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990Y1 - 직각바이스 - Google Patents

직각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990Y1
KR870003990Y1 KR2019850003040U KR850003040U KR870003990Y1 KR 870003990 Y1 KR870003990 Y1 KR 870003990Y1 KR 2019850003040 U KR2019850003040 U KR 2019850003040U KR 850003040 U KR850003040 U KR 850003040U KR 870003990 Y1 KR870003990 Y1 KR 870003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vise
wrench bolt
movab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627U (ko
Inventor
이재만
Original Assignee
이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만 filed Critical 이재만
Priority to KR2019850003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990Y1/ko
Publication of KR860011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6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1/103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one screw perpendicular to the jaw faces, e.g. a differential or telescopic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25B1/2431Construction of the jaws the whole jaw being pivotable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actioning direction of the vice
    • B25B1/2436Construction of the jaws the whole jaw being pivotable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actioning direction of the vice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각바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직각바이스의 이동대를 이송나사측으로 가공물에 근접되게 이송시킨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직각바이스의 이동편으로 가공물을 미세고정하는 상태를 단면으로 표현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대 1a : 안내홈
n : 나사부 1b, 5b : 렌치보울트수납공
5 : 이동편 5a : 안내턱
6 : 렌치보울트 7 : 고정핀
본 고안은 바이스의 상면에 가공물을 고정시켜 작업하는데 이용되는 직각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가공물을 바이스의 상면에 재치하여 고정시킬때 가공물의 저면이 바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동일한 크기의 가공물을 연속으로 가공할 때 신속하게 가공물을 교체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하며 그 가공정밀도와 작업의 신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바이스는 이동대를 이송시켜서 가공물을 고정할 때 바이스몸체와 이동대 사이의 형성된 틈새로 말미암아 수평상으로만 조여지는 고정력에 의해 바이스의 상면에 재치된 가공물이 상향(上向)하려는 현상이 발생하여 가공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연삭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이송나사측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대의 앞쪽에 경사진 안내홈을 형성하여 이에 협지판을 부착시킨 이동편을 렌치보울트와 고정핀을 경사지게 상, 하로 작동시켜서 가공물을 밑판에 직각으로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협지판(2)쪽으로 이동대(1)에 부착시킨 이동협지판(3)을 이송나사측(4)에 의하여 이송되게한 바이스에 있어서, 이동대(1)의 앞면에 경사진 안내홈(1a)과 그 중앙에 나사부(n)를 형성한 반원형 렌치보울트 수납공(1b)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되게 경사진 안내턱(5a)과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은 반원형 렌치보울트 수납공(5b)을 형성하며, 이와 직각방향으로 중앙에 고정핀구멍(5c)을 형성하여서된 이동편(5)을 이동대 (1)의 앞면에 끼워 조립한 다음 렌치보울트수납공(1b), (5b)에 끼음부(6')가 형성된 텐치보울트(6)를 체결하고, 일측에 걸림부(7')를 형성한 고정핀(7)을 이동편(5)의 고정핀구멍(5c)에 끼워넣어 걸림부(7')가 렌치보울트(6)의 끼음부(6')에 걸려지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는 렌치보울트조임구멍, 8은 이송나사측의 손잡이, 9는 이동대 부착판, 10, 10'는 이동대에 이동대 부착판(9)을 체결하는 렌치보울트, 11은 렌치보울트 조립구멍, 12, 12'는 이동편(5)에 이동협지판(3)를 부착하는 렌치보울트, O는 가공물, t는 이동대(1)를 슬라이딩시키기위하여 형성시킨 바이스 몸체와의 미소한 틈새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대(1)의 경사진 안내홈(1a)에 이동편(5)의 경사진 안내턱(5a)을 끼워 조립한다음 텐치보울트수납공(1b)(5b)에 렌치보울트(6)를 체결하면 나사부(n)가 형성된 안내홈(1a)을 따라 렌치보울트(6)에 걸려진 고정핀(7)이 설치된 이동편(5)이 하강하면서 가공물(O)을 바이스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제2도는 이송나사측(4)을 회전시켜서 이동대(1)를 수평으로 이송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3도는 렌치보울트(6)를 조여서 이동편(5)으로 가공물(O)의 저면이 바이스의 상면에서 이격됨이 없이 직각으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바이스는 가공물을 수평상으로만 이동하는 이동대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어서 이동대를 바이스몸체로부터 슬라이딩이 되도록 형성시킨 미소한 틈새로 인해 가공물의 저면이 바이스의 상편으로 부터 이격되므로 바이스의 상면과 가공물이 직각을 이루지못한 상태에서 표면을 연삭하게되어 정밀한 연삭표면을 얻을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은 이동편(5)에 의해 가공물을 경사지게 위에서 아래로 내리누르면서 고정시킴으로서 종래와는 달리 정밀한 연삭표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동일한 크기의 가공물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때 제2, 3도의 도시에서와같이 이송나사측(4)을 회전시켜 가공물(O)이 이격되지 않도록 이동대(1)를 근접시킨 다음 렌치보울트조임구멍 (6˝)으로 렌치보울트(6)를 조여서 이동편(5)으로 가공물(O)을 미세고정시켜줌으로서 연삭을 마친 가공물(O)을 교체할때 큰힘을 들어 이송나사측(4)을 회전시켜서 이동대 (1)를 이송시키지않고 적은힘으로 간편하게 렌치로 렌치보울트(6)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서 신속히 가공물(O)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가공물(O)을 두개의 협지판(2)(3)사이에서 수평으로 밀어주면서 동시에 하방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작업중 가공물(O)에 진동이나 가공압력이 가해지드라도 가공물(O)을 항상 일정하게 협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앞면에 경사진 안내홈(1a)과 나사부(n)가 형성된 반원형렌치보울트 수납공( 1b)을 형성시킨 이동대(1)와, 경사진 안내턱(5a) 및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은 반원형렌치보울트수납공(5b) 및 이에 직각방향으로 중앙에 고정핀구멍(5c)을 형성시킨 이동편 (5)을 끼음부(6')가 형성된 걸치보울트(6)와 걸림부(7')가 형성된 조정핀(7)으로 조립하여서 된 직각바이스.
KR2019850003040U 1985-03-25 1985-03-25 직각바이스 KR870003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040U KR870003990Y1 (ko) 1985-03-25 1985-03-25 직각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040U KR870003990Y1 (ko) 1985-03-25 1985-03-25 직각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627U KR860011627U (ko) 1986-10-04
KR870003990Y1 true KR870003990Y1 (ko) 1987-12-15

Family

ID=1924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040U KR870003990Y1 (ko) 1985-03-25 1985-03-25 직각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9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627U (ko) 198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2585C (en) A woodworker's vise
US4002328A (en) Vise
US6065744A (en) Work holder precisely adjustable jaws
US3397880A (en) Vise clamp
US5149071A (en) Double-jaw vice for holding workpieces
US4923186A (en) Quick lock in parallel and angle plate system for machining vise
US4049253A (en) Toe clamp
US4391558A (en) Drill jig
US4772000A (en) Clamping device
US4198038A (en) Device for clamping a workpiece to a supporting surface
US5037075A (en) Quick lock in parallel and angle plate system for machining vise
US5275391A (en) Bench hold-down
US4243213A (en) Adjustable precision grinding and machinist vise
US4377959A (en) Mitre box with corner clamps
KR870003990Y1 (ko) 직각바이스
CN218311320U (zh) 一种具备适配性夹持机构的波峰焊治具
JPS59196166A (ja) モジユラ−工具用多目的締付装置
GB819506A (en) Clamping and holding device
US4953840A (en) Vice jig
US3738206A (en) Quick release tool post
RU2018429C1 (ru) Прихват
US5031887A (en) Locking system for precision vise
US4489928A (en) Vise having adjustable features
US3131927A (en) Parallel clamp
US7134652B2 (en) Tail v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