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52B1 -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52B1
KR880000052B1 KR1019870000369A KR870000369A KR880000052B1 KR 880000052 B1 KR880000052 B1 KR 880000052B1 KR 1019870000369 A KR1019870000369 A KR 1019870000369A KR 870000369 A KR870000369 A KR 870000369A KR 880000052 B1 KR880000052 B1 KR 88000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p
heat exchanger
condensed
corro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꾸오 고우다까
Original Assignee
바브코크 히다찌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다 기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110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89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1023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59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309494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6985U/ja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크 히다찌 가부시기 가이샤, 후꾸다 기쇼 filed Critical 바브코크 히다찌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0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제1도는 분리형 열파이프 장치의 구조도, 제2도는 제1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연소장소에 부속되는 탈황장치의 배기가스중의 안개에 의한 사고 및 백연방지 수단으로 사용되는 장치의구조도, 제4도는 증발파이프군과 응축파이프군의 루프를 복수조 설치한 경우의 장치의 배치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덕트 G1: 고온배기가스
G2: 저온가스 18 : 증발파이프군
19 : 응축파이프군 20 : 연소장치
22 : 탈황장치
본 발명은 분리형 열파이프 장치를 사용하여 저온가스, 예를들어 연소장치의 배기가스를 탈황한 후에 배기가스를 승온시켜 백연을 방지함과 더불어 전열관의부식을 방지한 열교환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분리형 열파이프의 구조를 표시한 것이며, 부호 5는 가열유체(가스등)가 흐르는 덕트(1)내에 배치된 증발파이프군이고, 전달된 열은 매체의 증기에 의하여 그 상부헤더(6)로 부터 관로(7)에 의해 수열하는 유체(가스등)가 흐르는 덕트(2)내에 위치하는 응축파이프군(9)의 상부헤더(8)에 운반된다.
이 증기는 응축되어 하부헤더(10)로 부터 관로(11)에 의하여 증발파이프군의 하부헤더(4)로 유입한다. 하부헤더(10)는 하부헤더(4)보다도 레벨위치가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증발과 응축은 매체의 자연순환에 의하여 행해지게 된다.
관로(7)에는 안전밸브(17) 및 비응축성 가스 제거밸브(16)가 설치된다.
제2도는 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에 가열하여야 할 배기가스(G2)가 탈황장치를 경유한 배기가스인 경우에는 증발파이프군(5a)은 덕트(1)내에서 고온의 배기가스(G1)의 흐름에 대해서는 최하류에 위치하므로 관내의 매체의 온도는 최저로되고 이에 대응하여 응축파이프군(9a)의 온도 역시 낮아지고, 황산안개가 잔류하는 배기가스가 여기에 흐르게 되면 관의 표면에 응축되어 관을 부식하게 된다.
여기서 더하여 응축파이프군(9a)의 관을 핀부착관으로 하면 핀과 핀 사이에 먼지가 차게되고, 전열도 불량할 뿐 아니라 여기에 상기 안개의 응축에 의한 관의 급속한 부식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내식성이 높은 열교환장치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컨데, 이 발명은 분리형 열파이프 장치에 있어서, 증발 파이프군을 고온가스의 흐름에 대하여 다른 증발파이프군의 상류에 설치하고, 이 증발파이프군과 접속하는 응축파이프군을 내식성의 재료로된 민파이프로 형성하고, 또한 저온 가스흐름에 대하여 다른 응축파이프군의 상류에 설치한 부식방지형 열교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보일러등의 연소장치(20)의 배기가스는 집진장치(21)등의 장치를 경유하여, 고온배기가스(G1)로 되어 복수의 증발 파이프군이 위치하는 덕트(1)내로 유입하고, 열교환후 탈황장치(22)로 유입하고 냉각탑(22a)에서 물산포에 의하여 냉각되고 흡수탑(22b)에서CaCo3등을 표함하는 액을 산포하여 세정되고, 데미스터 엘레멘트(22c)를 경유하여 저온가스(G2)로 되어 응축파이프군이 위치하는 덕트(2)내를 흘러서 승온되어 연돌(23)로 부터 배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응축관(9a)의 온도 및 저온가스(G2)의 온도가 낮으면 수증기를 함유하여 백연으로 되어 연들(23)로부터 배출됨으로써 공해에 관련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한 상황이 된다.
제3도에 있어서, 증발파이프군(5a)은 고온배기가스(G1)에 대해서는 최저온의 곳에 위치하고, 응축파이프군(9a)은 저온가스(G2)에 대하여 최저온의 곳에 위치하므로, 산성 안개의 부착 및 핀과 핀 사이에 CaSO4, CaCo3등의 입자로 된 먼지가 쌓임으로써 응축파이프군(9a)을 형성하는 관의 부식을 급속하게 진행시키게 된다. 나머지 응축파이프군(9b,9c)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응축파이프군(9a,9b,9c)를 모두 표면이 원활한 민파이프로 하면 전열면적의 점에서는 파이프 본수가 4~5배 더 필요하게 된다.
제3도는 소위 대향흐름과, 병렬흐름 조합형을 나타낸 것이며, 증발파이프군(5a,5b,5c)의 배기가스(G1)흐름에 대하여 최상류에 이들의 조합과 상이하도록 증발파이프군(18)을 위치시켜서 고온으 매체증기(예를 들어 124℃,2.3㎏/㎠)를 발생시키고, 이 매체증기를 저온가스(G2)의 흐름에 대하여 최상류에 위치시킨 응축파이프군(19)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이 응축파이프군(19)의 전열관은 안개의 응축이 생기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 전열관을 내식성(예를 들어 SUS 스테인레스등)의 재료에 의해 제조하고, 동시에 그 표면이 평활한 소위 민파이프로 하게되면 안개부착을 방지하고 부식방지상에 있어서 각별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안개증발을 위한 루프는 제4도와 같으며 복수로 하여도 좋고, 또한 고온측 입구온도가 높아 안개 증발루프의 온도가 너무 높아서, 안개중의 염소 등에 의한 응력부식등이 고려되어야 할 때에는 안개증발 루프의 고온 유체측 관군의 응축파이프군(9a,9c)의 루프등으로 배치위치 선정을 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온도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수단은 잠열열수송 뿐만 아니라, 현열 열수송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한 안개증발을 위한 고온파이프군을 설치함으로써 안개에 의한 부식과 먼지 부착범위을 좁은 범위로 한정할수 있음과 동시에 민파이프로 함으로써 부착먼지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장치의 연속운전이 가능하고, 정비점검의 시간도 절약되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분리형 열파이프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증발 파이프군을 고온 가스 흐름에 대하여 다른 하나 이상의 증발파이프군의 상류에 설치하고, 이 증발파이프군에 접속하는 하나의응축파이프군을 저온가스 흐름에 대하여 하나이상의 다른 응축파이프군의 상류에 설피하는 것이 특징인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저온가스 흐름에 대하여 다른 응축파이프군의 상류에 설치하는 하나의 응축파이프군이 민파이프군으로 형성되고 여타 응축파이프 및 증발파이프는 핀 부착식으로 하는 것이 특징인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민파이프가 내식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부식방지형 열교환 장치.
KR1019870000369A 1983-06-21 1987-01-19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KR88000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0369A KR880000052B1 (ko) 1983-06-21 1987-01-19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10235A JPS602891A (ja) 1983-06-21 1983-06-21 腐食防止型熱交換装置
JP58110233A JPH0665955B2 (ja) 1983-06-21 1983-06-21 熱交換装置
JP58-110235 1983-06-21
JP58-110233 1983-06-21
JP1983094949U JPS606985U (ja) 1983-06-22 1983-06-22 強制循環型熱交換装置
JPU58-94949 1983-06-22
KR1019870000369A KR880000052B1 (ko) 1983-06-21 1987-01-19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741A Division KR850000360A (ko) 1983-06-29 1984-06-29 석묵삽입알칼리 금속기체 소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052B1 true KR880000052B1 (ko) 1988-02-20

Family

ID=2752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369A KR880000052B1 (ko) 1983-06-21 1987-01-19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05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938A (en) Method for exchanging heat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1690108A (en) Heat exchanger
US4616697A (en) Heat exchanger
CN105692750B (zh) 一种利用电站余热的多效蒸馏海水淡化系统
EP0150694A1 (en) Heat recovery device
US5217065A (en) Feeder tube and an apparatus for enabling heat transfer between a first fluid and an elongate element
EP3633272B1 (en) Method for recovering heat from flue gas of boiler, and arrangement
GB1263254A (en) Improvements in tube and shell heat exchangers
US4072183A (en) Heat exchanger with intermedi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fluid
CN107490014A (zh) 一种回热式换热器燃煤机组烟气降温取水系统
US4226089A (en) Waste heat recovery device
GB1171072A (en) Evaporation Apparatus.
KR880000052B1 (ko) 부식방지형 열교환장치
KR940009070B1 (ko) 응축 보일러
CN1039297A (zh) 空气调节方法及设备
GB2137330A (en) In-tube condensation process
KR100288398B1 (ko) 폐열 회수장치
JP3868093B2 (ja) 排煙脱硫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3045289B2 (ja) 排気ガス廃熱回収用熱交換器
CN108392974B (zh) 一种减少火电厂白烟羽水汽排放量的系统
EP0270800B1 (en) Heat exchanger
RU2130152C1 (ru) Воздухоподогреватель
SU1275183A2 (ru) Котельна установка
KR890003109B1 (ko) 열 교환기
JP2007101094A (ja) 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