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357B1 - 다층 플라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플라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357B1
KR870001357B1 KR1019830005653A KR830005653A KR870001357B1 KR 870001357 B1 KR870001357 B1 KR 870001357B1 KR 1019830005653 A KR1019830005653 A KR 1019830005653A KR 830005653 A KR830005653 A KR 830005653A KR 870001357 B1 KR870001357 B1 KR 870001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nsity polyethylene
resin
acid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869A (ko
Inventor
진이찌 야자기
코오자부로오 사까노
Original Assignee
토오요오 세이깡 가부시기가이샤
타까사끼 요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오요오 세이깡 가부시기가이샤, 타까사끼 요시로오 filed Critical 토오요오 세이깡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3000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357B1/ko
Publication of KR85000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층 플라스틱 용기
본 발명은 다층 플라스틱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올레핀수지층과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의 산소배리어층과의 적층체로 구성되고, 양수지층간의 접착강도가 현저히 향상된 다층 플라스틱용기에 관한다.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등의 올레핀수지와 산소배리어성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를 산 내지 산무수물변성의 올레핀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성수지층을 개재하여 적층한 적층제는 병, 컵. 파우치등의 형으로 내용물 보존성이 우수한 용기로서 여러가지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다층플라스틱은 용기벽을 가급적으로 얇게하여, 또 용기벽의 강성,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고, 또 투명성, 가스배리어성 등을 향상시킨다는 견지로서는 적어도 블로우성형으로 얇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축(一軸) 방향으로 분자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드로우잉성형, 2축연신 블로우성형등의 소성가공은 열성형에 비해서 열에너지 원가가 낮고, 또, 일반적으로 생산성도 크다는 이점은 있으나, 이들의 소성가공에서는 성형되는 용기벽에 필연적으로 분자방향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한 산 내지 산무수물변성 올레핀수지를 접착제층으로 사용한 종래의 적층체는 필름의 상태로는 우수한 접착강도(박리강도)를 나타내도 블로우성형에 의하여 얇아질수록, 또는 연신에 의한 분자배향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접착강도가 저하되어 제조된 용기는 그 단계에서 이미, 또는 그렇지 않아도 약간의 낙하충격으로 층간박리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향은 강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폴리에틸렌에 비해서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을 내외층을 이루는 올레핀 수지로 사용하여 특히 이 폴리프로필렌에 연신에 의한 배향을 부여했을 때 더욱 현저히 나타난다.
이와같은 적층체의 연신성형시에 있어서의 접착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제안도 이미 되어있고, 예를들명 일본국 특공소 56-11585호 공보에는 폴리프로필렌층과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층과의 접착제층으로서 산 내지 산무수물 변성 올레핀 중합체와 결정성 에틸렌계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이 혼합물중의 결정성 에틸렌계 공중합체로서 폴리프로필렌의 융점보다 40 내지 110℃낮은 융점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제안에 의하면 종래의 적층체에 비하여 내층간 박리성의 향상이 촉진된다고는 하나, 고도의 분자배향을 폴리프로필렌층에 부여했을 경우에 있어서 층간박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견지로서는 아직 충분히 만족할만한 것이 못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올레핀수지로 구성되는 층과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층이 산 내지 산무수물 변성리니어(linear)저밀도 폴리에틸렌 함유층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우수한 내층간 박리성을 가지는 다층 플라스틱용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2축 연신 블로우성형이나 드로우잉 가공등의 소성가공에 의하여 제조되고, 구성수지층이 우수한 내층간 박리성을 나타내는 연신다층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드로우잉 성형에 의한 이음매가 없는 플라스틱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성형작업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연신다층 플라스틱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레핀수지를 주체(base)로 하는 적어도 한 종류의 층 ; 에틸렌 함유량이 25 내지 60몰%인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를 주체로 하는 적어도 1개의 산소배리어성층 ; 및 이들 양 수지층의 사이에 개재된 산 내지 산무수물 변성의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접착성수지층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플라스틱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산내지 산무수물 변성 올레핀수지 중에서도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체로하는 산내지 산무수물 변성수지 변성수지를 접착수지층으로 하여 선택사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산내지 산 무수물변성수지의 주체가 되는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보통으로 사용되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저압법 고밀도 폴리에틸렌에는 볼 수 없는 몇개의 특징이 있다.
즉,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장쇄분기를 가지는 분자구조이고 에틸렌의 단일 중합체인 것에 대하여,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실질상 직쇄상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8의 α-올레틴과의 공중합체고 구성된다. 한편 저압법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25℃)가 0.940 내지 0.9565g/cm3의 범위에 있고 그 분자구조는 짧은 분기쇄도 거의 없는 것에 대하여,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5 내지 0.935g/cm3의 범위에 있고 상기한 α-올레핀에 유래하는 단쇄분쇄를 가지는 점이 다르다.
이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있어서의 공단량체로서는 부텐-1, 펜텐-1, 4-메틸펜틴-1, 헥센-1, 2-메틸-부텐-1, 옥텐-1 등의 탄소수 4 내지 8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이들의 α-올레핀은 전체당 1 내지 20중량%, 특히 3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중합체쇄중에 조입된다.
이러한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상기한 화학구조에도 관련되어 다른 올레핀수지, 예를들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HP-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OPE), 결정성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PPE) 등에 비해서, 다음의 표 A와 같은 물성상의 차이가 있다.
[표 A]
Figure kpo00001
상기 표 A에서 변성수지의 베이스가 되는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큰 신장 및 강도를 가지면서 낮은 융점을 가지는 특징이 있는 것이 명확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변성수지는 상기한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로 그래프트 변성하므로써 쉽게 얻어진다.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내지 그 무수물로서는 무수말레인산, 말레인산, 푸말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헥사히드로무수푸탈레인산 등을 들 수 있고, 산 내지 산무수물에 따르는 카르보닐기
Figure kpo00002
는 최종 수지 기준으로 10 내지 600미리 이퀴바렌트(meq)/100g 중합체, 특히 20 내지 400meq/100g 중합체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층은 산변성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구성될 수가 있고, 또 산변성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미변성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이 후자의 경우, 전체적으로의 카르보닐기 농도가 상기 범위내로 되는 한 양자의 혼합비율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이 접착제층은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함유량이 50중량% 이상이고, 또한 전체적으로서의 카르보닐기 농도가 상기한 범위내가 되는 한 다른 올레핀 수지, 예를 들면 산변성 또는 미변성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레에틸렌, 고압법 저밀도폴리에틸렌,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등을 혼합물의 형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 내지 산무수물 변성의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접착제층을 사용하므로써 올레핀수지/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의 적층 구조물의 박리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적층구조물은 올레핀수지층과 접착제수지층과의 사이에서는 거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접착제수지층과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층과의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는 것이 보인다. 하기 표 B는 카트보닐기 농도가 30meq/100g을 중합체의 무수말레인산변성 올레핀수지와 에틸렌 함유량이 40몰%인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와의 적층시이트이 박리강도 및 이 적층시이트를 150℃의 온도로 여러가지의 연신배율로 연신했을 때의 박리강도(kg/15mm 폭)를 나타낸다.
[표 B]
Figure kpo00003
상기 결과는 어느 산변성 올레핀수지를 사용하는 겨우에도 미연신 상태로는 높은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어도 연신배율을 높일수록 접착강도가 격감하는 것에 대하여, L-LDPE를 주체로 하는 산변성 수지를 사용하므로써 종래 공지의 산변성 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우수한 접착강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 내지 산무수물 변성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접착성 수지층으로 사용하므로써 특히 고연신배율하에 있어서도 우수한 층간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이 특정의 접착성 수지층은 폴리올레핀의 연신조건하에 있어서 용융상태로 존재하는 동시에, 이 용융체는 비교적 낮은 장력으로 잘 연신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 요점으로 생각된다.
하기 표 C은 여러가지의 올레핀 수지를 주체로 하는 산변성 수지에 대하여 160℃의 온도에 있어서의 용융체의 연신과 장력을 나타낸다.
[표 C]
Figure kpo00004
상기의 결과는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수지는 용융상태로 비교적 낮은 장력으로 잘 연신되는 성질이 있고, 이 특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적층용기에 있어서는 접착계면의 파괴나 이 접착계면에 변형이 잔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우수한 접착강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인정된다. 또, 이 접착제수지 그 자체가 통상의 상태에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도 접착강도의 증대에 유익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상기한 범위의 산변성에서는 수지의물성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산 내지 산변성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다시 170℃의 온도에 있어서 메르트텐션테스터로 측정해서(노즐의 L-8mm, D=2.1mm, 압출속도 10mm/min) 일반적으로 5내지 9g의 낮은 용융장력을 보인다. 올레핀수지를 주체로 하는 층으로는 상기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리니어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그밖에 산소 배리어성층이나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류를 소량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브로우성형시 부생(副生)하는 바리등을 올레핀 수지층 또는 그 일부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다층용기를 구성하는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로서는 산소배리어성의 견지에서 에틸렌 함유량이 25 내지 60몰%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도가 96% 이상, 특히 99%이상이 되도록 비누화에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산소배리어성층에는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의 본질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열 가소성수지를 함유시켜도 하등 지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올레핀 수지층(B), 산소배리어성층(A) 및 접착층(C)은 상기층(C)가 층(A)와 층(B)와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는 한 임의의 층 배치를 취할 수 있고, 예를들면,
(i) A/C/B
의 3층 구성
(ii) C/A/C/B
의 4층 구성
(iii) B/C/A/C/B,B/C/A/C/B', (B+A+C)/C/A/C/(B+A+C)
의 구성
(iv) 6층 구성
B/B'/C/A/C/B (7)
B/(B+A+C)/C/A/C/B/ (8)
(v) 7층 구성
B/(B+A+C)/C/A/C/(B+A+C)/B (9)
B/B'/C/A/C/B'/B (10)
등의 임의의 층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각층의 두께도 특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B : A=1 : 1 내지 500 : 1
B : C=1 : 1 내지 500 : 1
의 두께로 각층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다층 구성의 파리손 또는 시이트를 동시에 용융압출에 의하여 형성하고, 다음에 파리손 또는 시이트로 부터 그 자체공지의 소성가공수단에 의하여 용기로 성형한다.
다층 파리손은 상기한 각 수지층을 다층으로 동시에 용융압출 또는 동시에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파리손을 용융상태, 또는 고상(固相)상태로 유체에 의하여 팽창시키므로써 블로우성형용기가 얻어진다.
다층 시이트는 상기한 각 수지층을 T-다이법이나 인프레이션법등에 의하여 시이트로 성형하므로써 얻어진다. 이 시이트를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 다이스와 펀치에 의한 드로우잉성형, 압공(壓空) 성형, 드로우잉아이어닝 성형하므로써 이음매가 없는 컵모양의 드로우잉용기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용기의 올레핀수지층에 연신에 의한 배향을 부여하므로써 용기의 강성과 기계적 강도 및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이와같은 배향은 상기한 파리손의 2축연신 블로우성형 또는 시이트의 드로우잉 성형을 올레핀수지의 융점 바로 아래의 온도 내지는 이것보다도 약간 낮은 온도로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접착제층(c)을 사용하면 올레핀수지층에 효과적인 배향을 부여하면서, 또한 접착제층의 융점이상의 온도로 성형을 할 수가 있고, 이와같이 용기의 강성과 기계적 강도, 가스배리어성 및 투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 또한 각 수지층간의 내층간 박리성, 내충격성도 동시에 개선할수가 있다. 또 연신효과에 의하여 용기를 얇게 구성하고 경량화 하는 것 및 수지의 사용량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가 있다. 연신배율은 2축 연신 블로우용기의 경우 축방향으로 1.5 내지 5배, 주 방향으로 2 내지 10배로 할 수 있고, 2축 방향으로의 분자배향을 부여할 수 있다. 컵등의 드로우잉 성형용기의 경우, 드로우잉가공비, 즉 용기의 높이/구부 직경의 비는 0.2내지 5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축방향으로의 분자배향이 부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서도 다르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dl/g, 특히 0.05 내지 2dl/g의 기준량(수지단위 g당의 용적)으로 제조되고, 또 용기벽의 두께는 0.02 내지 1mm 특히, 0.08 내지 0.8mm의 범위로 할 수 있고, 이들의 범위로 바람직한 가스배리어성, 강성, 투명성과의 바람직한 조합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내용물을 그대로 보존하는 용기로서 유용하고,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식품이나, 음료, 예를들면 맥주 등의 발포주, 술, 위스키, 소주, 포도주 등의 과실주, 또는 진피이즈 등의 각종 칵테일을 포함하는 주정음료 ; 콜라, 사이다, 프렌소오다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탄산음료 ; 레몬쥬우스, 오렌지쥬우스, 플럼쥬우스, 딸기쥬우스 등의 스트레이트 쥬우스, 또는 넥타 등의 가공과즙 음료를 포함하는 과즙음료 ; 토마토쥬우스, 각종 야채쥬우스를 포함하는 소채즙음료 ; 설탕 또는 과당등의 당류, 구연산, 착색제, 향료 등을 사용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비타민류 등을 첨가한 합성과즙을 포함하는 합성음료나 비타민 강화드링크제 ; 유산균음료 ; 인스턴트 카레이, 인스턴트해시드라이스, 보르스치, 비이프 스튜와 같은 스튜류 ; 미이트. 소오스와 같은 그레비류 ; 탕수육, 전골, 팔보채, 중국식 잡탕, 아스파라거스 조림, 흰콩조림, 참치 크리임조림 등의 조림야채, 생선 및 육류, 콩소메스우프, 된장국, 돼지고기국, 두부찌개와 같은 스우프 ;쌀밥, 찰밥, 볶음밥, 비빔밥, 필라프, 죽 등의 쌀식품; 스파게티, 메밀국수, 가락국수, 짜장면, 마카로니와 같은 국수류 ; 볶음밥. 스우프용 또는 짜장면. 스우프용 복합조미료 ; 팔성탕조림, 단팥죽, 단팥소우무, 설탕우무, 프딩, 젤리, 물양갱등의 기호식품 ; 고기만두, 햄버그, 콘비이프, 햄. 소시지, 구운생선, 훈제, 베이컨, 생선묵 등의 가공수산내지 축산제품 ; 밀감, 복송아, 파인애플, 버찌. 올리브 등의 과실제품 ; 예를들면 간장, 소오스, 식초, 미림, 프렌치 드레싱, 마요네즈, 케찹, 식용유, 된장, 라아드 등의 조미료 ; 두부, 잼, 버터, 마아가린 등의 기호품 ; 또 린게르액과 같은 액상의 의약, 농약 또는 화장품이나 향장품(香粧品), 세제류 ; 또 아세톤, 메틸 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 노르말헥산, 노르말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 시클로헥산 등의 치환족 탄화수소 ; 벤젠, 톨루엔, 키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 4염화탄소, 4염화에탄, 4염화에틸렌 등의 함염소 화합물 ; 또는 각종 고급 지방산 ; 가솔린, 등유, 석유 벤젠, 증유, 신나, 그리이스, 실리콘 오일, 경유, 기계유 ; 또는 액화 올레핀(미국 듀퐁사의 상품명) 등의 벤질이나 감량이 적고, 상기 각 내용품을 보존하기 위한 용기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을 다음예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멜트인덱스가 0.5g/10min, 밀도가 0.918g/cc, DTA 법(승온속도, 10℃/min)에 의한 피이크융점이 110oC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내외층으로 하여, 산소배리어성 수지층(중간층)으로서 에틸렌 함유량이 30몰%, 비닐알콜 함유량이 70몰%, 상기방법에 의한 융점이 182℃의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또 접착층용 수지로서,
(i) 멜트인덱스(MI)가 0.4g/10min, 밀도가 0.93g/cc 동일하게 응점이 122℃, 카르보닐기농도가 30밀리몰/100g 중합체인 변성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ii) 상기 변성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미변성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비가 90 : 10(중량비)의 혼합물.
로 구성되는 수지를 사용하고, 외층/접착층/중간층/접착층/내층으로 구성되는 5층 구성의 병을 직경이 40mm, 유효길이가 880mm, 멜트채널이 1유로(중간층용), 직경이 40mm, 유효길이가 880mm, 멜트채널이 2유로(접착층용) 및 직경이 65mm, 유효길이가 1430mm, 멜트채널이 2유로(내외층용)의 각치수를 가지는 압출기군, 공압출(共押出)용 5층 다이를 사용해서 5층 구성의 다층 파리손을 성형했다.
이들의 파리손의 각층의 구성비는 모두 외층 : 접착층 : 중간층 : 내층이 1 :
Figure kpo00005
:
Figure kpo00006
:
Figure kpo00007
: 1이고, 또 전체의 두께는 약 5mm, 내경이 30mm, 길이는 30mm이었다.
이하 접착층용 수지로서 (i)을 사용한 파리손을 A, 동일하게 (ii)를 사용한 파리손을 B로 기재한다.
이 다층 파리손을 용융상태의 블로우용 금형으로 협지하여 일단으로부터 공기를 주입하여 이 파리손을 팽창시켜서 블로우성형해서 5층구성의 블로우병 AB, BB를 제조했다. 이 병의 내경이 100mm, 높이가 150mm, 병벽면의 평균두께가 0.6mm, 내용적이 약 1000cc, 기준량(수지단위 g당의 용적)약 0.31dl/g이고, 또 원통상의 병이었다.
이들 병의 산소투과도(Qo2)를 일본국 특공소 52-11263호 공보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또, 상기병 AB,BB 각각 20개의 1000cc의 물을 충전하여 상온에서 120cm의 높이에서 콘크리트 바닥에 병을 낙하시켜서 병의 저부, 저부 코오너부, 몸통부, 견부 및 구부 등 각 부분에 일어나는 층간 박리의 유무를 5명의 배심원으로 하여금 시각판정으로 관찰시키고, 내층간 박리성을 조사했다.
비교를 위해서, 접착성수지로서 카르보닐기 농도가 30밀리몰/100g 중합체로, 융점 110℃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해서 상기병과 동일한 병 CB를 성형했다. 이들 병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보인다. 산소투과도에 대해서는 AA,BB,CB의 각 병이 동일하나, 내층간 박리성에 있어서는 병 CB에 비해서 병 AB 및 BB가 대단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 1]
Figure kpo00008
[실시예 2]
멜트인덱스(ASTMD-1238, 이하동일)가 2.0g/10mm, 밀도(ASTMD-1505, 이하 동일)가 0.90g/cc, DTA법(승온 속도 ; 10℃/min)에 의한 피이크융점이 160℃, 에틸렌 3몰% 함유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내외층으로 하고, 에틸렌 함유량이 42몰%, 비닐알콜 함유량이 58몰%이고, 응점이 164℃의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를 산소배리어층(이하 중간층으로 표기)으로 하고, 또 접착층용 수지로서 멜트인덱스가 2.0g/10mm, 밀도가 0.93g/cc, 상기 사용 융점이 122℃, 카르보닐기 농도가 94 밀리몰/100g 중합체인 변성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해서 5층용 T 다이스 및 시이트성형기를 사용하여 외층 : 접착층 : 산소배리어층(중간층) : 접착층 : 내층=1 :
Figure kpo00009
:
Figure kpo00010
:
Figure kpo00011
: 1의 5층 시이트(두께 0.8mm)를 성형했다. 이 적층 시이트를 162℃로 균일하게 가열한 후 공지의 플러그 어시스트 압공성형법으로 세로 140mm, 가로 100mm, 높이 40mm, 측벽두께 0.4mm, 내용적 500cc의 각형 컵을 성형했다.
비교를 위하여, 접착층용 수지로서 융점이 163℃, 카르보닐기 농도가 94밀리몰/100g 중합체의 변성프로필렌중합체를 사용하여 상기 컵과 동일한 적층컵 EC를 성형했다.
이들 컵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보인다.
[표 2]
Figure kpo00012
*JIS K-6714
[실시예 3]
멜트인덱스가 2.0g/10min, 밀도가 0.89g/cc, DTA 법(승온속도, 10℃/min)에 의한 융점이 158℃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내외층으로 하고, 산소배리어성 수지층(중간층)으로서 에틸렌 함유량이 42몰%, 비닐알콜 함유량이 58몰%, 상기 방법에 의한 융점이 163℃의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또 접착층용수지로서,
(i) 멜트인덱스(MI)가 0.5g/10min, 밀도가 0.93g/cc, 동일하게 응점이 122℃, 카르보닐기 농도가 5밀리몰/100g 중합체인 변성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ii) 상기 변성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미변성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비가 90 : 10(중량비)의 혼합물.
로 구성되는 수지를 사용하여 외층/접착층/중간층/접착층/내층으로 구성되는 5층 구성의 병을 직경이 40mm, 유효길이가 880mm, 멜트채널이 1유로(중간층용), 직경이 40mm, 유효길이가 880mm, 멜트채널이 2유로(접착층용) 및 직경이 65mm, 유효길이가 1430mm, 멜트채널이 2유로(내외층용)의 각 치수를 가지는 압출 기군, 공압출용 5층 다이를 사용해서 5층 구성의 바닥이 없는 다층파이프를 성형했다.
이들이 파이프의 각층의 구성비는 모두 외층 : 접착층 : 중간층 : 접착층 : 내층이 1 :
Figure kpo00013
:
Figure kpo00014
:
Figure kpo00015
: 1이었다.
이들의 파이프의 전체의 두께는 약 10mm, 내경이 30mm, 길이는 30mm이었다. 이하 접착층용 수지로서 (i)을 사용한 파이프 F, 동일하게 (ii)를 사용한 파이프를 G로 기재한다.
다시 이들의 파이프를 154±1℃의 온도분위기속에서 25분간 가열한 후, 상기 파이프의 양단의 클램프로 협지하여 처음에 파이프를 세로 방향으로 약 3배 연신한 후 블로우용, 금형으로 협지하여 일단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이 파리손을 가로방향으로 팽창시키고, 블로우성형하여 5층 구성의 2축연신 블로우병 FB, GB를 제조했다.
이 병의 내경이 100mm, 높이가 150mm, 병벽면의 평균두께가 0.6mm, 내용면적이 약 1000cc, 기준량(수지단위 g당의 용적)약 0.31dl/g이고, 또 원통상의 병이었다.
이들 병의 산소투과도(Qo2)를 일본국 특공소 52-11263호 공보에 기재한 방법으로, 또 JIS K-6714의 측정밥업에 준하는 침침한 정도(
Figure kpo00016
度)(Hz), 또 상기병 FB,GB 각각 20개의 1000cc의 물을 충전하여 상온에서 120cm의 높이에서 콘크리트 바닥에 병을 낙하시키고 병의 저부, 바닥코오너부, 몸통부, 견부 및 구부 등 각 부분에 일어나는 층간 박리의 유무를 5명의 배심원으로 하여금 시각 판정에 의하여 관찰시키고 내층간 박리성을 조사했다.
비교를 위해서, 접착성 수지로서 카르보닐기 농도가 5밀리몰/100g 중합체를 융점이 110℃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해서 상기 병과 동일한 병 HB를 성형했다. 이들 병의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산소투과도에 대해서는 FA,GB,HB의 각병이 동일하나, 내층간 박리성에 대해서는 병 HB에 비해서 병 FB 및 GB는 대단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 3]
Figure kpo00017

Claims (1)

  1. 올레핀 수지를 주체로 하는 적어도 1종류의 층 ; 에틸렌 함유량이 25 내지 60몰%인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를 주체로 하는 적어도 1개의 산소 배리어성층 및 양수지층의 사이에 개재시킨 산 내지 산무수물 변성의 리니어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접착성 수지층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플라스틱용기.
KR1019830005653A 1983-11-30 1983-11-30 다층 플라스틱 용기 KR870001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5653A KR870001357B1 (ko) 1983-11-30 1983-11-30 다층 플라스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5653A KR870001357B1 (ko) 1983-11-30 1983-11-30 다층 플라스틱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869A KR850003869A (ko) 1985-06-29
KR870001357B1 true KR870001357B1 (ko) 1987-07-20

Family

ID=1923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653A KR870001357B1 (ko) 1983-11-30 1983-11-30 다층 플라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3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869A (ko) 198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1610A (en) Multi-layer drawn plastic vessel
US4182457A (en) Multilayer container
US5320889A (en) Plastic bottle for food
US4217161A (en) Process for making a container
US4082854A (en) Packaging materials having excellent gas permeation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P0386720B1 (en) Composition, multilayered container and package
US3932692A (en) Resinious laminates having improved gas permeation and delamination resistance
US6677013B1 (en) Transparent multilayer polypropylene container with barrier protection
JP5580208B2 (ja) 容器製造用多層構造体及びその包装
JPS6124254B2 (ko)
JPS6099647A (ja) 包装用ラミネート
EP1202914B1 (en) Transparent multilayer polypropylene container with barrier protection
JPS5938103B2 (ja) 容器
KR100225005B1 (ko) 후레바-보유 플라스틱 다층 용기
US20040005475A1 (en) Transparent multilayer polypropylene container with barrier protection
KR870001357B1 (ko) 다층 플라스틱 용기
JPH0157672B2 (ko)
JPS5968239A (ja) 多層延伸プラスチツク容器
JP2828228B1 (ja) 多層構成体および多層容器
JPH0473695B2 (ko)
JPH02189B2 (ko)
JP2836858B2 (ja) 多層容器および包装体
ZA200108338B (en) Transparent multilayer polypropylene container with barrier protection.
Briston New materials for food packaging—The fu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