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944B1 -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944B1
KR870000944B1 KR1019850008516A KR850008516A KR870000944B1 KR 870000944 B1 KR870000944 B1 KR 870000944B1 KR 1019850008516 A KR1019850008516 A KR 1019850008516A KR 850008516 A KR850008516 A KR 850008516A KR 870000944 B1 KR870000944 B1 KR 87000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needle
cam
t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135A (ko
Inventor
김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양
서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양, 서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양
Priority to KR101985000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44B1/ko
Publication of KR87000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편직되는 이중공기층을 가진 3겹턱크 환편직물의 일부 단면을 약시한 단면예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요부를 약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캠의 정면도
(b)도는 편침의 작동상태 예시도
(c)도는 각 급사구로부터 편직되는 상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표포 (C-2) : 이포 편성용캠
M : 중간사층 (C-3) : 턱크용 캠
B : 이포 (f-1) : 제1급사구
T : 턱크부 (f-2) : 제2급사구
(1) : 표포편직용 면사 (f-3) : 제3급사구
(2) : 이포편직용 면사
(n-1) : 표포편직용 1단식 하침(하부편침 즉 실린더 편침)
(3) : 중간사층 M을 구성하는 제전성 합성 섬유사
(n-2) : 이포편직용 1단식 상침(상부편침 즉 다이알편침)
(4) : 상부공기층 (n-3) : 턱크용 2단식 편침
(5) : 하부공기층 (C-1) : 표포 편성용캠
본 발명은 특허 제16700호(특허공보 제862호 제151면 내지 152면)의 “공기층을 내포한 3중턱크(TUCK)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환편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특허에서는 표포 S와 이포 B를 각각 면사로 편직하고 중간사층 M을 합성섬유사로 구성함으로서 이들 3겹포층 중에는 상하 2중의 공기층(4)(5)형성하고 이 3겹포층 양단에는 표리포 S, B를 중간사층 M을 구성하는 합성섬유사 (3)으로 턱크시켜서 단일층화된 턱크부 T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한 2개층의 공기층으로 인하여 보온성을 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리포 S, B 는 면사로 구성되어 있어 정전기 발생이 없고 흡수성이 좋아 매우 위생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턱크부 T는 종래의 일체화된 닛트부에 비하여 외관상 눈에 잘 나타나 보이지 않음과 동시에 닛트부처럼 많은 주름살을 나타나게 하지도 않아 외관면에서도 상품적 가치를 매우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었다. 상기 특허에서 중간사층 M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섬유사는 표리포층 S, B를 구성하는 면사의 강도상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나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특히 세탁시의 마찰에 의하여 턱크부 T에 있어서 환편직물 표면상에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비교적 많은 필림의 발생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 중간사층 M이라함은 합성섬유사(3)의 측방으로 인접배열되어 구성된 층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세탁시의 마찰에 의한 중간사층의 합성섬유사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특허공보 제991호 제165면 내지 168면에 게재된 바와 같은 캠장치가 알려지고 있는바,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공보에는 “종래는 분리된 캠에 의해 침들이 인내될 수 있는 비직선가이드 홈을 구성하고 이 가이드 홈의 끝부분은 각 캠이 경사면을 갖음으로서 가이드홈이 둘다 동일한 “
Figure kpo00001
”모양이나 본 고안의 캠은 저1급사 장치에서는 분리된 각캠에 의해 비직선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이 가이드홈의 끝부분은 각 캠이 평면과 경사면을 갖음으로서 가이드 홈이 “
Figure kpo00002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제2급사장치에서도 분리된 각 캠에 의해 비직선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이 가이드홈의 끝부분은 각 캠이 평면과 경사면을 갖도록 하되 평면의 기장의 것보다 짧게 해줌으로서 가이드홈이 “
Figure kpo00003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환편기의 작동시에 전개한 바와같이 구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실린더 침이 이동할 때 실린더침의 끝단은 각각 “
Figure kpo00004
”모양과 “
Figure kpo00005
”모양을 구성하게 된다.
또 제1급사 장치에서는 다이알침에 걸림과 아울러 특정 실린더 침에만 걸리는 내측용 면사를 공급함과 동시에 다이알침의 하단에 중간섬유를 공급하여 특정실린더침이 내측용 면사를 걸때에 중간섬유를 동시에 결속시키도록 구성한다.
또 제2급사 장치에서는 다수의 실린더침에 걸림과 아울러 특정 다이알침에만 걸리는 외측용 면사를 공급함으로써 이것은 다수의 실린더침에 의해 루우프를 형성하고 특정 다이알침에 의해서도 루우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진기한 결속 부위와 연결되는데 이부분 연결부에서 명백히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합연결부에는 제품에서 일정간격으로 연속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캠의 작용에 의해 생산되는 3중보온 편직물은 중간섬유를 일차적으로 내측용면사에 등간격으로 결속하고 이를 제차 외측용 면사와 등간격으로 연속 결합되어 있어 중간섬유가 빠지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일이 없고 외형이 장시간 보존될 수 있어서 신축성과 보온성이 향상됨은 물론 촉감이 우수한 내의용 3중 보온 편직물을 얻을 수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어 이 경우에는 중간사층(중간섬유)를 외층사와 내층사에 각각 교호로 루우프상으로 결속시킨 결속부를 구성함으로서 중간사층의 실이 세탁시의 마찰에 의하여 외층(표포)나 내층(이포)의 표면 밖으로 노출(필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특수형의 캠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바, 따라서 그 제조방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결소부가 여러 곳에서 비교적 많이 형성됨으로써 그만큼 이중 공기층이 형성되는 면적이 감소됨으로서 포지전체면에서 볼 때 보온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또한 캠을 특수형으로 개사 조용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중공기층을 가진 3겹환편직물을 용이하게 편직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구성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고하면서 한가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발명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캠장치는 표포 편성용캠(C-1)과 이포 편성용캠(C-2)와 턱크용 캠(C-3)으로 캠장치를 요부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들 캠은 상기의 특허공보에서 공지인 것으로 기재된 종래형의 것들인바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제1급사구(f-1)를 통하여 공급된 면사(1)을 1단상침(n-1)전침이 표포편직용캠(C-1)을 타서 면사(1)로 표포 S를 편직하고 한편으로는 제2급사구(f-2)를 통하여 면사(2)를 1단하침(n-2)전침이 이포 편성용캠(C-2)을 타고 면사(2)로 이포 B를 편직하게하며 이 사이에 한편으로는 중간사층 M을 구성하는 제전성 합성섬유사 (3)을 제3급사구(f-3)를 통하여 공급하여 2단식편침(n-3)이 턱크용 캠(C-3)을 타고 표포 S와 이포 B를 제전성합성섬유사(3)으로 턱크시켜서 일체화된 턱크부 T를 편성시키고 이와같은 작업과정을 반복 실시함으로서 각 턱크부 T 사이에 2중공기층(4)(5)가 형성된 3중환편 메리야스 편직을 연속적으로 쉽게 편직해 나갈 수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형의 캠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전성 합성섬유사를 간단하고 점유면적이 극소화한 조건하에서 턱크시킴으로서 중간사층이 표리포 표면에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보온성이 높은 이중공기층을 가진 3겹환편직물을 제조할 수가 있었다.
또한 본건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설계변경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턱크부 T는 별도 자카아드기와 연결하여 턱크부 T를 자카아드 무늬화 시킬 수도 있는바 이는 이미 본발명자들에 의하여 선출원 공개한 바 있다.

Claims (1)

  1. 먼저 제1급사구(f-1)를 통하여 공급된 면사(1)을 1단상침(n-1)전침이 표포편직용캠(C-1)을 타서 면사(1)로 표포 S를 편직하고 한편으로는 제2급사구(f-2)를 통하여 공급된 면사(2)을 1단하침(n-2)전침이 이포편성용캠(C-2)을 타고 면사(2)로 이포 B를 편직하게 하며 이 사이에 한편으로는 중간사층 M을 구성하는 제전성 합성섬유사(3)을 제3급사구(f-3)를 통하여 공급하여 2단식 편침(n-3)이 턱크용 캠(C-3)을 타고 표포 S와 이포 B를 제전성합성섬유사(3)으로 턱크시켜서 일체화된 턱크부 T를 편성시키고 이와같은 작업과정을 반복 실시하도록 구성된 환편직물의 제조방법.
KR1019850008516A 1985-11-14 1985-11-14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KR87000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516A KR870000944B1 (ko) 1985-11-14 1985-11-14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516A KR870000944B1 (ko) 1985-11-14 1985-11-14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944B1 true KR870000944B1 (ko) 1987-05-11
KR870005135A KR870005135A (ko) 1987-06-04

Family

ID=1924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516A KR870000944B1 (ko) 1985-11-14 1985-11-14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9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135A (ko) 198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46465B2 (ja) 構造的に編成された織物状布帛
US3910075A (en) Warp knit elastic fabric
US3964277A (en) Weft knit fabric with deflected inlaid yarn
US6715324B2 (en) Method of knitting stripe pattern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he knitted fabric
IT9021148A1 (it) Articoli di maglieria a felpa o a pelo e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per la loro fabbricazione.
TW522187B (en) Seamless warp knit fabric, production of seamless warp knit fabric, and garment using seamless warp knitted fabric
US3338071A (en) Seamless hosiery he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4150554A (en) Panty hose with elastic waist band
US3864944A (en) Method for making a double faced warp knit fabric
US5765401A (en) Knitting machine for construction of elastic fabric
JP2001123361A (ja)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よる柄入り立体成形物及びその編成方法
KR100239333B1 (ko) 리브편성방법
US4499742A (en) Crew sock with nonroll selvage top
GB2140469A (en) A method of producing non-unravelable terminal edges on pieces of knitted work
Hong et al. The development of 3D shaped knitted fabrics for technical purposes on a flat knitting machine
US4513589A (en) Sock with simulated lace edge and method
US3003343A (en) Knit simulated lace
KR870000944B1 (ko) 환 편직물의 제조장치
US2616275A (en) Method of making fashioned weft knit fabric
US3757540A (en) Double faced warp knit fabric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3142164A (en) Knit ornamented fabric
US6722164B1 (en) Elastic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434310A (en) Tubular warp-knit stockings having a mock seam
JPS6011117Y2 (ja) 丸編地
JPS635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2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