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59Y1 - 젖소의 유방세척기 - Google Patents

젖소의 유방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59Y1
KR880000159Y1 KR2019850004731U KR850004731U KR880000159Y1 KR 880000159 Y1 KR880000159 Y1 KR 880000159Y1 KR 2019850004731 U KR2019850004731 U KR 2019850004731U KR 850004731 U KR850004731 U KR 850004731U KR 880000159 Y1 KR880000159 Y1 KR 880000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
supply pipe
valve
breast
t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2616U (ko
Inventor
최휘강
Original Assignee
최휘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휘강 filed Critical 최휘강
Priority to KR2019850004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159Y1/ko
Publication of KR860012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2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59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젖소의 유방세척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두컵 2 : 고무돌기물
3 : 유두삽입구 4 : 밀착고무돌기
5 : 밀착부 6 : 배수구
7 : 분사노즐 8 : 공급관
9 : 밸브 10 : 이음관
11 : 작동간
본 고안은 젖소의 착유작업직전에 행하여지는 젖소의 유방 세척과 유두 소독 및 자극작업에 사용되는 젖소의 유방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소로부터 젖을 짤때에는 착유기를 사용하기 직전에 먼저 세척, 소독을 하여야만 하고 또한 유두에 자극을 주어야만 생체인 젖소의 우유분비기능이 작용을 개시하는 생리 때문에 유두에 자극을 주어야만 하는 것이다.
이같은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유방을 세척할때 소독액을 담은 물통과 스폰지 헝겊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소독액에 적신 스폰지등으로 젖소의 유두부위를 세척하고 자극을 주어 왔었다.
그러나 이같은 스폰지로 문지르는 거친세척으로 유두 및 유두부근에 밀착된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흙가루나 오물 잔유물, 세균등을 세밀하게 세척 및 소독이 되지 못할뿐 아니라 물통의 소독액을 유두 하나만을 세척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유두를 거듭 사용하므로서 젖소에게 치명적인 유방염(유두의 끝에 있는 미세한 구부를 통하여 박테리아균이 유방내의 유선으로 침입하여 발병되는 젖소 제1의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병균을 유두에서 유두로(젖소의 유방은 유두별로 4개의 완전 독립된 비유조직임) 또는 젖소에서 젖소로 전파시키는 부작용을 낳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젖소밑에서 손으로 유방을 세척하여야 하기 때문에 더러워진 소독액이 작업자에게 튀게 되어 작업하기가 대단히 불편하고 힘이 들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더러워진 물통의 소독액을 자주 갈아야하므로 소독약과 온수의 낭비가 대단히 큰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용액탱크내의 소독용액을 젖소의 유두에 분사하므로써 젖소의 유두를 세척, 소독, 자극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간편히 기계화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주연에 고무돌기물(2)을 설치한 원통형의 유두컵(1) 상단에 중심으로 유두삽입구(3)와 의연으로 밀착고무돌기(4)를 형성한 밀착부(5)를 삽착하고 일측 하방에는 배수구(6)를 형성하며 저면의 중심에는 분사노즐(7)를 나삽한다.
분사노즐(7)에는 공급관(8)과 연결된 밸브(9)를 나삽고정하고 밸브(9)는 공급관 (8)의 이음관(10)을 지축으로 회동되는 작동간(11)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며 공급관(8)은 공급호우스(12)로 소독용액을 담은 용액탱크(13)의 공급파이프(14)와 연결한다.
용액탱크(13)는 일측상단에 연결구(15)를 형성하여 미도시된 콤프레셔와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용액탱크(13)에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손잡이이고, 17은 젖소의 유방이며 18은 유두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으로 사용하여 젖소의 유방을 세척할시는 먼저 미도시된 콤프레셔를 작동하여 연결부(15)를 통해 압축공기를 용액탱크(13)내로 공급하므로서 용액탱크(13)내에서 항상 강한 압력이 작용되게 한다.
그러므로 용액탱크(13)내의 소독용액(A)은 공급파이프(14)와 공급호우스(12 ) 를 거쳐 공급관(8)까지 차있는 상태가 되며 밸브(9)는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닫혀져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유두컵(1)의 상부 밀착부(5)를 유방(17)에 밀착하게 되면 유두(18)는 밀착부(5)의 삽입구(3)로 삽입됨과 동시에 압착고무돌기(4)가 유두가 매달려 있는 근지에 부착되면서 완전히 덮어씌우게 된다.
이같이 유두컵(1)을 젖소의 유방(17)에 부착하고 난후, 손잡이(16)를 잡고 작동간(11)을 눌러주면 밸브(9)는 열리게 됨과 동시 압축공기에 의해 공급관(8)까지 공급된 소독용액(A)이 노즐(7)을 통하여 유두컵(1)의 세척실내로 강하게 분사가 되는 것이며 분사되는 세척수는 유두컵(1)내의 고무돌기(2)들에 부딪혀 와류되면서 유두(18)를 세척하고 배수구(6)를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이때, 유두컵(1)내주연에 무수히 설치된 고무돌기(2)는 노즐(7)로 분사되는 세척수와 함께 사찬와류 작용하여 유두(18)에 맛사지 작용을 하면서 자연스런 자극을 야기시키게 되며 이 작용은 젖소의 우유비력을 가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작동간(11)을 놓게 되면 밸브(9)내의 미도시된 스프링의 힘에 의해 밸브(9)는 닫히면서 작동간(11)도 원위치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유두컵내에 분사된 세척수는 사용된 직후 배수구를 통해 즉시 배수되면서 유두컵안을 항상 비우게 되므로 한 유두에 대한 작업이 완료됨과 동시 다른 유두에 대한 작업으로 곧바로 이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두 하나하나에 대하여 항 상 깨끗하고 새로운 세척수로 세척하게 되고 유두컵속의 유두 하나에 집중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세밀하고 치밀하게 세척 및 소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축공기에 의한 강력한 분사력으로 유두컵속에는 대단히 와류작용이 발생하되므로 종래 방식에 비할 수 없을 만큼 유두에 자연스런 자극을 주게 되고 그 속도가 대단히 빨라서 착유준비 상태가 훨씬 양호하게될 뿐만 아니라 착유속도로 빨라지고, 완전 비유가 거의 이루어지게 되어 우유의 분비량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내주연에 고무돌기물(2)을 설치한 원통형의 유두컵(1) 상단에 중심으로 유두삽입구(3)와 외연으로 밀착 고무돌기(4)를 일체로 형성한 밀착부(5)를 삽착하고 하방의 일측면에는 배수구(6)를 형성하며 저면의 중심에 나삽된 분사노즐(7)에는 공급관(8)과 연결된 밸브(9)를 나삽고정하고 밸브(9)는 공급관(8)의 이음관(10)을 지축으로 회동되는 작동간(11)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며 공급관(8)은 공급호우스(12)로 콤프레셔와 연결된 용액탱크(13)의 공급파이프(14)에 연결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한 젖소의 유방세척기.
KR2019850004731U 1985-04-25 1985-04-25 젖소의 유방세척기 KR880000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731U KR880000159Y1 (ko) 1985-04-25 1985-04-25 젖소의 유방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731U KR880000159Y1 (ko) 1985-04-25 1985-04-25 젖소의 유방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616U KR860012616U (ko) 1986-11-05
KR880000159Y1 true KR880000159Y1 (ko) 1988-03-08

Family

ID=1924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731U KR880000159Y1 (ko) 1985-04-25 1985-04-25 젖소의 유방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1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616U (ko) 1986-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9875B2 (ja) 乳頭の洗滌法、同洗滌装置及び同洗滌装置用のカップ
KR100508842B1 (ko) 젖소 젖꼭지를 세척, 소독, 건조, 및 자극시키기 위한자동 장치
US2405154A (en) Dairyman's glove
US20020185071A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teat of a dairy animal
US20090165724A1 (en) Teat Cup and Method for Bringing a Fluid into Contact with the Teat of an Animal
JP4565210B2 (ja) 円筒型乳頭清拭装置
CN109496867A (zh) 一种双筒式奶牛乳浴消毒清洁器及其使用方法
JP2707216B2 (ja) 牛の乳頭洗浄乾燥器
KR880000159Y1 (ko) 젖소의 유방세척기
US20030200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sing skin
EP3424308B1 (en) Teat dip application system
KR970000580Y1 (ko) 젖소의 유방세척기 헤드
CN207854726U (zh) 一种奶牛乳房清洗装置
CN206079538U (zh) 一种带刷淋浴头
KR102015043B1 (ko) 유두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젖소의 유두 자동 세척장치
KR102413675B1 (ko) 가축용 유방세척기
JPS5935086Y2 (ja) 乳牛用の乳頭洗浄機
SU1831274A3 (en) Device to prepare cow's udder for milking
KR900004533Y1 (ko) 축산용 이동식 세척기
CN215023536U (zh) 一种伤口冲洗装置
KR890001733Y1 (ko) 수압을 이용한 부러쉬 회전샤워 방식의 낙농유방 세척장치
CN213373676U (zh) 一种眼科护理用清洗器
CN217960407U (zh) 一种奶牛乳头消毒装置
JPH056869Y2 (ko)
KR200279644Y1 (ko) 진동기능이 부가된 국부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