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23Y1 -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23Y1
KR880000623Y1 KR2019850011082U KR850011082U KR880000623Y1 KR 880000623 Y1 KR880000623 Y1 KR 880000623Y1 KR 2019850011082 U KR2019850011082 U KR 2019850011082U KR 850011082 U KR850011082 U KR 850011082U KR 880000623 Y1 KR880000623 Y1 KR 880000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ontrol device
sewing machine
magnetic sens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922U (ko
Inventor
이영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1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623Y1/ko
Publication of KR870003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4Devices for changing speed or for reversing direction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공업용 재봉기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속도제어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배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속도조정 레버 및 제어회로 기판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는 제3도의 속도조정레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6도는 자기센서에서 검출된 출력전압을 비교 및 증폭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시키기 위한 회로도.
제7도는 자기센서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속도제어장치 3 : 페달
11: 케이스 12 : 회동축
13 : 링크 18 : 속도조정레버
20 : 자석 21 : 제어회로기판
22 : 자기센서
본 고안은 재봉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가진 재봉기 구동 장치에 있어, 페달을 밟음으로서 그 경사위치에 대응한 속도 설정 신호 및 사절, 노루발 올림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공업용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는 페달의 움직임에 연동하게 설치한 자석과, 이 자석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수개의 리이드(reed) 스위치가 작동되어 그 출력전압에 의하여 속도가 제어되고, 홀(hall) 소자의 스위치 작용에 의해 전진, 사절(絲絶), 노루발 올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와,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자기센서와 자석과의 거리에 의하여 속도를 제어하거나, 광전스위치와 광투과 조절판을 이용하여 광전스위치 센서를 개폐시킴으소서 페달의 움직임에 대응한 동작신호를 발생하여, 이 신호를 제어회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공급함으로서 재봉기의 고속운전 및 지속운전, 자동노루발 올림이나 자동사절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속동제어장치는 설치 공간이 제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품의 크기가 커서 조립에 어려움이 많고, 리이드 스위치나 광전스위치같은 고가의 센서를 사용함으로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페달과 연결된 레버의 회동축에 속도조정레버를 설치하고, 이 속도조정레버의 선단에 자석을 내설하여 제어 회로기판에 일체로 부착된 자기센서로 하여금 페달과 연동되는 속도조정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자석과 자기센서간의 위치변화에 발생하는 출력신호전압을 얻고자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공업용 재봉기의 전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속동제어장치(1)는 재봉기 헤드(5)가 고정된 작업대(6) 하부의 콘트롤 박스(2)의 측면에 설치되며, 콘트롤 박스(2) 내부에는 속도제어장치(1)의 부품들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모터구동 및 제어회로를 내장하고 있고, 그 외부에는 조정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다.
속도제어장치(1)는 레버(4)를 통해 재봉기 하단에 경사지게 설치된 페달(3)과 연결되어 있다.
이 페달(3)의 작동은 도면의 하단부에 나타낸 것과같이 중립(정지) 위치(a)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페달(3)을 앞으로 밟거나 뒤로 밟는 조작에 의해 고속 및 지속운전과 자동노루발올림, 자동 사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속도제어장치(1)를 콘트롤 박스(2)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로서, 페달(3)과 연결된 레버(4)가 회동축(12)에 고정된 링크(13)의 선단에 걸려 고정되고, 링크(13) 하측면의 돌기부(14) 일측과 케이스(11) 상단의 돌출편(17)사이에 복귀 스프링(16)이 계지되어 페달의 중립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13)는 회동축(12)을 중심으로 케이스(11) 안쪽으로 형성된 요부(15)의 상하 길이만큼 페달의 움직임에 따라 요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도는 사용자가 페달을 앞으로 충분히 밟아 고속 운전위치(C)에 놓인것을 나타낸다.
속도제어장치(1)의 케이스(11) 뒷면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속도 조정레버(18) 및 제어회로기판(21)이 설치된다.
즉, 속도조정레버(18)는 제4도 및 제5도에 상세히 나타낸 것과같이 링크(13)의 일단이 고정된 회동축(12)의 중심에 나사로 고정되고, 그 선단의 요홈(19)속에 자석(20)이 수납된다.
이 속도 조정레버(18)는 상기 페달의 중립위치(a)에 대응하는 링크(13)의 중간위치에 따라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위치를 취하며, 페달을 앞뒤로 밟음에 따라 화살표(A) 및 (B)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속도 조정레버(18)의 선단부에 설치된 자석(20) 바로 밑에서 제어회로기판(21)에 일체로 부착된 홀(hall) 소자와 같은 자기센서(22)가 위치하고 있다.
제어회로기판(21)은 자기센서(22)에서 검출된 자석(20)의 위치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을 증폭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모터구동 및 제어회로에 공급해 주기 위한 회로 소자를 수용한 것이며, 3개의 고정나사(24)로 속도제어장치의 케이스(11)에 고정된다.
미설명부호(23)는 자기센서(22)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검출신호 비교 및 증폭용 IC소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3)을 밟음에 의해 레버(4)와 링크(13) 및 회동축(12)에 고정된 속도조정레버(18)가 연동으로 움직이고 이때 속도조정레버(18)의 선단부에 수장된 자석(20)과 제어회로기판의 자기센서(22)와의 위치변화에 따라 자기센서(22)는 내부 저항치의 변화로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압곡선 Vs을 갖는다.
여기서, 자기센서(22)의 OV이하의 출력전압 Vs으로 페달(3) 및 속도조정레버(18)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도록 설정하고 이 전압을 4등분하여,-0.6V의 위치는 페달(3)을 중립위치(a)에 둔 상태로서 모든 동작이 정지한 상태의 전압출력을 나타내고, -0.2V의 위치는 페달(3)을 앞으로 밟은 상태로서 이 점을 넘어서면 전진 명령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시켜 모터를 구동하게 하며 이때부터 재봉기의 저속 운전이 시작된다.
또한 -1.5V의 위치는 페달(3)을 뒤로 밟아 중립위치(a)를 지닌 상태로서, 이때도 재봉기의 모든 동작이 중지되지만 이 출력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면 노루발 올림 명령이 출력되어 동작이 정지상태에서 노루발만이 자동으로 올라가게되고, 계속해서 -2V의 위치로 페달(3)을 완전히 뒤로 밟게 되면 이 전압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어 자동 사절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자기센서(22)에 의한 제7도에서와 같은 출력신호 전압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신호처리회로에 공급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입력된다.
제6도에서, 자기센서(22)의 출력전압은 비교기(25)의 한 입력단에 공급되고, 가변저항 VR에 의한 중립위치(a) 설정전압이 상기 비교기(25)의 다른 입력에 공급되어, 자기 센서(22)에서 검출된 출력전압 Vs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기(25)의 출력전압을 증폭기(26)(27) 및 (28)에 공급하여 일정비율로 증폭한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각각 입력시키게 한다.
상기 비교기(25) 및 증폭기(26)(27)(28)은 OP 앰프로 구성되고 통상 제어회로기판(21)의 IC 소자(23)로서 대치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속도제어장치에 의하며, 페달과 연동되는 속도조정레버(18)의 선다부에 자석(20)을 설치하고, 이 자석과 대향하게 제어회로기판(21)에 일체로 자기센서(22)를 설치함으로서 부품수가 적고 소형이며, 집약되고 가격이 저렴한 속도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실용상 지대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공업용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1)에 있어서, 페달(3)과 연결된 레버(4)와 연동하는 링크(13)의 회동축(12)에 속도조정레버(18)가 설치되고, 이 속도조정레버(18)의 선단부에 형성된 요홈(19)내에 자석(20)을 수납하고, 상기 속도제어장치(1)의 케이스(11)에 고정 설치된 제어회로기판(21)과 일체로 상기 자석(20)과 대항되게 자시센서(22)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석(20)과 자기센서(22)와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센서(22)의 출력전압으로 재봉기의 속도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속도 제어장치.
KR2019850011082U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KR880000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82U KR880000623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82U KR880000623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22U KR870003922U (ko) 1987-03-30
KR880000623Y1 true KR880000623Y1 (ko) 1988-03-14

Family

ID=1924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082U KR880000623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6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625B1 (ko) * 2000-09-19 2003-02-26 박보인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장치
KR100386878B1 (ko) * 2001-02-09 2003-06-12 박보인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625B1 (ko) * 2000-09-19 2003-02-26 박보인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장치
KR100386878B1 (ko) * 2001-02-09 2003-06-12 박보인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22U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34590A (ja) ミシン
EP0077788B1 (en) A driving control device
KR880000623Y1 (ko) 재봉기의 속도제어장치
FI85063C (fi) Fotregulator, saerskilt foer tandlaekarens anlaeggningar.
US5969495A (en) Accelerator device for electromotive vehicles
ATE101374T1 (de) Fernsteuerung von motorfunktionen.
KR940005366B1 (ko) 미싱구동장치의 페달장치
US5532564A (en) Control unit for an electric drive motor of industrial processing machinery
US4754721A (en) Arrangement of a hand wheel on a sewing machine
KR840000197Y1 (ko) 재봉기 속도 제어장치
GB1519853A (en) Electric vehicle speed control systems
US5051547A (en) Switch mechanism for an electric power tool
US4413577A (en) Pattern feed balancing arrangement in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sewing machine
KR100322198B1 (ko) 전동차량용모터방향제어장치
US11913812B2 (en) Control assembly for use in operation of an electric device
JPS6243361Y2 (ko)
US4416206A (en) Control for automatic buttonhole apparatus in zigzag sewing machine
KR0140670B1 (ko) 와이어 커트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프리 텐션 제어장치
GB2232170A (en) A tape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S6137192A (ja) ミシンの上糸量調節装置
JPH0426459A (ja) ミシンの押さえ金上昇装置
KR950011864B1 (ko) 재봉기의 속도제어 장치
JPH0141403Y2 (ko)
SU8723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ождени моби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по светоконтрастной программе
JPH0441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