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350Y1 - 재크 - Google Patents

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350Y1
KR870001350Y1 KR2019830008977U KR830008977U KR870001350Y1 KR 870001350 Y1 KR870001350 Y1 KR 870001350Y1 KR 2019830008977 U KR2019830008977 U KR 2019830008977U KR 830008977 U KR830008977 U KR 830008977U KR 870001350 Y1 KR870001350 Y1 KR 870001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movable
piece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37U (ko
Inventor
도오루 마스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34Nitrides
    • C23C16/345Silicon 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by irradiation, e.g. photolysis, radiolysis, particle radiation
    • C23C16/483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by irradiation, e.g. photolysis, radiolysis, particle radiation using coherent light, UV to IR, e.g. la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크
제1도는 종래의 가동접편을 표시한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재크의 일례를 표시한 정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한쪽판을 벗긴 측면도.
제3도는 어어드링(20)을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고정접편(24)의 사시도.
제5도는 가동접편(19)의 일례를 표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2(b)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플러그와 복수개소에서 접촉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예를 표시한 제6도와 대응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보디 19 : 가동접편
28 : 플러그 29 : 플러그접촉부
31 : V자형상홈 33 : 원호형상홈
34 : U자형상홈 35 : 구멍
본 고안은 소형의 것에 적합한 재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동접편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재크에 있어서, 소형화에 수반하여, 내장되어 있는 가동접편도 소형화되었으며, 이때문에 가동접편의 탄성이 탄탄한 것이 되어, 플러그의 삽탈이 반복 행하여지면 스프링이 쉽게 피로해지며, 따라서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플러그와의 접촉력을 낮추지 않으면 안되며 즉 가동접편의 판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때문에, 이와 같은 재크에 있어서는, 삽입된 플러그를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가동접편과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즉, 예를 들면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상으로 절곡된 가동접편(11)은 그 유단부근처에서 삽입된 플러그(12)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 플러그(12)가 그 축심을 중심으로 화살표(13)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동되면, 가동접편(11)이 얇고 가늘기 때문에, 플러그(12)와 가동접편(11)의 플러그 접촉부(11a)와의 사이의 접촉마찰력과 이들 사이의 탄성접촉력에 의해서 가동접편(11)의 유단부, 즉 플러그접촉부(11a)는 굽힘모우먼트를 받아, 화살표(13)의 회동에 대해서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14) 방향으로 약간 변위하고, 이 변위가 어느 정도 커지면 가동접편(11)의 탄력에 의해서 접촉부(11a)의 변위는 복귀되며, 특히 플러그(12)의 회동에 의한 접촉부(11a)가 받는 굽힘모우먼트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플러그의 회동이 반복되면 접촉부(11a)는 그 면내에서 왕복진동하며, 이로 인해서 접촉부(11a)와 플러그(12)와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된다. 특히 플러그(12)의 회동을 역전하면, 그때에 접촉부(11a)의 변위가 크며, 이에 수반해서 플러그 및 접촉부(11a)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된다. 또 플러그(12)가 회동되면, 먼지 등이 플러그와 가동접편 사이에 말려들어가거나 해서 이들 사이의 접촉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있다.
본 고안은 플러그와 가동접편과의 접촉을 복수 개소에서 행하도록 가동접편의 형상을 선정해서 플러그가 회동되어도 접점의 이동이 거의 없으며, 접촉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없는 재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에 의한 재크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재크의 실시예의 정면도, 제2(b)도는 그 촉판을 벗긴 측면도를 표시하며, 합성수지재의 성형품으로 된 박형의 대략직방체인 보디(15)는 그 한쪽의 측판은 별개체로 구성되어, 이 측판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디(15)의 앞면판(16)에 플러그삽통구멍(17)이 형성되고, 플러그삽통구멍(17)내에 슬리이브(18)가 앞면판에서 돌출해서 앞면판(16)에 일체가 되게 부착되어 있다. 플러그삽통구멍(17)내에 어어드링(20)(제3도 참조)이 부착되고, 이것과 일체가 된 어어드단자(20a)의 측판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보디(15)내에 대략 U자형상으로 절곡된 가동접편(19)이 부착되어 있다. 가동접편(19)은 그 U자형상의 한쪽 다리부분은 고정부(21)가 되어서 보디(15)의 저판(22)에 고정되며, 다른쪽의 다리부분은 가동부(23)로서, 그 고정부(21), 가동부(23)의 연결부, 다시 말해서 U자형상의 절곡부는 앞면판(16)측에 위치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별개체의 촉판을 벗긴 상태로 옆방향으로부터 보디(15)에 가동접편을 삽입 감합한다. 이때 고정부(21)와 일체가 된 단자(32)가 보디의 축판으로부터 단자(22a)와 동일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가동부(23)의 중간부와 탄성적으로 접촉된 고정접편(24)이 보디(15)에 부착된다. 고정접편(24)은 예를 들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형상도체가 U자형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그 한쪽 다리부는 길게하여 단자(27)로 하고, 단자(27)는 보디(15)의 축판에서 단자(20a)와 동일축에 돌출된다. 가동편(19)의 가동부(23)는 저판(22)축으로부터 고정접편(24)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슬리이브(18)를 통해서 보디(15)내에 삽입된 플러그(28)에 의해서 가동접편의 가동부(23)는 탄성적으로 저판(22)축에 변위되어서 그 유단부는 고정접편(24)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때 플러그(28)에 가동부(23)의 유단부 근처에서 산모양으로 형성된 플러그접촉부(29)가 플러그(28)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제2도에서는 보디(15)의 상부판(41)축에 있어서도 가동접편(42), 고정접편(43)이 부착된 경우이며, 가동접편(42)의 절곡부는 앞면판(16)과 반대축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가동접편(19)의 플러그접촉부(29)는 삽입된 플러그(28)의 외주면과 복수개소에서 접촉되는 형상으로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9)에 V자형상의 홈(31)이 자형된다. 이 V형상의 홈(31)은 그 홈의 내면 양축이 플러그의 삽탄방향과 대체로 평행이 되며, 삽입된 플러그(28)의 주위면이 V자형상의 홈(31) 양축면(31a)(31b)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접편(19)에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1)와 동일면내에서 일체가 되게 대략 직각으로 절곡해서 외부로 돌출하고 있는 단자(32)가 착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된 플러그(28)가 희동되어도 플러그(28)는 제 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V자형상의흠 (31)내에 그 주위면의 일부가 일치하게 되어, 플러그(28)가 회동되어서, 플러그 접촉부가 변위해도, 이들 접촉부와 플러그(28)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어서 그 최대변위로부터 복귀할 우려가 없고, 접촉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 플러그의 회동이 역전되어도 플러그에 가동접편이 잘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채로 플러그접촉부가 플러그에 추종해서 반대방향으로 변위하여,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염려가 없다. 또 먼지 등이 플러그와 가동접편의 접촉부와의 사이에 말려들어가도 복수 개소, 즉 도면에 있어서는 플러그는 홈의 벽면(31a)(31b)의 양자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양자가 동시에 접촉불량이 될 염려는 없고,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다.
플러그와 가동접편의 플러그접촉부와의 접촉을, 그 플러그의 주위면에 연해서 복수 개소에서 접촉시킬려면, 제7(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러그접촉부(29)를 플러그(28)의 주위면에 연하는 원호형상의 홈(33)으로 해도 되고, 혹은 제7(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접촉부를 ㄷ자형상의 홈(34)으로 해서, 그 홈(34)내에 플러그(28)의 일부가 삽입되어서 3개점에서 플러그와 플러그 접촉부가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7(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접촉부(29)에 구멍(35)을 형성해서 그 구멍내에 플러그(28)의 일부가 빠져들어가서 구멍(35)의 양측벽에 플러그(28)가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가동접편(42)의 접촉부도 접촉부(29)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고정접편(24)을 착설하였으나, 이것을 생략하고 삽입된 플러그(28)가 가동접편에 접촉하기만 하는 제크에도 본 고안은 적용할 수 있다. 또 가동접편은 한개만으로도 되고, 보다 많은 접편을 수용한 제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크에 의하면 가동접편의 플러그접촉부가 삽입된 플러그의 주위면과 복수개소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삽입된 플러그가 회동되어도 접촉이 불안정해지는 염려가 없고, 즉 예를 들면 플러그가 회동되어도 잡음이 들어간 느낌을 받을 염려가 없고, 더우기 그 가동접편으로서는 판두께가 얇은 접촉력이 작은 것을 사용해서, 수명이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

  1. 플러그가 삽입되면, 내장된 가동접편의 플러그접촉부와 탄성적으로 접촉 접속하도록 된 재크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19)의 상기 플러그접촉부(29)는 삽입된 플러그(28)와 복수개소에서 접촉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재크.
KR2019830008977U 1983-01-12 1983-10-20 재크 KR87000135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3180 1983-01-12
JP58003180A JPS59129774A (ja) 1983-01-12 1983-01-12 選択的窒化膜の作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37U KR840006437U (ko) 1984-12-03
KR870001350Y1 true KR870001350Y1 (ko) 1987-04-03

Family

ID=1155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8977U KR870001350Y1 (ko) 1983-01-12 1983-10-20 재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29774A (ko)
KR (1) KR8700013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771A (ja) * 1984-11-07 1986-05-3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窒化アルミニユ−ム作製方法
JPH062946B2 (ja) * 1984-12-08 1994-01-12 株式会社井上ジャパックス研究所 炭化珪素薄膜の形成方法
JPS6228871U (ko) * 1985-07-31 1987-02-21
JPH069198B2 (ja) * 1990-03-29 1994-02-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3265262B2 (ja) * 1998-05-22 2002-03-1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129774A (ja) 1984-07-26
KR840006437U (ko) 198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2241A (en) Contactor for electric part
US4676579A (en) Compliant terminal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US4867708A (en) Electric jack
KR890003938Y1 (ko)
US5106329A (en) Socket contact
US5019741A (en) Brush holder device for electric motor
CA2012453A1 (en) Self-resetting push switch
KR890702420A (ko) 개량된 콘택트 단자를 구비한 칩 캐리어 소켓(chip carrier socket)
KR100629751B1 (ko)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JPS5918834B2 (ja) 接点ばね−端子盤
KR930005622Y1 (ko) 코넥터
US4493526A (en) Jack
KR960016011A (ko) 전기 터미날
KR880004604A (ko) 콘넥터
KR870001350Y1 (ko) 재크
KR910007187A (ko) 피봇형 전기 콘택트
US4936793A (en) Locking device for connector
KR920008724Y1 (ko) 재크
US3077523A (en) Electrical sockets
KR920017148A (ko) 푸시버튼 스위치
JP3654304B2 (ja) ノイズ吸収装置
JPH047589Y2 (ko)
KR960702684A (ko)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KR100322055B1 (ko)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