiver)장치일 수 있으며, 회로(L4-C3와 L5-C4)에 대해서, 하나는 소정의 VHF 송신 주파수에서 직렬공진하며 다른 하나는 소정의 VHF 수신 주파수에서 직렬공진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본 예제에서, L4-C3는 송신에 대해 82MHz에서 직렬공진하고 L5-C4는 수신에 대해 98MHz에서 직렬공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실시예의 종합특성은 하나는 소정의 송신주파수에 중심을 두고 다른 하나는 소정의 수신주파수에 중심을 둔 2개의 통과대역에 걸쳐서 최적 근사정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요약하면, 분할 통과 대역 정합실시예는 하나는 VHF 신호의 송신을 위한 그리고 다른 하나는 VHF 신호의 수신을 위한 2개의 VHF 통과대역에 대해 최적 근사정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차단 및 정합회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런 형식의 구성이 윈도우 가열기 안테나구조에 대해 적용되고 설계될 경우 발생하는 소자 및 성분치에 의존해서 임피던스 변환 및 다른 회로 수정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예로서만 설명된 실시예의 세부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AM 성능은 제2도에 표시된 현재의 전압플로워단을 개발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두줄 코일의 AM 출력은 에미터플로워 입력에 의한 부하없이도 상승될 수 있다.
제6도에서와 같이, 여분의 코일이 에미터플로워의 베이스에 나타나는 AM 전압을 상승시키는 자동변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두줄감이(bifilar winding)에 감겨진다. 이러한 여분의 코일은 미세선(약 0.15mm)으로 되어 있다. 턴수는 특별한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1:1.5에서 1:2.5로의 상승비율이 고려될 수 있다. 9.5턴의 여분의 코일은 신호에서 약 6dB의 이론적향상을 주는 1.2의 비율을 발생한다.
더우기, 제1도 및 제2도가 직렬정합 실시예와 함께 에키터폴로워 AM 증폭기를 나타내고 제3도 및 제4도가 병렬정합 실시예와 함께 소오스 폴로워를 나타낸다 하더라도, 정반대의 배열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예를 들어, 직렬 VHF 정합회로와 함께 AM 소오스폴로워를 배열하는 것).
또한, 여기서 사용된 AM과 FM에 대한 문자는 비교적 낮은/중간주파수 및 높은/VHF(가능한 VHF까지)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범위에 대한 편리한 참조문자로서 고려될 수 있다. 사용된 변조방식에 대한 어떤 제한도 필요하게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각 경우에 있어서, VHF 공중선이 종래의 가열윈도우를 사용하여 유효하게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느 물리적인 수정은 필요치 않다. VHF 용도용 각색은 가열소자의 보통 입력리드에 연결되며 윈도우를 따라 어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차단 및 정화회로를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14)

  1. VHF 범위내의 대역에서 특별히 설계되지 않는 자동차의 전기가열 윈도우의 가열소자가 수신 공중선으로서 사용가능한 차단 및 정합장치로서, 자동차의 D.C.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입력리드, 상기 가열소자와 접속하기 위한 출력리드, 수신기의 공중선 피이터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공중선단자, 상기 입력 및 출력리드와 연결되고 상기 출력리드로부터 상기 입력리드로의 RF 신호의 통과를 차단 또는 저지하는 동안 상기 입력리드로부터 상기 출력리드로 D.C.전력을 통과시키기 위한 차단회로(L1,L2) 및 상기 출력리드와 상기 공중선 단자사이에 삽입된 공중선 정합회로로 구성되는 차단 및 정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 정합회로는 상기 가열소자와 함께 VHF 범위내의 대역의 중심근처에서 공진하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가열소자에 연결 배치된 부품(L1,L3,C5 ; L1,La ; L1,C1,L3,C2)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진회로의 임피던스를 공중선피이더의 입력임피던스에 정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부품(L1,L3,C5)은 상기 가열소자와 함께 VHF 대역의 중심근처에서 직렬공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부품(L1,Ca)은 상기 차단회로(L1,L2)의 인덕턴스(L1)를 결합하여 상기 가열소자와 함께 VHF대역의 중심근처에서 병렬공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회로가 병렬공진회로(L4,C7,C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회로(L1,L2)가 적어도 하나의 두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회로(L1,L2)가 2개의 상호결합 코일로 감겨진 환상(Toroidal) 또는 U형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VHF 대역증폭기(TR2)가 상기 병렬공진회로(L4,C7,C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에 의해 AM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AM 대역증폭기(TR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HF 대역 및 AM 대역증폭기를 위해 바이어스 공급회로(D1,TR1,R3,R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VHF 수신기 뿐만아니라 송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정합회로가 소정의 VHF 송신주파수에 중심을 둔 제1VHF 통과대역과 소정의 VHF 수신주파수에 중심을 둔 제2VHF 통과대역의 2개의 VHF 통과대역을 갖는 회로(L4,C3 ; L5,C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회로의 인덕터(L1)는 상기 가열소자와 함께 VHF 대역의 중심 근처에서 병렬공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회로가 VHF 대역의 중심근처에서 직렬공진을 발생시키는 제1직렬공진기(C1) 및 제2직렬공진기(L3,C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회로가 소정의 VHF 송신 및 수신주파수에 각각 2개의 VHF 통과대역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직렬공진회로(L4,C3 ; L5,C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렬공진회로(L4,C3 ; L5,C4)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직렬 공진기(L3,C2)와 상기 공중선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및 정합장치.
KR1019840008000A 1983-12-16 1984-12-15 차단 및 정합회로를 가진 전기신호 분리장치 KR880002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1,982 1983-12-16
US06/561,982 US4583097A (en) 1977-08-17 1983-12-16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US561982 1983-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183A KR850005183A (ko) 1985-08-21
KR880002103B1 true KR880002103B1 (ko) 1988-10-15

Family

ID=2424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000A KR880002103B1 (ko) 1983-12-16 1984-12-15 차단 및 정합회로를 가진 전기신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1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183A (ko) 198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8108A (en)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having isolating and matching circuitry for split passband matching
JP2627188B2 (ja) 3端子遠隔制御単極双投アンテナスイッチ
US4313222A (en) H-F Portion of TV receiver
US4654669A (en)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for window antenna having isolating and matching circuitry
US6266026B1 (en) Multiple band antenna
EP0146339B1 (en)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having isolating and matching circuitry
US4903035A (en)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having isolating and matching circuitry
US5239302A (en) Wave recept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5198825A (en) Recep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6472958B2 (en) Input circuit of satellite tuner
US4903034A (en)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having isolating and matching circuitry
EP0346089B1 (en) Reception system
US3942119A (en) Multiple-transmission-channel active antenna arrangement
KR880002103B1 (ko) 차단 및 정합회로를 가진 전기신호 분리장치
JP2001036328A (ja) Am・fm帯受信用アンテナ
KR100641598B1 (ko) 안테나 다이플렉서
US5151708A (en) Shortened mast antenna with compensating circuits
US4642691A (en) Television signal input filter
JP2005503710A (ja) 無線通信装置のrf信号スイッチ
US5751255A (en) Electrically small receiving antennas
EP0387003B1 (en) A shortened mast antenna with compensated circuits
EP0370714B1 (en) A wave recept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JPS6029231Y2 (ja) 濾波器
CA1234620A (en)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having isolating and matching circuitry
GB2152760A (en) Electrical signal separating device having isolating and matching circui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1031

Effective date: 20021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031

Effective date: 2002122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