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824Y1 - 신발창 - Google Patents
신발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70002824Y1 KR870002824Y1 KR2019840007344U KR840007344U KR870002824Y1 KR 870002824 Y1 KR870002824 Y1 KR 870002824Y1 KR 2019840007344 U KR2019840007344 U KR 2019840007344U KR 840007344 U KR840007344 U KR 840007344U KR 870002824 Y1 KR870002824 Y1 KR 8700028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rim
- midsole
- shoe soles
- edg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 나타낸 작용 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측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창 2 : 태두리부
3 : 바닥부 4 : 공간부
5 : 접착돌출편 6 : 돌출부
6' : 요입홈 8 : 돌륜
9 : 스프링
본 고안은 보행시 발에서 발생되는 땀으로 인한 악취나 무좀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출된 통풍성을 부여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본인의 선출원 실용신안공고 제83-2518호의 신발창의 결점을 더욱 완벽하게 보완개량한 고안이다.
실용신안공고 제83-2518호의 신발창은 바닥부가 뒷굽부분은 높고 앞창부분은 낮게 경사진 상태의 융벽에 의하여 테두리 부분으로 부터 단이지게 하항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내부에 공기 유통실을 형성하는 한편 바닥부와 테두리부분의 연결부는 여타 부분보다 약간 얇은 두께를 유지하도록 호상의 요입홈을 형성하여 신축성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닥부의 전, 후측에는 2-3개의 돌출부를 돌설하여 이에 공지된 스프링을 중창사이에 설치하여서 된 구조로서 보행시 스프링에 의한 공기유통실의 팽수축작용으로 통풍성은 양호하다 하겠으나 바닥부와 테두리부분을 단지계 형성하여 바닥부와 테두리부분의 연결부분을 꺾임이 자재롭도록 요입홈을 형성한
" t-1"
형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시 요입홈에 의한 테두리의 하항꺾임력이 너무나 자재로와 발의 외측이 외방경사상으로 젖혀짐과 동시에 바닥부와 테두리부가 융벽으로 높, 낮이가 다르게 형성되었으므로 걸음을 걸을때마다 착지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쉬피로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바닥과 테두리부를 평활하게 형성하여 바닥과 테두리부 사이에 외측에서는 요입홈으로 형성된 돌륜부를 돌설하여 굴신이 자재롭게 하되, 테두리부를 공간부와 접착돌출편을 형성한
"t-2"
형으로 형성하여 착지시 발의 안전성과 쿠션력을 부여하므로서 장거리 보행시에도 피로도를 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측 바닥부에 수개의 돌륜(8)을 돌설하여 이에 스프링(9)으로 중창(7)을 탄력되게한 신발창(1)에 있어서, 바닥부(2)와 테두리부(3)를 높, 낮이가 없이 평탄하게 형성한 바닥부(2)와 테두리부(3) 사이에는 외방에서는 요입홈(6')으로 형성된 돌륜부(6)를 돌설형성하고 테두리부(3)에는 공간부(4)와 중창(7)이 접착되는 접착돌출편(5)을 돌출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은 통풍실이고, 11은 갑피이며, 12는 통기구멍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인의 실용신안공고 제83-2518호와 같이 평상시에는 스프링(9)에 의하여 통풍실(10)은 팽창되어 많은량의 공기가 유입되어 있게 되고 착화시에는 인체의 하중이 갑피(11)및 중창(7)에가하여지므로 스프링(9)이 압축되면서 통풍실(10)의 부피가 축소되어 통풍실(10)속에 갇힌 공기는 전방으로 밀려나가 통기구멍(12)을 통하여 발가락 부분으로 원활히 송출되고 저면에서 발을 떼는 순간 인체하중이 없어지면 접착돌출편 (5) 및 스프링(9)의 복원탄성에 의하여 통풍실(10)이 팽창되어 통풍실(10)내에 다시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작용에 의하여 신발내에는 통풍실(10)의 공기가 원활히 유통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테두리부(3)가 공간부(4)와 접착돌출편(5)을 형성한
"t-2"
형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지면과 접촉시에는 제2(a)도와 같이 접착돌출편(5)이 내향경사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바닥부(2)와 테두리부(3)의 사이의 요입홈(6')부는 벌어지면서 발바닥을 신발창(1)의 중앙쪽으로 위치시키려는 내향력이 발생케 되므로 발을 아주 안정된 자세로 위치시켜주게 되어 장거리 보행시에도 쉬 피로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돌출편(5)을 길게하여 갑피(11) 및 중창(7)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므로서 신발장(1)과 갑피(11) 및 중창(7)과의 접착력를 높일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 바착창(2)와 테두리부(3)를 높, 낮이가 없이 평탄하게 형성한 바닥부(2)와 테두리부(3) 사이에는 외방에서는 요입홈(6')으로 형성된 돌륜부(6)를 돌설형성하고 테두리부(3)에는 공간부(4)와 중창(7)이 접착되는 접착돌출편(5)을 돌출형성하여서 된 신발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40007344U KR870002824Y1 (ko) | 1984-07-26 | 1984-07-26 | 신발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40007344U KR870002824Y1 (ko) | 1984-07-26 | 1984-07-26 | 신발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1130U KR860001130U (ko) | 1986-02-26 |
KR870002824Y1 true KR870002824Y1 (ko) | 1987-08-22 |
Family
ID=1923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40007344U KR870002824Y1 (ko) | 1984-07-26 | 1984-07-26 | 신발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70002824Y1 (ko) |
-
1984
- 1984-07-26 KR KR2019840007344U patent/KR87000282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1130U (ko) | 1986-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635538B2 (ja) | 靴用外底 | |
CA2305116A1 (en) | Athletic shoe sole design and construction | |
EP1127504A3 (en) | Athletic shoe sole design and construction | |
EP0149362A2 (en) | Shoes with heel counters | |
US3061950A (en) | Ventilated shoe | |
KR870002824Y1 (ko) | 신발창 | |
JPS6122483Y2 (ko) | ||
JPH0327445Y2 (ko) | ||
CN220987803U (zh) | 一种高分子橡胶鞋底 | |
KR830002518Y1 (ko) | 신 발 창 | |
KR870002825Y1 (ko) | 구두중창 | |
KR200478514Y1 (ko) | 기능성 신발 아웃 솔 | |
JPS6110483Y2 (ko) | ||
CN113662324B (zh) | 具有呼吸、缓震及起步阻尼功能的鞋底及具有该鞋底的鞋子 | |
KR100955028B1 (ko) |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 |
JPS6343926Y2 (ko) | ||
KR200183133Y1 (ko) | 지압용 슬리퍼 | |
KR900003907Y1 (ko) | 신발용 깔창 | |
KR200225749Y1 (ko) | 신발용 갑피의 구조 | |
JPH0644405U (ja) | 履物用中敷 | |
KR830003042Y1 (ko) | 신발 안창 | |
JPS6012409Y2 (ja) | 履物の足裏踏床 | |
KR200180546Y1 (ko) | 굽높이신발 | |
KR200362024Y1 (ko) | 신발창 | |
JPH0610801Y2 (ja) | サンダ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