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123B1 -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123B1
KR880001123B1 KR1019850002648A KR850002648A KR880001123B1 KR 880001123 B1 KR880001123 B1 KR 880001123B1 KR 1019850002648 A KR1019850002648 A KR 1019850002648A KR 850002648 A KR850002648 A KR 850002648A KR 880001123 B1 KR880001123 B1 KR 88000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level
line
selecti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463A (ko
Inventor
에이.볼턴 조세프
제이.샐즈 다비드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쇼날 코오포레이숀
윌리암 에이치.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쇼날 코오포레이숀, 윌리암 에이치.듀트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쇼날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8Suction appar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Paper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에 이용한 진공 조절장치의 도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선별적 진공 조절장치의 도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공 조절장치 12 : 배기기
14 : 센서어 20 : 전환기
본 발명은 여러개의 장치에 대해서 진공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생성장치는 제조공업과 가공의 광범위한 다양성에 따라 증가된 이용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탈수에 있어서 진공장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제지 산업에서 예시된다.
이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탈수에 필요한 진공을 생성하기 위해 여러가지 장치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액체 고리펌프, 정변위 펌프, 원심배기기나 송풍기들이 종종 사용되어 왔다.
또한 거기에는 선택된 펌프를 이용하는 여러가지 기준들이 있다. 이것은 여러개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면에서 더 효과적인 하나이상의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특별한 펌프 등을 지닌다.
이 일에 관해서는, 분리된 흡입관이나 다른 진공장치를 예로 들수 있는 독립장치, 즉 A와 B에 진공을 공급하는 펌프가 필요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있어서, 장치하려는 순간에 진공 수요는 예를 들어 감소된 펠트 투과성에 기인하는 작동상태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제1도에는 다른 진공레벨에서 두개의 진공장치 A와 B가 하나의 배기기와 같이 공통 근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조정되도록 설계된 높은 레벨의 장치를 센서어와 동일선상에 있는 조절밸브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러한 조절기구는 제한성을 가지며 요구하는 진공레벨을 늘 제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장치 A는 처음에 장치 B보다 낮은 진공을 요구한다. 장치의 공기 유량이 장치 A에 낮은 진공레벨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고 가정하면, 밸브 V3는 최대한의 압력강하를 생성하기 위해서 처음에 넓게 열려진다. 바꾸어 말하면 만약 센서어가 장치 B에서 Hg 12이고 장치 A에서 최초 진공이 Hg 7인 특정한 진공레벨로 조절하려고 한다면 Hg 12의 높은 레벌에 도달하기 위해서 조절밸브 V3는 완전히 열려진다. 그러나 V3의 장치 A는 Hg 7이기 때문에 도달된 가장 높은 진공레벨은 Hg 7이며 장치 B는 Hg 7이거나 그보다 낮다.
장치 A에서 진공레벨이 장치 B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크거나 같을때 그러한 배열이 효과적이다. A에서 진공레벨이 B에서 보다 클때 밸브 V3가 죄어 좁혀진다.
그러한 장치는 단지 확정된 장치에 있어서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만 장치 B의 요구를 만족한다. 흡인기에서의 흡인수요가 펠트가 새것일 때는 비교적 적지만 펠트가 낡아지고 투과성이 감소하고 높은 진공을 생성함에 따라 상당히 변화하는 경우에서처럼 A의 진공 요구가 광범위하게 변할때 그러한 경우가 존재한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공통근원으로 부터 하나의 장치 이상에 진공을 조절하기 위해서 조절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여러개의 장치에 공통근원으로부터 공급되며 여러개의 장치중 하나에 우선권을 주는 진공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두개의 진공장치가 공통 근원을 이용할때 선별적 진공 조절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성취된다. 이 조절장치는 진공라인의 전환조절 밸브를 거쳐 낮은 진공 장치까지 조절하는 높은 진공을 원하는 장치에 대해 진공 라인에 있는 진공 센서어를 포함한다. 최소 진공레벨은 높은 진공장치의 전환기에 의해서 조절된다. 만약에 낮은 진공장치의 요구가 증가한다면 적용된 진공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조절밸브가 열려진다. 두 장치에서 진공레벨이 동일한 레벨에 도달한다면 조절밸브는 제각기의 진공레벨에서 완전히 열려지고 그것에 의하여 공급라인에 배치된 단일 밸브에 의하여 조절된다.
특별히 제2도에는 진공 조절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그 장치는 원심 배기기(도시됨), 액체 고리펌프, 정변위 회전펌프나 진공 근원을 제공하는 적당한 다른 형태의 장치와 같은 진공 근원(12)을 지닌다. 진공은 작동중 진공 요구 레벨이 서로 다른, A와 B로 나타낸 두 장치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B는 높고 일정한 진공을 요구하는 장치이다. A는 처음에 낮은 진공레벨을 요구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높은 진공을 요구한다.
각각의 장치에 독립 근원보다 오히려 단일 진공근원을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 제지공업이 이 일에 관해 대표적인 예이다. 만약 A가 제지펠트를 탈수하는 흡인관이면, 처음에 펠트가 새 것일때 진공레벨은 낮다. 펠트가 낡아짐에 따라 펠트의 투과성은 감소하고 진공레벨은 자동적으로 증가한다.
장치 B는 일정한 높은 진공을 요구하고 A에 우선적으로 진공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한 장치이다.
그러기 위해서 센서어(14)는 차례로 주요 공급라인(18)에 진공 근원(12)이 연결된 B에 공급라인(16)을 제공한다. 센서어(14)는 제각기 라인(16)의 진공레벨에 있고 목적에 맞는 적당한 형태의 조절 가능한 센서어 활성물 전화기(20)인 (S1)에 연합되고 A에 대해 공급라인(22)에 배치된 조절밸브 V3를 조정한다. 밸브 V1과V2는 각각 조요입구 조절밸브와 서어지 밸브(surge valve)이다.
작동중 밸브 V3에 의해 결정된 어떤 진공레벨이 라인(18)에 존재한다. 전환기(20)는 센서어(14)를 거쳐 B에서 원하는 진공레벨의 최소 고정점을 감지하고 그러한 최소 진공레벨이 라인(16)에 존재하도록 고정시킨다. 장치 A에서는 처음에 B에서 보다 낮은 진공레벨을 요구한다. 작동시키면 A에서 진공레벨은 낮고 라인(16)에서 진공의 최소 레벨을 유지하도록 V3는 조절기(20)를 거쳐서 죄어 좁혀진다. 장치 A에서 진공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라인(16)에서 최소 진공레벨이 유지되는한 센서어 전환기는 V3를 죄어 접히지 않는다.
A에서 진공레벨이 B에서와 같을때, V3는 그건너 편에 자리잡은 압력의 강하없이 전적으로 열려진다.
이점에서 그 장치의 진공레벨을 조절하는 요소는 배기기(12)의 밸브 V1이고 그러므로 B에서 진공레벨이 늘 유지되면 그것은 원하는 곳에 우선적으로 진공을 제공한다.
배기기와 제지장치가 언급되는 동안 거의 예로서 했지 유일하다고 생각되는 수단에 의하지 못했다. 게다가 입구 조절밸브(V1)가 없으므로 배기기보다 다른 진공 근원을 사용할때 계의 진공레벨은 근원의 최대 용량에 의해서 한정된다.
그러므로 앞서말한 발명에 의해서 그 목적과 이점이 분명히 이해되고 비록 언급된 실시예가 여기에 자세히 묘사 되었을지라도 그것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았기 때문에 범위는 부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 결정하기로 한다.

Claims (5)

  1. 하나의 공통 근원에 의해서 최소한 두개의 다른 장치에 공급되는 진공 조절에 사용하는데 상기 장치들중 어느 하나에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선별적 진공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첫째 레벨에서 진공을 이용하는 첫째수단 ; 둘째 레벨에서 진공을 이용하는 둘째 수단 ; 첫째 수단에 진공을 공급하는 첫째 진공라인과 둘째 진공수단에 진공을 공급하는 둘째 진공라인이 연결된 공통 공급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첫째와 둘째수단에 진공을 공급하는 진공수단 ; 둘째라인의 진공레벨을 감지하며 둘째 진공라인에 배치된 센서어 수단 : 둘째 진공라인의 예정된 레벨이 유지되도록 밸브 수단을 조절하고 첫째 진공라인의 진공레벨을 조절하므로서 상기 둘째 진공라인의 예정된 최소 진공레벨을 유지하는, 상기 밸브 수단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밸브수단과 센서어 수단에 연결된 진공전환기 수단 ;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첫째 진공레벨이 처음에는 둘째 진공레벨 보다 낮고 상기 밸브수단이 둘째 진공라인의 높은 진공레벨을 유지하도록 전환기 수단에 의해서 죄여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첫째 진공레벨이 둘째 진공레벨에 도달함에 따라 예정된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전환기 수단은 밸브수단을 죄여 좁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공통 공급라인에 배치된 주요 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조절밸브는 첫째 레벨이 둘째 레벨보다 크거나 같을때 밸브수단을 완전히 개방하므로서 첫째와 둘째 진공라인의 진공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진공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진공의 공통 근원이 배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
KR1019850002648A 1984-04-27 1985-04-19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KR880001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480584A 1984-04-27 1984-04-27
US604805 1984-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463A KR850007463A (ko) 1985-12-04
KR880001123B1 true KR880001123B1 (ko) 1988-06-30

Family

ID=2442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648A KR880001123B1 (ko) 1984-04-27 1985-04-19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163422A3 (ko)
JP (1) JPS60243381A (ko)
KR (1) KR880001123B1 (ko)
AU (1) AU4185785A (ko)
FI (1) FI850721L (ko)
NO (1) NO851682L (ko)
ZA (1) ZA851049B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201A (en) * 1979-12-06 1982-05-11 Albany International Corp. Constant vacuum felt dewate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51049B (en) 1985-10-30
EP0163422A3 (en) 1987-06-16
AU4185785A (en) 1985-10-31
FI850721A0 (fi) 1985-02-21
FI850721L (fi) 1985-10-28
EP0163422A2 (en) 1985-12-04
KR850007463A (ko) 1985-12-04
NO851682L (no) 1985-10-28
JPS60243381A (ja) 198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3082B1 (de) Verfahren zur Regelung des Drucks eines Fluids
DE60015003D1 (de) Druckregelvorrichtung für eine Vakuumkammer, und eine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versehenen Vakuumpumpeinheit
SE443441B (sv) Spjellaggregat for luftkonditioneringsanleggning
KR880001123B1 (ko) 선별적 진공조절장치
RU221000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критического параметр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группы компрессоров или одиночно работающего компрессора
US2315512A (en) Chlorine feeding device
CA1240234A (en) Priority vacuum control system
JPS63123421A (ja) 除湿空気供給装置
SU1716967A3 (ru)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насосом
US1984868A (en) Gas pressure stabilizer
KR950006369A (ko) 실내에서의 다양한 룸에 통풍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217087A (en) Steam heating system
JPH0244108A (ja) ボイラの給水制御方法
JPH0124395Y2 (ko)
US4551202A (en) Vacuum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watering fabrics
JPS63214599A (ja) 液化天然ガス気化設備の制御装置
SU746086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газовых скважин
SU909415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одачи питательной воды
JPH0219601Y2 (ko)
JPH02280775A (ja) 供給空気量制御式酸素富化機
SU823750A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ОдАчи пиТАТЕльНОй ВОды B дВуХпОТОч-Ный пАРОгЕНЕРАТОР
JPH08311794A (ja) シリンダ―ドライヤ―
JPS6248761B2 (ko)
SU830327A2 (ru) Регул тор соотношени расходовдВуХ пОТОКОВ гАзА
SU454395A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 уров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