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862Y1 -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 Google Patents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862Y1
KR870003862Y1 KR2019850001931U KR850001931U KR870003862Y1 KR 870003862 Y1 KR870003862 Y1 KR 870003862Y1 KR 2019850001931 U KR2019850001931 U KR 2019850001931U KR 850001931 U KR850001931 U KR 850001931U KR 870003862 Y1 KR870003862 Y1 KR 870003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ing
hole
plat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878U (ko
Inventor
양영근
Original Assignee
양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근 filed Critical 양영근
Priority to KR2019850001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862Y1/ko
Publication of KR860010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8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제1도는 회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점등 작용 접점 2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 2 : 반사판
3 : 점등쌍코드 4 : 점등연결쇠코드
7,7' : 점등 접점축 13,13',13″ : 고정대
14 : 사각구멍 15,15',15″ : 걸림턱
18,18' : 부분날 19 : 부착판
20,20' : 삽착홈 21 : 소켓트 구멍
22'22' : 외곽테개입구 36,36' : 결합홈
본 고안은 백열등과 형광등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광등 기구는 단일 전등으로써 일반 가정에서 평상시에 전등으로 사용하기엔 가장 적합하나 취면 시간에는 별도의 조명 전등을 이용하여야 하며, 형광등 기구는 상집커버와 반사판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기구로서 커버와 반사판의 접합된 부분이 보다 안전하고 완벽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틈이 생겨 불안전하였으며,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취면 시간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흔히 조명기구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있으나 이 또한 형광등 스위치 및 백열등 스위치를 켜고, 끄고 하여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결점을 보완키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버와 반사판을 안정성있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커버에 부분날을, 반사판에는 외곽테 개입구를 형성하였으며, 또한 전구와 형광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형광등의 반사판에 전구소켓을 장착하여 점등작용 접점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형광등 및 전구를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1)의 상부에 사각구멍(10)을 천공하여 여기에형의 점등쌍코드(3)를 끼워 볼트(37)(37')로 고정하고 내부 상단부점선(11)에는 안정기(5)를 착설하고 커버(1)의 고정대(13)에는 사각구멍(14)을 천공하여서 점등 연결쇠 코드(4)를 끼운 후볼트(38)(38')(38″)로 고정시키며, 또한 커버(1)의 고정대(13)(13')(13'')하단을 구부려 걸림턱(15)(15')( 15 '')을 형성시킨다.
이와같이 고정대(13)(13')(13″)의 하단을 구부림으로써 커버(1)의 하단에는 부분날(18)(18')이 형성되며 커버(1)의 뒤축에는 구멍(12)이 천공되어 있어 여기에 스타트 전구의 소켓트(6)를 삽입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의 걸림턱(15)(15'')을 점등접점축(7)(7')에 형성된 결합홈(36)(36')에 삽입한다.
반사판(2) 상부에는 凹형의 외곽테 개입구(22)(22')와 좌, 우측으로 삽착홈( 20)(20') 및 소켓트구멍(21)이 천공되어 있어 이 소켓트구멍(21)에 전구 소켓트(8)를 삽착한 후 볼트(39)(39')로 고정시키며, 반사판(2)좌측에는 커버(1)와 고정시킬 구멍이 천공된 부착판(16'')이 착설되 있고 그 일단 우측에도 커버(19)와 고정시킬 반형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커버(1)와 반사판(2)을 결합함에 있어 고정대(13')(13″)에 형성된 걸림턱(15')(15″)을 점등접점축(7)(7')에 형성된 결합홈(36)(36')에 끼운 후 반사판(2)의 상부에 천공된 삽착홈(20)(20')에 점등접점축(7)(7')을 삽착시킨다.
이때 커버(1)하단에 형성된 부분날(18)(18')도 반사판(2) 상부에 형성된 凹형의 외곽테 개입구(22)(22')에 삽입되는 동시에 반사판(2)의 부착판(19)이 커버(1)의 고정대(13')와 겹치므로 구멍(16')(16″)으로 볼트(42)를 끼워 커버(1)와 반사판(2)을 고정하며, 또한 걸림턱(15)중앙에 천공된 구멍(16)과 반사판(2)우측에 천공된 반형구멍(23)을 일치시켜 볼트(40)로 연결하여 일체접합으로 형성한다.
도면 제2도에 있어서는 점등 작용접점 스위치(9)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의 상단부에 일부 부분판(25)을 형성하며, 부분판(25)중앙에는 나사구멍(2 6)을 형성하고, 안측으로 직사각형 몸통을 형성하며, 이 직사각형 몸통의 상측 외곽테에서부터형의 요면 보호구(28)(28')(28″)(28'″)를 형성하고 직사각형 몸통의 측면에서부터 간극을 두어 삼면으로 공간터널(24)을 형성시키며, 직사각형 몸통의 중앙에 동체부분판(25')을 형성하며, 그 중앙에 나사구멍(26')을 천공한다.
또한 직사각형 몸통의 상측부분 받침판(27)(27')(27″)(27''')에 나사구멍 (31)(31')이 천공된 점등쇠판(30)(30')을 각각 착설하여 포착나사(33)(33')를 끼워 고정시키며, 점등쇠판(30)(30')의 하측에 형성된 부분접점쇠(32)(32')는 내부측에 고정되며,형의 점등마찰쇠(35)(35')를 점등 작용접점 스위치(9)의 내면에 각각 설치하고 점등작용 접점 스위치(9)의 측면에 관통된 구멍(29)(29')에 작용 손잡이(34) (34')를 각각 끼워 내착하고 내면에 설치된 점등 마찰쇠(35)(35')를 작용손잡이(34) (34')에 끼워 포착시켜 작용하게 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4')는 점등 연결쇠 코드(4)의 뚜껑이며, (9')는 점등 작용 접점스위치(9)의 뚜껑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1)의 상부 사각구멍(10)에 착설된 점등쌍코드(3)에 AC전원을 인입하면 이와 연결된 점등 연결쇠코드(4)를 통해 점등작용접점 스위치(9)로 인입되며, 점등작용접점 스위치(9)의 작용손잡이(34)를 누르면 점등마찰쇠(35)가 부분접점쇠(32)와접속되어 이와 연결된 점등 연결시 코드(4)를 통해 스타트 전구의 소켓트(6) 및 점등접점축(7)(7')으로 전원이 인가되므로 스타트 전구가 점등됨과 동시에 형광등(41)만이 점등되고 또 점등작용 접점 스위치(9)의 작용 손잡이(34')를 누르면 점등 마찰쇠(35')가 부분접점쇠(32')와 접속되어 이와 연결된 점등 연결시 코드(4)를 통해 전구 소켓트 (8)로 전원이 인입되어 전구가 켜지게 된다. 여기서 커버(1)의 고정대(13) 사각구멍 (14)에 부착된 점등 연결쇠코드(4)는 점등 작용접점 스위치(9)와 코드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스위치의 작동시 코드선이 커버(1)의 내에서 단락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커버(1)외부에서 단락되었을때 코드선을 고정하고 있는 점등 연결쇠 코드(4)의 나사를 풀어 새코드선으로 교체하는데 편리하게 점등 연결쇠코드(4)를 부착한 것이다.
즉 종래의 형광등은 코드선이 커버(1)의 내에 삽입되어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형광등을 켜기 위해 스위치를 잘못하여 잡아당겼을때 코드선이 커버(1)의 내부에서 단락될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커버(1)의 우측 고정대(13)에 점등연결쇠코드(4)를 부착한 것이며, 커버(1)의 하단에 형성된 부분날(18)(18')은 반사판 (2)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凹형의 외곽테 개입구(22)(22')에 안정성있게 삽입 고정시켜 볼트(42)로 커버(1)에 천공된 구멍(16') 및 반사판(2)의 부착판(19)에 천공된 구멍 (16″)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또한 커버(1)의 걸림턱(15) 중앙에 천공된 구멍(16)과 반사판(2) 우측 일단 중앙에 천공된 반형구멍(23)으로 볼트(40)를 끼워 고정하므로서 종래의 커버와 반사판을 연결함에 있어 볼트로만 고정하는 것보다 본 고안과 같이 커버(1)의 하단부에 부분날(18)(18')을 형성하여 반사판(2)에 형성된 외곽테 개입구 (22)(22')에 삽입함으로써 보다 안정성 있게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합된 커버 (1)와 반사판(2)은 틈이 생기지 않으며 또한 통상의 전구 소켓트(8)는 애자로 된 것을 사용하여 반사판(2)상부에 천공된 소켓구멍(21)에 삽입고정되며, 이 전구 소켓트(8)는 통상의 형광등 커버보다 큰 보고안의 커버(1)의 고정대(13″)와 고정대(13)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점등쌍코드(3)는 커버(1)의 상부 사각구멍(10)에 고정되어 있어 천정의 콘센트에 바로 꽂아 쓸 수 있게 한 것이다. 점등 접점측(7)(7')상단에 형성된 결합홈 (36)(36')은 커버(1)의 걸림턱(15')(15″)에 안정성 있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

  1. 커버(1)에 고정대(13)(13')(13″)가 형성되어 반사판(2)과 결합된 것에 있어서 고정대(13)(13')(13″)하단을 구부려 걸림턱(15)(15')(15″)을 형성시켜 점등접점측(7)(7')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6)(36')을 상기의 걸림턱(15')(15″)에 삽입시키고, 커버(1)의 상부 중앙에 사각구멍(10)을 천공하여 점등쌍코드(3)를 부착 고정하고 커버( 1)의 고정대(13)에도 사각구멍(14)을 천공하여서 점등 연결쇠 코드(4)를 부착시키며, 커버(1)의 하단에는 부분날(18)(18')을 형성시켜 반사판(2)상부에 형성된 凹형의 외곽테개입구(22)(22')에 삽입하여 커버(1)와 반사판(2)을 고정 결합시키며, 공지의 전구 소켓트(8)는 반사판(2) 상부에 천공된 소켓트 구멍(21)에 삽입되어 볼트 (39)(39')로 고정되고, 반사판(2)의 좌, 우측 일단에 부착판(19) 및 반형구멍(23)을 형성시켜 커버(1)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게 형성한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KR2019850001931U 1985-02-27 1985-02-27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KR870003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931U KR870003862Y1 (ko) 1985-02-27 1985-02-27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931U KR870003862Y1 (ko) 1985-02-27 1985-02-27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878U KR860010878U (ko) 1986-09-10
KR870003862Y1 true KR870003862Y1 (ko) 1987-12-05

Family

ID=1924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931U KR870003862Y1 (ko) 1985-02-27 1985-02-27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8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878U (ko)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1413B1 (en) High voltage (line) under-cabinet lighting fixture
MXPA05004885A (es) Sistema de luminaria modular.
US6390652B1 (en) Portable mounting light unit
CA2045748A1 (en) Lamp assembly
US6162096A (en) Reflector assembly socket which accepts a PL lamp
US5420764A (en) Socket/tab supported light fixture
DE3869017D1 (de) Deckeneinbauleuchte.
KR20060013742A (ko) 냉음극형광램프용 조명장치
KR870003862Y1 (ko) 백열등 겸용 형광등 전등기구
JPS63225482A (ja) ライン状ランプ装置
KR200143728Y1 (ko) 조명기구 설치용 고정금속구
KR0136245Y1 (ko) 천정 매입형 조명등
CN112539366A (zh) 灯具
KR200298582Y1 (ko) 램프와 안정기가 착탈가능한 등기구
JPH0244414Y2 (ko)
CN211875815U (zh) 灯具
KR200367349Y1 (ko) 조명등기구
KR0129518Y1 (ko) 플러그를 겸한 소켓장치
KR950000925Y1 (ko) 컴팩트 형광등 등기구
JPH025454Y2 (ko)
JPS584210Y2 (ja) 部品の取付構造
KR200350513Y1 (ko)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형광등케이스
KR950008071Y1 (ko) 조명기구
KR200224392Y1 (ko) 조명기구
JPS587533Y2 (ja) 螢光灯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