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190Y1 - 강하장치 - Google Patents

강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190Y1
KR870000190Y1 KR2019840008169U KR840008169U KR870000190Y1 KR 870000190 Y1 KR870000190 Y1 KR 870000190Y1 KR 2019840008169 U KR2019840008169 U KR 2019840008169U KR 840008169 U KR840008169 U KR 840008169U KR 870000190 Y1 KR870000190 Y1 KR 870000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king
disk
steel wir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487U (ko
Inventor
사부로 엔도
Original Assignee
송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이 filed Critical 송순이
Priority to KR2019840008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190Y1/ko
Publication of KR860002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제2도는 동 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장착 벨트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X-X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5도는 수납용 강선이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동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4 : 디스크
6,7 : 제동부재 10 : 링크장치
30 : 장착벨트 35 : 강선
본 고안은 예를들면 빌딩 등의 높은 곳으로 부터 탈출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며, 특히 신뢰성이 높고 휴대하기에 편리한 소형의 강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강하장치는 예를들면 빌딩화재시에 빌딩으로 부터 뛰어내린 사람이 지면과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강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며, 종래 장치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소 제52-51200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가 있다.
전자에 있어서는 강하구 본체에 강선을 권회하고, 또한 이 강하구에 좌승구(座乘具)나 브레이크부를 부착하여서 구성되며, 또한 강하구 본체의 외형이 100mm 정도이기 때문에 상시 휴대하기에는 부적당하며, 더구나 강선과 강하구 본체와의 마찰 저항을 강하제동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강선의 손상에 의한 추락의 위험이 있으며 또한 사용하는 사람의 체중의 차이에 따라 스스로 적절한 제동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그 신뢰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또 후자에 있어서는 강선이 권회되어 있는 강선 권취륜의 회전을 탈출하는 사람 스스로가 손잡이나 안전나사를 통해 규제함으로써 강하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매우 대형으로 되어 상시 휴대할 수 없고 더구나 탈출하는 사람의 힘이 빠졌을 경우에는 강하가 어렵게될 뿐만 아니라 추락의 위험도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강하하는 사람의 체중이 다르드라도 스스로 적절한 강하 속도를 얻을 수 있고 더우기 상시 휴대에 적합한 소형화된 강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레임에 회동자재로 지지된 디스크와 이 디스크의 양단면을 협지하듯이 억압하여 디스크를 제동하며 요동자재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한쌍의 제동부재와 한 쌍의 제동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 변위시키는 링크장치와, 이 링크장치에 결합된 장착벨트와 중간부가 상기 디스크의 원주면에 권회된 소정길이의 조체(條體)의 일단을 고정하여 매달었을 때 상기 장착 벨트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상기 링크장치를 통해 디스크 양단면을 제동부재가 억압 협지하여 강하속도를 완화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1은 프레임이며 예를들면 선단에 개구(1A)를 가지며, 중간부분에는 공간부를 협지한 한 쌍의 지지부(2),(3)가 대향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문형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양쪽 지지부(2),(3)에는 핀(5)이 끼워 붙혀져 있고, 양쪽 지지부(2),(3)의 사이에 위치하는 핀(5)에는 디스크(4)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핀(5)의 단면은 지지부(2),(3)의 평면부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 이 디스크(4)는 그 외주면에 홈부(4A)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4)의 양단면을 협지하듯이 억압하여 디스크(4)를 제동하는 한쌍의 제등부재, 예를들면 제1의 제동레버(6) 및 제2의 제등레버(7)가 상기 프레임(1)에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제동레버(6)는 디스크(4)의 한면을 꽉 누르고, 제2의 제동레버(7)는 디스크(4)의 다른 한면을 꽉 누르도록 되어 있으며 각 도면의 표시와 같이 핀(8)을 통해 교차상태로 프레임(1)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양쪽 제동레버(6),(7)는 디스크(4)를 협지하는 방향으로 회동 변위됨으로써 디스크(4)를 제동하는 것이며, 그 때문에 양쪽 제동레버(6),(7)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변위 시키는 링크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링크장치(10)는 핀(11)을 통해 제2의 제동레버(7)에 지지되는 제1의 링크(12), 이 제1의 링크(12)에 핀(1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의 링크(14), 이 제2의 링크(14)에 핀(15)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동부재의 제1제동레버(6)의 고정구멍(22)을 통해 고정핀(21)에 의해 위치 선택되며, 상기 고정핀(21) 타단과 스프링(20)이 수용되는 수용구멍(19)과, 제1제동레버(6)에 링크시키기 위한 핀(16)을 가진 제3의 링크(17)로 이루어진 장치의 사용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의 링크(12),(14),(17)는 제2도에 나타내는 쇄선의 위치에 있고, 상기 고정핀(21)의 선단이 상기 제1의 제동레버(6) 끝부에 형성되어 있는 평평한 지지면(23)에 꼭 눌려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장치(10)에는 핀(12)에 의해 장착벨트(3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장착벨트(30)는 벨트본체(31)가 벨트 본체(31)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핀(13)에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결합된 연결금구(32) 및 벨트 본체(31)의 타단에 결합된 훅크(33)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훅크(33)는 연결금구(32)에 뚫린 연결 구멍(32A)에 삽입된 후 90°회동됨으로써 쉽게 연결금구(32)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본체(31) 내에는 소정길이의 조체, 예를들면 강선(35)이 자유롭게 인출되도록 수납되어 있다.
벨트 본체(31)에서 연장되는 기단부는 연결금구(32)에 고정되고, 벨트 본체(31)에서 연장되는 선단부는 상기 디스크(4)의 홈부(4A)에 대략 2회 권회되며, 개구(1A)를 거쳐서 프레임(1)의 밖으로 연장된다. 이 강선(35)이 연장된 끝 부분에 정지구(36)가 결합되어 있다. 이 정지구(36)는 베이스(37)와 이 베이스(37)상에 수직형성된 한쌍의 잘룩부(38A)(38B)와 그들의 상단부에 고정 배치된 정지블럭(39A),(39B)과 한쪽의 정지블럭(39A)에 끝부가 지지되고 자유단부는 다른쪽 정지블럭(39B)에 자유롭게 연장되어 착탈이 자유로이 되도록 설치된 스프링판을 가지고 구성된다.
상기 잘룩부(38B)에는 강선(35)의 선단이 루프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정지구(36)는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 강하시에 강선(35)의 선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톱퍼(40)를 눌러 이것을 제1도 표시의 화살표 A방향으로 휘어서 변형시키고, 강선(35)의 중간부를 스톱퍼(40)와 정지블럭(39B) 사이에 삽입시켜 베이스(37)와 스톱퍼(40)와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하여 강선(35)으로 루프를 형성하면서 그 루프 내에 발코니의 난간이나 파이프 등을 위치시키면 와이어로프(35)의 선단부의 고정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벨트 본체(31)의 상세한 구조, 특히 강선(35)의 수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벨트 본체(31)는 예를들면 자동차의 안전벨트 등에 사용하는 웨이빙 등으로 이루어진 가요성의 허리띠 형태의 심재(42)를 레자나 합성레자 등으로 구성된 피복재(43)로 피복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벨트 본체(31)의 길이방향에 연하는 중간부에는 상기 강선(35)의 중간부를 수납한다. 수납된 강선(35)의 권회 구조는 제5도의 표시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동일면 내에서 외측으로 부터 내측으로 소정회수 강선(35)을 권회하고, 그 양단부를 유연한 부재, 예를들면 열용융성 필름(45) 등으로 피복하고, 이것을 열 용융후 응고시켜서 권회형태를 보전하도록 한 권회체(46)를 하나의 강선(35)을 가지고 3개를 만들어 구성한다. 이 3개의 권회체(46)는 제4도의 표시와 같이 3층으로 적층되어 피복재(43) 내에 수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훅크(33)와, 착탈가능한 버클(48)이 부착되어 있어서 훅크(33)를 버클(48)에 접합시키므로서 상기 장착 벨트(30)는 의복에 사용하는 밴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빌딩 화재 등의 긴급시에 높은 곳으로 부터 탈출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시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3의 링크(12),(14),(17)는 제2도에 표시한 쇄선의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정지구(36)는 프레임(1)의 개구(1A) 내에 수납되고 프레임(1) 및 링크장치(10)의 외부는 열용융성 필름 등에 의해 피복 고정되고, 이들의 혼입 흡습, 부식의 방지를 도모하는 동시에 강선(35)이 부주의로 인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통상시에 있어서는 의복, 예를 들면, 바지를 고정시키는 밴드로서 사용함으로써 휴대할 수가 있다. 즉, 장착벨트(30)를 바지에 끼우고 버클(48)이 허리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훅크(33)를 이 버클(48)에 걸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착하였을 때 버클본체(31) 내의 강선(35)은 심재(42)의 내측으로 위치하므로 상시 휴대하고 있어도 와이어가 손상되는 일이 방지된다.
다음에 긴급 탈출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장치를 바지로 부터 빼어내고 상기 프레임(1) 및 링크장치(10)를 피복하고 있는 열용융성 필름을 제거하고 프레임(1)의 개구(1A) 내로 부터 정지구(36)를 인출한다. 그리고 제1도의 표시와 같이 정지구(36)의 스톱퍼(40)를 누르고, 이것을 제1도에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휘게하여 강선(35)의 중간부를 스톱퍼(40)와 정지블럭(39B)의 사이에 삽입하여 베이스(37)와 스톱퍼(40)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강선(35)으로 루프를 형성하면서 그 루프내에 발코니의 난간이나 파이프 등을 위치시킴으로서 강선(35) 등의 선단부를 고정한다.
다음에 제6도의 표시와 같이 벨트본체(31)를 강하게, 예를들면 탈출자(P)의 겨드랑 밑으로부터 등으로 돌리고 벨트 본체(31)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금구(32)에 뚫린 연결구멍(32A)에 상기 훅크(33)을 삽입하고 이것을 90°회동시켜서 양자를 결합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탈출시의 장착벨트(30)의 장착이 완료된다.
또한 이때에는 벨트본체(31) 내로 부터 강선(35)을 자유로 인출할 수 있음으로써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2도에 있어서 쇄선의 위치에 있는 제3의 링크(17)를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B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링크장치(10)를 제2도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한다. 그렇게 하면 제3의 링크(17)에 내장되어 있는 고정핀(21)이 제동레버(6) 상의 지지면(23)으로 부터 이탈되고, 상기 고정구멍(22)에 삽입된다.
고정구멍(22)에 삽입된 고정핀(21)은 압축코일스프링(20)에 의해 힘이 가해져 있으므로 고정구멍(22)에서 빠지는 일이 없고, 제3의 링크(17)와 제1의 제동레버(6)가 상대회동이 규제되고, 하나의 링크로서의 기능을 달성한다.
이상의 조작을 완료했을 때 탈출자(P)는 높은 곳으로 부터 강하하게 된다. 이때의 상태는 제6도의 표시와 같다.
강하할 때에는 강선(35)의 선단이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 있어 본 실시예의 장치는 매어달린 상태로 된다. 이때 제1의 제동레버(6)와 제3의 링크(17)는 고정핀(21)을 통해 상대회동이 규제되어 하나의 링크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상기 제2의 제동레버(7), 제1의 링크(12) 및 제2의 링크(14)와 함께 4절(節) 링크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핀(13)에 탈출자(P)의 체중에 기인하는 수직하향의 힘이 장착벨트(30)를 거쳐서 작용되면 상기 핀(13)은 프레임(1)상의 핀(8)(양쪽 제동레버(9),(7)의 회동중심)으로 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고, 제1의 제동레버(6)는 핀(8)을 중심으로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C1) 방향으로 회동되는 힘이 작용되며, 또한 제2의 제동레버(7)는 핀(8)을 중심으로 제2도에 표시한 화살표(C2) 방향으로 회동되는 힘이 작용된다.
이 결과 양쪽 제동레버(6),(7)가 디스크(4)의 양쪽 단면을 억압 협지하여 디스크(4)의 회전이 규제되고, 디스크(4)의 주변을 통해 벨트본체(31)로 부터 인출되는 강선의 인출속도 즉, 탈출자(P)의 강하 속도가 완화되며 탈출자(P)는 서서히, 예를들면 매분 40m 정도로 강하하여 지면에 안전하게 도달할 수가 있다.
이상 상술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는 장착벨트(30)를 통해서 링크장치(10)에 작용되는 수직방향의 힘은 탈출자(P)의 체중에 비례하는 것이므로 양쪽 제동레버(6),(7)를 통해 디스크(4)에 작용되는 제동력은 탈출자(P)의 체중에 비례한 것이 되고 탈출자(P)의 체중의 차이에 불구하고 자동적으로 적정한 제동력이 작용되며, 항상 안전한 속도로 강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동은 탈출자의 조작에 따라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탈출자의 힘이 쇄진으로 인해 추락하는 위험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양쪽 제동레버(6),(7)는 손가락으로 협지하여 눌르므로써 디스크(4)의 제동력을 미세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장치는 디스크(4)의 양단면을 제1 및 제2의 제동레버(6),(7)로 억압 협지하는 구조이므로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장착벨트(30) 내에는 강선(35)이 자유로이 인출되도록 수납되어 있으므로 강선을 수납하기 위해 특별한 수납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소형화 및 부품수의 감소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장치의 강선(35)은 밖으로 부터 안으로 권회되어 양쪽끝부가 열용융성 필름(45)으로 고정된 권회체(46)로 하여 벨트 본체(31) 내에 수납되는 구조이므로 그 수납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강선(35)의 인출시에는 열용융성 필름(45)이 용이하게 찢어짐으로 그 인출동작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또 권회체(46)는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벨트본체(31) 내에 수납되므로 전체길이가 긴강선이라도 수용 가능하다. 더구나 권회체(46)는 강선이 밖으로부터 안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강선(35)의 인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밴드로서 항상 휴대가 가능하므로 각자 휴대할 수가 있고 빌딩화재 등의 우발적 사고에 대한 대비로서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으며, 인명구조의 관점에서 사회에 공헌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일예이며 본 고안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본 장치는 밴드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따라서 버클 등도 필요없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빽이나 주머니 등에 휴대 간직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의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조체는 강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 로프나 나일론 로프라도 좋고, 또한 조체는 장착벨트에 수납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한 쌍의 제동부재 및 링크 장치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의 제동레버(6)와 제3의 링크(17)를 일체의 레버구조로 하여 고정핀(21)을 없애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강선(35)의 말단의 앵커링은 연결금구에 고정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강선의 말단에 예를 들면 중공파이프 튜브 등의 정지구를 코오킹 부착하고 이 정지구가 최종적으로 제1의 제동레버(6)에 뚫려 있는 구멍에 걸리도록 하여도 좋다.
또 링크장치(10)의 외측에 예를 들면 폭이 넓은 고무 밴드와 같은 것을 삽입해 두면 링크장치(10)는 항상 좁혀지고 강하중에 강선의 인장이 느슨해져도 갑자기 제동력이 저하하는 일은 없고 원활한 강하를 행할 수가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하 장치에 있어서는 강하하는 사람의 체중의 차이에 불구하고 스스로 적절한 강하 속도를 얻을 수 있고 더우기 항상 휴대하기에 적합한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프레임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디스크와 이 디스크의 양쪽 단면을 협지하여 누르므로서 디스크를 제동하도록 요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한쌍의 제동부재와 한 쌍의 제동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 변위시키는 링크장치와, 이 링크장치에 결합된 장착 벨트와, 중간부가 상기 디스크의 원주면에 권회되는 소정길이의 조체를 구비한 강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가 핀(11)을 통해 제2의 제동레버(7)에 지지되는 제1의 링크(12), 이 제1의 링크(12)에 핀(13)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의 링크(14)이 제2의 링크(14)에 핀(15)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동부재의 제1의 제동레버(6)의 고정구멍(22)을 통해 고정핀(21)에 의해 위치가 선택되며 상기 고정핀(21) 타단과 스프링(20)이 수용되는 수용구멍(19)과 제1제동레버(6)에 링크시키기 위한 핀(16)을 가진 제3의 링크(17)로 이루어지며 탈출자의 무게에 의해 장착벨트에 하중이 걸리면 링크장치를 통해서 디스크 양면에 제동력이 작용하여 강하속도를 완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강하장치.
KR2019840008169U 1984-08-21 1984-08-21 강하장치 KR870000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169U KR870000190Y1 (ko) 1984-08-21 1984-08-21 강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169U KR870000190Y1 (ko) 1984-08-21 1984-08-21 강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487U KR860002487U (ko) 1986-03-31
KR870000190Y1 true KR870000190Y1 (ko) 1987-02-10

Family

ID=1923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169U KR870000190Y1 (ko) 1984-08-21 1984-08-21 강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1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487U (ko) 198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513B2 (ja) ロープ式安全懸垂下降器
JP5389883B2 (ja) 個人的高所救出装置
US4019609A (en) Brake apparatus for use in rappelling
US4511123A (en) Safety device
US4923037A (en) Fall arrest device
US6561313B2 (en) Belay/rappel device for use in climbing activities and the like
US5217092A (en) Self-belay and descent device and method of its use
US4550801A (en) Personal high rise evacuation apparatus
US2680593A (en) Escape device
EP1753515B1 (en) Personal height rescue apparatus
US20130292207A1 (en) Lifesaver Apparatus
US4702348A (en) Sky-ride vertical mobility system
US4793436A (en) Push-pull sky-ride vertical mobility device
US4063615A (en) Escape device
KR870000190Y1 (ko) 강하장치
JPH0228927Y2 (ko)
KR870000191Y1 (ko) 강하장치
US4026385A (en) Ladderless safety escape device
US4407498A (en) Lock for a flexible element
JPH0228931Y2 (ko)
KR200207854Y1 (ko) 휴대형 비상 하강기
IT201800021406A1 (it) Dispositivo per frenare e/o bloccare una corda
CA1204714A (en) Portable manually operated rescue and lowering cable
KR860000910Y1 (ko) 높은곳으로부터의 탈출장치
KR102672742B1 (ko) 드래그 다운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