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578B1 -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578B1
KR880001578B1 KR1019850004558A KR850004558A KR880001578B1 KR 880001578 B1 KR880001578 B1 KR 880001578B1 KR 1019850004558 A KR1019850004558 A KR 1019850004558A KR 850004558 A KR850004558 A KR 850004558A KR 880001578 B1 KR880001578 B1 KR 880001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code
video
keyboar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636A (ko
Inventor
유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5000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578B1/ko
Publication of KR87000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제 1 도는 한글의 여러 형태와 임의의 입력에 대한 처리 및 그 처리에 따르는 상태 변화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서 여러 기능들에 의한 키 입력 및 표시 상태도.
제 3 도는 각 한글 유형에 대하여 편집 기능 키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표.
제 4 도는 본 발명에서 한글 처리 기능들이 집약된 한글 처리 계통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설명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아트.
본 발명은 기존의 많은 영문용 소프트 웨어 들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약간의 처리를 하여 한글용으로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한글 16단위 보호계에서 발생되는 편집 기능의 결점을 보완하여 사용에 편리하도록 한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에는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하여 편리성과 대중성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이 증가됨에 따라 컴퓨터 장치 또는 디바이스(Device)에서의 한글 처리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미 여러 가지의 한글 표준화 부호가 시험된바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여러 한글 부호계 중에서 특히 소형 컴퓨터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의 한글 처리에 있어서는 16비트 한글의 코오드(16 Bits Ks Code)가 채택되는 경우가 많으나, 16비트 한글 코오드의 채택은 필연적으로 영문 대 한글의 트기비도 1 : 2의 비율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크기비는 처리된 데이타 양과으 1 : 1 대응을 위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16단위 한글 부호의 채택으로 인하여 영문용 시스템과는 달리 캐랙터(Character)의 단위가 1바이트(Byte) 정보에서 2바이트(Byte)로 증가되므로 특별한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영문용 시스템에서의 동작과 마탄가지로 16단위 한글 부호계에서도 커서(Cusor)의 처리 및 삭제 기능이 바이트 단위가 아닌 캐력터 단위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한글의 경우에는 한번의 입력 데이타에 대하여 영문 처리의 경우보다 2배 이상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된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선처리 부호에 의한 한글처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편집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에서도 주지한 바와 같이 편집 기능의 기본적인 개념은 캐랙터 단위의 동작인것으로, 이러한 편집 기능이 없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지식(Intelligence)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이해시켜서 그에 따른 사용법을 별도로 습득시켜야 함은 물론 특수한 교육을 필요로하는 것이서, 사용에 편리를 추구하는 컴퓨터의 기본 방향에 역행하게 되어 컴퓨터의 대중화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므로, 다음과 같은 처리 동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다음은 한글이 2바이트(Byte)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도 편집 기능이 캐랙터 단위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패턴(Pattern)에서의 키 입력(Key Input)에 대한 변화를 통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하여야만이 역동작에서도 원래의 위치를 찾아 올수 있으며, 응용 소프트 웨어에서의 커어서(Cursor)제어와도 일치하게 된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다음은 한글의 모아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글의 경우에는 모아쓰기라는 독특한 형태를 취하는데 한글이 지니고 있는 모아쓰기는 자소가 서로 분리되는 영문과 달라 받침에 해당하는 자소 또는 다음 글자의 형태가 알려져야만 하나의 글자를 완성할 수가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키 입력(Key Input)이라는 행동에 대하여 출력으로 나타나는 동작 및 데이타의 변화량이 1 : 1로 일치되는 영문과는 다른 한글만의 고유의 특징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키 입력(Key Input)과 표시 출력(Display output)이 리얼타임(Real Time) 방식으로 처리되는 기존의 컴퓨터 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제약이 되므로, 이와 같은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입력 디바이스에서 한글이 완전히 결정될때까지 입력 데이타를 보류 하였다가 완성된 글자만 보내는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으나, 이 방법은 데이타를 처리하는 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사용자가 친 키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없게 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한글 처리시에는 필연적으로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 사이의 연결 처리가 요구되며, 이것은 하드웨어 혹은 장치의 데이타 플로우(Flow)에 깊게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소형 컴퓨터 장치에서의 데이타 흐름을 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상기한 바와 같은 흐름도는 입력에서 출력까지가 1 : 1로 대응되는 흐름으로서, 이러한 흐름을 이용하여 한글 처리를 하는 경우에, 다른 부분과 관련된 고 수준의 처리에 의하여 어느 한곳에서 독자적으로 거역하면 기존 흐름에 관여된 다른 부분들과의 마찰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들의 다 기능화로 배직 입·출력장치(BISO)또는 디스크 오퍼레이팅장치(DOS)에서 담당해야하는 저수준의 처리까지도 응용 프로그램들이 처리하고 있다.
그러므로 배직 입·출력장치(BISO)가 한글 처리와 같은 고수준의 처리를 할 경우에는, 응용 프로그램과 혼란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한글 처리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을 거쳐가는 데이타의 흐름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그 처리를 알 수 있게 하므로서 혼란을 최소로 줄여야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하위 조직에서의 처리 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흐름상의 문제를 해결 할 수가 있다.
Figure kpo00004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 방법은 키 입력(ㄱ..ㄴ..A)에 대하여 입력 버퍼는 영문 데이타 및 2바이트의 한글 데이타를 기억하게 되고, 이때 선처리 버퍼(Pre-OP BOFFER)는 뒤에 설명하는 선처리 부호에 의하여 데이타 스트림(Data Stream) 처리하게 되므로, 표시출력은 "ㄱ → 가→ 간 → 가너 → 가너A"순으로 변화되면서 표시하게 된다.
즉, 입력 데이타(Input Data)를 근본적으로 처리하여 상위조직에 전달되는 데이타를 완전히 통제하면 상위조직에서는 이 변형된 데이타에 의하여 대전제(데이타량과 처리량의 1 : 1 대응)를 거역함이 없이 평상시 영문처리의 경우와 같이 처리하게 되므로, 최하위 조직이 죄상의 조직을 자연스럽게 제어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서 한글 처리에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한글 처리에 관련되어 정의된 "한글 처리부호"는 모아쓰기에 사용되는 코오드(Code1~Code5)와 편집 기능 위한 코오드(Code6~Code9)의 2가지로 대분된다.
여기서 모아쓰기 코오드는, 한글이 키 하나에 의하여 1글자를 이루지 못하므로 완성되지 않은 중간 단계의 한글(Non Determined 한글)을 보여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한글 처리 부호이며, 편집기능 코오드는 한글 2바이트(Byte)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커어서(Surosr) 처리 및 글자의 삭제에 사용되는 한글 처리 코오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 키입력 코오드를 한글처리 부호로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아래의 도시는 겹쳐쓰기 모우드 및 끼워넣기 모우드인 경우에 한 동일한 패턴에서 다른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각각 어떠한 코오드가 사용되는가를 1예로서 나타내는 한글 처리 부호의 정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코오드 2의 경우를 예를 들면 겹쳐쓰기 모우드(Overwrite Mode)에서는 좌측 얼로우(Left Arrow)의 동작의 코오드를 사용하면 되지만, 끼워넣기 모우드(Insert Mode)와 같이 특수한 경우에는 백 스페이스(Back Space)의 동작의 코오드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1) 겹쳐쓰기 모우드(Overwrite mode)
Figure kpo00005
2) 끼워넣기 모우드(Insert mode)
Figure kpo00006
제 1 도는 , 한글의 여러 형태와 임의의 입력에 애한 처리 및 그 처리에 따르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글의 형태는 앞뒤의 문자 배열에 의하여 5가지의 형태(INITIAL)로 구분되며, 영문(Alpha Numeric : ANU), 한글의 첫 바이트(Lst HG Byet), 한글의 두번째 바이트(2nd HG Byet)로 정의 되는 3가지 입력 (Input)에 의하여 다른 한글 형태(Output)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PUT"이라 함은 3가지 입력이 실제로 처리되어 출력됨을 나타내며, 한글 처리 부호(C1~C9) "PUT"에 앞선 선행 처리 부호(Pre-Operation Code)를 나타낸 것으로, 그의 처리 흐름은 아래의 도시와 같다.
Figure kpo00007
제 1 도의 상태 변화도에서 끼워넣기 모우드의 진행은 응용예의 하나로, 코오드 5만을 코오드 4와 같은 의미로 정의하면, 올바른 끼워넣기 동작을 이룰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형태4"를 1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문의 바로 뒤에 한글이 위치하며, 처리될 자리, 즉 커어서(Curosr)는 영문에 위치한 경우를, 형태 4라 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실질적인 커어서와 같은 위치에서 표시된 커어서를 보게되며, 한글을 입력하여 16 비트(Bits) 한글 코오드 중 첫번째 바이트(1st HG Byte)가 처리될때, 키보드 입력 모듈(Key board input Module)에서는 코오드4, 코오드4, 코오드 5, 코오드 3, 코오드 3, 코오드 3, 1st HG의 순서로 보내게 된다.
이것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 , → , Space, ←, ←, ←, 1st HG의 데이터이며, 이러한 입력 데이타 스트림(Input Data Stream)을 받은 고수준 프로그램에서는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한글을 지우고 영문 자리에서 부터 새로운 한글을 집어 넣게 되는 것이다.
Figure kpo00008
여기에서, 아직 덜 지워진 '한'의 첫번째 한글 바이트(1st HG Bate)가 'ㄱ'과 16비이트 한글 코오드를 이루어 원하지 않는 다른 글자로 표시될 수 있으나, 한글은 2바이트가 거의 동시에 모여 다니므로 이러한 현상은 2번째 한글 바이트(2nd HG Byte)가 곧 처리되어 무시할 정도로 짧은 시간 동안만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형태4는 첫번째 한글 마이트(1st HG Byte)의 입력을 받을 경우, 위에 설명된 데이타 처리에 의하여 형태 3으로 천이하게 되어 두번째 한글 바이트(2nd HG Byte)를 기다리게 된다.
여기에서 표시된 커어서는 단지 사용자에게 보이기만 하는 커어서로 실질적인 데이타 처리에는 관련되지 않는다.
이것은 통상적인 커어서의 의미를 따르기 위함이다.
(즉 커어서는 항상 현재처리(입력)되고 있는 위치 또는 입력될 위치를 지정한다)
또한 끼워넣기 모우드와 같은 경우에는 "코오드5"를 코오드 4"와 같이 정의하면, 기존의 진행을 변화 시킴이 없이 코오드의 변화만으로 "A"자 앞에 한글을 끼워 넣기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의 데이타 흐름을 가장 거슬리지 않게 하는 방법중의 하나이긴 하지만,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타량의 증가로 인가여 전체적인 입력 속도가 느려져서 장치의 실행(Preformance)속도를 크게 저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점은 메로리 타자기 모우드(이하 타자기 모우드라 칭함)란 기능의 채택으로 해결될 수 있는 거이다.
타자기 모우드란 'PUT'에 앞선 선행처리(Pre-operation)동작을 하지 않고, 한글이 완성 되었을 때에만 출력시키는 방법으로 출력이 디스플레이가 아닌 종이(Paper)이므로, 한글이 형성 되어가는 중간 단계를 출력하지 않는 메모리 타자기의 이름을 단 것이다.
사용자가 키를 쳐서 한글 처리가 시작되었다 하여도 앞선 키 입력이 아직은 실질적인 자료로서 처리되지 않아서 여러가지 처리될 데이터가 쌓여 있을 경우에는 리얼타임 프로세싱을 위한 의미가 없어지므로 한글의 중간 단계를 제거하여 타자기 모우드로 자동적으로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글 처리가 타자기 모우드로 들어가면 중간 단계가 모두 생략 되므로 데이타량이 감소되어 속도의 증가를 이룰수 있는 것으로, 그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9
즉, 상기에서 나타낸 메모리 모우드에 의한 처리 과정은, 키 입력(ㄱ,,ㄴ,,A)에 대하여 한글의 중간 단계를 표시하지 않고, 하나의 글자가 완성되는 대로 표시하게 되므로 그 처리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앞서 언급된 형태의 정의, 한글처리 부호의 정의, 한글 편집 기능 및 메모리 타자기 모우드 등의 여러 기능들의 의하여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 입력 및 그에 대한 표시(Display)를 이룰수 있다.
여기에서 실제의 커어서는 사용자에게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것이므로, 한글 한자가 완성될때 까지는 커어서가 움직이지 않음을 볼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된 커어서의 위치에 의하여 현재 처리중인 글자를 볼수 있으며, 처리에 관련되는 실제의 커어서는 항상 새로운 글자를 쓸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편집에 필요한 키들을 보조하기 위하여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처리를 병행한다.
이것은 각 한글 형태에 대하여 편집 기능 키의 처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같은 편집 기능은 현재 처리중인 글자의 앞 뒤 글자가 영문이냐 혹은 한글이냐에 따라 그 처리 형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형태4에서 코오드 7에 해당하는 키를 받았을 경우에, 그 코오드 7이 앞의 글자를 한자 지우는 백 스페이스(Back Space) 기능일때, 앞의 글자가 영문일 경우에는 백 스페이스를 한번만 수행하면 되지만, 한글일 경우에는 한글 한자를 지우기 위하여 그 2바이트를 지워야 하므로, 백 스페이스 동작을 두번행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의 'PUP'는 상위 소프트 웨어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실제로 입력된 데이타를 보내는 것을 의마하며, 이와 같은 처리에 따르는 한글 형태의 변화는 앞에서 정의된 형태의 정의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기능들을 합치면 이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한글 편집기능과 장치의 데이타 흐름(DATA FLOW)을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제 4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보드 입력 모듈(Key board Input Module)과 비디오 모듈(Video Module)은 키보드 후래그(Flag) 및 비디오 상태 후래그(Flag)에 의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이 정보는 입력측의 상태를 알리는 한글의 완성 상태 및 2 바이트 한글 코오드의 순위(1st Byte or 2nd Byte)에 대한 정보와 비디오 측의 상태를 알리는 한글의 형태와 앞뒤의 글자 분포 및 현재의 위치(첫번째 Column 혹은 마지막 Column)에 대한 정보이다.
비디오 모듈에서는 입력 모듈에서 보내는 후래그와 글자의 상태에 의하여 한글의 형태를 결정하며, 키보드 입력 모듈에서는 비디오 모듈에서 보내는 후래그와 현재 처리될 입력 데이타에 의하여 코오드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행 처리 버퍼(Pre-OP Buffer)에, 상기에서 설명한 코오드 스트림을 형태 정의표에 적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행처리 버퍼에 들어간 코오드 스트림은 키보드 입력 데이타에 앞선 선행처리 부호로 출력되며 선행 처리 버퍼의 데이타가 모두 처리된 후에야 키보드 입력 버퍼의 데이타(리얼 키보드 데이타)가 출력되며, 이때에 비디오 모듈에 비디오 모듈로 보낼 키보드 후래그를 리 후레쉬(Refresh)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키 입력으로 키보드 인터럽트가 발생되어 축적된 데이타는 키 입력 버퍼로 옮겨질때에 타자기 모우드의 적용 여부가 결정되며, 타자기 모우드로 들어가면 비디오 상태 후래그(V-State Flag) 및 선행 처리 동작의 제어(선행 처리 버퍼를 제어하는 동작)없이 완성된 형태의 한글 데이타 만을 키보드 입력 버퍼에 싣고 출력하게 된다.
또한 숙달된 타자수의 경우나 선행 처리 동작을 거부하는 응용 소프트 웨어의 경우를 위하여 타자기 모우드의 단독 운영도 가능하다.
본 방법 발명의 설명을 위한 플로우챠트(Flow Chart)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여기서 사용자 또는 응용 소프트 웨어의 개발자는 비디오 상태 후래그와 키보드 후래그를 볼 수가 있고, 또한 코오드 기준 데이블을 바꿀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 처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을 터놓아 응용 소프트 웨어의 개발 또는 영문용 소프트 웨어의 한글용으로의 수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많은 영문용 소프트 웨어들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혹은 약간의 처리를 하여 한글용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고, 한글 16단위 부호계에서 발생되는 편집 기능의 결점을 해결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으며, 앞으로의 소프트 웨어의 응용에 대비하여 한글 처리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여러 후래그 및 상태 변환 데이블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처리 부호에 의한 한글의 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비디오 상태 후래그 및 키보드 후래그에 의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키보드 입력 모듈과 비디오 모듈의 각 정보는 입력측의 상태를 알리는 한글의 완성상태 및 2 바이트 한글 코오드의 순위와 비디오측의 상태를 알리는 한글의 형태와 앞뒤의 글자 분포 및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키보드 입력 모듈에서는 비디오 모듈에서 보내는 후래그와 현재 처리될 입력 데이타에 의하여 선행 처리 버퍼에 선행 처리 코오드 스트림을 적재하고, 선행 처리 버퍼에 들어간 코오드 스트림이 키보드 입력 데이타 보다 앞서 출력되어 비디오 모듈로 보낼 키보드 후래그를 리 후래쉬 하고, 사용자의 키입력으로 발생되는 축적 데이타가 키 입력 버퍼로 옮겨질 때에 타자기 모우드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고, 타자기 모우드로 들어가면, 비디오 상태 후래그 및 선행 처리 동작의 제어없이 완성된 형태의 한글 데이타만을 키보드 입력 버퍼에 싣고 출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처리 보호에 의한 한글 처리 방법.
KR1019850004558A 1985-06-26 1985-06-26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KR880001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558A KR880001578B1 (ko) 1985-06-26 1985-06-26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558A KR880001578B1 (ko) 1985-06-26 1985-06-26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36A KR870000636A (ko) 1987-02-19
KR880001578B1 true KR880001578B1 (ko) 1988-08-23

Family

ID=1924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558A KR880001578B1 (ko) 1985-06-26 1985-06-26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5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36A (ko) 198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et al. The Star user interface: An overview
US6438523B1 (en) Processing handwritten and hand-drawn input and speech input
CN1494020A (zh) 选择字体的方法
JPH0374427B2 (ko)
JPS6120008B2 (ko)
US4717911A (en) Technique for chaining lines of a document together to facilitate editing or proofreading
Ward et al. Interactive recognition of handprinted characters for computer input
KR880001578B1 (ko) 선처리 부호에 대한 한글 처리 방법
JPH0812668B2 (ja) 手書き校正方法
JPH0338620B2 (ko)
Robertson et al. Live paper: video augmentation to simulate interactive paper
JPS6026235B2 (ja) 図表デ−タの保護方法
Mudur On the need for cultural representation in interactive systems
Archer et al. A Chinese-English microcomputer system
JP2550562B2 (ja) 文字表示装置
Durrett Inexpensive microcomputer systems for research and instruction: A dream or reality?
JP496363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S6385695A (ja) 連綿文字作成方式
Douglas et al. A selected glossary of terms useful in dealing with computers
Verma Computer, internet & multimedia dictionary
CN1455893A (zh) 向鼠标指向标内或其扩充区嵌入/添加信息的设备及方法
Goel Computer Applications In Management
JPS59117621A (ja) 文書編集校正方式
Smura Record structures for advanced information systems
Barrer The use of alphanumeric display terminals: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in Computer Science at Massey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