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525B1 -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525B1
KR880000525B1 KR1019850003532A KR850003532A KR880000525B1 KR 880000525 B1 KR880000525 B1 KR 880000525B1 KR 1019850003532 A KR1019850003532 A KR 1019850003532A KR 850003532 A KR850003532 A KR 850003532A KR 880000525 B1 KR880000525 B1 KR 880000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grated circuit
terminals
resis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365A (ko
Inventor
송근덕
맹계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525B1/ko
Publication of KR86000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프로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프로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프로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C1, 1C2: 버스 드라이버(Bus Driver) IC3: 포토 카플러
IC4: 타이머 IC5: 플립플롭
IC6: 마이크로 프로세서 IC7: 랫치(Latch)
IC8: 트랜지스터 어레이 IC9: 롬(ROM)
G1~G4: NAND 게이트 G5~G8: 게이트
SW1~SW10: 딥(DIP)스위치 RY1~RY8: 릴레이
3, 4, 5 : 가격 설정 신호 입력단자 R1~R26: 저항
C1~C5: 콘덴서 D1, D2: 다이오드
본 발명은 캠, 리미트스위치, 프로그램 모타, 릴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커피 자동판매기 콘트롤 회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콘트롤 회로의 소형화 및 고급화시키며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피 자동판매기 콘트롤 회로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캠을 사용했으며, 캠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모타가 필요하였고 캠으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많은 리미트 스위치가 필요하게 되어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였고 캠을 구동시키기 위한 많은 소비전력을 낭비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고자 프로그램 모타, 캠, 리미트 스위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콘트롤 회로 고급화 및 소형화 시킨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SW1~SW10)의 한쪽 단자점은 모두 접지점에 연결하며, 한쪽 단자는 풀-업(pull-up)저항(R1~G8)(R25)(R26)을 연결하여 집적회로(IC1)(IC2)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였으며 단자(3)(5)간에 입력된 신호는 저항(R9)(R10)과 다이오드(D1)를 통해 집적회로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그 출력단자(A)는 저항(R13)의 풀-업 저항을 연결하여 스위치(SW11~SW13)의 한쪽 단자에 모두 연결했으며 단자(4)(5)간에 입력된 신호는 저항(R11)(R12), 다이오드(D2)를 통해 집적회로(IC3)의 또 다른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단자(B)에 연결해 저항(R14)의 풀-업 저항을 달아 스위치(SW14)의 한족 단자에 연결하였으며 스위치(SW11~SW14)의 다른 한쪽 단자는 풀-업 저항(R15~R18)을 연결하여 집적회로(IC2)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였으며 직접회로(IC6)(IC9)의 어드레스 버스단자(A0~A10)을 서로 같은 단자끼리 연결하였고 집적회로(IC1)(IC2)(IC6)(IC7)(IC9)의 데이타 버스단자(D0~D7)을 서로 같은 단자끼리 연결하였으며,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01
는 저항(R23)을 통하여 전원(+5V)에 연결했으며,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02
와 집적회로(IC9)의 단자
Figure kpo00003
을 연결하였고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04
와 단자
Figure kpo00005
를 게이트(G8)의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그 출력단자를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06
과 집적회로(IC9)의 단자
Figure kpo00007
를 연결하고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08
를 집적회로(IC4)의 입력단자에 연결하였고, 단자(A0)를 게이트(G3)의 입력핀에 연결하고 출력 게이트(G3)(G5)의 출력을 게이트(G1)를 통하여 집적회로(IC1)의 단자
Figure kpo00009
에 연결하고 게이트(G5)의 출력과 집적회로(IC6)의 단자(A0)을 게이트(G2)를 통해 단자
Figure kpo00010
에 연결한다. 집적회로(IC4)의 출력을 집적회로(IC7)의 단자(OE)에 접속하였으며, 집적회로(IC4)의 출력을 게이트(G4)를 통해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11
에 연결하고 게이트(G6)(G7), 수정 진동자(X)를 플립플롭(IC5)의 단자(CL)에 연결하며 출력단자(Q)에 저항(R24)을 연결하여 집적회로(IC6)의 클록단자(ø)에 접속하였고, 집적회로(IC7)의 단자(1Q~8Q)를 집적회로(IC8)의 단자(IN1~IN8)에 각각 연결하고 집적회로(IC8)의 단자(OUT1~OUT8)를 릴레이 단자에 접속하였고, 릴레이 전원단자와 집적회로 전원단자에 전원(+12)를 연결하고 저항(R1)(R13)(R15)(R21)(R22)과 집적회로(IC6)(IC7)(IC9)의 전원단자에 전원(+5V)를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회로 구성으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SW1~SW10) (DIP SW : 간단히 절환동작을 할 수 있는 PCB기판 부착용 소형 스위치)에서, 스위치(SW1), (SW2)를 커피, (SW3), (SW4)를 밀크, (SW5), (SW6)를 설탕, (SW7), (SW8)를 온수, (SW9), (SW10)을 코코아 반출 제어시간 설정용 스위치로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 2개를 한 조로하여 사용하므로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간단히 조직레벨〔00, 01, 10, 11〕을 변경 할 수 있으므로(DIP SW의 한쪽을 접지점, 다른 한쪽을 저항 RR8, R25~R26을 통해 +5V에 연결되였으므로 스위치 절환동작에 의해 1또는 0을 선택할 수 있음)이에 의해서 반출량의 제어시간을 다음과 같이 〔예 : 00→2.5초, 01→3초, 10→3.5초, 11→4초〕할 수 있다.
스위치(SW1~SW10)까지 각 해당품목의 제어량을 세팅해 놓고 해당 판매금액의 동전을 자동판매기에 투입하면 자동판매기의 코인 메카니즘 측으로 부터 단자점(3)(4)(5)으로 판매가능 신호출력을 내 보내게 된다.
다음 스위치(SW11~SW14) 〔SW11→밀크커피 선택, SW12→커피선택, SW13→블랙커피 선택, SW14→코코아 선택〕중에서 원하는 스위치를 누르면 집적회로(IC2)의 스위치(SW11~SW14)에 연결된 입력측을 하이에서 로우레벨로 전환시키게 되고 이때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중앙처리(CPU) 집적회로(IC6)가 데이타 버스(D0~D7)를 통해 롬(IC9)로 부터 데이타를 읽고 집적회로(IC6)에서 단자
Figure kpo00012
신호를 출력하여 게이트(G1)(G2)에서 교대로 로우를 출력하면서 집적회로(IC1)(IC2)를 세렉트하게 되면 중앙처리(CPU)집적회로(IC6)가 집적회로(IC1)(IC2)의 비트체크(SW1~SW10)를 할 수 있게 된다.
비트체크에 의해 스위치(SW1~SW10)의 반출량의 결정시간을 체크한 다음 스위치(SW11~SW14)중 어느 스위치가 눌려졌나 집적회로(IC2)의 비트체크를 하여 집적회로(IC9)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루틴(Routine)을 집적회로(IC6)의 명령에 의해 수행하여 해당되는 로우출력을 집적회로(IC7)를 통해 발전시켜 하이 출력(IC8)에 인가하면 이곳에서 증폭된 출력을 릴레이(RY1~RY8)에 내보내게 된다.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13
신호가 나오게 되면 게이트(G8)의 출력을 하이로 만들게 되어 집적회로(IC7)를 세렉트 시키게 되므로 반전된 출력을 내보낼 수 있게 된다. 전원이 온 되면 모든 출력을 오프시키고 동전 메카니즘에서 동전을 감지하여 판매가격 이상이 되면 회로의 단자(4)(3)에 입력신호를 주게되어 이 신호가 선택 스위치(SW11~SW14)가 동작하여 집적회로(IC2)를 통해 집적회로(IC6)의 중앙처리(CPU)에 전달된다. 중앙처리에는 선택스위치(SW)가 온 될 때 까지 스위치(SW1~SW10)까지의 각 재료들이 투입시간을 설정하는 스위치를 읽어 그 시간을 계산한 뒤 레지스터(Register)에 저장한다. 선택 스위치가 온 되면 스위치 신호를 해석하여 설정된 루틴(Routine)으로 점프(Jump)한다 먼저 컵 반출을 오프시킨다. 계속해서 설정된 판매 시간 값을 0.5초 간격으로 카운트 다운(count down)시키고 커피, 밀크, 설탕, 온수 등의 반출시간을 비교하여 그 시간이 되면 출력은 온 시키고 다시 그 카운트 값을 다운(down)시켜 설정된 시간이 카운트 아웃(count out)되면 출력을 오프시킨다.
마지막으로 판매시간이 끝나면 다시 처음 상태로 되돌아가 선택 스위치(SW)를 읽는다.
이와같은 동작을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커피 자동판매기 콘트롤 회로를 구성하였으므로 캠, 리미트 스위치, 프로그램 모타가 필요없는 초소형으로 되었으므로 자동판매기를 고급화시켰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한 것으로 다른 자동판매기 콘트롤 회로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은 것으로 메인턴스(Maintance)등에 있어서도 훨씬 수월하게 되었다.

Claims (1)

  1. 스위치(SW1~SW10)의 한쪽 단자점은 모두 접지점에 연결하며, 한쪽 단자는 풀-업(pull-up) 저항(R1~R8)(R25)(R26)을 연결하여 집적회로(IC1)(IC2)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였으며 단자(3)(5)간에 입력된 신호는 저항(R9)(R10)과 다이오드(D1)를 통해 집적회로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그 출력단자(A)는 저항(R13)의 풀-업 저항을 연결하여 스위치(SW11~SW13)의 한족 단자에 모두 연결했으며 단자(4)(5)간에 입력된 신호는 저항(R11)(R12), 다이오드(D2)를 통해 집적회로(IC3)의 또 다른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단자(B)에 연결해 저항(R14)의 풀-업 저항을 달아 스위치(SW14)의 한쪽 단자에 연결하였으며 스위치(SW11~SW14)의 다른 한쪽 단자는 풀-업 저항(R15~R18)을 연결하여 집적회로(IC2)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였으며 집적회로(IC6)(IC9)의 어드레스 버스단자(A0~A10)를 서로 같은 단자끼리 연결하였고 집적회로(IC1)(IC2)(IC6)(IC7)(IC9)의 데이타 버스단자(D0~D7)를 서로 같은 단자끼리 연결하였으며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14
    와 집적회로(IC9)의 단자
    Figure kpo00015
    를 연결하였고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16
    와 단자
    Figure kpo00017
    를 게이트(G8)의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그 출력단자를 집적회로(IC7)의 단자(G)에 접속하였으며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18
    와 집적회로(IC9)의 단자
    Figure kpo00019
    를 연결하고 집적회로(IC6)의 단자(RD)(IORQ)를 집적회로(IC4)의 입력단자에 연결하였고 단자(A0)를 게이트(G3)의 입력핀에 연결하고 출력 게이트(G3)(G5)의 출력을 게이트(G1)를 통하여 집적회로(IC1)의 단자
    Figure kpo00020
    에 연결하고 게이트(G5)의 출력과 집적회로(IC6)의 단자(A0)을 게이트(G2)를 통해 단자
    Figure kpo00021
    에 연결한다.
    집적회로(IC4)의 출력을 집적회로(IC7)의 단자(OE)에 접속하였으며, 집적회로(IC4)의 출력을 게이트(G4)를 통해 집적회로(IC6)의 단자
    Figure kpo00022
    에 연결하고 게이트(G6)(G7), 수정 진동자(X)를 플립플롭(IC5)의 단자(CL)에 연결하며 출력단자(Q)에 저항(R24)을 연결하여 집적회로(IC6)의 클록단자(ø)에 접속하였고 집적회로(IC7)의 단자(1Q~8Q)를 집적회로(IC8)의 단자(IN1~IN8)에 각각 연결하고 집적회로(IC8)의 단자(OUT1~OUT8)를 릴레이 단자에 접속하였고 릴레이 단자에 접속하였고 릴레이 전원단자와 집적회로 전원단자에 전원(+12)를 연결하고 저항(R1)(R13)(R15)(R21)(R22)과 집적회로(IC6)(IC7)(IC9)의 전원단자에 전원(+5V)를 접속하여서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의 콘트롤회로.
KR1019850003532A 1985-05-22 1985-05-22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KR880000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532A KR880000525B1 (ko) 1985-05-22 1985-05-22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532A KR880000525B1 (ko) 1985-05-22 1985-05-22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65A KR860009365A (ko) 1986-12-22
KR880000525B1 true KR880000525B1 (ko) 1988-04-09

Family

ID=1924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532A KR880000525B1 (ko) 1985-05-22 1985-05-22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93432B1 (it) * 1997-07-11 1999-03-01 Elasis Sistema Ricerca Fiat Iniettore di combustibile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65A (ko) 198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525B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초소형 자동판매기 콘트롤회로
US5010335A (en) Optical port multiplexer for electric metering equipment
EP0919934A2 (en) PC card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16-bit and 32-bit operation modes
EP0134967A2 (en) A data processing system incorporating an automatic reset arrangement
JPS6346385B2 (ko)
EP0259869A2 (en) An identification circuit
KR860001292Y1 (ko) 샤워기의 급수시간 제어장치
WO2002099729A3 (de) Elektronischer schaltkreis für chipkarten-schnittstellen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mit chipkarten-schnittstellen
JPS6339810Y2 (ko)
JP3386081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ル装置
KR900008372B1 (ko) 컴퓨터 초기화 프로그램 자동실행 장치
KR0126507Y1 (ko) 자동판매기의 출력회로
JP3166327B2 (ja) キー入力装置
JP2690537B2 (ja) パチンコ機の枠開閉表示装置
JPH0749833Y2 (ja) 制御機器
JPS588392A (ja) おまけ機能を有する自動販売機
JPH05119167A (ja) タイマ装置
KR850001704Y1 (ko) 승강기용 유니버설 타이머
JPS55120213A (en) Switched capacitor filter
JPS6220050Y2 (ko)
CN2539993Y (zh) 液晶显示卡
JPS61160530U (ko)
KR890004809Y1 (ko)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한 구동제어회로
KR910006697Y1 (ko) 모드설정 회로의 모드신호 지연회로
KR910000212Y1 (ko) 낸드게이트를 이용한 타이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