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45Y1 -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45Y1
KR880000045Y1 KR2019850009525U KR850009525U KR880000045Y1 KR 880000045 Y1 KR880000045 Y1 KR 880000045Y1 KR 2019850009525 U KR2019850009525 U KR 2019850009525U KR 850009525 U KR850009525 U KR 850009525U KR 880000045 Y1 KR880000045 Y1 KR 880000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jector
housing
locking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969U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9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045Y1/ko
Publication of KR870002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 록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의 (a)(b)(c)(d)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제3도의 (a)(b)는 이젝트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록킹부 7 : 고리
8 : 브라켓트의 고리 9 : 인장스프링
10 : 제어편 12 : 밧테리록커
14 : 축핀
본 고안은 밧테리 충전기에 록킹장치를 설치하여, 밧테리 충전시 밧테리의 유통이나 분비됨을 방지하며, 또한 밧테리의 자체를 누르는 동작으로만 간단하게 고정 또는 분리시키고자 고안한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밧테리 충전기의 하우징내에 이젝터 장치만 축착되어있고 록킹장치는 설치되어 있지않아 밧테리 충전시 밧테리 충전기를 밧테리 삽입구축으로 경사지게 기울이거나 심한 유동이 있을시 밧테리가 하우징내에서 빠져나와 완전히 충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즉, 제3도의 (a)(b)에 도시한 바와같이 Y 자형 안내홈(19)과 스프링 삽입홈 (30)이 형성된 이젝터(3)를, ㄷ자형안내핀(20)과 앞축스프링(16)으로 각각 연동 설치하여 탄력되게 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기위해 ㄷ자형안내핀(20)의 일단과 스프링( 16)을 내부 하단에 형성된 고종공(31)과 상향 돌출된 돌출핀(32)에 각각 고종시킨 이젝터 케이싱(4)을 밧테리 하우징(2)의 하단에 고정 설치한 것으로, 밧테리 하우징(2)에 밧테리(6)를 삽입시키게 되면 밧테리(6)의 저면이 이젝터(3)의 머리부(11)를 하방으로 밀며, 이때 이젝터(3)는 스프링(16)의 탄력에도 불구하고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젝터(3)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된(20)의 자유단은 이젝터(3)의 Y 자형 안내홈 (19)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연결핀(20)의 자유단은 단지 좌우 회동만 할뿐 상하운동은 하지 못하므로, 이젝터(3)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핀(20)의 자유단은 제3도의 (b)의 화살표와 같이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면서 안내홈(19)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이때 밧테리(6)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시켜서 연결핀(20)이 V자형 돌기(21)에 머물도록 한다. 이때, 이젝터 (3)가 하방으로 움직였다가 상방으로 올라갈때 연결핀(20)에 걸리게 되므로 이젝터 (3)가 상방으로 움직이려는 동작에 의해 약간의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즉, 연결핀(20)이 V 자형돌기(21)에 걸리게 될때 연결핀(20)은 우측으로 일단 움직였다가 V 자형 돌기(21)의 중앙부에 위치될때까지의 거리차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밧테리 충전이 끝나면 밧데리(6)를 빼내야 되므로 밧테리(6)를 다시 누르게 되면, 제3도의 (a)와 같이 이젝터(3)가 하방으로 약간 움직이면서 연결핀(20)이 V 자형돌기(21)에서 벗어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좌측 안내홈(19)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젝터(3)에 탄지된 압축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 이젝터(3)가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연결핀(20)은 안내홈(19)의 좌측을 따라 안내홈(19)의 하방에 위치되면서 이젝터(3)가 외측방으로 이탈하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이젝터(3)의 상하움직임에 따라 밧테리(6)를 밧테리 하우징(2)내에 삽입 또는 분리시켰을 뿐으로, 밧테리 충전시 밧테리(6)를 고정시켜주는 장치가 없어 밧테리 하우징(2)의 입구측으로 부주의에 의해 밧테리 충전기(A)를 기울이거나 심한 유동이 있을시 밧테리(6)가 하우징(2)내에서 빠져 나와 충전을 하지 못하거나, 심한 유동시 밧테리(6)와의 접점이 떨어졌다 붙었다 하여 계속적인 충전을 하지 못해 완전한 충전을 기대하기 어려웠던 실정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측벽에 누름버턴식 또는 슬라이딩식 록킹장치를 설치하여 밧테리(6)에 형성된 걸림홈을 고정시켜 주었던 것이다. 이는 밧테리 삽입시 밧테리 고정을 위해 누름버턴 또는 슬라이딩 록킹장치로 밧테리 삽입동작과 록킹동작을 2중으로 행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뒤따라 별로 실용성이 없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밧데리 하우징의 일측에 록킹장치를 설치하며, 그 록킹장치의 하단에 형성된 제어편을 이젝터의 머리부와 이젝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도고 함으로서, 이젝터 자체의 기능을 이용하여 밧데리의 누르는 동작으로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밧데리의 착탈을 단순화시켜 사용자의 편리함과 완전한 충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젝터(3)가 부설된 이젝터게이징(4)을 내설한 밧데리 충전기(A)의 밧테리 하우징(2) 일측에 밧테리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형성된 하우징의 측벽구멍 (17) 관통 삽입용 록킹부(5) 측면에 고리(7)를 형성하여, 이를 브라켓트(1)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8)와 인징스프링(9)으로서 탄동 설치하며, 하단에 제어편(10)을 형성시켜 하우 형성시켜 하우징의 하측에 형성된 또 다른 측벽구명을 통해 이젝터(3)의 머리부(11) 하측에 위치시킨 밧테리 록커(12)가, 중앙부위의 축공(13)을 브라켓트(1)의 일측에 돌출된 축핀(14)에 힌지 결합 설치한뒤, E링(15)으로 이탈방지토록 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16은 압축스프링, 18은 밧테리의 걸림홈, 19는 이젝의 안내홈, 20은 연결핀, 21은 V자형 돌기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제1도의 (a)에 나타난 바와같이 밧테리 록커(12)의 상단 록킹부(5)와 이젝터(3)는 각각 인장스프링(9) 및 압축스프링(16)에 의해 케이싱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후퇴 및 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밧테리(6)를 충전하고자 할때 제2도의 (b)와 같이, 밧테리(6)를 밧테리 하우징(2)내에 삽입시키게 되면, 밧테리(6)의 저면이 이젝터(3)의 머리부(11)를 하방으로 밀게되므로, 이젝터(3)의 하방움직임에 의해 제어편(10)도 측핀(14)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를 더욱 누르게 되면, 제2도의 (c)와 같이 제어편(10)의 회동운동에 의해, 제어편(10)을 형성시킨 밧테리 록커(12)가 회동하게 되므로, 그 상단에 형성된 록킹부(5)가 밧테리 하우징(2)의 측벽구멍(17)을 통해 내측으로 돌출 되면서 밧테리(6)에 형성된 걸림홈(18)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는 이젝터(3)가 최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이므로 제2도의 (d)와 같이 밧테리(6)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게되면, 이젝터(3)는 압축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 상방으로 움직이면서, 이젝터(3)의 안내홈(19)에 설치된 연결핀(20)에 의해 정지시켜 주게 된다.
즉, 제3도의 (b)와 같이 연결핀(20)의 자유단이 안내홈(19)의 최상단에 위치되어 있다가, V자형돌기(21)에 걸릴때 까지의 거리차가 생기게 되면서, V 자형 돌기(21)에 연결핀(20)의 자유단이 걸리게 된다.
이때, 이젝터(3)는 압축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밧테리 (6)을 밀어올리면서 연결핀(20)에 의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밧테리(6)의 걸림홈 (18)이 록킹부(5)에 걸려 고정이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동작은 순간적으로 행하여지게된다.
물론 이때에는 , 인장스프링(9)에 의해 록킹부(5)가 뒤로 후퇴하기전에 이젝터 (3)가 먼저 움직이면서 밧테리(6)를 고정시켜주는 것이고, 밧테리 록커(12)가 밧테리 (6)에 고정이 된후 제어편(10)과 이젝터(3)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2도의 (d) 상태). 그리고, 일정시간 충전후 밧테리(6)를 분리시키고 자할 경우에는 제2도의 (e)와 같은 상태에서 밧테리(6)를 다시 누르게 되면 밧테리(6)의 저면이 이젝터(3)의 머리부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 이젝터(3)의 머리부가 제어편(10)에 닿기전에 밧테리 록커(12)의 록킹부(5)가 밧테리(6)의 걸림홈(18)에서 먼저 벗어나게 되어 축핀(14)을 중심으로 약간 회동하게 된다.
그러나, 밧테리 록커(12)의 회동에 의해 제어편(10)이 하방으로 움직이는 이젝터(3)와 접촉하기 때문에 록킹부(5)가 밧테리(6)의 걸림홈(18)에서 완전히 이탈한 것이 아니고 그 위치에서 약간 이동된 것 뿐이다.(도면 제2도의 (c)상태).
따라서, 밧테리(6)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게되면 밧테리(6)는 이젝터(3)에 의해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에는 밧테리 록커 인장스프링(9)의 탄력에 의해 회동하기 때문에 밧테리 록커(12)의 록킹부(5)가 먼저 밧테리(6)의 걸림홈(18)에서 벗어나 밧테리(6)는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역시 순간적으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이젝터(3)는 연결핀(20)에 의해 임의의 위치만큼 올라가게되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밧테리(6)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이되기 때문에 밧테리(6)를 간편히 잡고 빼내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밧테리의 삽입 또는 분리시 누르는 동작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을 행할수 있으며 그로인한 밧테리의 확실한 고정도 행할수 있어 밧테리의 충전을 소기의 목적대로 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성이 높은 것이다.

Claims (1)

  1. 상측에 머리부(11)가 형성된 이젝터(3)를 케이싱(4)으로서 내부하측에 설치한 밧테리 충전기(A)의 하우징(2)일측에, 밧테리 측면의 록킹홈 홀딩용 록킹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하우징의 측벽구멍(17) 관통 및 록킹홈 결합용 록킹부(5)와, 하단에 측벽의 또 다른 구멍을 통해 하우징내의 이젝터 머리부(11) 하방에 위치하는 제어편(10)을 구비한 밧테리 록커(12)가 , 중앙부위를 브라켓트상의 축핀(14)과 힌지 결합됨과 동시, 상단 외측의 고리(7)에는 인장스프링(9)이 탄동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KR2019850009525U 1985-07-25 1985-07-25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KR880000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525U KR880000045Y1 (ko) 1985-07-25 1985-07-25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525U KR880000045Y1 (ko) 1985-07-25 1985-07-25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969U KR870002969U (ko) 1987-03-19
KR880000045Y1 true KR880000045Y1 (ko) 1988-03-08

Family

ID=1924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525U KR880000045Y1 (ko) 1985-07-25 1985-07-25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0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33A (ko) * 2001-08-20 2003-02-26 임회규 수중 공기 저장용기 어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33A (ko) * 2001-08-20 2003-02-26 임회규 수중 공기 저장용기 어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969U (ko) 198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0620A (en) Buckle device with switch for detecting tongue lock
KR880000045Y1 (ko) 충전기의 밧테리 록킹장치
US5141123A (en) Electric-power lid arrangement for an electric apparatus
JP2668463B2 (ja) バツテリパツク保持装置
CN213155652U (zh) 一种便于电池拆装的清洁设备
KR200162180Y1 (ko) 콘센트 안전덮개
KR930007441Y1 (ko) Dat카세트의 리드개방보조장치
KR910000315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카세트 자동인출장치
KR0110439Y1 (ko) 밧데리 착탈장치
KR20018167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29723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와 배터리팩 결합장치
KR930002772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밸트클립 고정장치
JPS605891Y2 (ja) 電気かみそり
CN219833800U (zh) 加锁固定内置件及可换头充电器结构
KR950008624Y1 (ko) 카세트 플레이어의 충전 케이스 착탈장치
CN217562439U (zh) 一种开关安装结构
CN214498653U (zh) 一种门锁反锁开关的解除结构
KR930008001Y1 (ko) 무선전화기의 밧데리팩 충전고정장치
KR910003268Y1 (ko) Vtr 카세트 하우징 로킹장치
JPH08138641A (ja) 着脱式電源システム
JPH05314958A (ja) 電子機器の電源着脱装置
KR930001413Y1 (ko) Vcr의 카세트 테이프 가변리일장치
KR940005365Y1 (ko) 전자레인지의 이젝트 버튼 설치구조
KR960010722Y1 (ko)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