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70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70B1
KR880000370B1 KR1019850000852A KR850000852A KR880000370B1 KR 880000370 B1 KR880000370 B1 KR 880000370B1 KR 1019850000852 A KR1019850000852 A KR 1019850000852A KR 850000852 A KR850000852 A KR 850000852A KR 880000370 B1 KR880000370 B1 KR 88000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ontainer
base
handle
hand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237A (ko
Inventor
사스게 엔도오
Original Assignee
사스게 엔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스게 엔도오 filed Critical 사스게 엔도오
Priority to KR101985000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370B1/ko
Publication of KR86000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칫솔
제1도는 본원발명에 의하 칫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동 종단측면도.
제3도는 등 식모간(植毛杆)을 밀어 넣은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제5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칫솔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동 식모간을 밀어 넣은 상태이 종단측면도.
제7도는 동 손잡이부 본체의 확대 종단측면도.
제8도는 동 끝면도.
제9도는 치약 용기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10도는 동 가동 밑바닥체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칫솔 2 : 손잡이부분
3 : 식모간 4 : 치약주출기구
5 : 손잡이부본체 6, 106 : 치약용기
7 : 솔 8 : 치약통로
9 : 베어링부 10 : 세로홈구멍
11 : 조작돌출부 12 : 작동관
13 : 베어링구멍 15A,15B : 밸브부
16, 116 : 밸브시이트 17 : 압축스프링
18, 118 : 통공 19, 20 : 밸브체
21 : 흡입실 123 : 돌기부
124 : 박막 23, 125 : 가동밑바닥체
본원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터치조작에 의해 적량의 치약을 짜내어 이를 닦을 수 있는 치약내장형의 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칫솔의 내부에 유동성이 있는 치약을 내장한고, 이를 닦을 때에 이 치약을 밀어내어 식모부에 삼출(渗出)시키도록 한 것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것은 손잡이부내에 장입된 치약을 피스턴처럼 밀어내기 부재로 밀어 내도록 한 것이므로 그 짜내기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적량의 치약을 짜내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 손잡이부내에 밀어내기기구를 내장하는 타입의 것은 치약을 수납하는 공간을 크게 취할수 없으며, 예를들어 쓰고 버리는 타입으로 할 경우, 솔부의 내용수명(用
Figure kpo00001
壽命)보다 치약이 빨리 없어져버려, 필연적으로 치약을 보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솔부와 손잡이부 내와의 차단기구를 완전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이를 닦을 때에 입안에서 손잡이부내로 역류할 염려가 있어서 위생상 바람직스럼지 못하다는 등 여러가지 결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것을 감안하여 상기 종래의 치약내장형식의 칫솔을 근본적으로개선하여, 종래의 것의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전적으로 신규의 구성 및 조작감이 얻어지는 원터치구조의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칫솔의 특징적인 구성은 손으로 움켜잡는 손잡이 부분에 대해 선단부 일면측에 칫솔로서의 솔을 식모한 식모간 자체를 내려누르기자재토록 연결하고, 이 식모간을 내려누르기 조작함으로써 손잡이의 일부를 구성하는 치약용기내의 액상치약을 식모면에 적량 삼출시켜 이를 닦을 수 있도록 한것, 및 치약용기의 손잡이부본체의 접속시에 있어서의 치약의 누출방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칫솔(1)은 제1도에 외관을 나타낸 것처럼, 손잡이 부분(2)과, 이 손잡이 부분의 선단에 축방향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안쪽에 끼워진 식모간(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부분(2)내에는 치약주출기구(4)가 내설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부분(2)은 손잡이부 본체(5)와, 이 손잡이부 본체(5)에 접속되는 치약용기(6)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치약용기(6)의 입구부외주에 형성된 숫나사(6A)가 손잡이부본체(5)의 기부내주에 형성된 암나사(5A)에 나사맞춤함으로써 접속자재로 되어 있다.
상기 식모간(3)은 그 선단이 통상의 칫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면 4각형 구형상의 편평한 형태로 형성되며, 그 일면의 식모면(3a)에는 소요범위의 솔(7)이 심어져 있다.
상기 식모간(3)에는 그 기부(3B)에서 식모면(3A)에 걸쳐 내부에 구멍구조의 치약통로(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로(8)는 식모면(3A)에 직접 개구하거나 또는 심어져 있는 솔(7)의 식모구멍에 연통되고 액상의 치약이 솔(7)의 뿌리부분에 삼출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식모간(3)의 기부(3B)는 상기 손잡이부 본체(5)의 베어링부(9)의 내주면에 가급적 밀접하게 미끄러져 움지이기 자재로 끼워 맞추어지는 동시에, 이 베어링부(9)의 주위벽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구멍(10)에 식모간(3)의 기부(3B)의 외주면에 돌출설치된 손가락 조작돌출부(11)가 가급적 밀접하게 미끄러움직이기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고, 이 세로홈구멍(10)과 돌출부(11)의 끼워맞춤에 의해 식모간(3)의 회전방지 및 진동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 상기 식모간(3)의 기부(3B)에는 치약추출기구(4)의 작동관(12)이 끼워맞추어 고정되며, 이 작동관(12)은 상기 손잡이부 본체(5)의 베어링부(9)의 밑바닥부에 형성된 베어링구멍(13)에 가급적 밀접하게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서 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관(12)을 포함하는 주출기구(4)는 제2도 및 제3도에 그 일례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처럼 상기 손잡이부 본체(5)의 내주면에 상기 작동관(12)의 끝부분에 형성된 나팔모양으로 벌어진 밸브부(15)가 밀접해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안쪽으로 끼워지며, 이 작동관(12)의 내단과 상기 손잡이부 븐체(5)의 후단에 나사맞춤 등에 의해 결합된 밸브시이트(16)와의 사이에 이 작동관(12)을 포함하며 식모간(3)이 돌출하는 방향으로 되돌리기 위한 압축스프링(17)이 개장되어 있다.
상기 작동관(12)의 선단의 대경부분(12a)과 상기 밸브시이트(16)의 통공(18)의 선단에 형성된 대경부분(16A)에 각기 보올형상의 제1, 제2의 밸브체(19), (2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작동관(12)에 내장되는 제1의 밸브체(19)는 작동관(12)의 관로(12B)단을 개폐해서 치약통로(8)와의 사이를 개폐하는 것이며, 밸브시이트(16)에 내장되는 제2의 밸브체(20)는 밸브시이트(16)의 동공(18)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이들 밸브체(19), (20)를 포함하여 손잡부 본체(5)내에 기밀(氣密)의 흡입실(21)이 형성되어 있다.
치약용기(6)는 밑바닥이 없는 구조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그 선단의 숫나사(6A)가 밸브시이트(16)의 암나사(5A)에 나사맞춤함으로써 손잡이부 븐체(5)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접속에 의해 밸브시이트(16)의 통공(18)과 용기(6)의 입구부구멍(22)이 연통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6)의 저부는 이 용기(6)의 내주면에 밀접해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가능한 피스턴형상의 가동밑바닥체(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밑바닥체(23)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며 통형상부(23A)의 축방향선단 및 후단에 나팔모양으로 벌어진 선단이 엷은 상태로 되 미끄러져 움직이는 에너지(23B), (23C)를 가지며, 이들 미끄러져 움직이는 에너지가 용기(6)의 내주면에 밀착함으로써 이 용기(6)내에 충전되는 유액 또는 페이스트형태의 치약(24)이 누출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23A)의 선단에는 상기 용기(6)의 입구부내의 소경부(小徑部)(6B)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소경통부(2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밑바닥체(23)가 가장 상승했을 때에 용기(6)내에 잔류하는 치약의 잔량을 극력 적게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25)는 요기(6)의 후단개방부의 내주면에 끼워 붙여진 가동밑바닥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링이며, 또한 용기(6)의 외력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로서, 가동밑바닥체(23)의 미끄러져 움직이기 가장자리(23B), (23C)와 용기(6)의 내주면과의 밀접 상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도의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2)을 쥐고 식모간(3)의 조작돌출부(11)를 통해 내려누르거나 또는 식모간(3)의 선단을 무엇에 닿게하여 누름으로써, 식모간(3)은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손잡이부 븐체(5)의 베어링부(9)에 따라서 밀어 넣어지며, 이와 동시에 작동관(12)이 눌려서 손잡이부 븐체(5)내에 진입하고, 이때 밸브체(19)는 열리고 밸브체(20)는 닫힌다.
이어서 식모간(3)의 누름을 풀면 압축스프링(17)의 탄발작용에 의해 식모간(3)이 돌출복원하며, 작동관(12)도 되돌려져서 손잡이부 본체(5)내의 흡입실(21)내가 부압으로 되어, 밸브시이트(16)의 통공(18)을 통해 용기(6)내의 액상치약(24)이 손잡이부 본체(5)내의 흡입실(21)에 흡입된다.
이 흡입에 의해 용기(6)내의 용적이 감소하며, 이 감소에 따라서 가동밑바닥체(23)가 용기(6)의 내주면에 밀접한 상태로 전진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재차 식모간(3)이 내려누르기조작을 하면, 이번에는 작동관(12)의 진입에 의해 밸브체(19)가 열리고, 밸브체(20)가 닫혀 손잡이부 븐체(5)내에 흡입되어 있었던 치약이 작동관(12)의 관로(12B), 식모간(3)내의 치약통로(8)를 지나 밀려나오며 식모간(3)의 누름을 풀면 치약(24)의 주출이 정지되고, 재차 용기(6)내에서 치약(24)이 손잡이부 본체(5)내의 흡입실(21)내에 흡입된다. 이 흡입에 의해 용기(6)내의 가동밑바닥체(23)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치약(24)의 주출량에 상응하여 전진한다.
이 조작은 사용초기단계에 있어서 2-3회 행함으로써 치약(24)은 손잡이부 본체(5), 작동관(12)의 관로(12B), 치약통로(8)의 각 내부에 채워지며, 이후는 식모간(3)을 1회 누를 때마다 1회분의 치약(24)이 식모면(3A)에 삼출하여 이를 닦을 수 있다. 그리고, 개인차에 의해 1회의 삼출량으로는 불충분할 경우에는 2내지 그 이상의 누름조작을 하면 된다.
용기(6)내의 치약(24)을 전량 사용했을 때에는 요기(6)와 밸브시이트(16)와의 나사맞춤을 벗기고 새로운 용기(6)를 개봉해서 다시 나사맞춤접속함으로써 즉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사용계속중에 식모간(3)의 식모면(3A)에 개구하는 치약통로(8)의 구멍이 건조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솔(7)부분 전체를 제2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캡(26)을 덮어두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제1, 제2의 밸브체(19), (20)은 보올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똑같은 기능을 거두는 것이 라면 다른 구성의 밸브라도 좋다.
제4도는 븐원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관(12)의 밸브부(15)대신 이 작동관(12)과 밸브시이트(16)를 벨로우즈(27)로 접속하여 그 내부를 흡입실(21)로 하는 동시에 이 벨로우즈(27)의 외측에 압축스프링(17)을 개장하고, 또 용기(6)이 입구부의 소경부(6B)내에 유저(有底)구조의 벨로우즈(28)를 접속하여, 이 벨로우즈(28)의 저부를 가동밑바닥체(23)로 해서 그 내부에 미리 치약(24)을 충전해 두도록 한 것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2도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식모간(3)을 누르면, 압축스프링(17)과 함게 벨로우즈(27)가 압축되며, 이 때 밸브체(19)가 열리고 밸브체(20)가 닫힌다. 식모간(3)의 누르기를 풀면 압축스프링(17)의 탄발작용에 의해 식모간(3)이 되밀려 벨로우즈(27)가 신장한다. 이때 밸브체(19)가 닫히고 밸브체(20)가 열려 용기(6)내의 벨로우즈(28)내에서 치약(24)이 벨로우즈(27)내에 흡인된다.
상기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치약(24)을 적량씩 식모면(3A)에 삼출시킬 수 있다.
다시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는 밸브체(20)는 뒷쪽이 뾰족한 밸브시이트(116)의 밸브실(116A)내에 설치되며, 이 밸브실(116A)은 통공(118)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19)는 식모간(3)을 하향으로 해도 밸브가 열리지 않도록 약한 스프링부재(122)로 상시 폐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밸브시이트(116)의 선단부는 제7도에 종단측면을, 제8도에 단면을 나타낸 것처럼 앞쪽이 뾰족하게 되는 원추형의 돌기부(123)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123)의 첨단의주면에는 상기 통공(118)에 연통하는 노치(123A), (12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기부(123)는 밸브시이트(116)와는 다른 부재로 구성해도 좋으며, 또 그형상에 대해서도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약용기(106)는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밑바닥이 없는 구조이며, 입구부개구단은 박막(124)으로 봉지되고, 상술한 바와같이 그 선단의 암나사(106A)가 밸브시이트(116)의 슷나사(105A)에 나사맞춤됨으로써 상기 돌기부(123)에 의해서 박막(124)이 찢겨져서 손잡이부 본체(5)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접속에 의해 밸브시이트(116)의 통공(118)과 용기(106)의 내부가 연통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사용시에는 상기 암나사(106A)에 적절히 바깥캡이 나사맞춤된다.
용기(106)의 저부는 이 용기(106)의 내주면에 밀접해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가능한 피스턴형상의 가동밑바닥체(1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밑바닥체(125)는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연질의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며, 외주면 통형상부의 축방향 선단 및 후단에 나팔모양으로 벌어져 선단이 얇은 모양으로 된 미끄러져 움직이는 에지(125A), (125B)를 가지며, 이들 미끄러져 움직이는 에지(125A), (125B)가 용기(106)의 내주면에 밀착함으로써, 이 용기(106)내에 충전되는 또는 페이스트형태의 치약(126)이 새어나오지 않게 기밀성을 간직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동밑바닥체(125)의 통형상부분(125C)의 중앙에는 치약충전용관통공(125D)이 있으며, 용기(106)의 후단부에 가급적 밀접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누름부재(127)의 돌출부(127A)를 압압하여 봉지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누름부재(127)는 용기(106)의 의력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로서도 가능하며 가동밑바닥체(125)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에지(125A), (125B)와 용기(106)의 내주면과의 밀접상태가 손상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3실시에의 작용을 설명한다.
손잡이부 본체(5)에 치약용기(106)를 나사맞춤하여 접속하면, 그 나사진입도중에 돌기부(123)의 첨단이 박막(124)에 닿아 이것을 뚫고 나사진입완료에 의해 제5도의 상태로 결합되며, 용기의 내부와 밸브실(116A)은 관통공(118)을 통해 연통된다.
제5도의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부분(2)을 잡고 식모간(3)의 조작돌출부(11)를 통해 내려 누르면 식모간(3)은 제6도의 도시처럼 손잡이부 본체(5)의 베어링부(9)에 따라 밀어 넣어져, 이와동시에 작동관(12)이 눌려서 손잡이부 본체(5)내에 진입하며, 이때 밸브체(19)는 열리고 밸브체(20)는 닫힌다.
이어서 식모간(3)의 누름을 풀면, 압축스프링(17)의 탄발작용에 의해 식모간(3)이 돌출복원하며, 작동관(12)도 되돌려져서 손잡이부 본체(5)내의 흡입실(21)내가 부압으로 되고, 밸브시이트(116)의 통공(118)을 통해 용기(106)내의 액상치약(126)이 손잡이부 본체(5)내의 흡입실로 흡입된다.
이 흡입에 의해 용기(106)내의 용적이 감소하며, 그 감소에 따라서 가동밑바닥체(125)가 용기(106)의 내주면에 밀접된 상태로 전진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재차 식모간(3)의 내려 누르기조작을 하면, 이번에는 작동관(12)의 진입에 의해 밸브체(19)가 열리고 밸브체(20)가 닫혀서 손잡이부 본체(5)내에 흡입되어 있었던 치약이 작동관(12)의 관로(12b), 식모간(3)내의 치약통로(8)를 지나 밀려나오며, 식모간(3)의 누르기를 풀면 치약(126)의 주출이 중단되고, 다시 용기(106)내에서 치약(126)이 손잡이부 본체(5)내의 흡입실(21)내에 흡입된다. 이 흡입에 의해 용기(106)내의 가동밑바닥체(125)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치약(126)의 주출량에 상응하여 전진한다.
용기(106)내의 치약(126)을 전량 사용했을 때에는 용기(106)와 밸브시이트(116)와의 나사맞춤을 벗기고 새로운 용기(106)를 다시 나사맞춤 접속함으로써 즉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원 발명의 칫솔은 식목되어 있는 식모간 조작부로 하고, 이것을 손잡이부 본체에 대해 내려부르는 조작에 의해 용기내의 치약을 정량씩 식모면에 삼출시킬 수 있으므로,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를 닦을 수 있는 것은 물론, 1회의 조작에 의해 삼출하는 치약의 양이 정해져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수동에 의해 안배하는 따위의 번거로움이 없고 쓸데없이 다량의 치약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식모되어 있는 부분을 내려누르는 조작으로 치약을 주출하도록 한 것에 의해 종래에 없는 사용감이 얻어지며, 그 주출조작도 식모간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어서, 일상 사용하는 용구로서의 즐거움을 주며, 특히 양추질을 싫어하는 유아나 어린이에게 흥미를 갖게할 수 있으며, 양추질의 습관을 붙이는 데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치약용기는 간단히 붙이고 뗄 수 있으므로 칫솔의 주체부분은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고, 경제적이다.
또 식모간의 밀어넣기조작에 의해 치약을 주출시킬 때에 용기내의 치약수납용적이 감소함으로써 추종하므로 외기를 흡입하는 일이 전혀 없고, 완전밀폐 상태하에서 치약의 주출을 할 수 있으며, 위생상 매우 바람직하고 또한 제작에 있어서도 부품점수가 적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치약용기는 사용에 이르기까지 박막에 의해 내부가 밀봉되어 있으므로 변질할 염려가 없는 동시에, 손잡이부 본체에의 접속시에 치약을 흘리거나 하는 염려가 없고, 더구나 손잡이부 본체와 치약용기와의 나사맞춤접속에 의해 박막을 자동적으로 찢어, 손잡이부 본체내와 용기내를 연통상태로 할 수 있고, 번거롭지 않다는 등, 여러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단부 일면측의 식모면에 솔을 심은 식모간의 기부를 손잡이부 본체의 베어링부에 회전방지수단을 설치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부세에 항거하여 밀어넣기조작자재로 안쪽에 끼우고, 이 식모간의 기부에서 상기 식모면에 걸쳐서 치약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기부에는 치약주출기구를 설치하고, 이 주출기구는 상기 식모간의 기부에 연설된 작동관과, 이 작동관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로 및 상기 손잡이부 본체의 후단의 밸브시이트에 설치된 제1의 밸브체 및 제2의 밸브체와, 이들 밸브체간에 기밀하게 형성된 치약흡입실과, 상기 손잡이부 본체에 내부가 연통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용기내에 있으며, 충전되어 있는 치약의 주출에 따라 기밀하게 이동하는 가동밑바닥체로 구성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식모간을 부세에 항거해서 밀어내려 조작함으로써 상기 용기내의 액상치약을 상기 식모면에 적량삼출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선단부 일면측의 식모면에 솔을 심은 식모간의 기부를 손잡이부 본체의 베어링에 회전방지수단을 설치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부세에 항거하여 밀어넣기 조작자재로 안쪽에 끼우고, 이 식모간의 기부에서 상기 식모면에 걸쳐서 치약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기부에는 치약주출기구를 설치하며, 이 주출기구는 상기 식모간의 기부에 연설된 작동관과, 이 작동관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로 및 상기 손잡이부 본체의 후단의 밸브시이트에 설치된 제1의 밸브체 및 제2의 밸브체와, 이들 밸브체간에 기밀하게 형성된 치약흡입실과, 상기 손잡이부 본체에 내부가 연통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용기내에 있으며, 충전되어 있는 치약의 주출에 따라 기밀하게 이동하는 가동밑바닥체로 구성하며, 상기 치약용기의 입구부는 박막에 의해 기밀하게 봉지하는 동시에, 손잡이부 본체의 내단에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 본체에 치약용기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로 박막을 파단하여 이 용기내와 손잡이부 본체내의 치약흡입실이 연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식모간의 기부한쪽에 돌출설치한 조작용 돌출부와 상기 손잡이부 본체의 베어링부 주위벽의 축방향으로 형성한 세로홈구멍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돌출부를 이용하여 식모간을 내려누르기 조작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1 또는 2기재의 칫솔.
KR1019850000852A 1985-02-11 1985-02-11 칫솔 KR88000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0852A KR880000370B1 (ko) 1985-02-11 1985-02-11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0852A KR880000370B1 (ko) 1985-02-11 1985-02-11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237A KR860006237A (ko) 1986-09-09
KR880000370B1 true KR880000370B1 (ko) 1988-03-20

Family

ID=1923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852A KR880000370B1 (ko) 1985-02-11 1985-02-11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445B1 (ko) 1999-12-29 2002-07-02 박상업 디지털 날염용 잉크젯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237A (ko) 198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819A (en) Toothbrush
US4692047A (en) Brush for applying material in liquid or emulsion form
US6986620B2 (en) Fluid applicator instrument
US4244525A (en) Writing instrument with refillable scent dispenser
US20050147461A1 (en) Dispensing brush
US4049354A (en) Toothbrush with dentifrice attachment
GB2172796A (en) Toothbrush with integral toothpaste supply
US5769585A (en) Toothbrush with toothpaste
EP0193299B1 (en) Brush for applying material in liquid or emulsion form
US8066510B2 (en) Dental agent applicator
US1855572A (en) Toothbrush
KR880000370B1 (ko) 칫솔
US5462377A (en) Toothbrush
KR101434099B1 (ko) 치약 토출 칫솔
CN206548072U (zh) 滴管及具备该滴管的化妆品容器
WO2020015663A1 (zh) 一种便携式可连续操作的美妆笔
CH717304A2 (fr) Module de marquage pour un appareil destiné à l'application d'un produit colorant et appareil utilisant un tel module de marquage.
CA1221207A (en) Toothbrush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JPH0618950Y2 (ja) 塗布容器
JPH0434940Y2 (ko)
JP2003275306A (ja) 薬液供給器及び薬液カートリッジ
US20200253458A1 (en) Stemware cleaning device
JP2018027234A (ja) 化粧料塗布容器
JPS59194702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