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462B1 - 테이프 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462B1
KR880001462B1 KR1019830005816A KR830005816A KR880001462B1 KR 880001462 B1 KR880001462 B1 KR 880001462B1 KR 1019830005816 A KR1019830005816 A KR 1019830005816A KR 830005816 A KR830005816 A KR 830005816A KR 880001462 B1 KR880001462 B1 KR 88000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housing
op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786A (ko
Inventor
요시아끼 와꾸이
히로유끼 우메다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218554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89479U/ja
Priority claimed from JP57216536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074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2188350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9248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218835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92484U/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
제1(a)도, 제10도 및 제1(c)도는 제각기 본 발명이 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한 실시예의 일부 횡단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제2도는 제1도중 Ⅱ-Ⅱ선을 절취한 테이프 카세트의 종단 측면도.
제3도는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의 상하 반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제4도는 개폐덮개의 개방 상태에서의 개폐덮개의 둘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개폐덮개(외측 덮개체)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로크 기구등과 병행하여 확대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로크 레버가 카세트 하우징에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제5도중 Ⅶ-Ⅶ선 절취단면도.
제8(a)도 및 제8(b)도는 각각 투명창을 투명판의 평면도 및 정면도.
제9도는 테이프 카세트 조립시 개폐덮개의 상태 및 개폐덮개와 캠홈의 정합 방법도.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테이프 카세트 조립시 로크 레버와 하반부의 정합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테이프 카세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하반부중 캠홈의 주변부를 성형금형과 아울러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한 금형을 취출하여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세트 2 : 카세트 하우징
2A : 전면 2B : 배면
3 : 개폐덮개 4 : 상반부
5 : 하반부 5d : 외측측벽
5d-1 : 측단면 5d-2 : 돌출만곡면
5d-3 : 정상부 5d-4 : 하측면
6 : 공급 릴 7 : 귄취 릴
9 : 릴 브레이크 기구 10, 11 : 전체 높이 격벽
10a, 11a : 덮대 개폐용 캠홈 10b,11b : 테이프 안내부
10a-1 : 상단 개구부 10a-2 : 수직부
10a-3 : 수평부 12 : 자기테이프
12A : 테이프 패스 20 : 외측 덮개체
20a : 전면벽 20b,20c : 측벽
21 : 내측 덮개체 21b : 내측벽
21e : 측부 23,25 : 돌출부
30 : 로크기구 31 : 로크레버
본 발명은 테이프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이것에 지지되어 있고, 폐쇄상태로 하우징의 전면축 테이프를 가리는 개폐덮개로 형성되는 구성의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TR용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상반부와 하반부를 정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하우징에 테이프 보호용 덮개를 부착하여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종래의 상반부와 하반부는 제각기 하우징의 높이의 절반의 길이의 수하벽 및 수립벽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하우징의 전면으로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작업은 상하반부의 조합 작업과 병행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립 작업성이 악화됨가 동시에 테이프를 상하반부 사이에 협지하여 손상시키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또, 하우징의 수직벽에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부 및 덮개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개폐 안내부를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각 안내부는 상하로 정합되어 구성되며, 도중에 단차부가 불가피하게 나타나 각 안내부는 정밀도가 악화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테이프를 손상시키거나 덮개의 개폐가 유연하게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돌출부를 하우징의 격 벽면의 캠홈 또는 안내홈에 따라 이동시키므로서 덮개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조립시에 돌출부를 홈내에 감입시킬 필요가 있으나 홈은 그 상단까지 거의 등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의 홈내로의 입구부분은 좁은 폭이며 조립시에 돌출부를 홈내에 감입시키는 작업이 곤란하여 이 역시 조립 작업능률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덮개를 폐쇄한 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종래의 로크기구는 로크부재와 이와는 별체인 스프링 부재가 정합된 구성이다.
이 때문에 로크부재외에 스프링 부재가 필요하게 되고 부품수가 적어도 2개로 되어 조립작업도 그만큼 번거러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로크부재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에 자유롭게 변위할 수 있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테이프 카세트의 조립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예를 들면 공구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규제하여 둘 필요가 있어 역시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반부와 릴이 놓여진 하반부를 정합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테이프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덮개가 폐쇄될 때 이동하여 그 하우징의 전면축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테이프를 가리는 개폐덮개로 형성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하반부를 그 격벽 중 전면측의 좌우방향상 서로 대향하는 부분을 상기 하우지의 높이에 거의 대응하는 높이까지 돌출한 하우징 높이 격벽부로 한 구성으로 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하우징 높이 격벽을 그 단면측에 테이프 전폭을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부 및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개폐덮개의 이동을 전체행정에 걸쳐 안내하는 개폐덮개 이동 안내부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개폐덮개가 폐쇄된 상태로 로크하는 로크기루를 폐쇄된 개폐덮개의 피정합부와 정합하여서 그 개폐덮개의 개방 방향으로의 동작을 제한하는 정합부 및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는 기록 및 또는 재생장치의 로크 해제 수단이 작용하여 정합부의 피정합부와의 정합을 해제시키는 로크해제 작용부에 추가하여 탄성 변형한후 정합부를 피정합부와 정합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암을 일체로 가지는 구성의 로크부재에 의하여 구성하고 또한 그 탄성암에 의해 상기 상반부와 하반부를 정합시키는 테이프 카세트 조립시에 로크부재의 상기 상반부 또는 하반부에 대한 위치 규제를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 제1(b)도 및 제1(c)도와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이 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도면중 테이프 카세트(1)는 카세트 하우징(2)과 전면(2A)측의 개폐 덮개(3)로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 하우징(2)은 제3도에 병행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반부(4)와 하반부(5)(공히 ABS수지제)를 정합하여서 된 구성이며 내부에는 공급 릴(6) 및 권취 릴(7)이 상반부(4)에 고정된 거의 V자 형태의 릴 압착용 판 용수철(8)에 의하여 하반부(5)측에 압착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9)는 릴 브레이크 기구이며 하우징(2)의 내부 중 배면(2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하반부(5)의 전면측에 중앙부는 로딩 폴 수납용 절결부(5a)로 되고 좌우단측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진출된 측벽(5b)(5c)로 되며, 이들의 외연에 따라서 카세트 높이의 1/2의 높이의 격벽을 설치하여서 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격벽중 특히, 절결부(5a)의 좌우측에 임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는 달리 상반부(4)의 상부덮개(4a)에 접촉하는 높이 위치까지 돌출한 테이프 카세트 격벽(10)(11)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격벽(10),(11)에는 절결부(5a9측의 면에 거의 S자형의 덮개 개폐용 캠 홈(10a),(11a)이 단면으로부터 반대측의 면에 걸쳐서 반원주 형태의 테이프 안내부(10b)(11b)가 형성되어 있다.
자기 테이프(12)는 공급 릴(6)로부터 일출된 측벽(5b)내를 통하여 테이프 안내부(11b)에 안내 되어서 측벽(5b)에서 빼내고 절결부(5a)의 전면을 가로질러 다른 절결부(5a)내에 진입하여 여기서 테이프 안내부(10b)에 안내되어 절결부(5a)내를 통하여 권취 릴(7)에 도달하는 테이프 패스(12A)를 형성한다. 테이프 안내부(10b),(11b)는 자기 테이프(12)가 테이프 카세트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 있어서도 카세트 하우징(2)의 출입구에서 테이프를 안내한다. 여기서, 테이프 안내부(10b),(11b)는 상하 반부의 격벽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프 안내부를 정합하여서 되는 것은 아니고 격벽(10),(11)에 전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도중에 단차는 나타나지 않고 자기테이프(12)는 이것을 손상시킬 우려없이 양호하게 안내된다. 개폐덮개(3)는 외측 덮개(20)와 내측 덮개(21)가 정합된 구조이며 카세트 하우징(2)의 전면(2A)측에 부착되어 있고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가 폐쇄되고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가 개방된다.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외측 덮개(20)와 내측 덮개(21)가 협동하여 자기테이프(12)를 그 외측과 내측에 의해서 가리고 있다.
외측 덮개(20)는 대략 카세트 하우징(2)의 상면 일부에 까지 걸리는 전면벽(20a)과 좌우의 측벽(20b)(20c)과 외측 덮개 부재암(20d),(20e)로서 이루어진다. 부재암(20d),(20e)은 격벽(10),(11)의 절결부(5a) 측면에 근접 대향하도록 전면벽(20a)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외측 덮개(20)는 제5도 및 제6도에 병행하여 확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20b),(20c)의 거의 중심의 축(20b-1,20b-1)을 각각 하반부(5)의 격벽과 상반부(4)의 격벽이 협동하여 형성하는 베어링내부에 협지하여 테이프 카세트(1)의 높이 방향상 거의 중앙의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측 덮개체(21)는 대략 가늘고 긴 상판(21a)과 이로부터 경사진 하부 전면방향을 향하여 돌출한 내측벽(21b)으로서 된다. 내측벽(21b)은 외측 덮개 부재암(20d),(20e) 사이의 치수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로 되어 있고 측단면중, 거의 중앙에 측방향으로 돌출한 지축인 돌기(21c)(다른 쪽은 도시치 않음), 하측에 암부(21d)(다른 쪽은 도시치 않음)를 가진다. 이 내측 덮개체(21)는 돌기(21c)가 암부(20d)(20e)의 하단측 구멍에 결합되고, 또한 암부(21d)의 선단측의 캠 폴로워인 축부(21e)(다른 쪽은 도시치 않음)가 캠홈(10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내측 덮개(21)는 좌우단 축복(21e)가 대응하는 캡홈(10a)(11a)내에 결합하여 연락되고 외측 덮개(21)에 대하여는 내측벽(21b)의 좌우단 벽측이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어, 캠 홈(10a)(11a)에 의하여 외측 덮개(20)에 대한 회동자세가 제어된다.
폐쇄 상태에서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덮개(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내측 덮개(21)는 축부(21e)를 캠홈(10a)의 하부위치 P1에서 안내 규제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고 그 내측벽(21b)의 하단연이 외측 덮개(1)의 전면벽(21a)의 하단 연부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절결부(5a)의 전방을 가로지르는 자기테이프(12)는 표면과 상측 연부가 외측 덮개(21)의 전면벽(21a)에 의하여 덮히고 내측면과 하측연부는 내측 덮개(21)의 내측벽(21b)에 의하여 덮혀 완전히 보호되어 있다.
또, 내측 덮개(21)의 가늘고 긴 상판(21b)은 상반부(4)의 상부덮개(4a)와 동일 높이 위치로 되어서 카세트 하우징(2)의 전면을 덮고 있다. 또한 개폐덮개(3)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2)에 의하여 덮개 폐쇄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장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로크 기구에 의하여 덮개 폐쇄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2)은 축(20c-1)에 제각기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개폐덮개(3)는 테이프 카세트(1)가 장치내에 장착되어서 픽업기구가 작동위치에 도달하는 동작에 의하여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기구를 해제시켜서(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장치측의 핀(24)이 접촉하므로서 외측 덮개(20)가 스프링(22)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하여 덮개가 개방된다.
내측 덮개(21)는 좌우의 축부(21e)에 대응하는 캠홈(10a),(11a)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외측 덮개(2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내측벽(21b)의 하단 연부가 자기테이프(12)를 피하는 형태로 축(20b-1),(20c-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캠홈(10a),(11a)은 덮개 개방 동작시에 내측벽(21b)의 하단 연부가 테이프를 걸어서 테이프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단 연부를 우회시켜서 이동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캠홈(10a),(11a)은 상하 반부의 수직벽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적 캠홈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전체에 걸쳐서 하나의 격벽(10),(1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중에 접속 불연속부가 절대로 나타나지 않은 구조로 되고 캠 정밀도도 좋아진다.
이 때문에 개폐덮개 동작시 축부(21e)는 대응하는 캠홈(10a),(11a)내에서 도중에서 걸리는 일없이 유연하게 이동하고 내측 덮개(21)는 안정하게 회동한다.
특히, 덮개(3)를 여러번 개폐시킨 후에도 축부(21e)가 캠홈(10a)내에서 덜컹거리는 일없이 개폐덮개(3) 및 이것과 관련하는 기구는 높은 신뢰성을 가진다.
또한,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 덮개(21)는 돌기(21c)와 캐홈(10a)의 상부위치 P2에 결합하고 있는 축부(21e)에 의해 위치 규제되어서 제4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가늘고 긴 상판(21a)은 상반부(4)의 상부덮개(4a) 상면에는 접촉되어 있지 않고 이보다 다소 더 있는 상태에 있으며 개폐덮개(3)의 구조 등에 여유를 적극적으로 가지게 하고 있다.
즉, 각부의 치수 불일치가 있었다 하더라도 내측 덮개(21)가 상반부의 상부 덮개 캠홈에 의하여 양측보다 강하게 압압되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개폐덮개(3)는 핀(240에 의해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의 힘이 해제되면 스프링(22)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자동적으로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덮개가 폐쇄된 상태로 된다.
또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제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벽(20)은 전면벽(20a)의 하연부 좌우측의 절결부(20a-1),(20a-2)가 하반부(5)의 측벽(5b),(5c)의 선단 돌출부(5b-1)(5c-1)에 결합되어 있고, 내측 덮개(21)는 상판(21a)이 외측 덮개(20)의 좌우측(20b)(20c) 사이에 결합하여 동도면중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한하고 있다.
개폐덮개(3)는 카세트 하우징(2)의 우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기구(30)에 의하여 덮개가 폐쇄된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이 로크기구(30)는 대략 로크 레버(31)로서 구성된다. 로크 레버(31)는 제1(a)도 및 제1(b)도의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로크용 암(32) 및 해제용 암(33)에 더불어 가늘고 긴 암(34)이 일체로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며, 상반부(4)의 외측측벽(4b)과 내측측벽(4c) 사이의 편평공간(35) 및 하반부(50의 외측측벽(5d)과 내측측벽(5e) 사이의 편평공간(36)(상기 편평공간(35)와 연속한다)내에 수용되어서, 상반부(4)에 설치된 핀(3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개폐덮개(3)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덮개(20)의 측벽(20e)의 내측에 돌출되어 있는 거의 홈 베이스형의 정합돌기(20c-3)를 로크용 암(32)의 훅크부(32a)에 의하여 정합시켜 덮개가 폐쇄된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상기 가늘고 긴 암(34)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스프링 기능을 할 수 있다. 가늘고 긴 암(34)은 제5도에 있어서 로크용 암(32)의 중간부분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굴곡된 다음 좌축으로 연장되며,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동도면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늘고 긴 암(34)은 선단측을 로크용 암(3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한 상태로 상반부 측벽의 돌기(25)에 지지되어 있고, 로크 레버(31)는 가늘고 긴 암(34)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된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훅크부(32a)는 정합돌기(20c-3)에 적극적으로 정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늘고 긴 암(3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의 조립시에 로크 레버(31)의 회동 위치를 규제하는 데 이용된다.
또, 로크 해제용 암(33)의 최하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한 돌기(33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기(33a)는 하반부(5)의 외측 측벽(5d)의 하측 공간(38)내에서 카세트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위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돌기(33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의 조립시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의 로크 장치(30)는 카세트 장착시에 장착측의 로크 해제 레버에 의하여 해제된다. 즉, 테이프 카세트(1)를 수평으로 최종 위치까지 삽입하므로서 로크 해제 레버 진입구(39)(제1(b)도 참조)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진입한 로크 해제 레버(40)가 로크 레버931)의 로크 해제용 암(33)의 하부를 상대적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에 의하여 로크 레버(31)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암(34)의 휘어진 탄력성이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훅크부(32a)가 정합돌기( 20c-3)로부터 벗어나서 로크가 해제된다.
또 로크 장치(30)는 하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로크 해제 레버(41)에 의해서도 상기의 경우와 같이 로크가 해제된다.
다음 광학적 테이프 단부 검출 수단에 대해서 제 1a도 및 제 1c도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세트 하우징(2)에는 테이프 단부 검출용 램프를 수납하기 위한 원형통의 램프 수납부(50)가 좌우방향 상중앙에서 또한 절결부(5a)에 임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외측 덮개(20)의 각 측벽(20b, 20c)에는 사각형의 개구(20c-5)(다른 쪽은 도시치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이 개구(20c-5)는 제 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3)가 개방된 상태에서 카세트 하우징(2)의 측벽개부(51)와 일치하여 개구(51)가 개방 상태로 된다. 또 측벽(20b, 20c)은 개구(51)의 셧터 기능을 하며, 덮개(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51)를 폐쇄한다.
테이프 카세트(1)는 좌우의 개구(51)(다른 쪽은 도시하지 않음)가 장치의 수광 소자(52,53)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덮개(3)가 개방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에 따라 램프 수납부(50)내에서 수납된 테이프 단부 검출용 램프(54)로부터의 광은 한쪽에서는 개구(51), 개구(20c-5)를 통하여 수광 소자(53)에 향하는 광로 L1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서도 동일하게 개구를 통하여 수광소자(52)를 향하는 광로 L2를 형성한다. 자기 테이프의 양단부는 투명 리더 및 트레일러 테이프로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램프(54)와 수광소자(52,53)에 의하여 테이프 단부가 광학적으로 검출된다. 또 광로 L1,L2는 각각 공급 릴 및 권취 릴의 상하의 릴 플랜지 사이를 통과하며 테이프 카세트(1)에서 개폐덮개(3)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 테이프의 감김 상태를 외부에서 눈으로 확이하기 위한 창(이하 테이프 감김상태 확인용 투명창이라 함)에 대하여 제 8A도 및 제 8B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테이프 감김상태 확인용 투명창(60)은 거의 장방형이고, 카세트 하우징(2)의 상면중에서 후면에 위치 되어 있다. 이 투명창(60)은 제 8a도 및 제 8b도에 표시하는 투명판(61)을 상반부(4)의 가늘고 긴 개구(4d)의 내측에 접착 고정되는 구조이다. 투명판(61)은 양단부에 계단부(61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 8도중 좌우방향 상중앙의 상하측에 절결부(61b,61c)가 형성된 형태의 것으로 한쪽의 절결부(61b)를 상반부(4)의 상부 덮개(4a)에서 되어 있는 브레이크용 스톱퍼 리브(4e)에 결합시켜서 부착된다. 여기서 위치 설정용의 절결부(61b,61c)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판(61)은 좌우방향이 한정되지 않고 즉,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부착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이 좋다.
또 투명창(60)은 카세트 하우징(2)의 상면중 후면(2B)의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는 상기의 광로 L1,L2및 개구(51),(20c-5)로부터 멀이진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카세트 장착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광이 투명창(60)을 통하여 카세트 하우징(2)내에 진입하여도 이 진입한 광이 카세트 내의 테이블 루프의 외측을 통하여 개구(51)에 까지 도달하는 일이 없고,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하여 테이프 단을 잘못 검출하는 오동작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트명창(60)의 배치 구성은 특히 소형의 테이프 카세트에 적용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투명창(60)에서 카세트내를 들여다 보아도 릴 압착용 판스프링(8)이 보이는 일이 없어 디자인적으로도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릴 압착용 판스프링(8)이 상반부(4)에 부착된 구조에 대하여 특히, 제 1A도 및 제 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준형의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하우징 자체가 크며 판 스프링은 복수의 구멍이 상반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대응 돌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열 용착시켜서 고정된다. 그러나, 이 부착 구조를 그대로 소형의 테이프 카세트에 적응하면, 판 스프링의 고정 위치의 면적이 좁아지는 관계로 상반부의 돌기는 직경이 작게 되어 고정 부분의 강도가 대단히 약한 것으로 되어 버려 신뢰성의 결함을 가져오게 된다.
그래서 상기의 테이프 카세트(1)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8)에 대한 고정 부분을 중앙에 1개의 구멍(8a)와 일단측에 절결요부(8b)를 설치한 형태로 하고, 상반부(4)에 대하여는 상부 덮개(4a)로부터 돌출된 1개의 원주돌기(4f)와, 램프 수납부(50)의 외주벽으로 돌출된 리브 돌기(4g)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판 스프링(8)은 구멍(8a)을 원주돌기(4f)에 결합시키고 절결요부(8b)를 리브 돌기(4g)에 결합시켜 열 융착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구멍(8a)은 1개이므로 판 스프링(8)의 상반부와의 접촉 부분의 면적이 좁아져도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판 스프링의 구멍의 직경과 같은 또는 그 이상의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원주돌기(4f)로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돌기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 스프링(8)은 원주돌기(4f)에 의하여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한 리브 돌기(4g)에 의하여 더욱 보강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 리브 돌기(4g)와 절결요부(8b)는 판스프링(8)의 부착 상태에서의 방향을 한정하는 작용을 한다.
다음 릴 브레이크 장치(9)에 대하여 제 1a도, 제 2도 및 제 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브레이크 구조체는 거의 입방체 형태의 브레이크 본체 부재(70)와, 선단이 좌우로 벌어진 상태로 본체 부재(7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박판 형태의 유연성을 가지는 브레이크 편(71,72)으로 형성된다. 본체 부재(70)는 좌우측이 하반부(5)상에 돌설되어 있는 리브(5f,5g)에 의해 안내되고, 상측은 상반부(4)측의 브레이크용 스톱퍼 리브(4e)에 의해 위치 규제되면서 하반부(5)의 저판상을 화살표 A1,A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통상의 상태에서 부재(70)는 압축 코일 스프링(73)에 의하여 화살표 A1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브레이크 편(71,72)이 각각 공급 릴(6) 및 권취 릴(7)의 하측 플랜지의 주연 톱니부(74,75)에 맞물려서 양 릴에 제동을 가하고 있다. 또한 이때 부재(70)는 화살표 A1방향의 소정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하반부(5)에 설치되어 있는 일체형의 스톱퍼 돌기(5h,5i)에 의하여 이동을 제한하기 직전의 위치에 있게 된다.
테이프 카세트(1)를 장치에 장착하면 장치측의 선단 원추 형태의 브레이크 해제봉(76)이 하반부(5)의 저면개구(5j)를 통하여 카세트내에 진입하고 부재(70)의 관통공의 경사면(70a)에 압력을 가하여 부재(70)를 스프링(73)에 저항하여 화살표(A2)방향으로 이동시킨다(후퇴시킨다).
부재(70)의 후퇴에 의하여 한쌍의 브레이크편(71,72)은 스톱퍼 돌기(5h,5i)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선단측이 좁아지면서 후퇴하고, 대응하는 톱니부(74,75)에서 분리되어 각 릴(6,7)의 제동이 해제된다. 또한 스톱퍼 돌기(5h,5i)는 부재(70)에 대한 스톱퍼 외에도 브레이크편(71,72)의 확대를 규제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에 상하반부를 정합하여서 상기 구성의 테이프 카세트(1)를 조립할때의 작업방법 및 이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1)는 제 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덮개(3)를 덮개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반부(4)에 임시로 부착한 상태로, 또한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31)를 상반부(4)에 부착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반부(4)와 하반부(5)를 상하로 정합하여 조립된다.
우선, 하반부(5)내에 공급릴(6)과 권취 릴(7)을 재치하고 이 단계에서 자기 테이프(12)를 인출하여 테이프 안내부(10b),(11b)에 안내하여 개구(5a)의 전방을 가로지르는 테이프 패스(12A)를 형성한다. 이 테이프 패스(12)의 형성 작업은 상하반부(4),(5)를 정합시킬 때의 테이프 패스를 형성할 경우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다.
개폐덮개(3) 및 로크 레버(31)가 부착된 상반부(4)를 상기의 하반부(5)에 씌우듯이 회동시켜서 하반부(5)에 부착한다.
또한, 상하반부를 정합시키는 조작과 병행하여 테이프 패스를 형성할 경우에는 테이프를 상하반부 사이에 협지하여 손상을 주는 사고가 생길 수 있으나 하반부(5)만에서 자기 테이프(12)가 테이프 경로(12A)을 형성하도록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반부(4)를 가리는 것 같이 부착하는 조립방법에서는 테이프를 협지하여 손상시키는 사고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조립방법은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것과 병행하여 상하반부를 정합시키는 조립방법에 비하여 능률이 좋다.
이러한 조립시에 개폐덮개(3)의 측부(21e)는 캠홈(10a)의 상단 개구부(10a-1)내에 상방으로부터 진입하여 부착후의 덮개가 폐쇄되는 동작에 의하여 캠홈(10a)내에 진입한다.
여기서, 개폐덮개(3)의 개폐 동작에 축부(21e)가 캠홈(10a)에 안내되어서 이동하는 것은 위치 P1과 상단 개구부(10a-1)에서 액간 앞쪽의 위치 P2와의 사이이며, 위치 P2와 개구단 사이는 캠홈으로 사용되지 않는 구간이다. 거기서, 위치 P2와 개구단 사이의 개구부(10a-1)를 넓은 형태로하여, 조립시에 축부(21e)가 보다 결합이 용이하게 또한 성형 금혀의 제작이 용이한 금형으로 되도록 고려되어 있다.
즉, 개구부(10a-1)는 제3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부(10a-2)와 수평부(10a-3)에 의하여 협지되는 부분이며, 사단은 캠홈(10a)의 폭방향 상향방향으로 특히, 수평부(10a-3)측에 펼쳐진 폭넓이가 된다. 이 때문에, 상하반부의 정합시에 축부(21e)는 제9도중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넓이의 개구를 통하여 개구부(10a-1)내에 어렵지 않게 결합되며 또한, 실질적인 캠홈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덮개(3)를 좌우의 캠홈(10a),(11a)과 결합시키는 작업은 간단히 행하여 진다. 또 수평부(10a-3) 대신에 제9도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함 직선부(10a-4)로서도 동일하게 폭넓이의 개구단이 형성되며 조립작업에 대하여서는 상기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에 상하반부 부착시의 로크 레버(3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로크 레버(31)는 상반부(4)에 핀(37)에 의하여 축지되어서 그 가늘고 긴 암(34)이 상반부(4)의 측면측 돌기(23)와 돌기(25)사이에 진입한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고 돌기(23)와 돌기(25)에 의하여 자유로운 회동범위가 좁은 각도 범위내에 규제되어 있다. 또 상반부(4)를 수평으로 지지한 상태에서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31)는 자기 중량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어 있는 것을 가늘고 긴 암(34)이 돌기(25)에 계지시켜 동도면에 도시하는 회동 위치로 규제하고 있다.
이 로크 레버(31)의 회동 규제 위치는 상반부(4)를 하반부(5) 바로 위에 대항시켰을때 로크 해제용 암 (33)의 하단 돌기(33a)가 하반부(5)의 외측 측벽(5d)의 측단면(5d-1)에 대향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반부(4)를 하부가 좌우로 돌출한 만곡면(5d-2)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반부(4)를 더욱 하동시키면 제11도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31)는 돌기(33a)를 돌출만곡면(5d-2)에 안내시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가늘 긴 암(34)은 돌기(23)에 계지되어 탄성 변형하여 탄성력이 축적된다.
상반부(4)를 하반부(5)의 상면에 결합시켜 하반부(5)와 정합되는 최종 위치가지 하동시키면 돌기(33a)가 축단면(5d-1)의 정상부(5d-3)를 타고 넘어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31)는 가늘고 긴 암(3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암(34)이 돌기(25)에 계지되는 원 회동위치로 스프링력에 의하여 재빨리 복귀한다. 돌기(33)는 정상부(5d-3)를 타고 넘어가서 상기 공간(38)내에 진입하고 외측 측벽(5d)의 하측면(5d-4)에 대향한다. 이 때문에 상하반부를 일단 정합시킨 후에 상하반부를 격리 시키려는 무엇인가의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돌기(33)와 상기 하측면(5d-4)이 계지하여 상하반부의 분리가 저지되며, 가조립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후 상하반부(4),(5)를 나사로 고정하여 테이프 카세트(1)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하반부 저합시에 로크 레버(31)를 하반부(5)에 충돌하여 정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손가락으로 측방으로 물리치거나 정합후 다시 손가락으로 원위치에 되돌리든가 하는 작업은 불필요하므로 테이프 카세트(1)는 능률적으로 조립 작업된다.
또, 테이프 카세트(1)는 상반부(4)를 고정하고 하반부(5)를 상승시키므로서 동일하게 조립된다.
제13도는 상하반부(테이프 카세트)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반부(80)는 앞측에 격벽(81)을 설치한 형태로 하고, 하반부(82)는 앞측에 격벽(83)을 설치한 형태로 하여 캠홈을 상하반부가 정합된 상태에서 격벽(81)의 일부와 격벽(83)의 일부가 협동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테이프 카세트에서는 캠홈은 별체인 2개의 부재의 정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밀도가 나빠지기 쉽고, 더구나 덮개의 개폐를 반복하는 동안에 캠 플로워가 덩컬거리게 되고 신뢰성이 결핍된다. 또, 상하반부의 정합시에 테이프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테이프를 적당히 인출하여 지지하여 두고, 상하반부를 정합시킨 후에 테이프를 테이프 가이드에 안내시키도록 소정의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작업을 행하므로서 테이프 카세트의 조립작업은 비능률적으로 된다.
다음에 하반부(5)의 캠홈(10a)의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캠홈(10a)은 곡선 형태이므로 캠홈(10a)을 성형하는 금형을 격벽(10)의 수직방향으로 뺄수는 없고 금형의 벽(10)의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빠진다. 또 캠홈(10a)근방의 구조에 의하여 금형은 캠홈(10a)을 성형하는 금형과 절결부(5a)에 임하는 수립벽을 성형하는 금형을 정합시킨 구조로 된다.
제14도는 하반부(5)중 캠홈(10a) 둘레의 부분을, 이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과 아울러 도시한다. 동도면중 A는 캠홈(10a)과 테이프 카세트 격벽(10)을 성형하는 금형, B는 주로 절결부(5a)에 임하는 격벽(80)을 성형하는 금형이다. 성형후는 최초로 금형 A이 화살표 방향으로 빠지고 이어서 금형 B이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빠진다.
여기서 금형 A와 금형 B의 분리면을 어떠한 위치에 정하는 가가 문제로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캠홈(10a)을 그 상단을 넓은 폭의 개구부(10a-1)로 한 형태인 것을 고려하여 제3도중 수평부(10a-3)의 시단을 통하는 라인 L을 포함한 수직면에 정해져 있다. 제15도는 금형 B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의 금형 구조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진다.
(1) 금형 B중 수평부(10a-3)를 성형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정밀도를 내려서 형성할 수 있다.
(2) 분리면을 제14도중 라인 M으로 도시 하는 바와 같이 격벽(80)에 극히 근접한 위치에 정했을 경우(금형 B'는 제15도중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에 비하여 금형 B는 그 선단부분에 대하여서도 충분한 두께를 갖는 형태로 되고 정확하게 본뜨기가 된다. 또 성형을 수차 행하여도 선단부분이 파손되는 사고는 생기기 어렵고 금형 B는 내구성에 뛰어난 구조로 된다. 또한 금형을 상기의 구조로 할 수 있는 것은 캠홈(10a)이 그 상단부분이 사용치 않는 부분이 되도록 정해져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효과가 있다.
(1) 카세트 조립시, 하반부상에 릴을 재치한 단계에서, 즉, 상반부를 하반부상에 씌우기 전의 단계에서 테이프를 테이프 안내부에 안내시켜서 소정의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그러므로서 상반부를 부착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으며, 더우기 테이프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상반부의 부착을 행할 수가 있다.
(2) 테이프 안내부는 도중에 이음새 및 단차가 없는 직선형 구조가 되고 테이프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이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다.
(3) 개폐덮개 이동 안내부는 그 도주ㅈㅇ에 이음새 및 단차가 없는 구조로 되고 개폐덮개를 도중에서 걸리는 일 없이 스므스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개폐덮개의 개폐 동작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4) 2개의 부재를 저합시켜 캠홈 등의 개폐 덮개 이동 안내부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개폐덮개 이동 안내부를 고정밀도로 또한 견고한 구조로 할 수 있다.
(5) 로크기구를 정합부와 로크, 해제 작용부에 추가하여 탄성암을 일체로 가지는 구성의 로크 부재로 구성하기 때문에 통상의 로크 부재에 관련하여 필요하게 되는 스프링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6) 탄성암을 이용하여 로크 부재를 테이프 카세트 조립시에 위치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반부와 하반부를 정합시키는 카세트 조립시에 특별한 수단을 사용하여 로크 부재의 회동위치를 조립하기 용이한 위치로 일일 보정하여 이위치에 유지하는 것은 필요치 않고, 조립 작업을 작업성 좋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로보트 등에 의한 자동 조립을 할 경우에 효과가 크다.
(7) 상반부와 하반부를 정합하는 테이프 카세트 조립시에 덮개의 돌출부를 홈의 상단부를 통하여 홈내에 결합시킬 필요가 있으나 홈을 그 상단 개구부를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하여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트 조립시 돌기부는 일단 넓은 폭의 상단 개구부에 받아들여져서 이 부분을 통하여 홈내로 결합하게 되고 돌출부의 홈내에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며 그러므로서 테이프 카세트의 조립 작업이 간단하게 되고 조립 작업 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8) 홈의 상단 개구부는 다른 부분보다 정밀도가 낮아도 지장이 없으므로 홈을 성형하는 금형 중 상단 개구부를 성형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금형의 제작이 그 만큼 간단하게 된다.
(9) 특히 홈의 사단 개구를 수평 직선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므로서 상단 개구부의 개구폭을 효과적으로 대조할 수 있고 카세트 조립상 편리하여 또한 예리한 연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 즉 성형 작업을 다수회 반복하는 동안에 연부의 파손 사고를 일으키지 않는 내구성이 풍부한 구조의 성형 금형을 사용할 수 있고 성형 상으로도 매우 편리하게 된다.
(10) 상반부를 하반부에 중합시킨 상태로 상하반부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임시 고정되므로, 나사에 의한 본 고정까지의 사이에 대하여도 상하반부를 정합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본 고정을 위한 나사 고정 작업도 작업성 좋게 행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조합된 상반부(4) 및 하반부(5)를 가진 카세트 하우징(2), 상기 하우징내에 수납된 테이프(12),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되고, 하기 덮개가 폐쇄될 시에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예정된 테이프 경로내의 테이프를 덮으며, 상기 예정된 테이프 경로내의 상기 테이프의 전면을 덮기 위한 외부 덮개 부재(20)와 상기 예정된 테이프 경로내의 상기 테이프의 배면을 덮기 위한 내부 덮개 부재(21)를 가진 개폐 덮개, 상기 개폐덮개가 개폐 할시에 상기 내부 덮개 부재의 이동과 상기 내부 덮개 부재의 한쌍의 돌출부(21e)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내의 형성된 곡선을 이룬 한쌍의 안내홈(10a,11a) 및, 상기 테이프 카세트가 이용되지 않을 시에 상기 예정된 테이프 경로에 상기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하우징의 전면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단부상에 형성된 한쌍의 테이프 안내부(10b,11b)를 구비하는데, 곡선을 이룬 상기 안내홈 및 상기 테이프 안내부는 제각기 상기 카세트 하우징의 높이에 대해 접합되지 않게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의 좌우측에서의 한쌍의 상호 대향 측벽부(10,11)를 가지는데, 상기 측벽부는 제작기 상기 하반부(5)의 구성 요소이고, 대략 상기 카세트 하우징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며, 곡선을 이룬 상기 안내홈(10a,11a)은 상기 측벽부의 전체 높이에 대해 연장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상호 대향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곡선을 이룬 각각의 안내홈(10a,11a)은 그의 상단부에서의 넓은 상단 개구부(10a-1,11a-1)를 가지며, 상기 내부 덮개 부재의 돌출부(21e)는 상기 카세트 하우징의 상하 절반부가 접속될 시에 상기 넓은 상단 개구를 통해 곡선을 이룬 상기 안내홈내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KR1019830005816A 1982-12-08 1983-12-08 테이프 카세트 KR880001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185541U JPS5989479U (ja) 1982-12-08 1982-12-08 テ−プカセツト
JP185541 1982-12-08
JP216536 1982-12-10
JP57216536A JPS59107471A (ja) 1982-12-10 1982-12-10 テ−プカセツト
JP1982188350U JPS5992483U (ja) 1982-12-13 1982-12-13 テ−プカセツト
JP188350 1982-12-13
JP1982188352U JPS5992484U (ja) 1982-12-13 1982-12-13 テ−プカセツト
JP188352 1982-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786A KR840007786A (ko) 1984-12-20
KR880001462B1 true KR880001462B1 (ko) 1988-08-10

Family

ID=2747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816A KR880001462B1 (ko) 1982-12-08 1983-12-08 테이프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4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786A (ko) 198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9443B1 (en) Magnetic tape cartridge having leader block retainer mechanism
KR880001270B1 (ko) 테이프 카세트
EP0086394A1 (en) Single reel tape cartridges
US6322014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a tape pull-out element and a coupling element and having locking means for holding together these two elements
EP0090573A1 (en) Tape cassette
US6264126B1 (en) Tape cartridge
US6364232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a take-up reel and having a tape pull-out assembly which can be positione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take-up reel
EP0125688B1 (en) Recording tape cartridge
JPH03242887A (ja) テープカセット
KR880001462B1 (ko) 테이프 카세트
JPS6339993B2 (ko)
US6360978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a take-up reel and having a tape pull-out assembly which can be position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take-up reel
US6318656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a tape pull-out element and having latching means for this tape pull-out element
WO2000030094A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a tape pull-out element and a coupling element and having guide means for these two parts
US4422599A (en) Magnetic tape cassette
KR880001934Y1 (ko) 테이프 카세트
KR900018997A (ko) 비데오 카세트용 탑로드 테이프 카트리지
KR890000356Y1 (ko) 테이프 카세트
KR0130071B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
JPS6312462Y2 (ko)
US5799221A (en) Camera
JPS6327329Y2 (ko)
JPS6312464Y2 (ko)
US7048221B2 (en) Door member for tape cartridge, and tape cartridge
JPH02223083A (ja) 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