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730B1 - 단일 제어 혼합기 - Google Patents

단일 제어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730B1
KR870000730B1 KR1019840003259A KR840003259A KR870000730B1 KR 870000730 B1 KR870000730 B1 KR 870000730B1 KR 1019840003259 A KR1019840003259 A KR 1019840003259A KR 840003259 A KR840003259 A KR 840003259A KR 870000730 B1 KR870000730 B1 KR 87000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mixing chamber
hot water
cold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498A (ko
Inventor
니콜라이치크 한스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스탠다아드 인코포레이팃드
프레데릭 다불류 쟈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스탠다아드 인코포레이팃드, 프레데릭 다불류 쟈퀘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스탠다아드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to KR101984000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730B1/ko
Publication of KR86000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5Handles for single handle mix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일 제어 혼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제어 혼합기의 단면도.
제2도는 가동원반의 저면도.
제2a도는 고정밸브 시이트 원반의 평면도.
제3-13도는 고정밸브 시이트 원반의 저면도들로서, 점선으로 나타낸 가동원반의 각종 작동위치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3도는 폐쇄위치, 제4-7도는 열수위치, 제8-12도는 혼합수위치, 제13도는 냉 수위치를 나타내며, 가동원반의 각종 작동위치들이 45°(제3도) 및 0-90°(제4-13도) 각도로 표시되어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카트리지 6, 7 : 원반
8, 8' : 연결튜브 13 : 조절레버
14 : 혼합실 20 : 요홈부
21, 22 : 도입구 23 : 배출구
25 : 조절연부 27 : 밀봉면
28 : 홈
본 발명은 조절 요소들을 가진 단일제어 위생혼합기 즉, 혼합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조절 요소들은 적어도 2개의 원반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원반은 고정밸브 시이트 원반으로 작용하고, 냉수 및 열수용의 2개 도입구와 하나의 배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하나의 원반은 상기 고정밸브 시이트원반 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혼합실을 가지고 있고, 그 혼합실은 밸브시이트 원반의 도입구들과 배출구를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하게 연결시키는데 충분한 치수를 가진다.
열적으로 혹은 수압적으로 제어되는 순간 가열기들과 연결하여 혼합기를 작동시킬 때, 그 가열기가 어떤 최소한의 흐름량을 요함에 따라 통상의 혼합수 온도 범위에서는 가끔 전환(스위칭) 착오가 일어난다. 이러한 최소의 흐름량이 유지되지 않으면 가열기들은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정지된다. 이런 형식의 종래의 혼합기의 경우에는 전환 착오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데, 그것은 흐름단면이 비교적 좁아 혼합작동중에 작동레버의 비교적 적은 운동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열수쪽에서는, 특히 열수의 압력이 냉수의 압력만큼 높지 않기 때문에 작동레버가 약간 이동하여도 최소의 흐름량이 즉시 유지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우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순간가열기들과 연결하여 신뢰성있게 작동하는 단일 제어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소위 안락한 영역을 구성하는 보통의 혼합수 온도범위에서, 즉, 작동레버의 대응하는 중간 위치에서는 혼합실이 냉수용 도입구의 자유흐름 단면적을 열수쪽의 경우보다 더 큰 정도로 감소시키게 하는 구조로 되도록 고정원반의 대칭적인 구멍형태에 대하여 비대칭 형태인 혼합실을 가동원반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도입구들은 직선연부와 곡선연부를 가진 타원형 비슷한 장방형 형태로 되어 있고, 혼합실의 윤곽선, 즉 조절연부들은 냉수용 도입구 영역에서는 이 도입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동원반의 혼합실은, 혼합중에 열수의 흐름 단면적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넓게 개방되어 있으나 냉수용 흐름단면은 상당히 감소되도록, 고정밸브 시이트원반이 도입구들에 상대적으로 배치 및 설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잇점 및 특징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단일 제어혼합기(1)가 도시되어 있고, 그의 밸브몸체(4) 내에는 카트리지(5)가 2개의 원반(6,7) 형태의 조절 요소들과 함께 배치되어 있다. 원반(6)에 요홈부(20)(제3도 참조)이 형성되고, 그 요홈부가 카트리지의 대응하는 플랜지(20')와 맞물려 그 원반(6)을 고정적으로 설치한다. 원반(6)은 열수용 도입구(21) 및 냉수용 도입구(22), 그리고 배출구(23)를 가지고 있고, 배출구(23)는 타원형이고 출구(10)에 연통하여 있다. 그 원반(6)은 고정밸브 시이트 원반으로 작용한다. 도입구(21,22)는 곡선연부(17)와 직선연부(16)를 가진 타원형 비슷한 장방형 형태로 되어 있다. 원반(7)은 밸브시이트 원반(6) 위에 배치되고, 조절레버(13)에 의해 원반(6) 위에서 수평으로 이동된다. 조절레버(13)는 작동레버(12)에 연결되어 있고 원반(7)의 홈(28)에 결합되어 있다. 작동레버는 흐름양을 조절하는 일면(예를 들면, 상하방향)과 열수와 온수의 흐름비율을 조절하는 다른 일면(예를 들면, 회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가동) 원반(7)은 혼합실(14) 형태의 공동부를 가지고 있고, 혼합실(14)은 고정밸브 시이트원반(6)을 향해 열려 있고, 혼합 및 흐름안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혼합실(14)는 제3-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구(21, 22) 및 배출구(23)와 가변적인 정도로 연통될 수 있다. 열수 및 냉수도입구(21, 22)는 연결튜브(8, 8')에 각각 연결된다. 사용시, 튜브(8)는 순간 가열기에 연결된다. 가동원반(7)에는 두꺼운 단부(19)를 가진 돌기 (18)(제2도 참조)가 설치되고, 단부(19)는 카트리지(7)의 케이싱 내측벽의 평행리브들(도시 안됨) 사이에서 안내된다.
제3-13도에서 더 명백한 바와 같이, 혼합실(14)은 소위 안락한 영역을 이루는 보통의 혼합수 온도범위에서, 즉 작동레버(12)의 중간 위치들에서는 혼합실(14)이 냉수용 도입구(22)의 자유 흐름 단면을 열수측의 경우보다 더 큰 정도로 감소시키도록 하는 형상으로 고정밸브 시이트 원반(6)의 대칭의 도입구 및 배출구(21, 22 및 23)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혼합실(14)의 윤곽선, 즉 조절연부(2 4,25)는 도입구(22)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으로 연장한다.
더 상세하게 제2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혼합실(14)은 열수 도입구에 겹칠 수 있는 좌측 연부가 그 도입구의 긴 길이방향으로 대체로 나란하고 냉수 도입구에 겹칠 수 있는 우측 연부는 절삭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통의 혼합수 온도범위, 즉 작동레버(12)의 중간위치에서 열수용 자유 흐름단면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동시에 냉수측에서는 자유 흐름단면이 상당히 감소된다. 이는 이동가능한 원반(7)의 밀봉면(27)이 제8-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양만큼 도입구(22)를 덮기 때문이다. 도입 및 배출구들(21, 22, 23)은 가동원반(7)의 피봇트 축을 이루는 축(제3도에서 45°로 나타낸 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밸브의 각기 다른 작동위치들이 제3-1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혼합실(1 4)이 도입구들(21, 22) 어느 것에도 겹치지 않고 원반(7)의 밀봉면(27)이 그 도입구들을 덮는 폐쇄상태를 나타낸다. 제4도는 열수만이 혼합실을 통하여 배출구 (23)로 흐를 수 있도록 열수 도입구(21)가 혼합실(14)에 겹쳐있는 원반(7)의 일극단 피봇트위치(0°로 나타냄)를 나타낸다. 작동 레버가 냉수 도입구를 점차적으로 열어 열수와 냉수의 흐름비율을 변경시키기 위해 피봇트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5도, 6도, 7도, 8도, 9도의 각도 위치를 통과한다. 그들 위치에서는, 혼합실(14)의 독특한 형태에 기인하여 냉수도입구는 차차로 개방되기 시작하지만, 열수 도입구는 완전히 또는 거의 개방되어 있는다.
제10도-12도와 같이 계속 피봇트 운동함에 따라, 열수 흐름단면은 점차로 감소하고 냉수 흐름단면은 점차 증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혼합실(14)의 비대칭 구조에 의해 도입구(21)로부터의 열수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는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6, 7)이 최대 냉수 흐름위치에 있을 때도, 조절연부(24)에 의해 약간의 열수가 도입구(21)로부터 혼합실(14)로 흐르게 된다.
그리하여, 최소한의 열수흐름이 유지되기 때문에, 열적으로 또는 수압적으로 조절되는 순간 가열기들이 잘못하여 정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체이동 범위중 대부분(0°-55°위치)에서는 열수 도입구의 흐름 단면적이 냉수의 것보다 커서, 가열기를 정지시킬 정도까지 열수흐름을 부주의하게 감소시킬 위험없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혼합실(14)이 열수 도입구(21)에 완전히 또는 상당히 겹치는 위치들을 가질 수 있고 그러한 위치들(제4도-10도)에서 혼합실이 냉수 도입구(22)의 적은 흐름 단면에만 겹치기 때문에, 소위 “안락한 영역” 및 작동레버의 중간 위치들에서의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도시되고 기술된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그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이는 도입구들에 대한 혼합실의 상대적인 구조 및 배치에 관한 것과 같이 다른 변형 및 개조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안락한 영역”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대략 35℃-45℃ 사이의 혼합수 온도범위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안락한 영역내에서는 작동레버의 비교적 큰 운동량에서도 혼합수 온도의 변화가 비교적 적다.

Claims (2)

  1. 밸브 몸체내에 설치되는 조절 요소들은 적어도 2개의 원반들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 한 원반은 고정 밸브 시이트 원반으로 작용하고, 냉수 및 온수용의 2개의 도입구들과 하나의 배출구를 가지며, 다른 하나의 원반은 상기 밸브시이트 원반 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혼합실을 가지고 있으며, 그 혼합실은 상기 밸브 시이트 원반의 도입구들과 배출구를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연결하는데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는 단일 제어혼합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원반(7)의 상기 혼합실(14)은, 밸브의 온도조절 범위의 중간부분에서는 열수 도입구(21)의 자유 흐름단면이 냉수 도입구(22)의 것보다 크고, 냉수 도입구(22)의 흐름단면을 줄일 때 냉수의 흐름이 크게 감소되어도 열수의 흐름은 크게 변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상기 고정원반(6)의 도입구들(21, 22) 및 배출구(23)의 대칭형상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제어혼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들(21, 22)이 곡선연부(17)와 직선연부(16)를 가지는 타원형 비슷한 장방형으로 되어 있고, 냉수용의 상기 도입구(22)에 인접한 상기 혼합실(14)의 조절연부(25)가 상기 도입구(2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는 단일 제어혼합기.
KR1019840003259A 1984-06-11 1984-06-11 단일 제어 혼합기 KR87000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3259A KR870000730B1 (ko) 1984-06-11 1984-06-11 단일 제어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3259A KR870000730B1 (ko) 1984-06-11 1984-06-11 단일 제어 혼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498A KR860000498A (ko) 1986-01-29
KR870000730B1 true KR870000730B1 (ko) 1987-04-09

Family

ID=1923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259A KR870000730B1 (ko) 1984-06-11 1984-06-11 단일 제어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7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498A (ko) 198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3781A (en) Sanitary single-control mixer fitting
US4617965A (en) Control insert for sanitary mixer valves
US4796666A (en) Sanitary single-handle mixing valve
US4346735A (en) Water faucet and attachment therefor
US2977986A (en) Single-handled valve
JPH01266384A (ja) 恒温混合弁
KR930003049B1 (ko) 위생 혼합 밸브
RU2099620C1 (ru) Смесительный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 с шаровым клапаном
JP4681945B2 (ja) 湯水混合栓
JP3183835B2 (ja) 改良流動率と取つ手操作を有するボール弁水栓
US4056124A (en) Fluid mixing valve for supplying controllable proportions of two inlet fluids from a single outlet
KR930006508B1 (ko) 단일 레버 혼합밸브 조립체
KR870000730B1 (ko) 단일 제어 혼합기
JPH0535250Y2 (ko)
KR920008601B1 (ko) 단일 핸들형 위생 혼합 밸브
US3678961A (en) Mixing valve
US4020871A (en) Single lever mixing valve
JPS6040874A (ja) 湯水混合栓
JPH04145280A (ja) 湯水混合水栓
US2839085A (en) Mixing valve
US4315525A (en) Mixing valve
KR950006695Y1 (ko) 수도꼭지 내장용 싱글-레버식 혼합기 카트리지
JPS6248114B2 (ko)
JPS5932769Y2 (ja) 水栓
US3819148A (en) Diaphragm valve for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