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91Y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91Y1
KR880001791Y1 KR2019880002431U KR880002431U KR880001791Y1 KR 880001791 Y1 KR880001791 Y1 KR 880001791Y1 KR 2019880002431 U KR2019880002431 U KR 2019880002431U KR 880002431 U KR880002431 U KR 880002431U KR 880001791 Y1 KR880001791 Y1 KR 880001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ntact
contacts
arc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유끼 히사쓰네
가다 신지 야마
쥰 이찌 데라찌
기요미 야마모도
하지무 요시야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91Y1/ko

Link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 차단기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일부를 절개한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B-B선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동작설명도
제 4(a)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촉자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 4(b)도는 본발명 접촉자가 장착된 회로차단기를 표시한 일부절개 평면도.
제 4(c)도는 제 4(a)도의 D-D선 단면도.
제 5(a)도는 본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접촉자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 5(b)도는 동접촉자가 장착된 회로차단기를 표시한 일부절개평면도.
제 5(c)도는 제 5(a)도의 D-D선 단면도.
제 6(a)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접촉자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 6(b)도는 동접촉자가 장착된 회로차단기를 표시한 일부절개평면도.
제 6(c)도는 제 6(a)도의 D-D선 단면도.
제 7 도는 접점입자의 동작 설명도.
제 8 도는 아아크와 소호판의 상호작용을 표시한 설명도.
제 9 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촉자의 분해사시도.
제 10 도는 동접촉자를 이용한 회로차단기를 표시한 일부절개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도체 2 : 고정주접점
4 : 고정아아킹접점 5 : 고정측접촉자
6 : 가동주도체 8 : 가동주접점
9a : 가동측주접촉자 9b : 가동축아아킹접촉자
10 : 가동아아킹도체 11 : 가동아아킹접점
12 : 소호판 14, 16, 17, 19 : 아아크차폐체
본 고안은 회로차단기, 특히 차단시의 한류성능 향상을 기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로차단기를 제 1 도및 제 2 도에 표시된바와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이들 도면에 있어(1)은 절연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회로차단기의 외톨을 구성하는 포위체, (2)는 일단이 전원측에 접속되어 포위체(1)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도체, (3)은 고정도체(2)의 타단상면에 고착된 1쌍의 고정주접점, (4)는 고정도체(2)의 타단상면에서 양고정주접점(3)의 중간위치에 고착된 아아킹 접점이며, 고정도체(2) 각잡점(3)(4)에 의하여 고정측 접촉자(5)를 구성한다.
(6)은 1쌍의 가동주도체로서, 각 일단의 조작기구부(7)에 장착 되어서 당해 조작기구부(7)에 의하여 회전 되게 되어있다. (8)은 양가동도체(6)의 각기의 자유단부하면에 고착된 가동주접점이고, 가동주도체(6)와 가동주접점(8)에 의하여 가동측 주접촉자(9a)를 구성함과 동시에 각 가동주접점(8)이 상기 각고정주접점(3)과 상호대향하여 1쌍의 통전용 주접점(3)(8)를 구성하고 있다. (10)은 양가동주도체(6)에 중간에 위치하여 일단이 조작기구부(7)에 장착된 가동아아킹도체이고, 조작기구부(7)에 의하여 회전된다.
(11)은 가동아아킹 도체(10)의 자유단부하면에 고착된 가동아아킹 접점이며, 가동아아킹도체(10)과 가동아아킹접점(11)에 의하여 가동축 아아킹접촉자(9b)를 구성함과 동시에 고정아아킹접점(4)과 상호대향하여 단로시에 발생하는 아아크의 아아크 처리용 아아킹 접점(4)(11)을 구성한다.
(12)는 가동아아킹접점(11)의 개방시에 가동아아킹접점(11)과 고정아아킹접점(4)간에 발생하는 아아크를 냉각하기 위한 소호판, (13)은 포위체(1)에 형성된 아아크또는 고온가스의 배출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가동주접점(8)이 고정주접점(3)에 접촉되어 있을 경우, 즉 한쌍의 통전용 주접점(3)(8)이 폐로되어 있을경우, 그전력은 전원측(25)에서 고정도체(2), 고정주접점(3), 가동주접점(8)및 가동주도체(6)를 통하여 부하축(26)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폐로회로에 단락전류등의 대전류가 흐르게 되면, 조작기구부(7)가 작동하여 양가동주도체(6)및 가동아아킹도체(10)를 각기 일단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켜, 양가동주접점(8)및 가동아아킹접점(11)이 각각 고정주접점(3)및 고정아아킹접점(4)에서 개리한다.
상기 양접점의 개리동작때, 한쌍의 아아킹접점(4)(11)이 한쌍의 주접점(3)(8)보다 늦게 개리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아크 A1은 고정아아킹 접점(4)및 가동아아킹접점(11)간에만 발생하고, 고정아아킹접점(4)및 가동아아킹접점(11)간에 아아크 전압이 발생한다.
이 아아크전압은 가동아아킹접점(11)의 고정아아킹접점(4)로 부터의 개리거리의 크기에따라서 상승하고, 동시에 아아크(A)가 소호판(12)의 방향으로 그 자기력에 의하여 당겨져서 신장하기 때문에 더욱 상승하고 아아크전류가 0점이된 시점에서 아아크 A1소호되어 차단이 종료된다.
이와같은 차단동작 형상중에 있어서,
고정주접점(3)및 가동주접점(8)이 이온화된 분위기중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 고정아아킹접점(4)와 가동아아킹접점(11)간의 아아크전압이 그대로 한쌍의 주접점의 양접점(3)(8)사이에 인가되는 것에 의하여 한쌍의 주접점의 양접점(3)(8)간에 절연파괴를 일으켜 아아크A2가 발생한다.
그결과 고정주접점(3)과 가동주접점(8)간및 고정아아킹접점(4)와 가동아아킹접점(11)간에는 대전류아아크A1, A2에 의하여 단시간, 예를들면 수미리초 이내에 대량의 에너지가 발생하고, 이때문에 포위체(1)내의 기체온도가 상승하고, 동시에 압력도 급격하게 상승하지만 이 고온고압의 기체는 배출구(13)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차단동작을 하는 회로차단기가 구비할 요건은 아아크 전압이 높아야 할 것이다.
즉 아아크전압이 높음으로서 차단동작중에 흐르는 아아크전류가 억제되어 회로차단기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높은 아아크전압을 발생하는 회로차단기는 당해 회로차단기에 직렬로 배치된 배전선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기기장치에 대한 보호성능이 높고, 상호직렬로 접속된 각회로차단기간의 선택협조차단영역 또는 동시 차단영역이 확대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에 있어 이와같은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높은 아아크 전압을 현출하기 위하여 가동측주접촉자(9a)미및 가동측 아아킹접촉자(9b)를 고속으로 작동시켜서 양접점을 고속으로 개리시키거나, 또는 아아크A1, A2를 소호판(12)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신장시키거나 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아아크전압의 상승에 일정한 한도가 있어 만족스러운 한류성능을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므로 본고안의 회로차단기의 설명에 앞서서 고정및 가동의 양접점간의 아아크전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아아크저항은 다음과같은 관계가 있다.
즉 R="t-1"이다.
단R는 아아크저항(Ω), ρ는 아아크저항율(Ω, ㎝), ℓ는 아아크의 길이(cm), S는 아아크단면적(㎠)을 각기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수 KA이상의 대전류로서 아아크길이가 50mm이하의 짧은 아아크에 있어선 아아크공간은 양접점에서 방출하는 금속의 접점입자에 의하여 점유된다.
이 접점입자의 방출은 접점표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발생하는 것이며 또한 방출된 접점입자는 방출때에는 접점의 금속재질의 비등온도에 가까운 온도를 유지하고, 다시 아아크공간에 주입되자마자 전기적 에너지의 주입을 받아 고온고압됨과 동시에 도전성을 띠게되며, 아아크공간의 압력분포에 따른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고속도로 접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흘러가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아크공간에 있어서의 아아크저항을 ρ및 아아크단면적 S는 상기 접점입자의 발생량과 그 방출 방향에 의하여 결정되며 따라서 아아크전압도 상기한 바와같은 접점입자의 동작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음에서 이와같은 접점입자의 동작을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한쌍의 주접점(3)(8)에 대하여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 제 1 도및 제 2 도와 동일기호는 동일한 것으로 표시하고, A2는 아아크를, X면은 주접점의 양접점(3)(8)이 접촉할 경우의 접촉면인 대향면을, Y면은 대향면 X이외의 전기접촉면인 접점표면및 도체표면의 일부를 각기 표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중 1점쇄선으로 표시된 윤곽 Z1은 아아크 A2의 외곽을 표시한 것이고, a, b및 c는 양접점(3)(8)에서 방출되는 접점입자를 모식적(模式的)으로 표시한 것으로 a는 대향면 X의 중심 부근에서 방출한 접점 입자를, b는 상기 Y면에서 방출한 접점입자를, C는 접점일자 a및 b의 중간적 위치인 대향면 X의 주변부근에서 방출한 접점입자이고, 각기 방출부의 경로는 각가 m, n및 01으로 표시된 유선에 따라서 그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상기의 양접점(3)(8)에서 방출된 각접점입자 a, b, c접점급속의 비등온도 즉, 약 3,000℃에서 도전성을 갖는온도 즉, 8,000℃이상 또는 20,000℃정도의 고온으로까지 승온됨으로써 아아크 공간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아아크 공간의 온도를 저하시켜 그 결과로 커다란 아아크저항이 발생한다.
이예에서 아아크공간에서 접점일자 a, b, c가 흡수하는 에너지량은 양접점(3)(8)에서 방출된 접점입자 a, b, c의 아아크공간에 있어서의 위치및 방출경로에 의하여 결정되며, 흡수하는 에너지량에 따라서 승온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제 3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대향면 X면의 중심부근에서 방출한 접점입자 a는 아아크공간에서 대량의 에너지를 흡수하지만 접점표면및 도체표면의 일부 Y면에서 방출하는 접점입자 b는, 접점입자 a에 비하여 아아크공간에서 흡수하는 에너지량이 적으며 또한 대향면 X의 주변부분에서 방출한 접점입자 C는 양접점입자 a, b가 흡수하는 각에너지량의 중간정도의 에너지밖에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환언하면 접점입자 a의 흐르는 범위에 있어서는 대량의 에너지가 흡수되어 아아크공간의 온도를 저하하고 아아크저항을 증대시키게 되지만 다른 접점입자 b, c가 흐르는 범위에 있어서는 대량의 에너지가 흡수되지 않기때문에 아아크공간의 온도저하도 적으며 아아크 저항율의 증대도 도모할 수 없는 동시에 대향면 X및 접점 표면 Y에서 각기 아아크 A2가 발생하기 때문에 아아크단면적도 증대하며, 아아크저항도 저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점입자 a, b, c에 의한 아아크공간으로부터 유출하는 에너지는 아아크공간에 대한 전기적 주입에너지에 상응하기 때문에 만일 접점입자b, c의 아아크 공간으로의 주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면 필연적으로 아아크공간의 온도를 대폭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아아크저항을 증대시켜서 아아크전압을 크게 승압시켜 아아크 공간의 도전율을 적게할 수 있게 된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접점간에 발생하는 접점입자의 아아크공간 주입량을 증대시킴으로서 주접점짝의 양접점간에 있어서의 아아크공간의 도전율을 지극히 작게함으로써 주접점짝의 양접점(3)(8)간의 아아크를 아아킹접점짝의 양접점(4)(11)간에 전류시켜 이로인하여 아아크길이를 연장하여 아아크전압을 각별히 상승시켜서 한류 성능이 양호한 회로차단기를 얻고저 하는 것이며, 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쌍의 통전용 주접점짝및 아아크 처리용 아아킹접점짝을 각기 구비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주접점짝의 양접점에 대하여 그 접점의 주위도체를 이도체보다 저항율이 높은 고저항재료로된 아아크차페체로 피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4(b) 도및 제 4(e) 도에 있어서 (14)(16)은 아아킹접점짝(4)(11)에 대하여 설치된 아아크차폐체로서 제 4(a)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접점(4)(11)에 맞는 구멍(15)(17)이 뚫린 편평판재로 되었으며, 도체(10)(2)상에 설치되어서, 접점(4)(11)의 외주를 포위하는 것이고, 그 재료로서는 도체(10)(2)보다 저항율이 높은 고정항재료를 사용한다.
이 고정항재료로서는 유기또는 무기의 전기적 절연물질, 세라믹크, 니크롬, 닉켈, 철, 동니켈, 동망강, 동망가닌, 철탄소, 철닉켈 또는 철크롬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형성방법으로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판상으로 형성한 아아크 차폐체(14)(16)을 각기 대응하는 도체(2)(10)에 고정하는 방법외에 세라믹등의 고전기저항재료를 고정도체(2)및 가동아아킹도체(10)에 프라즈마젯트용사등의 방법으로 부착시켜 고전아아킹 접점(4)및 가동아아킹접점(11)의 주위를 피복하여도 된다. 이 방법을 따르면, 가격이 저렴하고 형성이 간단할 뿐더러 특히 가동아아킹접촉자(9b) 측에서는 중량이 증가하지 않기때문에 관성 모멘트가 작고 가동아아킹접촉자(9b)의 개리동작의 속도가 빠르게되어 아아크전압이 높아지는 잇점이 있다.
본고안의 타의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 5(a)도에 있어서, 14는 적당한 위치에 천설된 한쌍의 구멍(15)에 각고정주접점(3)을 삽입시켜서 고정도체(2)에 고착된 아아크차폐체, 16은 각기에 천설된 구멍(17)에 각가동주접점(8)를 삽입시키며 각 가동주도체(6)에 고착된 아아크차폐체이며, 각 아아크차폐체(14)(16)은 각각 고정주접점(3)및 가동주접점(8)의 주위를 포위하는것이고, 그재료는 고체(2)(6)보다도 저항율이 높은 고저항재료를 사용한다.
이 고저항재료는 상술한 동일한 재료가 사용된다. 상기 아아크차폐체(14)(16)을 설치한 회로차단기를 제 5(b) 도및 제 5(c) 도에 표시한다.
더우기 형성방법으로서는 도시한 바와같이 판상으로 형성한 아아크차폐체(14)(16)을 대응하는 도체(2)(6)에 고정하는 방법이외에 세라믹크등의 고전기저항재료를 고정도체(2)및 가동주도체(5)에 푸라즈마젯트용사등에 의하여 부착시켜 고정주접점(3)및 가동주접점(8)의 측주면을 피복하여도 된다.
이 방법에 따른 경우에는, 비용이 저렴하고 형성이 간단할뿐만 아니라 특히 가동측주접촉자(9a)측에서는 중량이 증대하지 않아 관성모멘트가 작고, 가동측접촉자(9a)의 개리동작의 속도가 빨라져서 아아크 전압이 높아지는 잇점이 있다.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 6(a) 도에 있어서(14)는 고정측접촉자(5)의 간접점(3)(4)에 대응하여 천설된 구멍(15)(16)에 각접점(3)(4)를 삽입시켜서 고정도체(2)에 고착된 아아크차폐체, (17)은 천설된 각구멍(18)각기에 각 가동주접점(8)를 삽입시켜서 각가동주도체(6)에 고착된 아아크차폐체, (19)는 구멍(20)에 가동 아아킹접점(11)을 삽입시켜서 가동아아킹도체(10)에 고착된 아아크차폐체이다.
상기 아아크차폐체(14)(17)(19)는 대응하는 각접점(3)(4)(8)(11)주위를 포위하는 것이며 그 재료로서는 도체보다도 저항율이 높은 고저항재료를 사용한다.
이 고정항재료로서는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재료가 사용된다. 상기 아아크차폐체(14)(17)(19)를 설치한회로차단기를 제 6(b)도 및 제6(c) 도로 표시한다.
형성방법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핀상으로 형성한 아아크차폐체(14)(17)(19)를 고정하는 방법외에 세라믹크등의 고저항재료를 고정도체(2), 가동주도체(6)등에 프라즈마젯트용사등으로 부착시켜서 고정주접점(3)및 가동주접점(8)등의 주위를 피복하여도 된다.
이 방법에 따를 경우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형성이 간편할 뿐더러 특히 가동측의 접촉자(9a), (9b)에서는 종량이 증대하지 않아 관성모멘트가 작고 개리동작속도가 빨라져서 아아크전압이 높아지는 잇점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등의 동작을 제 7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7 도에 있어 제 1 도내지 제 6(a)도,제6(b)도 및 제6(c) 도와 동일기호는 동일부호를 표시하며, Z2는 아아크차폐체(14)(16)(19)에 의하여 압축된 아아크 A1의 공간외곽을, O2은 아아크차폐체(14)(17)(19)에 의하여 종래의 회로차단기와는 상이한 경로를 흐르는 접점입자 C의 유선을 각기 표시한 것이다.
또한 Q는 아아크 A1에 의하여 발생한 압력을 아아크차폐체(14)(17)(19)에 의하여 반사되어 아아크차폐체(14)(16)(19)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저하되어있던 압력을 상승시키고 있는 부분을 교차선으로 표시한 공간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점입자의 거동을 제 7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즉 공간 Q의 압력치는 아아크공간의 압력치이상으로는 될 수 없지만 적어도 아아크차폐체(14)(17)(19)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각별히 높은 압력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아크차폐체(14)(17)(19)에 의하여 공간 Q에 생긴 상당히 높은 압력은 아아크공간의 확대를 억제하는 힘이되어 아아크 A1을 좁은 범위로 축소시키는 것이된다.
이것은 즉, 대향면 X면에서 방출된 접점입자 a, c의 유선 m, n을 아아크공간에 축소하여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대향면 X에서 방출된 접점입자 a, c는 유효하게 아아크공간에 주입되고 그결과로 유효하게 주입된 대량의 접점입자 a, c가 아아크공간에서 종래의 것과는 비교도 할수 없는 대량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아아크공간을 현저하게 냉각하여 아아크저항율ρ 즉, 아아크저항 R를 대폭으로 높혀준다.
제 7 도에서는 아아킹접점대의 양접점(4)(11)간에 발생하는 아아크 A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주접점대의 양접점(3)(8)간에 발생한 아아크 A2에 있어서도 완전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댜ㅇ접점대의 각접점(3)(4)(8)(11)에 각기 아아크차폐체(14)(17)(19)를 설치하였으므로 아아크전압을 대폭으로 상승시킬 수가 있어 한류성능을 지극히 양호하게 된 것이다. 또한 소호판(12)를 설치하지 않아도 큰지장은 없지만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 임은 물론이고, 이소호판(12)의 재료로서는 자성체또는 비자성체를 사용하게되는데, 비자성체로 소호판(12)을 구성하면, 자성체로 소호판(12)을 구성한것에 기인되는 과전류에 의하여 정격이 큰 회로차단기의 정격운전시에 생기는 온도상승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극의 회로차단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극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도 다극각기에 같은 구성을 부가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의 소호현상은 대략 상기한바와 같으나, 과전류, 부하전류와같은 소전류에 대하여서는 문제가 있다.
소전류에 대하여서는 한류성능보다는 오히려 전류영점에 있어서 차단성능, 즉 전류영점에 있어서의 아아크공간의 절연회복력이 문제가 되는바,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차단전류 If=V/Z……(1)
If : 차단전류
V : 회로전압
Z : 회로임피던스
으로 표현되지만 소전류는 회로임피던스가 크다는것으로 되어 아아크저항보다는 훨씬 커서 아아크에 의한 한류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전류영점은 회로임피던스에 의하여 정하여진 시점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회로임피던스가 크며, 인덕턴스분이 크면 전류영점에 있어서의 회로전압순간치는 높고, 차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회로전압과 아아크전압의 차이전압에 대하여서 아아크공간의 절연은 회복시켜야만 한다.
대전류의 차단, 즉 회로임피던스가 작은 때에는 아아크에 의한 한류가 크며, 전류영점도 한류정도에 따라서 대폭으로 변화되어 아아크의 절연회복력이 충분하게 된 시점에서 영점이되고, 아아크의 절연회복력이 소위 주도권을 갖는 형태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소전류차단은 대전류차단보다 경우에 따라서는 훨씬 가혹한 차단성능을 요구받게 된다.
공간의 절연회복력은 아아크 양광주부분의 열냉각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게 되는것이다.
이 양광주의 열냉각을 얻기위하여 종래부터 소전류에 대하여서는 아아크양광주의 인장및 냉각부재에 의한 직접 열흡수를 하고 있다.
이와같은 수단의 일례로서 상기한 소호판(12)이 있다.
소호판(12)은 일반적으로 자성체로 구성되어 아아크를 흡인, 신장하기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아아크와 소호판의 관계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8 도에 있어서(12)는 소호판, (25)는 아아크의 단면이고, 전류는 지면에 수직으로 표면에서 이면을 향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이 아아크(25)에 의하여 생기는 자계는 도면중 m로 그양상을 표시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아아크의 주변자계는 자성체로된 소호판(12)의 영향에 의하여 변형되어 소호판(12)에 가까운 공간의 자속간격이 넓어져 결국 전자력에 의하여 도면에서 F로 표시한 방향, 즉 자성체에 흡인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된다.
이와같이하여 아아크(25)는 신장되어 자성부재에 열을 흡수당하여 양광주부의 절연피복력을 강하게 하여 준다.
그러나 제 4(a) 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아아크차폐체(14)(16)구조에서는 아아크의 뿌리가 접점(4)(11)의 표면상에 한정되게 되어서 제 8 도의 소호판(12)으로부터의 거리도 멀고 따라서 유효한 흡인력도 작용되지 않아 아아크(25)의 신장이 충분치 않아 전류영점에서 양광주의 냉각이 불충분하며, 따라서 소전류에 대한 절연회복력이 작아서 차단성능에 난점이 있는 것이었다.
제 9 도는 이와같은 관점에서 소전류에 대한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구성된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제 9 도에 있어서, 아아크차폐체(14)(16)에 홈으로된 아아크주행로(22)(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아아크주행로(22)(23)는 각접점(4)(1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이 예에서는 제 10 도의 소호판(1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아아크주행로(22)(23)의 저부는 도체(2)(10)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아아크주행로(22)(23)는 아아크주차폐체(14)(16)보다 도전성이 높은 것이 된다.
이 동작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제 10 도에 있어서 자성체로된 소호판(12)이 아아크배출구(13)근방에 있으면, 아아크차폐체(14)(16)에는 도전성이 높은 아아크 주행로(22)(23)가 형성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전술한 아아크는 아아크배출구(13)의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동하여 아아크양광주부는 종래것과 비교하여 훨씬 크게 신장한다. 그 결과로 소호판(12)에 직접 접촉되어 대량의 열을 흡수하게 되어 전류영점에서 절연회복력도 커서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비교하면 특히 우수한 차단성능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아아크주행로는 일방의 아아크차폐체(14)또는 (16)에만 설치하여도, 되며, 또한 아아크차폐체(17)(14)에 추가로 설치하여도 그에 상응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한 구성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아아크전압의 한계를 초월하여 아아크전압을 특별히 상승시킬 수 있어 지극히 높은 한류성능이 있는 만족할만한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도체(6)(2)와, 이도체에 고착된 접점(8)(3)을 각가 보유하는 접촉자의 한쪽이 가동으로서 상기 접점(8)(3)을 접리하여 전기회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통전용 주접촉자(9a)(5) ; 이 통전용 주접촉자의 도체(6)(2)보다도 저항율이 높은 고저항재료로 상기 접점(8)(3)외주를 포위하여 도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통전용 주접촉자(9a)(5)의 접점(8)(3)이 개리시 접점간에 발생하는 아아크를 좁히도록 한 통전용 주접촉자의 아아크차폐체(17)(14)와 ; 상기 통전용 주접촉자와 병행접속되어 도체(10)(2)와 이도체에 고착된 아아킹접점(11)(4)를 보유하고 전기회로를 개로시 상기 통전용 주접촉자(9a)(5)가 작동하는 시간보다 지연시켜서 개리하는 아아킹접촉자(9b)(5) ; 이 아아킹접촉자의 도체(10)(2)보다도 저항율이 높은 고저항재료로 상기 아아킹접점(11)(4)의 외주를 포위하여 도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아아킹접점(11)(4)이 개리시 접점간에 발생하는 아아크를 좁히도록 설치된 아아킹 접촉자의 아아크차폐체(19)(14)와 ; 상기 각접점(8, 3)(11, 4)간에 발생하는 아아크를 소호하도록 아아크전이방향의 상기 접촉자(9a)(9b)(5)근방에 설치된 소호판(12)과 ; 상기 아아킹접촉자의 차폐체(19)(14)에 이 차폐체의 저항율보다 낮은 저저항재료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상기 아아킹접촉자(9b)(5)의 접점(11)(4)에 접하며, 그타단은 상기 소호판(12)의 방향으로 뻗는 아아크주행로(23)(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아크주행로(23)(22)는 상기 아아크차폐체(19)(14)에 홈을 설치하여서 노출된 상기도체(10)(2)표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아아킹접촉자(9b)(5)의 아아크차폐체(19)(14)에는 어느한쪽에만 아아크주행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통전용 주접촉자(9a)(5)의 아아크차폐체(17)(14)에 아아크주행로를 설치한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한쌍의 통전용 주접촉자(9a)(5)의 아아크차폐체(17)(14)중 한족 아아크차폐체에만 아아크주행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차단기.
  6. 제 4 항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아아크주행로는 그 일단이 상기 접점(8)(3)측에 접하고 그 타단이 상기 소호판(2)방향으로 뻗은 홈을 설치하므로서 노출된 상기도체(6)(2)표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가.
KR2019880002431U 1981-03-02 1988-02-24 회로 차단기 KR8800017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30945 1981-03-02
JP3094581A JPS57145238A (en) 1981-03-02 1981-03-02 Circuit break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0790A Division KR830009623A (ko) 1981-02-27 1982-02-23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91Y1 true KR880001791Y1 (ko) 1988-05-11

Family

ID=1231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431U KR880001791Y1 (ko) 1981-03-02 1988-02-24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57145238A (ko)
KR (1) KR880001791Y1 (ko)
ZA (1) ZA821336B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0765B1 (ko) * 1969-06-13 1974-11-05
JPS4912457B1 (ko) * 1969-08-29 1974-03-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45238A (en) 1982-09-08
ZA821336B (en) 198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9476B1 (en) Circuit breaker
EP0070413B1 (en) A circuit breaker with arc restricting device
US4409445A (en) Circuit breaker
US4409444A (en) Circuit breaker
KR880001791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1790Y1 (ko) 회로차단기
EP0061097A2 (en) Circuit breaker
US4420660A (en) Circuit breaker
JPH0218513Y2 (ko)
JPH0218514Y2 (ko)
JPH0218515Y2 (ko)
JPH0218512Y2 (ko)
KR880001824Y1 (ko) 회로차단기
JPH0218516Y2 (ko)
KR880001826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1825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0361Y1 (ko) 회로 차단기
JPH0135390Y2 (ko)
KR880001823Y1 (ko) 회로 차단기
KR880001827Y1 (ko) 회로 차단기
JPH0113316Y2 (ko)
JPH0113314Y2 (ko)
EP0233322B1 (en) A circuit breaker
KR880003291Y1 (ko) 회로 차단기
JPH01260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