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671B1 -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 Google Patents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671B1
KR870000671B1 KR1019840006679A KR840006679A KR870000671B1 KR 870000671 B1 KR870000671 B1 KR 870000671B1 KR 1019840006679 A KR1019840006679 A KR 1019840006679A KR 840006679 A KR840006679 A KR 840006679A KR 870000671 B1 KR870000671 B1 KR 87000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transistor
capacitor
voltage
re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641A (ko
Inventor
배명운
Original Assignee
신영전기 주식회사
구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전기 주식회사, 구자원 filed Critical 신영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4000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671B1/ko
Publication of KR86000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주회로도.
제2도는 VA전압파형.
제3도는 VB전압파형.
제4도는 본 발명의 동작 특성관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P1, OP2, OP3, OP4는 OP앰프(연산증폭기)
BD1, BD2, BD3, BD4는 브리지다이오드
R1-R22는 저항
C1-C6는 콘덴서
ZD1, ZD2, ZD3, ZD4는 제너다이오드
VR1, VR2, VR3, VR4, VR5는 가변저항
Q1, Q2, Q3, Q4는 트랜지스터
Q5, Q6, Q7, Q8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단접합 트랜지스터
Q9, Q10, Q11, Q12는 다이리스터
VA는 제어전원전압
VB는 센서전압
본 발명의 회로 차단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선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선정된 시간내에 회로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 있는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과전류 계전기는 회로 차단기에 내장되어 RST3상 선로를 주접점으로 하는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OP1)(OP2)(OP3)(OP4)의 -입력단자에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BD1)(BD2)(BD3)(BD4)와 저항(R6)(R7)과 콘덴서(C2)(C3)가 연결되고, 입력단자에는 저항(R1)(R8)(R13)(R18)과 제너다이오드(ZD1)(ZD2)(ZD3)(ZD4)가 각각 연결되어 그들의 출력측은 각각 저항(R2)(R9)(R14)(R19)과 저항(R3)(R10)(R15)(R20)를 통해 트랜지스터(Q1)(Q2)(Q3)(Q4)의 베이스에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한 트랜지스터(Q1)(Q2)(Q3)(Q4)의 콜렉터에는 저항(R4)(R5), 가변저항(VR1), 콘덴서(C1)으로 구성되는 충전회로와 저항(R11)(R12),3 4 16 17 4 5 21 22 5 6 5 6 7 8 9 10 11 12 1 6 7 2 5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도에서 보면 RST 3상선로에서 변류기(CT1)(CT2)(CT3)를 거쳐 다운되고 또 다시 변류기(CT4)(CT5)(CT6)를 거쳐 재차 다운되어 들어온 신호는 브리지 다이오드(BD1)(BD2)(BD3)를 거쳐 최대 전류로 검출된다.
이렇게 검출된 최대 전류는 전압으로 변환되고 분할되어 각 OP앰프(OP1)(OP2)(OP3)(OP4)의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각각 그의 +입력단자의 제너전압과 비교된다. 즉, 저항(R1)(R8)(R13)(R18)을 거치는 동안 규정된 전류에 따라 각 제너다이오드(ZD1)(ZD2)(ZD3)(ZD4)가 동작하여 일정한 제너전압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OP앰프(OP1)(OP2)(OP3)(OP4)에서 비교되어 그의 출력이 "하이"나 "로우"가 된다. 즉, 각 제너전압이 센서전압(VB)보다 크면 각 OP앰프의 출력은 최대가 되며 반대로 각 제너전압이 센서전압(VB)보다 작으면 각 OP앰프의 출력은 "로우"
각 OP앰플의 출력은 저항(R2)(R9)(R14)(R19)를 거쳐 트랜지스터(Q1)(Q2)(Q3)(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각 트랜지스터(Q1)(Q2)(Q3)(Q4)를 "온, 오프"시키게 된다. 즉, OP앰프의 출력이 최대가 되면 각 트랜지스터(Q1)(Q2)(Q3)(Q4)는 "온"되며 OP앰프의 출력이 "로우"가 되면 각 트랜지스터(Q1)(Q2)(Q3)(Q4)는 "오프"된다.
한편 정상 전류가 선로에 흐르게 되면 각 OP앰프(OP1)(OP2)(OP3)(OP4)의 +입력단자의 제너다이오드가 "오프"되어 각 제너전압은 ∞가 되고 각 OP앰프(OP1)(OP2)(OP3)(OP4)의 출력은 항상 최대가 되어 각 트랜지스터(Q1)(Q2)(Q3)(Q4)는 "온"되어 콘덴서(C1)(C4)(C5)(C6)에는 충전전류가 하나도 없게 된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단접합 트랜지스터(Q5)(Q6)(Q7)(Q8)가 "오프"되면서 다이리스터(Q9)(Q10)(Q11)(Q12)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트립코일에는 전원이 인가가 안되어 주접점은 "온" 상태에 있게 된다.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과전류에 해당하는 미리 선정된 제너다이오드(ZD1)(ZD2)(ZD3)(ZD4)가 동작하는데 각 제너다이오드의 값은 과전류에 대해 해당 OP앰프가 동작되도록 적정하게 선정한다. 결국 각 제너다이오드의 전압과 저항(R6)와 저항(R7)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가 비교되어 순시 전류에서는4 3 1 2
장한시 전류가 흐를 경우 그 신호를 감지하여 OP앰프(OP1)이 동작하면 트랜지스터(Q1)은 "오프"되고 (왜냐하면 OP1의 출력은 "로우"이므로) 전류는 저항(R4)(R5)와 가변저항(VR1)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되기 시작하고, 그 충전되는 시간은 저항(R4)(R5)와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1)의 값에 따르며 콘덴서(C1)의 전압은 지수함수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콘덴서(C1)의 전압이 점차 상승하면서 단접합트랜지스터(Q5)의 애노드에 인가되고 그의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과 비교하여 단접합트랜지스터(Q5)의 게이드 전압보다 그의 애노드 전압이 높아지면 단접합트랜지스터(Q5)는 도통되어 이 신호는 다이리스터(Q9)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다이리스터(Q9)은 "온"되어 트립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이 트립코일의 동작에 의해 주접점은 "오프"된다.
이 회로에서 가변저항(VR1)에 의해 트리핑 시간이 조절 가능하게 되며 가변저항(VR2)에 의해 또한 트리핑 시간이 조절가능하게 된다. 가변저항(VR2)에 의한 트리핑시간 조정은 단접합트랜지스터(Q5)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조정으로 전체적인 트리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이오드(D2)는 콘덴서(C1)에 충전된 전하의 방전을 돕는 바이패싱 다이오드이다. 이 다이오드(D2)에 의해 회로는 트리핑후 리세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좀 더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OP앰프(OP1)(OP2)가 "로우"로 떨어지게 되고 OP앰프(OP3)(OP4)는 최대의 상태로 남아 있게 되어 트랜지스터(Q1)(Q2)는 "온"되며 트랜지스터(Q3)(Q4)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저항(R4)(R5), 가변저항(VR1), 콘덴서(C1)으로 구성되는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되는 부분과 저항(R11)(R12), 가변저항(VR3), 콘덴서(C4)로 구성되는 충전회로가 동작을 하게 되며 아때 저항(R11)(R12), 가변저항(VR3), 콘덴서(C4)로 구성되는 충전회로의 시상수가 작으므로 콘덴서(C4)의 충전 속도가 빨라 단접합트랜지스터(Q6)의 애노드전압은 더 빨리 상승하게 되며 결국 더 빠른 시간에 다이리스터(Q10)을 "온"되어 트립코일을 동작시켜 주접점을 "오프"시킨다.
또한 선로에 과전류가 커지게 되면 저항(R7)에 걸리는 전압(VB)는 점점 커지게 되며 제너다이오드(ZD3)에 걸리는 전압보다 커지게 되면 OP앰프(OP3)는 "로우"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된다.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면 그 순간부터 저항(R16)(R17), 가변저항(VR4), 콘5 5 5 7 7""11""""""
순시동작 모우드에서는 전압(VB)가 제너다이오드(ZD4)의 전압보다 크게 되므로 OP앰프(OP4)가 "로우"로 되어 트랜지스터(Q4)를 "오프"시킨다.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면 저항(R21)(R22), 가변저항(VR5), 콘덴서(C6)로 구성되는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을 개시하고 그 시간은 앞의 저항값과 콘덴서 값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콘덴서(C6)의 충전전압이 단접합트랜지스터(Q8)의 게이트전압과 같게 되면 "온"되면서 다이리스터(Q12)이 "온"되어 트립코일이 "온"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OP앰프(연산증폭기)를 비교기로서 사용하여 선로의 과전류의 값을 감지하여 그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가 "온, 오프"되어 트리거 회로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뢰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한 정지식 과전류 계전류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각 스테이지(stage)에 주어진 가변저항의 값은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트리핑시간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트리핑 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어 전원전압(VA) 값에 충전 속도가 영향을 받아 트리핑타임

Claims (1)

  1. RST 3상선로를 주접점으로 하는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OP앰프(OP1)(OP2)(OP3)(OP4)의 입력단자에는 브리지 다이오드(BD1)(BD2)(BD3)(BD4)와 저항(R6)(R7)과 콘덴서(C2)(C3)가 연결되고, +입력단자에는 저항(R1)(R8)(R13)(R18)과 제너다이오드(ZD1)(ZD2)(ZD3)(ZD4)가 각각 연결되어 그들의 출력측은 각각 저항(R2)(R9)(R14)(R19)과 저항(R3)(R10)(R15)(R20)를 통해 트랜지스터(Q1)(Q2)(Q3)(Q4)의 베이스에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한 트랜지스터(Q1)(Q2)(Q3)(Q4)의 콜렉터에는 저항(R4)(R5), 가변저항(VR1), 콘덴서(C1)으로 구성되는 충전회로와 저항(R11)(R12), 가변저항(VR3), 콘덴서(C4)로 구성되는 충전회로와 저항(R16)(R17), 가변저항(VR4), 콘덴서(C5)로 구성되는 충전회로와 저항(R21)(R22), 가변저항(VR5), 콘덴서(C6)로 구성되는 충전회로를 각각 연결하고, 여기에 프로그램이 가능한 단접합트랜지스터(Q5)(Q6)(Q7)(Q8)와 다이리스터(Q9)(Q10)(Q11)(Q12)를 연결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KR1019840006679A 1984-10-26 1984-10-26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KR87000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6679A KR870000671B1 (ko) 1984-10-26 1984-10-26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6679A KR870000671B1 (ko) 1984-10-26 1984-10-26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41A KR860003641A (ko) 1986-05-28
KR870000671B1 true KR870000671B1 (ko) 1987-04-04

Family

ID=1923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679A KR870000671B1 (ko) 1984-10-26 1984-10-26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6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41A (ko) 1986-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3802A (en) Static switch
US4429339A (en) AC Transistor switch with overcurrent protection
US4442472A (en) Solid state trip circuit with digital timer
EP0421204A2 (en) An overcurrent protection apparatus
US4091434A (en) Surge current protection circuit
US4571659A (en) Static overcurrent trip device to operate a circuit breaker in response of fault conditions in an alternating current net system
US3341763A (en) Output control for permanent magnet alternators
US4038695A (en) Static trip unit for circuit protective devices
US4019096A (en) Current limiting apparatus
US4271447A (en) Power supply for circuit breaker static trip unit
US3480834A (en) Miniature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having separate voltage sensing and time delay circuits
US4603367A (en) Power supply for overcurrent circuit trip system
US4240123A (en) Power breaker system
US3602771A (en) Solid state de-energizer having current sensing loops
US4819125A (en) Overcurrent detector
US3573555A (en) Time delay extender for static relays
US4656554A (en) Shunt arrangement with power overload protection by a voltage responsive bidirectional switch
US3988641A (en) Phase breakdown- and null current-detector, especially for an electronic motor protection relay possessing current-dependent triggering
KR870000671B1 (ko) 정지식 과전류 계전기
US4035704A (en) Field weakening sensor circuit
US5019936A (en) Voltage-to-frequency squared circuit
US3582982A (en) Electronic motor overload relay control system
JP3335838B2 (ja) 回路遮断器
GB2140633A (en) Load tripping circuits
JPS58364Y2 (ja) 回路しや断器の引外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7000666; OPPOSITION DATE: 19870603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