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611Y1 -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 Google Patents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611Y1
KR860003611Y1 KR2019840010588U KR840010588U KR860003611Y1 KR 860003611 Y1 KR860003611 Y1 KR 860003611Y1 KR 2019840010588 U KR2019840010588 U KR 2019840010588U KR 840010588 U KR840010588 U KR 840010588U KR 860003611 Y1 KR860003611 Y1 KR 860003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ircuit
transformer
transis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71U (ko
Inventor
이창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0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611Y1/ko
Publication of KR860005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 2 : 전원입력회로
3 : 정류회로 4 : 전원변압기
5 : 출력평활회로 6 : 모니터
7 : 자속제거회로 8 : 스위칭회로
9 : 정전압제어회로 10 : 미분회로
11 : 서지방지회로 FBT : 플라이 백 펄스출력단
본 고안은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은 스위칭주파수에 따라 전원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CRT의 편향요크에 끼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칭모우드를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위칭모우드 전원장급장치는 스위칭트랜지스터의 높은 스위칭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원변압기의 2차측으로 효율이 좋은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회로로 구성되어져 있는바, 종래에 사용되던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변압기는 CRT터미널의 편향요크에 가깝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편향요크에 영향을 주어 CRT에서 심한 잡음으로 출력되곤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잡음을 줄이고자 전원변압기를 편향요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다 설치하거나 전원변압기에다 실드케이스를 씌워 자속을 차폐시키도록 된 것이 있었으나, 전자로서는 한정된 범위내에서 전원변압에 의한 영향이 편향요크에 미치지 않도록 멀리 설치할 수가 있고, 또 전원변압기에 실드케이스를 설치하게 되는 후자에 있어서도 스위칭트랜지스터의 높은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전원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차폐시키기에는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에 있는 스위칭트랜지스터의 스위칭시 전원변압기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전원변압기에 인접되어 설치된 CRT의 편향요크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모니터의 플라이백펄스신호와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주파수를 동일주파수로 맞추기 위하여, 풀라이백펄스신호를 이용하며 스위칭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1)의 출력틈에 설치된 제어회로(9)의 출력단(A)에는 저항(Rl)과 콘덴서(Cl) 및 트랜지스터(TR1)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에는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와 또한 스위칭트랜지스터 (TR2)의 온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플라이백펄스신호입력단(FBT)에 연결되는 콘덴서(C2)와 저항(R2)으로 된 미분회로(10)와 트랜스포머(T1) 및 다이오드(Dl)로 구성된 자속제거회로(7)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에는 콘덴서(C3)와 저항(R3)으로 구성된 서 지방지회로(11)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출력단(B)은 전원변압기(4)에 연결되는 단자를 나타낸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원입력회로(2)로 입력된 전원은 정류회로(3)에서 정류된 다음에 전원변압기(4)를 통해 출력평활회로(5)로 출력되는데, 이때 전원변압기 (4)에서 이루어지는 전압유기동작은 스위칭회로(8)에 있는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좌우된다. 또한 스위칭회로(8)는 출력평활회로(5)의 신호상태에 의해 동작되는 정전압제어회로(9)의 제어를 받는다.
전술한 동작이 일반적인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개념도로써 이러한 동작과정 가운데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전원변압기 (4)에서 전압유기작용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자속이 모니터(6)의 편향요크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귀선기간에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플라이백펄스신호를 자속제거회로(7)를 통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입력시키므로써 모니터(6)의 귀선기간과 스위칭트런지스터(TR2)의 동작시간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자속제거회로(7)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제3도의 파형에 의거 동작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3-1)과 같은 플라이백펄스신호가 미분회로(10)에 입력되면 콘덴서(C2)를 통해 저항(R2)의 양단에 인가된 전압파형은(3-2)와 같은 펄스파형이 된다. 저항(R2)의 양단에 연결된 트랜스포머(T1)는 아이소레이션펄스 트랜스포머(isolation pulse transformer)로서 저항(R2)의 양단에 유기된 파형이 트랜스포머(T1)의 1,2차권선비에 비례하여 동일한 파형으로써 2차측에 유기된다.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는 포지티브펄스와 네가티브펄스가 나타나지만 다이오드(D1)에 의해 포지티브펄스만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공급되어 스위칭트랜지스터(TR2)를 턴온시킨다. 정전압제어회로(9)의 출력으로부터 제어를 받아 동작되는 트랜지스터 (TR1)의 컬렉터파형은 (3-3)과 같은데,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전압이 로우레벨로 떨어질 때 스위칭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된다.
즉, 플라이백펄스신호가 발생될 때 스위칭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고, 정전압제어회로(9)의 출력을 받아서 스위칭트랜지스터 (TR2)가 턴오프되므로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주파수는 모니터의 플라이백펄스주파수와 일치되어서 전원변압기 (4)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모니터의 편향요크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발생된 펄스파형은 제3도의 (3-4)에 도시되어 있다.
모니터 (6)에 있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플라이백펄스신호의 크기에 따라 저항(R2) 또는 트랜스포머(T1)의 권선비를 조절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 (TR2)를 동작시킨다.
모니터 (6)의 플라이백펄스신호주파수가 변화될지라도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주파수는 플라이백펄스신호와 동시에 변화되면서 출력측으로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모니터(6)의 편향요크에는 자속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일 모니터 (6)가 없는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라면 자속제거회로(7)를 삭제하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위칭트랜지스터(TR2)의 스위칭주파수를 플라이백펄스신호주파수와 일치시키므로써 스위칭동작시 전원변압기 (4)에서 발생된 자속이 모니터의 편향요크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스위칭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와 스위칭트랜지스터 (TR2)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 (TR1)의 컬렉터와 접속점에다 스위칭트랜지스터(TR2)를 제어하기 위한 미분회로(10)와 변압기 (T1) 및 다이오드(Dl)를 연결하여서 된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KR2019840010588U 1984-10-25 1984-10-25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KR860003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588U KR860003611Y1 (ko) 1984-10-25 1984-10-25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588U KR860003611Y1 (ko) 1984-10-25 1984-10-25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71U KR860005371U (ko) 1986-06-11
KR860003611Y1 true KR860003611Y1 (ko) 1986-12-15

Family

ID=7016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588U KR860003611Y1 (ko) 1984-10-25 1984-10-25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6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71U (ko) 1986-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0857A (en) Switching regulator with high efficiency starting resistor circuit
US5517397A (en) Flyback power converter with spike compensator circuit
US4334183A (en) Electronic sensor on/off switch
KR910019435A (ko) 비디오 장치의 고전압 전원
US4236196A (en) Switching regulator
KR860003611Y1 (ko) 스위칭모우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속제거회로
US5241448A (en) Demagnetizing circuit for a color picture tube
GB101391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urrent converters including inverter stages
EP0140851B1 (en) Magnetization arrangement for transformers
US4316127A (en) Process for maintaining an electric oscillation circuit and horizontal deflection device for a cathode-ray tube
US4209731A (en) Magnetic switching regulator for a deflection circuit
JPS5687115A (en) Switching power source
SE8406174L (sv) Televisionsavbojningskrets med rasterbreddstabilisering
ES534832A0 (es) Perfeccionamientos en un interruptor contra corriente de defecto
US5898580A (en) Dc/dc converter with a protection circuit
JP2643372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装置
JP2563363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装置
GB1589832A (en) Tv receivers power supply
KR900005090Y1 (ko) 궤환제어를 겸한 전류제한 보정회로
RU1800565C (ru) Однотакт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10001467Y1 (ko) 이상 고압 제어회로
KR950008665Y1 (ko) 인버터의 직류링크전압 측정회로
GB1179221A (en) Stabilized High VOltage Source.
JPS6323303A (ja) 閉ル−プ制御される電源回路用の変圧器
JPS648825A (en) Excess current detecting circuit for power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