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23Y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23Y1
KR880001823Y1 KR2019820001967U KR820001967U KR880001823Y1 KR 880001823 Y1 KR880001823 Y1 KR 880001823Y1 KR 2019820001967 U KR2019820001967 U KR 2019820001967U KR 820001967 U KR820001967 U KR 820001967U KR 880001823 Y1 KR880001823 Y1 KR 880001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ntact
conductor
circuit break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1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366U (ko
Inventor
신지 야마가타
후미유키 히시쓰네
준 이찌 테라치
야스 하지무 요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5803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3025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25802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30255U/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30003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 차단기
제1(a)도는 일반적인 회로차단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회로 차단기에 있어 금속입자의 거동의 모식적(模式的) 설명도.
제3(a)도는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 사용되고 있는 접촉자의 측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것의 평면도.
제3(c)도는 제3(b)도의 C-C선 단면도.
제4(a)도는 제3도에 표시된 도체를 사용한 경우 아아크 발생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정면도.
제5도는 비교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를 갖인 도체의 금속입자의 거동에 대한 모식적 설명도.
제6(a)도는 본 고안에 이르게된 회로차단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6(a)도는 (b)는 제6도(a)의 b-b선 측단면도.
제7도는 제6(a)도, 제6(b)도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 금속입자의 거동에 대한 모식적 설명도.
제8(a)도는 본 고안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평단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B-B선 측 단면도.
제8(c)도, 제8(d)도, 제8(e)도, 제8(f)도, 제8(g)도는 각기 본 고안에 관한 실시예로서, 고전접촉자상의 접점과 돌기물과의 관계를 다르게 한 경우의 측 단면도.
제9도는 제8(b)도의 고정접촉자와 아아크차폐차와의 실시예를 표시한 조립 전개도.
제10도는 제8도의 고정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조립 전개도.
제11(a)도, 제11(b)도 및 제12(a)도, 제12(b)도는 제8(c)도의 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실시예 조립 전개도.
제13(a)도, 제13(b)도는 제8(d)도의 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실시예 조립 전개도.
제14(a)도, 제14(b)도는 제8(e)도의 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실시예 조립 전개도.
제15(a)도, 제15(b)도는 제8(f)도의 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실시예 조립 전개도.
제16(a)도, 제16(b)도 및 제17(a)도, 제17(b)도는 제8도(g)의 각기 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실시예 조립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접촉자 201 : 고정도체
202 : 고정접점 3 : 가동접촉자
301 : 가동도체 302 : 가동접점
203 : 돌기 5 : 소호판
501 : 절결구 6,7 : 아아크차폐체
601,602,701 : 관통공 603,605,705 : 홈
tc : 접점의고 tp : 돌기부의고, 도면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한다.
본 고안은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단시에 있어 한류성능을 향상시킨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제1(a)도는 일반적인 회로 차단기를 표시한 평면 단면도이고, 제1(b)도는 제1(a)도의 B-B선 측면 단면도이다.
제1(a)도,제1(b)도에서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가 폐로되면 전류는 고정도체(201) →고정접점(202) → 가동접점→ 가동도체(301)의 경로로 흐른다.
이런 상태에 있어서, 단락전류 등의 대전류가 이 회로에 흐르면 조작기 구부(4)가 작동하여 가동접점(302)를 고정접점(202)에서 개리시킨다. 이때에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에는 아아크M가 발생하여,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에 아아크전압이 발생한다. 이 아아크전압은, 고정접점(202)에서 가동접점(302)의 개리 거리가 증대됨에 따라서 상승한다. 이와 동시에 아아크M가 소호판(5)의 방향으로 자기력에 의하여 당겨져서 신장하기 때문에 아아크전압은 다시 상승된다.
이와 같이하여 아아크전류는 전류영점이 되어 아아크M를 소호하고, 차단이 완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단동작중에 있어서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 사이에는 아아크M에 의하여 짧은시간 즉 수미리초 이내에 대량의 에너지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포위체(1) 내부의 기체온도는 상승되고 압력도 급력하게 상승하지만, 고온고압의 기체는 배출구(101)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회로 차단기 및 그 내부 구성부품은 차단에 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한다. 다음에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의 동작에 대하여 특별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아아크저항R는 다음과 같은 식이 부여된다.
단 R :아아크저항(Ω)
ρ: 아아크저항율(Ω.Cm)
ι: 아아크길이(Cm)
S : 아아크 단면적(㎠)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 KA이상의 대전류로서 아아크길이 ι가 50mm이하의 짧은 아아크 M에 있어서는 아아크공간은 표면에 아아크의 뿌리가 존재하는 도체의 금속입자에 의하여 점유되는 것이다. 더우기 이금속입자의 방출은 도체표면에 직각방향으로 생기는 것이다.
또한 이 방출된 금속입자는, 방출당시에는 도체금속의 비등점에 가까운 온도를 갖이며, 다시 아아크공간에 주입되는 순간에 전기적 에너지의 주입을 받아 고온, 고압화 됨과 동시에 도전성을 띠게되어 아아크공간의 압력분포에 따른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고속으로 도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아아크공간의 아아크저항율 ρ 및 아아크 단면적 S는 이 금속입자의 발생량과 방출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아아크전압도 이와 같은 금속입자의 거동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은 금속입자의 거동을 제2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X면을 접점부재로 구성한 경우에도 금속입자의 진동은 다음 설명과 다를바가 없는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한쌍의 도체(8)(9)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금속제 원주상의 일반적인 도체로서, 도체(8)은 양극이고 도체(9)는 음극이다.
또한 도체(8)(9)의 각기 X면은 도체(8)(9)가 접촉할 경우에 접촉면이되는 대향면이고, 도체(8)(9)의 각기 Y면은 각 대향면인 X면 이외의 전기적 접촉면인 도체표면을 표시한 것이다. X면을 접점부재로 구성하여도 금속입자의 진동은 하등 변동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면중 1점 쇄선으로 표시된 윤곽 Z는 도체(8)(9) 사이에 발생한 아아크M의 외곽을 표시한 것이고, 금속입자 a 및 금속입자b는 도체(8)(9)의 X면 및 Y면에서 증발등에 의하여 발생한 각 금속입자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그 방출 방향은, 각각 화살표 m 및 화살표 n에 의하여 표시된 각 유선 방향이다.
이와 같은 도체(8)(9)에서 방출된 금속입자 a,b는, 아아크공간의 에너지에 따라서는 도체금속의 비등온도인 약 3,000℃정도에서, 도전성을 띠게되는 온도 즉 8,000℃이상, 또는 더욱 높은 20,000℃정도까지 승온되어, 그 승온 과정에서 아아크공간의 에너지를 탈취하여 아아크공간의 온도를 하강시켜서 아아크저항R를 증대시킨다. 더우기 아아크공간에서 금속입자 a,b가 탈취하는 에너지량은 금속입자의 승온정도가 클수록 커지며, 그 승온정도는 도체(8)(9)에서 발생한 금속입자 a,b의 아아크공간내의 위치 및 방출경로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체(8)(9)에서 방출된 a,b의 경로는, 아아크공간의 압력분포에 따라서 결정된다. 아아크공간의 압력은 전류 자신의 핀치력과 금속입자 a,b의 열팽창의 복합력에 의하여 결정된다. 핀치력은 전류의 밀도에 의하여 대략 결정되는 것이고, 즉 도체(8)(9)상의 아아크M의 뿌리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금속입자 a,b는 핀치력에 의하여 결정된 공간을 열팽창되면서 비행하는 것으로 생각하여도 된다.
또한 도체(8)(9)상에 있어서 아아크M의 뿌리에 제한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금속입자 a는 편측도체(9)에서 타측도체(8)에 일방적인 베이퍼 젯트되어 취부(吹付)하는 것이 공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편측도체(9)에서 타측도체(8)을 향하여, 금속입자 a가 일방적인 취부를 할 경우에는 아아크M의 양광주에 주입되는 금속입자 a는 대개 편측도체(9)에서만 공급되는 것이다.
제2도에서는 일예로서 음극에서 양극으로 강하에 취부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였으나, 이것의 반대방향의 취부의 경우도 있다.
상기한 사정을 다음에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어떤 이유에 의하여 도체(9)에서 도체(8)을 향하여 일방적인 취부가 생기고 있다고 한다. 도체(9)의 대향면인 X면에서 방출된 금속입자 a는 도체계면에 직각으로 즉 양광주를 향하여 비행하려고 한다. 이때에 도체(9)의 X면을 떠난 금속입자 a는 핀치력에 의하여 생긴 압력에 의하여 양광주에 주입된다. 타측의 도체(8)의 X면을 떠난 금속입자 a는 양광주내부의 입자의 흐름에 밀려서 X면의 외각방향으로 배출된 양광내부에 진입하지 못하고 순식간에 계외(系外)로 도망하게 된다. 도체(8)에서 방출되는 것과 도체(9)에서 방출된 것으로 금속입자 a의 진동이 제2도내의 화살표 m,m1의 유선표시와 같이 상이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체계면의 핀치력에 의하여 생긴 압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하여 도체(9)에서 일방적인 취부는, 취부를 받게되는 도체(8)을 가열하고, 도체(8)의 표면상의 아아크의 뿌리(양극점, 음극점)를 그 정면의 X면에서 그 이외의 면으로 확대시킨다. 이때문에, 도체(8)의 도체계면상의 전류밀도는 저하하고. 아아크의 압력도 저하된다. 따라서, 더욱 도체(9)에서 일방적인 취부를 강하게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생한 각기의 도체(8)(9)를 떠난 금속입자 a의 비행경로의 차이는 아아크공간에서 탈취한 에너지량의 차이가 된다. 따라서 도체(9)의 X면에서 방출된 금속입자 a는 양광주에서 충분하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지만, 도체(8)의 X면에서 방출된 금속입자 a는 충분히 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여, 유효하게, 아아크M를 냉각하지 않은채 계외로 방출되어 버린다.
또한 도체(8)(9)의 Y면에서 방출된 금속입자 b는 도면의 화살표 n의 유선표시와 같이 아아크M에서 충분하게 열을 탈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아크면적 S를 증대하여, 아아크M의 아아크저항R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한쪽의 도체(9)에서 취부가 있을 경우에는, 양광주의 금속입자 a에 의한 냉각효율이 저율이며, 또한 양쪽의 도체(8)(9)의 대향면 이외의 면인 Y면에서 발생되는 금속입자 b가 양광주 냉각에 하등기여하지 못하고, 더우기 아아크단면적 S를 증대시키게 되어서 아아크저항R도 저하된다. 따라서 한쪽의 도체에서 다른 쪽의 도체로 일방적인 금속입자의 취부가 존재하게되면 아아크전압을 상승시키는 점에서는 불리하고, 따라서 차단시에 한류성능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 사용되고 있는 고정접촉자 및 자동접촉자는 제2의 모델의 도체와 같이 대향면의 표면적이크다. 따라서 발생한 아아크의 뿌리 크기에 제한이 가하여 지지않을 뿐만 아니라 대향면 이외에도 측면등에 노출면이 있음으로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접촉자면에 생기는 아아크의 뿌리(양극점 또는 음극점)의 위치 및 크기에 별도의 제한이 가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제2도에 대하여 설명한 기구에서 일측접촉자에서 타측접촉자에 대하여 금속입자 a의 일방적인 취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아크단면적 S가 커지게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때의 한류성능을 향상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접촉자의 예에서는, 접점근방에 도체의 용융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점근방의 도체면 일부를 절연물(10a)로 피복한 것이 있다.
제3(b)도는 그와 같은 접촉자(2)를 표시한 측면도이고, 제3(b)도는 제3(a)도의 평면도이며, 제3(c)도는 제3(b)도의 C-C선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로서는 도체의 선단부분을 절연물(10a)로 피복되고 있지않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쌍의 도체를 사용하여 제4도와 같이 회로 차단기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는, 그 한쌍의 고정접촉자(2)와 가동접촉자(3) 사이에 제4(a) 및 제4(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아아크M가 생긴다. 이 아아크M에 있어서는 제4(a) 및 제4(b)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아아크의 뿌리 즉 양극점, 음극점의 위치가 도체의 선단을 향하여 크게 확대되어 있어,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차단시에 한류성능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다시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접점 중 일측의 것에만, 그 접촉면의 주변 부분을 절연물의 판상체(81)로 피복한 경우에 대하여 그 표면 상태를 조사하였던바, 이예에서는 절연물(10a)에 포위된 접점을 갖는 도체(9)의 X면에서는, 그 흐름방향이 좁게 제한된 금속입자 a가 아아크 양광주부에 주입되지만 절연물(10a)로 피복되지 않은측의 접점이 있는 도체(8)의 X면에서 발생한 금속입자에 있어서는 그 아아크의 뿌리 즉 그 양극점, 음극점은 제한을 받음이 없이 도체표면상 가득히 확산되며 다시 접점의 측면인 Y면에까지 확산됨으로서 전류밀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핀치력은 약화되어 금속입자가 아아크밖으로 도망하게 되는 점은 제2도에서와 같다.
이러함으로 결국 아아크 양광주부의 양상은 비록 일측도체의 근방에 절연물을 장설하여도, 결국은 일방향에서 금속입자를 취부하는 현상이 된다. 따라서 쌍방도 체공히 아아크의 뿌리크기를 제한하지 않은 경우와 같은 양상을 표시하여 아아크전압도 별반크게 상승되지 않고 한류성능은 향상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아크전압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아아크 뿌리에 생긴 금속입자를 양극공히 양광주내부에 유효하게 주입시킬 필요가 있으며, 금속입자를 양광주에 주입하는 힘은 아아크의 뿌리에 생긴 핀치력에 의한 압력이다. 핀치력은 접촉자상의 아아크뿌리의 크기 또는 전류밀도에 의하여 크게 변화되는 이상, 이것을 제한하는 것은 가능한 것이다.
예를들면 종래의 접촉자는 적어도 편측의 X면의 면적이 크고, 아아크의 뿌리의 크기를 유효한 정도로 제한할 수 있게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연물을 사용하지 않은 접촉자에 있어서는 양접촉자의 대향하는 X면을 가능한한 적게하면, 어느정도 X면상의 전류의 밀도가 상승되어 핀치력이 증가됨과 동시에 각기의 금속입자는 종래와는 다르게 어느정도 양측에서 양광주에 주입됨으로 아아크 전압은 종래보다도 상승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서는 X면 이외 즉 Y면의 아아크의 뿌리 확대는 저지할 수 없으며, Y면으로 아아크의 뿌리가 확대한 만큼 X면의 전류밀도는 감소하고 금속입자의 주입압력은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의 접촉자의 경우 금속입자에 의한 양광주의 냉각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되었던 것은 아니다. 더우기 종래의 접촉자의 커다란 결점은 Y면으로 아아크의 뿌리가 확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Y면에 많이 장설되게되는 도체와의 접합부에 직접 아아크의 뿌리가 확대하기 쉬워서 이열에 의하여 융점이 낮은 접합부재가 용융되어, 접점이 탈락하는 위험성이 있는 점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아아크전압을 보유하고, 차단때에 한류 성능이 양호하며, 더우기 접점의 탈락우려가 없는 회로차단기를 얻고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회로 차단기의 양측 접점의 전기적 접촉면을 남기고, 그 주변 공간에 표출된 도체의 접점근방 부분을 도체를 형성하는 재료보다도 높은 저항율을 보유하는 고저항 재료의 물질(이하고저항재료라고 칭한다)로된 아아크차폐체(판상의 아아크차폐판 및 테이핑 코오팅의 피복물)의 배후에 음폐시켜서 그에 의하여 금속입자를 강제적으로 아아크공간에 주입되게 하고, 또한 고정접점에서 아아크를 전류시키는 돌기를 고정도체에 돌설한 것이다. 상기의 고저항재료로서는, 예를들면 유기 또는 무기절연물, 혹은 동닉켈, 동망간, 망가닌, 철탄소, 철닉켈, 또는 철크롬등의 고저항금속이 사용된다.
또한 온도상승에 대하여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철의 사용도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원리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6(a)도는 본 고안에 이르게된 회로차단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평단면도이고, 제6(b)도는 제6(a)도의 B-B선 측면 단면도이다.
제6(a)도, 제6(b)도에 있어서, 포위체(1)은 절연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회로 차단기의 외틀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배출구(101)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접촉자(2)는 포위체(201)의 일단부에 착설된 고정접점(202)로 구성되어있다. 가동접촉자(3)은 고정접촉자(2)에 대하여 개폐하는 것으로서, 고정도체(201)에 대하여 개폐 동작하는 가동도체(301)과, 고정접점(202)에 상대되어 가동도체(301)의 일단부에 착설된 가동접점(302)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기구부(4)는 가동접촉자(3)을 개폐조작하는 것이다. 소호판(5)는 가동접점(302)가 고정접점(202)에서 개리될 때에 발생하는 아아크M를 소호하는 것이다. 아아크차폐체(6)(7)은 각각 전기한 고저항재료로 구성되어, 각기 고정접점(202), 가동접점(302)를 돌출시켜서 상호 아아크M에 대향지게 각기 고정도체(201), 가동도체(301)에 착설되어있다.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가 폐로되어 있으면, 전류는 고정도체(201)→ 고정도체(202)→가동접점(302)→가동도체(301)로, 전원측에서 부하측으로 흐른다. 이 상태에 있어서, 단락전류등의 대전류가 이 회로에 흐르면, 조작기구부(4)가 작동하여 가동접점(302)를 고정접점(202)에서 개리시킨다. 이때에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에 아아크M가 발생한다.
이 아아크M에 있어서는 제7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아아크차폐체(6)(7)에 의하여 금속입자가 반사되어, 아아크공간이 고압으로되어, 그 결과로 아아크가 효과적으로 냉각되어 소호된다. 제7도는 제6도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금속입자의 거동에 대한 모식적 설명도이다. 더우기 X면을 접점부재로 구성한 경우에도 금속입자의 진동은 다음 설명과 하등 다를바가 없다.
제7도에 있어서, 한쌍의 도쳇(8)(9)는 제2도와 동일형상으로 구성되었고, 아아크차폐체(6)(7)이 도체(8)(9)의 각기 대향면인 X면을 돌출되게 아아크M에 대향지게 도체(8)(9)에 착설되었다. 물론 X면을 접점부재로 구성하여도 금속입자의 진동은 동일한 것이다.
즉 공간 Q,Q의 압력치는 아아크M 자신의 공간 압력치 이상으로는 될 수 없지만, 그러나 최소 아아크차폐체(6)(7)이 설치되어 있지않은 경우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높은 값을 표시한다. 따라서 아아크차폐체(6)(7)에 의하여 생긴 상당히 높은 압력을 갖는 주변공간 Q,Q는 아아크M의 공간 확산을 억제하는 힘을 부여하여 아아크M를 좁은 공간에 축소 하는 것이된다. 이것은 즉 대향면인 X면에서 발생한 금속입자 a,c등의 유선 m,m1,o,o1을 아아크공간에 축소하여 폐쇄시키는 것이된다. 따라서 X면에서 방출된 금속입자 a,c는 유효하게 아아크공간에 주입된다. 그 결과로 유효하게 주입된 대량의 금속입자 a,c는 아아크공간에서 종래장치와는 비교도 되지않는 에너지를 탈취하기 때문에, 아아크공간을 현저하게 냉각시킨다. 따라서 저항율 ρ즉 아아크저항R를 현저하게 상승시켜서 아아크전압을 지극히 높게 상승시킨다. 이 아아크차폐체(6)(7)을 예를들면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의 접촉면, 즉 제7도에 표시된 대향면인 X면의 주변가까이 설치하면 도체표면인 Y면에까지 아아크M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아크M의 뿌리의 크기도 제한하게되는 것이다.
이때문에 금속입자 a,c의 발생을 X면에 집중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아아크단면적 S도 축소시킬 수 있고, 금속입자a,c가 아아크공간으로 유효하게 주입되게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아아크공간의 냉각, 아아크저항을 ρ의 상승 및 아아크저항R의 상승을 더욱촉진하여, 아아크전압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제8(a)도는 본 고안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평면 단면도이고, 제8(b)도는 제8(a)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에 표시한 고정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조립 전개도이다.
도면중 제6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제8도 및 제9도에 있어 고정도체(201)에는 고정접점(202)가 착설되어 고정접점(202)의 근처 소호판(5) 방향에는 고정도체(201)에 돌기(203)이 돌설되어있다. 아아크차폐체(6)의 관통공(601), (602)는 각기 고정접점(202) 및 돌기(203)이 관통 삽입되어서 아아크차폐체(6)은 고정도체(2)에 착설되어있다.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가동접점(302)가 고정접점(202)에서 개리하면,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 사이에 아아크M가 발생한다.
이때에 상술한 작용으로 아아크전압을 급격하게 상승시키므로 절연파괴형태로 아아크M의 뿌리는 고정접점(202)에서 돌기(203)으로 이동되어 아아크M는 제8(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203)과 가동접점(302)간으로 전이한다. 따라서 고정접점(202)의 소모를 적게할 수 있고, 아아크M는 종래와 비교하여 월등하게 크게 신장되고 아아크M가 직접 소호판(5)에 접촉되기 때문에 소호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구성에서는 돌기(203)을 고정도체(201)에만 돌설하고 있어서, 전류(傳流)후의 아아크전류로는 가동접점(302)와 돌기(203)을 연결하게된다. 따라서 전류후의 아아크전류는 가동도체(301)에 흐르는 전류와 고정도체(201)에 흐르는 전류에 대하여 전류보다 둔각으로되어, 소호판(5)의 아아크구동력 또는 아아크M의 내압에 의한 아아크배출구(101)를 향한 구동력에 대하여 상반하는 구동력을 미치게하는 고정도체(201)을 흐르는 전류의 구동력이 약화되어 전류후의 아아크M는 다시 구동신장되어서 아아크전압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아크차폐체(6)(7)만을 설치하고 돌기(203)을 설치하지 않으면 아아크M의 뿌리가 고정되어 이동할 수 없게되어, 특히 소전류, 즉 전류영점에서 절연회복력이 약하여 차단불능을 병발하는 사례가 있으나, 상기구성에서와 같이 돌기(203)을 돌설하면 전류후 반드시 아아크길이를 신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호판(5)에 접촉시켜서 확실한 차단을 할수 있는 것이다.
제8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고정도체(201)에는 고정접점(202)와 돌기(203)이 돌설되어 있다.
아아크차폐체(6)의 관통공(601)(602)는 각기 고정접점(202) 및 돌기(203)이 관통 삽입되어서, 아아크차폐체(6)은 고정도체(2)에 착설되었고, 아아크차폐체(6)의 관통공(601)(602) 사이에는 고정도체(2)를 노출시키는 홈(603)이 삭설되어 있다.
이 동작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가동 접점(302)가 고정접점(202)에서 개리하면,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 사이에 아아크M가 발생한다.
이때에 아아크차폐체(6)(7)의 작용으로 아아크전압을 상승시킴으로 절연파괴형태로 아아크M의 뿌리는 고정접점(202)에서 돌기(203)으로 전이되어 아아크M는 제8(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돌기(203)과 가동접점(302) 사이에 전이한다. 따라서, 고정접점(202)의 소모를 적게할수 있고, 아아크M는 종래와 비교하여 월등하게 크게 신장되어, 아아크M가 직접 소호판(5)에 접촉되기 때문에 소호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아크폐체(6)(7)의 작용으로 접점(202)(302)사이의 아아크 전압을 상승시킴으로, 접점(202)근처에 돌기(203)이 존재하면 그 부분에 전개집중 현상을 야기하여 아아크M의 뿌리는 절연파괴형태로 접점(202)에서 돌기(203)에 전류하는 것이 보편적인 것이다.
그런데 아아크차폐체(6)(7)의 금속입자의 봉쇄작용이 없는 경우와 같은 소전류의 차단에 있어서는 필히 아아크M의 뿌리가 접점(202)에서 돌기(203)에 전류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홈(603)을 삭설하면 외력(外力) 즉 소호판(5)의 흡인력 또는 아아크압력의 배출구(101)의 존재에 따른 불균형에서 생긴 기류, 또는 가동도체(301) 및 고정도체(201)의 배치(도시없음)에서 생기는 전자력등에 의하여 아아크M의 뿌리의 이동이 가능하고 아아크 길이의 신장 및 소호판(5)로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소전류의 확실한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점간에 발생한 아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판에 일단부가 상기 접점측에 개방된 절결구를 요설하여 상기 돌기부는 접점보다도 아아크의 주행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이 돌기부의 높이를 돌기부가 설치 되어 있는 접촉자의 접점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8도 및 제1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8(a)도는 본 고안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일실시예에서 일부를 절결한 평단면도이고, 제8(c)도는 일부를 절결한 측 단면도이다. 제11(a)도 및 제11(b)도는 제8도에 표시된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1(a)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2)에 착설된 아아크차폐체(6)은 2개의 관통공(601)(602)를 보유하고, 그 일측의 관통공(601)에 전기 고정접점(202)가 관삽된다.
또한 제11(b)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에 착설된 아아크차폐체(7)에도 관통공(701)을 보유하고, 이 관통공(701)에 가동접점(302)가 관삽된다. 아아크차폐체(7)은 상기도체(201)(301)보다도 저항율이 높은 고저항재료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각 접촉자(2)(3)의 각접점(202)(302)의 외주가 아아크차폐체(6)(7)에 의하여 포위되어, 그 주의의 도체 부위가 아아크차폐체(6)(7)에 의하여 복개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접촉자(2)의 접점근방에 도전성의 돌기부(203)이 돌설되어, 이 돌기부(203)이 전기 아아크차폐체(6)의 타측관통공(602)에 관삽되어 아아크차폐체(6)상에 돌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돌기부(203)의 높이(tp)는 이 돌기부(203)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접촉자(2)의 고정접점(202)의 높이(tc)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다.
즉 tctp 이다.
이 실시예의 원리를 상기 제7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아아크차폐체에 사용되는 고저항재료도 상술한 경우와 완전 동일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에 발생한 아아크M는 아아크차폐체(6)(7)의 작용에 의하여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의 아아크전압을 상승시키는 것, 또는 돌기부(203)은 고정접점(202)와 동전위이기 때문에 전계강도가 매우 높게되는 것, 더우기 돌기부(203)은 아아크M에 의한 고온, 고전리 기체내에 위치하는 것 등에 의하여 가동접점(302)와 돌기부(203) 사이에서 절연 파괴를 발생하여 고정접점(202) 상의 아아크M의 뿌리가 돌기부(203)에 전이한다. 이때문에 고정접점(202)의 소모가 적게된다.특히 직류 차단 등에서는 아아크길이를 증대시켜서 소포판에 접촉시키는 것이 차단 불능시의 대책으로서는 가장 유효함으로 이점에서도 유리하다. 더우기 아아크차폐체(6)(7)이 접점(202)(302)의 외주를 복개하고 있어서 아아크M의 뿌리가 접점고착면에 형성되지 않는것, 이에 대하여 아아크M의 뿌리가 전이하기 때문에 접점의 쥴 발열이 감소하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하여 접점 탈락이 완전히 방지된다.
특히 돌기부(203)의 높이가 접점(202)의 표면높이 보다 낮기 때문에 전이후의 아아크M의 길이가 각별하게 커져서 아아크 전압이 더욱 증대됨으로 소호상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특히 소호판(5)를 설치하지 않아도 소호가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이 구성에서 고정접점(202) 또는 가동접점(302)가 소모되어도 가동접촉자(3)이 돌기부(203)에 접촉되는 불편이 생기는 일 없고, 항상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와의 안정된 접촉 상태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경우 돌기부(203)으로 전이된 아아크M는 상술한 이유에 의하여 축소작용을 받아 계속 한류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부(203)을 고정접촉자(2)에만 설치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접촉자(3)에만 설치하여도 혹은 쌍방의 접촉자(2)(3)에 설치하여도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쌍방의 접촉자(2)(3)에 설치하면 특히 양측의 접점(202)(302)의 소모가 적어지는 잇점이 있다.
다음에 제12(a)도 제12(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접점(202)와 돌기부(203)과의 사이의 고정도체부위가 노출되게 관통공(601)과 (602)사이에 홈(605)를 삭설하거나, 또는 가동접점(302)의 측면에서 발단하여 접점(302)에서 멀어지는 방향(아아크의 전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705)를 아아크차폐체(7)에 삭설하여 홈(705)에 상당하는 가동도체부위를 노출시켜 아아크가 돌기부(203)으로 전이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8(d)도 및 제13(a)도, 제13(b)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3(a)도, 제13(b)도에 있어서 고정접촉자(2)의 접점근방에 도전성의 돌기부(203)이 설치되어 돌기부(203)이, 아아크차폐체(6)의 타측의 관통공(602)에 관삽되어, 아아크차폐체(6)상에 돌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돌기부(203)의 높이(tp)는, 이돌기부(203)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접촉자(2)의 고정접점(202)의 높이(tc)보다도 높게 구성되어 있다.
즉 tc<tp이다.
가동접점(302)가 고정접점(202)에서 개리되면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와의 사이에 아아크M가 발생한다.
이 아아크M는 다음의 이유에 의하여 뿌리(스포트)를 고정접점(202)에서 돌기부(203)으로 전이한다.
즉 아아크M는 상술된 이유로 아아크차폐체(6)(7)의 작용에 의하여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와의 사이의 아아크전압을 상승시키는 것, 또는 돌기부(203)은 고정접점(202)와 동전위 이기 때문에 전계 강도가 매우 높게 되면 다시 돌기부(203)의 높이가 접점의 높이보다 높아서 아아크A에 의한 고온, 고전리 기체 내에 위치하는 것 등에 의하여 가동접점(302)와 돌기부(203)과의 사이에 절연파괴가 발생되어, 고정접점(202)상의 아아크M의 뿌리가 돌기부(203)에 전이한다.
이 때문에 고정접점(202)의 소모가 적게 된다.
또한 아아크차폐체(6)(7)이 접점(202)(302)의 외주를 복개하는 것으로, 아아크M의 뿌리가 접점고착면에 형성되지 않은 것, 이에 더하여 아아크M의 뿌리가 전이하기 때문에 접점의 쥴발열이 감소하는 것 등에 의하여 접점탈락이 완전방지된다.
특히 돌기부(203)의 높이(tp)가 고정접점(202)의 높이(tc)보다 높음으로 다수 횟수의 차단동작을 통하여 아아크M의 전이가 반복되어도, 이돌기부(203)이 쉽게 소모, 소멸되지 않는다.
즉 다수 횟수의 차단 동작에 의한 돌기부(203)의 소모를 원인으로 하는 신뢰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더우기 이 경우 소호판(5)는 사용하지 않아도 소호할 수 있으며, 또한 돌기부(203)으로 전이한 아아크M는 전술한 이유에 의하여 축소작용을 받아 계속 한류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부(203)을 고정접촉자(2)에만 설치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접촉자(3)에만 설치하여도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쌍방의 접촉자(2)(3)에 설치하면, 특히 양측의 접점(202)(302)의 소모가 더욱 적어지는 잇점이 있다.
제12(a)도, 제12(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점(202)와 돌기부(203) 사이의 고정도체부위를 노출시키게 관통공(601)과 (602) 사이에 홈(605)를 결설하거나 또는 가동접점(302)의 측면을 발단하여 접점(302)에서 멀어지는 방향(아아크의 전이방향)으로 연장된 홈(705)에 상당하는 가동도체부이를 노출시켜 아아크가 돌기부(203)으로 전이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8(e)도 및 제1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고정도체상의 돌기부를 상기 아아크자폐제상에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돌기부의 표면적을 이 돌기부가 돌설된 접촉자의 접점표면적 보다도 작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제8(a)도는 본 고안에 관한 회로 차단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일부절결 평단면도이고, 제8(e)도는 일부를 절결한 측단면도이다.
제14(a)도 및 제14(b)도는 제8도에 표시한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분해사시도이다.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해리되어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에 발생한 아아크M의 뿌리가 돌기부(203)에 전이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유동에 의하여 접점탈락이 완전방지된다.
특히 돌기부(203)이 아아크차폐체(6)에서 돌출된 돌출부의 표면적이 고정접점(202)가 아아크차폐체(6)에서 돌출된 돌출부의 표면적 보다도 작음으로 전이후의 아아크의 뿌리가 작게 조여저서 이 조임작용이 상술한 이유에 따른 축소작용을 다시 조장하게 됨으로 아아크 전압이 각별히 상승되어 한류성능을 현저하게 향상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부(203)을 고정접촉자(2)에만 설치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경우와 같게 가동접촉자(3)에만 설치하거나, 또는 쌍방의 접촉자(2)(3)에 설치하여도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쌍방의 접촉자(2)(3)에 설치하면 특히 양측접점(202)(302)의 소모를 더욱 적게 하는 잇점이 있다.
다음 제12(a)도, 제12(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접점(202)와 돌기부(203)사이에 고정도제부위를 노출되도록 관통공(601)와 (602)사이에 홈(605)를 삭설하거나, 또는 가동접점(302)의 측면을 발단으로 하여 접점(302)에서 멀어지는 방향(아아크의 전이방향)에 연장된 홈(705)를 아아크차폐체(7)에 설치하여, 이홈(705)에 상당하는 가동도체부위를 노출시켜 아아크가 돌기부(203)으로 전이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8(f)도 및 제15(a)도 제15(b)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회로차단기의 양측접점의 전기적 접촉면의 일부를 남기고 그 주변 공간에 표출된 도체의 접점근방부분을, 도체를 형성하는 재료보다도 높은 저항율을 갖는 고저항재료의 물질로 된 아아크차폐체(판상의 아아크차폐판 및 테이핑, 코오팅의 피복물)의 배후에 음폐시켜 그로 인하여 금속입자를 강제적으로 아아크 공간에 주입되게 하고, 고정접점(202) 또는 가동접점(302)에서 아아크를 전류시키는 접점돌출면적보다도 큰 돌출 표면적을 보유하는 도전성의 돌기물을 고정도체(201) 및 가동도체(301)의 어느 일측에 설치한 것이다.
제8(a)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회로차단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평단면도이고, 제8(f)도는 제8(a)도의 B-B선측 단면도이다.
제15(a)도 및 제15(b)도는 제8도에 표시한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와 아아크차폐체와의 조립전개도이다.
도면 중 제6도와 동일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제8도 및 제15도에 있어서, 고정도체(201)의 일단부에는 고정접점(202)가 착설되어 고정접점(202)의 근방이며, 아아크의 흐르는 측 즉 소호판(5) 방향에는, 고정접점(202)의 돌출표면적보다도 큰 돌출 표면적을 보유하는 돌기물(2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도체(302)의 일단부에는 가동접점(302)가 착설되어 있다. 아아크차폐체(6)의 관통공(601), (602)에는 고정접점(202), 돌기물(203) 등이 관통삽입되어, 아아크차폐체(7)의 관통공(701)에는 가동접점(302)가 관통삽입되어서, 아아크차폐체(6)(7)은, 고정, 가동도체(201),(301)에 각기 착설되어 있다.
이 동작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가동접점(302)가 고정접점(202)에서 개리되면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와의 사이에 아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아크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하여 그 스포트를 돌기물(203)에 전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아아크는 전술한 이유에 의하여 아아크차폐체(6)(7)의 작용으로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의 아아크전압을 상승하는 것, 또한 돌기물(203)은 고정접점(202)의 동전위인 것, 더우기 아아크에 의한 고온, 고전리 기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 등에 의하여 가동접점(302)와 돌기물(203) 사이에서 절연파괴를 발생하여, 고정접점(202)상의 아아크 뿌리는 돌기물(203)에 전이한다.
따라서 고정접점(202)의 소모를 적게할 수 있으며, 소호판(5)와의 접촉으로 소호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아크차폐체가 접점의 외주를 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아아크이 뿌리가 접점고착면에 형성되지 않는 것, 아아크의 뿌리가 전이함으로서 접점의 쥴발열이 감소하는 것 등에 의하여 접점탈락이 완전방지 되는 것이다.
더우기 돌기불(203)의 돌출표면적은 고정접점(202)의 돌출표면적 보다도 넓게 하고 있음으로, 전류후의 아아크전압이 극도로 상승되지는 않는다.
즉 전류하지 않으면 이상(異常)적으로 높아지는 아아크전압을 억제하여, 회로차단기 본체뿐만 아니라 게통에 접속된 보호기기의 개폐사아지 전압에 의한 사고방지에 기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물을 고정도체측에만 설치하였으나 고정, 가동양도체에 설치하여도 그 작용효과는 변동이 없을뿐 아니라 양측의 접점소모를 더욱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제12(a)도, 제12(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점(202)와 돌기물(203)을 연통시키고, 고정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아아크차폐체(6)의 관통공(601)과 (602) 사이에 연통홈(605)를 삭설하거나, 또는 가동접점(302)의 측면을 발단으로 아아크의 주행 방향에 연장된 홈(705)를 아아크차폐체(7)에 각설하여서 이 홈(705)에 가동도체의 일부를 노출함으로서 아아크주행에 유리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제8(g)도의 경우를 설명한다.
고정접점(202) 또는 가동접점(302)에서 아아크를 전류시키는 선단이 예리한 도전성의 돌기물을 고정도체(201) 및 가동도체(301)의 최소한 일측에 설치한 것이다.
제8(g)도 및 제16도에 있어서, 고정도체(201)의 일단부에는 고정접점(202)가 착설되어 고정접점(202)의 근방부로서 아아크의 흐르는 측즉 소호판(5) 방향에는 선단이 예리한 돌기물(2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도체(301)의 일단부에는 가동접점(302)가 착설되어 있다.
아아크차폐체(6)의 관통공(601)(602)에는 고정접점(202), 돌기물(203)이 관통삽입되며, 아아크차폐체(7)의 관통공(701)에는 가동접점(302)가 관통삽입되어서 아아크체폐체(6)(7)은 고정도체, 가동도체(201)(301)에 각기 착설되어 있다.
다음에서 이동작을 설명한다.
가동접점(302)가 고정접점(202)에서 개리하면 가동접점(302)와 고정접점(202) 사이에 아아크가 발생한다.
아아크는 다음 이유에 의하여 그스포트를 돌기물(203)에 전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아아크는 전술한 이유에 의하여 아아크차폐체(6)(7)의 작용으로 고정접점(202)와 가동접점(302) 사이의 아아크 전압을 상승하는 것, 또한 돌기물(203)은 고정접점(202)와 동전위이며, 그 선단이 예리함으로 전계집중이 되어 전계강도가 매우 높아지는 것, 더우기 아아크에 의한 고온, 고전리 기체내에 위치하는 것 등에 의하여 가동접점(302)와 돌기물(203) 사이에서 절연파괴를 일으켜 고정접점(202)에 전이한다.
따라서 고정접점(202)의 소모를 적게할 수 있으며, 소호판(5)와의 접촉으로 소호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아크 차폐체가 접점의 외주를 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아아크의 뿌리가 접점고착면에 형성되지 않은 것, 아아크의 뿌리가 전이하므로서 접점의 츌발열이 감소하는 것 등에 의하여 접점탈락이 완전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물을 고정체측에만 설시하였으나, 고정, 가동양도체에 설치하여도 그 작용효과에 변동이 없을뿐만 아니라 양측의 접점소모를 더욱 적게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제17(a)도, 제17(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점(202)와 돌기물(203)을 연통시켜 고정도체의 일부를 노출되게 아아크차폐체(6)의 관통공(601)와 (602)사이에 연통홈(605)를 삭설하거나, 또는 가동접점(302)의 측면을 발단으로 아아크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705)를 아아크차폐체(7)에 삭설하여 이홈(705)에 가동도체의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서 아아크주행에 유리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우기 소호판(705)는 없어도 소홀할 수 있으며, 이 소호판(5)의 구성재료로서는 자성재 또는 비자성재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즉 자성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아아크M의 생각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정격전류가 큰 회로 차단기에서는 자성재에 발생한 와전류에 의하여 정격운전시의 온도상승이 문제가 된다.
한편 비자성재로 구성한 경우에는 아아크M의 냉각효과는 약간 떨어지지만 정격운전시의 온도상승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회로 차단기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은 한류성능을 보유하고, 아아크의 소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접점의 소모와 탈락이 방지되며 저렴한 가격으로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도체와, 이 도체상에 고착된 접점으로 각각 형성된 고정접촉자(2)와 가동접촉자(3), 이들 접촉자의 적어도 한쪽의 도체(201)상 접점(202) 부근에 설치된 도전성의 돌기부(203), 상기 접촉부(2)(3)의 도체상의 상기 접점과 돌기부를 위요하여 설치되며 도체보다도 저항율이 높은 고저항재료로 형성된 아아크차폐체(6)(7), 일단이 상기 접점측으로 개방된 절결구(切缺溝)(501)가 형성된 소호판(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돌기부(203)를 접점보다 아아크주행측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돌기부(203)의 도체상 높이를 이 돌기부(203)가 설치된 도체상의 접점 높이보다도 높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돌기부(203)의 도체상 높이를 이 돌기부(203)가 설치된 도체상의 접점 높이 보다도 낮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5. 내용 없음.
  6. 내용 없음.
  7. 제1항에 있어서, 돌기부(203)를 선단이 예리한 4변형상의 피라밋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8. 제1항에 있어서, 아아크차폐체(6)(7)에는 접점(202)(203)의 측면으로 부터 아아크주행방향으로 뻗은 홈(605)(705)이 형성되고 이홈 (605)(705)에 도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2019820001967U 1981-08-24 1982-03-15 회로 차단기 KR8800018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5802 1981-08-24
JP12580381U JPS5830256U (ja) 1981-08-24 1981-08-24 回路しや断器
JP12580281U JPS5830255U (ja) 1981-08-24 1981-08-24 回路しや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366U KR830003366U (ko) 1983-12-12
KR880001823Y1 true KR880001823Y1 (ko) 1988-05-13

Family

ID=2646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1967U KR880001823Y1 (ko) 1981-08-24 1982-03-15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8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366U (ko) 198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3053A (en) Circuit breaker with arc restricting device
KR880001823Y1 (ko) 회로 차단기
US4409444A (en) Circuit breaker
KR880001827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1825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1824Y1 (ko) 회로차단기
KR880000402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3291Y1 (ko) 회로 차단기
JPH0218513Y2 (ko)
JPH0218515Y2 (ko)
JPH0218516Y2 (ko)
EP0061097A2 (en) Circuit breaker
KR880001791Y1 (ko) 회로 차단기
CN213400993U (zh) 一种断路器
JPH0218512Y2 (ko)
JPH0113314Y2 (ko)
KR880000361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0401Y1 (ko) 회로 차단기
US4453055A (en) Louvered arc chute
JPH0113315Y2 (ko)
JPH0113316Y2 (ko)
KR0176736B1 (ko) 한류성능이 양호한 회로차단기의 접촉자
JPH0126028Y2 (ko)
KR930006824Y1 (ko) 전자 접속기의 보조접점 아크(arc) 소호장치
JPS59211931A (ja) 回路しや断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