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406Y1 - 수도미터 - Google Patents
수도미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3406Y1 KR860003406Y1 KR2019860015220U KR860015220U KR860003406Y1 KR 860003406 Y1 KR860003406 Y1 KR 860003406Y1 KR 2019860015220 U KR2019860015220 U KR 2019860015220U KR 860015220 U KR860015220 U KR 860015220U KR 860003406 Y1 KR860003406 Y1 KR 8600034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meter
- nozzle
- cylindrical body
- runner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전 구조 수도미터의 표시부의 평면도.
제2도는 종전 구조의 수도미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으로 부터 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수도미터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으로 부터 본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저부가 있는 통체 및 뚜껑체를 Ⅵ-Ⅵ선으로 부터 본 부분절취 분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에 따르는 부분 절취도.
제8도는 제6도의 Ⅷ-Ⅷ선으로 부터 본 저부가 있는 통체의 평면도.
제9도는 제6도의 Ⅸ-Ⅸ선으로 부터 본 뚜껑체의 배면도.
제10도는 날개차와 노즘과의 대응관계의 설명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수도미터의 기차(器差)의 유량에 따르는 변화를 조정 구조의 미터와 비교하여서 나타낸 기차곡선의 그래프.
제12도는 제4도에 나타낸 수도미터의 피벗 베어링 부분의 확대도.
제13도는 제12도의 하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피벗축제의 종단면도.
제15도는 제5도와 같은 단면형으로 나타낸 본 고안의 수도미터의 조정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XVI-XVI선으로 부터 본 저부가 있는 통체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케이스본체 34 : 저부가 있는 통체
38 : 뚜껑체 43 : 피벗축
55,56 : 관통구멍 59 : 조정나사
60,61 : 리브 70 : 헤드
80 : 홈
본 고안은 케이스 본체내를 유통하는 유체로서의 수도물의 유량을 계량하는 수도미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수도미터는 유입구와 유출구 및 런너를 수용하는 계량실을 형성한 케이스 본체를 가지고 유입구로 부터 취입된 유체가 런너를 회전시켜서 이의 회전이 계량실 위쪽에 있는 계량 기구에 의하여 개량이 되어서 카운터를 포함한 표지부에서 통과 유량, 즉 사용량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를 하게 되어있다.
이 경우 런너에 대하여 유체를 통과시켜서 유량과 이에 대응하는 런너의 회전과의 사이의 오차, 즉 기차(器差)를 가능한한 적게하기 위하여 유입구 및 유출구에는 계량실에 대하여 일정한 유통단 면적을 가진 노출을 경사진 상태에서 개구시킨 구성이 일반적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종래의 수도미터를 우선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이 수도미터(1)의 케이스 본체(2)의 유입구(3) 및 유출구(4)에는 계량실(5)에 대하여 런너의 회전 접선방향에 축선 X-X, Y-Y(제3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개구한 유입노즐(6), 유출노즐(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계량을 하고저 하는 유체, 즉, 수도물은 유입구의 노즐(6)에서 계량실(5)에 유입되어 런너(8)를 회전을 시키고, 이 회전은 런너의 축받이(9)를 개재하여서 여러개의 치차로서 이루어진 계량기구(10)에 전달되고, 이의 계량결과가 카운터(11)를 포함한 표시부(12)(제1도)에 의하여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다.
이 일반적인 미터에 있어서, 기차의 조정은 런너(8)의 위쪽에 있어서, 계량실 내에 수직으로 한쌍의 조정판(13)(1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한쌍의 조정판(13)(14)은 소위 실제의 유량 조정을 하는 것이며 조정을 할 때에는 이들 판(13)(14)을 대층으로 움직인다.
각 조정판은 고정한 지지판(15)에 각각의 축받이(16) 주위에 회동이 가능하고, 또한 고정 나사와 긴 홈으로 된 정지수단(17)의 구성에 의하여 적당한 회동각도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각도를 변경하므로서 유입유체에 대하여 저항을 가감하여서 런너(8)에 미치는 유체의 작용을 콘트롤을 할 수 있다.
런너(8)는 케이스 본체(2)에 고정된 피벗축(18)에 의하여서 회전이 자유자재토록 지지되어 있다.
이 피벗축은 계량실의 저면에 형성한 나사구멍(19)에 나합하는 지지체(20)와 피벗축 하단의 너트(21)에 의하여 계량실의 중앙에 세운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터 케이스 본체는 일반적으로는 청동 등과 같은 금속을 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 노즐은, 그 다음에 기계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제3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노즐은 경사진 상태에서 정밀하게 가공을 하지 않으면 않되므로, 가공이 어렵고 시간이 걸리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도미터의 조정판으로는 실제의 용량 조정을 하면 역유측에 영향을 미치고 양방향 다 같이 적정한 상태로 균형좋게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것은 조정방법으로 하여 유체의 저항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문제이며 통상, 역유측의 조정을 어느 정도, 희생을 하여서 실제 유량측의 기차를 될 수 있는 한 적개하도록 조성하는 방법이 채택되어 있다.
또한, 조정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계량실의 공간을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며, 미터 전체를 소형화할 경우 장해요인이 되어 왔다.
또 피벗축의 취부부분에 있어서도 케이스 본체에 나사구멍을 기계가공을 하든가, 나사 구멍에 피벗축을 취부하기 위한 번거로운 조립작업을 하게되고 또 피벗축은 취부부분의 구조가 복잡한 관계로 일단 취부하고 나면, 그 뒤의 피벗축이 마모되었을 경위 교환시에는 나합한 지지축을 나사구멍으로 부터 빼내어야 하는 등의 작업을 요하는 등 구조의 간략화나 작업의 용이성 등 도모하는 것을 바라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종래의 미터와 같은 케이스 본체를 정밀하고 또한 번거로운 기계가 공을 용하지 않으면 각 부품의 조립이 용의화됨과 동시에 계량 성능을 일단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한 피벗축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형화한 구성의 수도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수도미터에 있어서는 계량실의 주벽면에 밀접하여 감합되는 측벽부와 저부를 합성수지로 일체성형을 한 저부가 있는 통체을 설치하고, 그 측벽에 감합상태에 있어서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대응하는 관통구멍의 모양을 한 유입노즐과 유출노즐을 설치하고, 그 저부가 있는 통체 위에 동일한 합성수지로서 성형한 뚜껑체를 재치하고, 저부가 있는 통체의 저부 중앙에 런너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축을 갖추고 런너의 지축을 뚜껑체 중아에 설치한 관통구멍 모양의 개구를 개재하여서 위쪽으로 연출하여 계량기구에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노즘이나 피벗축의 취부부는 모두 저부가 있는 통체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의 정밀한 기계가공은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저부가 있는 통체는 합성수지로서 용이하게 형성을 할 수 있다.
또 계량실은 저부가 있는 통체와 뚜껑체에 의해 명확하게 구획됨으로 유체가 런너에 대하여서도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또 저부가 있는 통체의 저면측 및 뚜껑체의 내측에는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으로 여러개 리브를 각기 일체로 성형함에 따라, 런너에 대한 유체의 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저부가 있는 통체의 저부 중앙에 있어서 런너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축을 통체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감합지지 시키는 구성으로 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따라 케이스 본체에는 하등 피벗축을 위한 취부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음으로 케이스 본체의 제작이 용이하게되며, 또 교환을 요할 경우에는 저부가 있는 통체를 그대로 취출하여서 피벗축 저부와의 감합부를 빼내면 간단하게 교환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 피벗축 부분은 저부에 대한 감합부를 결합하여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고, 또는 선단축수부도 핀 상단축부 및 지지부를 각기 다른 재료로 구성하여 성형시 일체로 조합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지지부에 확대형상의 헤드를 설치하고 그 헤드를 저부가 있는 통상의 저부에 형성한 좌구홈에 감입상태로 하면 이 헤드의 저부가 있는 통체의 저부와 케이스 본체의 저부로 부터 협지되어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보호 유지되는 이점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이 헤드 및 좌구홈을 구형상으로 하면 피벗축이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저부가 있는 통체와 뚜껑체와의 구성을 전제로 하고 기차(器差) 조정의 수단으로서 종래의 조정판을 사용하지 않고 저부가 있는 통체의 측벽부에 유입 노즐의 각 근처에 유통 단면적이 작은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그 각 구멍의 개구면적을 가감하는 수단을 저부가 있는 통체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조정유의 유량은 가감되어서 기차의 조정이 된다.
이 경우는 종래의 방법과 상이하여 유량을 조정하도록 하였음으로 순유(順流) 및 역유(逆流)의 각기 개별의 조정이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적게되어 순유, 역유 다 같이 더욱 정확하게 기차의 조정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 나타낸 본 고안의 수도미터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30)에 형성된 유입구(31) 및 유출구(32)의 사이에 원통형의 주벽면(33a)을 가진 계량실(33)이 형성되어 그 실 내에 합성수지로서 일체 성형된 저부가 있는 통체(34)가 주벽면에 밀접상태로 착탈이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이 통체(34)에는 제6도에서 이해하도록 측벽부(35)의 상단연(35a)에 ""형상으로 유입노즘(36) 및 유록 노즘(37)이 유입구(31) 및 유출구(3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봉체(34) 위에는 뚜껑체(38)이 재치되어 통체의 상단연(35a)에 일체로 된 돌기(39)와 뚜껑체(38a)의 주연 후렌지부(40)에 형성한 요부(38)에 걸어맞춤에 의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뚜껑체(38)을 재치한 상태에서 각 노즘(36)(73)은 구형의 관통구멍의 모양을 한다.
통체(34) 안에는 구형상의 6매의 런너(41a)를 가진 런너차(41)가 통체저부(42)의 중앙 보스(boss)(42a)에 취부된 피벗축체(43)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런너차(41)의 축받이(44)은 뚜껑체(38)의 중앙에 뚫린 개구(45)를 개재하여서 위쪽에 연출하여 상단부에 구동축 마그네트 커플링(46)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서 피구동축 마그네트 커플링(47)이 개량기구(48)에 연결되어 있다.
계량기구(48)은 카운터(49)을 포함한 표시부(50)에 접착되어 계량 결과가 표시부(50)에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되는 모양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내는 종래의 미터와 같다.
실시예인 형식의 수도미터는 마그네트 커플링에 의하여 런너(41)의 회전을 계량기구(48)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어서 아래쪽의 케이스 본체의 계량실(33)측은 위쪽의 계량기구(48)의 스페이스와 칸막이 프레일(51)에 의하여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계량실 내의 유체는 계량기구의 스페이스에 끼워 넣을 수가 없다. 소위 건식 수도미터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런너의 축을 계량기구에 직결한 제2도에 나타낸 형식의 미터 소위 습식미터에도 물론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이 부분은 본 고안의 구성의 요점은 아니다.
칸막이 프레임(51)을 포함한 계기부(52)는 케이스 본체(30)에 시일(53)을 끼워서 액밀 상태로 내입되어 있으나, 내입된 것을 풀으면 케이스 본체(30)로 부터 이탈되고 그것에 의하여 뚜껑체(38) 및 저부가 있는 통체(34)로 해체를 할 수가 있다.
저부가 있는 통체(34)는 저부(42)의 외측에는 위치 결정을 돌기(4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서 케이스 본체의 저벽면에는 요부(54)가 형성되고 이 돌기(42b)의 요부(54)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되므로서 케이스 본체(30)에 대한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감합위치가 정하여진다.
요부(54)는 간단한 기계가공에 의하여 케이스 본체의 저벽면에 설치할 수가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노즐(36) 및 유출노즐(37)은 런너(41) 회전의 접선방향에 따르도록 경사진 모양으로 저부가 있는 통체의 축벽부(35)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노즐의 유로는 유체의 흐름을 노즐의 경사방향으로 따르게 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가지며, 예를들면 측벽부(45)의 두께를 5㎜로 하고 각 노즐의 길이를 노즐의 중심에서 7㎜로 하여서 노즐로서 충분한 유효한 길이를 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총체(34)에 노즐을 설치하므로써 케이스 본체(30)의 유입구(31) 및 유출구(32)는 특히 정밀한 가공할 필요가 없고 더우기 제5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축선 Z-Z에 따라서 단순한 직선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므로 케이스 본체(30)의 성형은 제3도에서 나타내는 종래 구조의 경우에 비교하여 극히 간단하다.
또 계량실(33)의 주벽면(33a)도 특히 정밀한 가공을 요하지 않는다.
또 노즐(36)(37)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원형의 노즐보다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서 바람직하다.
즉, 제10도에 실선으로서 나타내는 구형의 노즐(N)의 폭을 a로, 높이를 b로 하고, 접선으로 표시하는 종래의 원형의 노즐(M)의 직경을 d로 하고 양노즐 개구의 일단부(외단부)가 런너(41)의 런너(41a)의 선단부에 일치하고, 또한 양노즐의 유통 단면적이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구형노즐(N)의 높이 b가 런너(41a)의 폭에 합치하는 정도로 세로로 긴 노즐로 한다면 구형노즐(N)의 단면 중심으로 부터 런너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 11는 원형노즐(M)의 단면중심으로 부터 런너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 12보다도 길게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노즐을 통과하는 유체의 런너에 대한 작용점이 구형노즐에서는 11의 위에 있고, 원형노즐에서는 12의 위치에 있으므로 런너에 미치는 회전력은 구형노즐의 경우 11과 12의 작용압의 길이가 상이함으로 원형노즐 보다도 더욱 진커다.
즉, 동일한 유통 단면적에서는 구형노즐쪽이 원형노즐 보다도 런너에 대하여서 보다 효율적으로 유체를 작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런너에 대하여 동일한 회전력을 주는 설계로 하였을 경우에는 구형 노즐의 경우에는 런너를 보다 짧게 할 수 있음으로 런너를 소형화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노즐(36)(37)의 근처에는 관통구멍(55)(56)이 저부가 있는 통체의 측벽부(35)에 각각 형성되고 각 단면적은 노즐(36)(37) 단며넉의 약 20% 정도로 설정된다.
각 관통구멍도 유입구(31) 및 유출구(32)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각 관통구멍(55)(56)에는 저부가 있는 통체 측벽부(35)의 상단연(35a)로 부터 세로 방향으로 나사구멍(57)이 형성되고, 또한 통체 위에 재치되는 뚜껑체(38)의 후렌지부(38a)에도 나사구멍(57)에 대응하여서 둥근 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각 나사구멍(57)에는 각 관통구멍(55)(56)의 개구의 영역에 제한 수단으로서의 조정나사(59)가 진퇴 자재하게 나사가 박혀져 있다.
유입구(31)에 대응하는 관통구멍(55)은 나사(59)와 같이 움직여서 소위 순유의 기차조정을 하는 순유조정기의 역활을 하고 유출구(32)에 대응하는 다른 쪽의 관통구멍(56)은 나사(59)와 같이 움직여서 소위 역유의 기차조정을 하는 역유 조정기의 역활을 다한다.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순유에 있어서 유입구(31)로 부터 드러가는 유체의 주류를 실선의 화살표와 같이 유입노즐(36)으로 부터 계량실(33)에 들어가서 런너(41)의 회전을 시키나 바이패스 흐름이 점선의 화살표와 같이 관통구멍(55)으로 부터 계량실(33)로 삽입되고, 런너의 회전을 조정하므로서 순유의 기차를 조정한다.
한편, 역유가 생겼을 경우 유체는 유출구(32)로 부터 유출노즐(37)을 통과시켜서 계량실(33)에 들어가고, 런너(41)를 역회전시킨다.
이 경우 바이패스 흐름에 관통 구멍(56)으로 부터 계량실(33)로 들어가서 런너의 역회전이 콘트롤 하고 역유의 기차조정을 한다.
역유가 생기는 것은 예를들어 유출구(32)에 접속된 유체의 소비측 즉, 수도의 꼭지가 폐쇄되어 있는 유입구(31) 측에 접속된 다른 배관 영역으로 유체의 소비가 다량으로 되였을 경우 등이다.
각 관통구멍(55)(56)을 통과하는 조정을 위한 유량은 나사(59)의 유출정도를 적당하게 드라이버 등으로 가감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바꿀 수가 있다.
여기에 있어서 기차의 조정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정판에 의한 유체의 저항을 조정하는 방법과 달리 유량을 바이패스 흐름에 의하여서 조정하는 방법이고, 이 경우에는 한 쪽의 순유의 조정이 다른쪽의 역유의 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작은 이점이 있다.
또 이와 같은 조정 기구를 저부가 있는 통체에 설치하므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절감에 의하여 스페이스의 감소를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조정기능도 일층 향상시킬 수가 있다.
특히 종래에 문제가 되었던 역유의 기차조정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1도에 표시한 기차 곡선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의 경우 순유 및 역유의 기차를, 곡선(A) 및 (B) 또는 종래 미터의 경우의 순유 및 역유의 기차를 곡선(C) 및 (D)로서 각기 유량에 따라서 플로우터로 하여 표시한다.
유체의 사용범위는 직경 13㎜에서는 통상 301/h-1.5㎥/h라고 생각된다.
이 범위에 있어서 종래 미터의 경우 순유의 기차를 가장 작게 조정을 하면 역유이 기차는 그래프에서 명화한 바와 같이 마이너스측에 약 10% 어떠한 유량상태에 있어서도 크게 개선을 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제11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특히 역유의 기차를 현저하게 개선을 할수가 있어 순유의 경유와 같이 양호한 기차곡선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순유에 대하여 종래의 미터와 본 실시예의 경우를 비교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곡선(A)이 보다 안정된 직선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할 수가 있다.
종래의 곡선(C)에서는 200-600l/h로써 마이너스 기차가 생겨 40-100l/h에서 곡선(A)보다도 더욱 큰 플러스 기차를 나타내고 있는 본 실시예와 같은 안정성으로 볼 수가 없다.
더욱이 -5%의 기차를 나타내는 유량은, 곡선(A)에서는 20l/h 있지만 곡선(C)에서는 28l/h로서 허용범위인 ±5%의 기차의 영역에 들어가는 유량이 제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독특한 조정기구 및 구형상의 노즐의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미터의 경우, 원형노즐로서 더우기 조정판을 사용한 구성에서는 얻을 수가 없는 우수한 계량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 저부가 있는 통체(34) 저부(42)의 내면 및 뚜껑체(38)의 이면에 특히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rib)(60)(61)를 각기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 리브는 런너(41)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서 반경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리브가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안에 두어진 런너(41)의 상하에 남겨진 근소한 스페이스를 메꾸는 것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는 계량실에 유입한 유체중 런너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유출되는 흐름에 대하여 저항을 주여, 이들의 유체를 런너(41)쪽에 적극적으로 행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체가 보다 효율적으로 런너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실험한 결과 런너가 6매의 런너이 경우 런너 아래쪽의 리브(60)는 보다 높은 지항을 생기게 하는 것과 같이 런너의 수보다 많은 8개를 설치하고 윗쪽의 리브(61)은 런너의 수와 동수인 6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이해가 되었다.
또 저부가 있는 통체(34) 저부(42)의 중앙에 보스(42a)에 피벗축제(43)를 설치하였으므로 케이스 본체(30)에는 어떠한 취부용 기계 가공을 할 필요가 없다.
더우기 런너(41)의 축(44)를 보호유지하는 중앙의 보스부분에는 아래쪽으로 부터 환상의 홈(62)이 형성되어 있어, 런너(41) 중량의 경감이 고려되어 있다.
제12도에 피벗축(43)의 취부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축은 런너(41)을 직접 지지하는 선단 베어링부(43a)와 핀모양 베어링부(43b)와 저부가 있는 통체(34) 저부 중앙의 보스(42a)에 감합 지지된 지지부(43c)로 되고 지지부에는 피벗축의 단부를 이루는 확대 형상이 홈(70) 및 이것에 따르는 대경 보수부(71)가 형성되어 보스(72a)에 대하여 통체의 저부의 아래쪽으로 부터 착탈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보스(42a)에는 지지부(43c)의 형상에 대응하여 관통상태로 설치된 축구멍(72)와 그 주위에 설치된 구형의 좌구홈(7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합상태에 있어서는 구형의 해드(70)가 홈(73)에 삽입하기 때문에 피벗축(43)은 필요없이 히전하는 일은 없다. 즉, 이것이 회전방향의 위치 결정을 한다.
또 통체(34)가 케이스 본체(30)에 끼워 넣은 상태에 있어서는 피벗축의 지지부(43c)가 통체의 저부(42)와 케이스 본체의 밑면과에 의하여 좁혀진 상태에 보호유지되므로 보스(42a)에 대한 지지부(43c)의 감합상태는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통체 저부(42)가 케이스 본체 저변에 접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대경보스부(71)이 축공(72)에 삽입되기 때문에 지지부(43c)의 감합은 약간 느슨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 지지부(43c)를 보스(42a)로 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제12도의 화살표 방향 p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경 보스부(71)의 윗면을 적당한 공구로 두들기면 간단하게 빼낼 수가 있고, 더우기 보스부분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이 피벗축(43)은 금속 또는 내마모성의 합성수지제로 일체로 성형할 수가 있다.
한편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단 보스부를 에보나이트 또는 내마모성의 합성수지로 핀 상축부하고(43b)를 스테인레스강 또는 인 청동으로 형성한 선단 보스부 압입하고 지지부(43c)를 합성수지로 핀 모양샤후트부에 일체로 성형하는 것과 같이 구성을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피벗축(43) 각부의 기능에 따라서 재료를 선택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 본체에 끼워넣는 합성수지제의 저부가 있는 통체에 피벗축을 빼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음으로 교체가 용이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에 대하여 아무런 피벗축체의 취부가공을 할 필요가 없는 등 가공상 또는 취부작업상에 한층 개량을 도모한 것이다.
제15도 및 제16도에는 기차의 조정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측벽부(35)의 외주면의 주위방향에 따르는 홈(80)을 약 반원주를 형성하고 그 홈의 일단(80a)을 유입 노즐(36)의 부근에 연출하여서 유입구(31)에 대응시켜 홈의 다른쪽 단부(80b)를 유출 노즐(37)의 부근에 연출하여서 유출구(32)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30)에는 외부쪽으로 돌출한 보스부(81)을 설치하여 그 보스부의 나사구멍(82)에 조정나사(83)의 진퇴를 자유롭게 나합시켜서 그 선단부를 홈(80) 안에 연출시키고 또한 나사(83)의 외측에 가스킷(84)를 통하여서 조이는 나사(85)를 액밀상태로 나합시키는 것과 같이 한다.
유입구(31)에 들어간 유체는 그 대부분이 유입노즐(36)에 유입을 하지만 일부가 조정류로서 홈(80)에 들어가서 직접 유출구(32)로 흐른다.
따라서 나사(83)의 홈(80) 내를 진입할 정도로 수동 조정을 하므로서 조정유의 유량이 가감되므로 유입 노즐(36)을 개재하여서 계량실로 들어가는 유체의 유속 즉, 유량도 변함에 따라서 기차의 조정이 된다.
이 변형예의 이점은 기차를 조정할 때 계량부를 빼내지 않고 직접 외부에서 수동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1)
- 유입구와 유출구 및 런너를 내부에 수용한 계량실을 가진 케이스 본체를 구비한 수도미터에 있어서 상기 계량실의 주벽면에 밀착하여서 감합시킴과 동시에 유입구(31) 및 유출구(32)와 각기 대응하는 유입노즐 및 유출 노즐이 형성된 측벽부와 저부를 가지며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된 저부가 있는 통체(34)와 이 통체(34)위에 재치된 합성수지에 의하여 성형된 뚜껑체(38)을 구부하고 상기 저부가 있는 통체(43)의 저부 중앙에 런너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축(43)을 설치함과 동시에 뚜껑체(38)의 중앙에 설치된 개구를 개재하여서 런너의 축받이가 계량실의 위쪽에 배치된 계량기구에 접속하여서 된 수도미터.
- 제1항에 있어서 저부가 있는 통체(34) 저부 내면에 피벗축(43)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리브(60)(61)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뚜껑체(38)의 내면에 상기한 개구를 중심으로 복수의 리브(60)(61)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수도미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30)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노즐 및 유출노즐의 부근에 있어서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측벽부에 흐름의 조정을 위한 관통구멍(55)(56)이 형성되어 이 관통구멍(55)(56)의 유통 단면적을 수동조정이 가능한 제한 수단에 의하여 적정 상태로 제한하여서 이루워지는 수도미터.
- 제3항에 있어서 제한 수단은,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측벽부에 나합시킴과 동시에 일단이 대응하는 관통구멍(55)(56)내에 돌출이 가능한 나사로 구성되어서 이루워지는 수도미터.
-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 노즐 및 유출구 노즐은 각각 구형상을 이루고, 그 각 노즐의 상단은 저부가 있는 통체(34) 측벽부의 상단 주연에 있어서 개방이 되여서 이루워지는 수도미터.
- 제1항에 있어서 저부가 있는 통체(34) 저부의 외면에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돌기를 대응하는 케이스 본체(30)에 형성한 요부에 감합시키므로서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도미터.
- 제6항에 있어서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측벽부 외주면의 주위 방향에 따라서 홈(80)을 형성하고 그 홈(80)의 일단을 상기한 유입구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타단을 유출구에 대응시켜서 홈(80)의 유통단면적을 수동조정이 가능한 제한수단에 의하여 적정상태로 제한하는 수도미터.
- 제7항에 있어서, 제한수단은 케이스 본체(30)에 나감됨과 동시에 일단이 홈(80) 내에 돌출이 가능한 나사로 구성되는 수도미터.
-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와 유출구 및 런너를 내부에 수용한 계량실을 가진 케이스 본체(30)를 구비한 수도미터에 있어서 상기한 계량실의 주벽면에 인접하여서 감합됨과 동시에 상기한 유입구 및 유출구와 각기 대응하는 유입노즐 및 유출노즐이 형성된 측벽부와 저부를 가지고 합성수지에 의하여서 일체로 형성된 저부가 있는 통체(34)를 갖추고, 이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저부 중앙에 통상의 런너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축(43)을 착탈이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서 이루워지는 수도미터.
- 제9항에 있어서 피벗축(43)은 선단축 수부와 핀상축부와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저부 중앙에 감합지지가 되는 지지부로 이루워지고, 상기한 지지부에는 확대형상의 헤드(70)가 형성되고, 이 피벗축(43)은 저부가 있는 통체(34)의 저부 중앙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축 구멍에 저부의 외쪽으로 부터 삽통되고, 상기한 축구멍이 둘레에 형성된 좌구홈에 상기한 헤드(70)가 감합하여서 되는 수도미터.
- 제10항에 있어서 헤드(70) 및 이것에 대응하는 좌구홈이 구형상을 이루는 수도미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5220U KR860003406Y1 (ko) | 1983-03-24 | 1986-10-06 | 수도미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30001198A KR850003695A (ko) | 1982-03-25 | 1983-03-24 | 체인 커터용 커팅링크 |
KR2019860015220U KR860003406Y1 (ko) | 1983-03-24 | 1986-10-06 | 수도미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1189A Division KR840004257A (ko) | 1982-08-11 | 1983-03-24 | 수도미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3406Y1 true KR860003406Y1 (ko) | 1986-11-27 |
Family
ID=2662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15220U KR860003406Y1 (ko) | 1983-03-24 | 1986-10-06 | 수도미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60003406Y1 (ko) |
-
1986
- 1986-10-06 KR KR2019860015220U patent/KR8600034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48084A (en) | Flow meter | |
SE501992C2 (sv) | Blandarventil av patrontyp med tryckutjämningsfunktion | |
EP0045588B1 (en) | Flow meter | |
US3388595A (en) | Flow meter | |
KR860003406Y1 (ko) | 수도미터 | |
EP0560737A2 (en) | Hot and cold water mixer valve with thermostatic regulator | |
CZ287458B6 (en) | Flow meter for liquids and gases | |
CN112816003B (zh) | 一种多流向的叶轮盒组件及具有该组件的水表 | |
JPS6319770Y2 (ko) | ||
JP2003083781A (ja) | 羽根車式水道メータ | |
KR200250393Y1 (ko) | 수도계량기의 하부내갑 피봇트 축과 기차조절장치. | |
US5359892A (en) | Flowmeter measuring chamber | |
KR890001594B1 (ko) | 옥내 수량계용 액체부피 측정유닛 | |
JPS6027932Y2 (ja) | 羽根車式水道メ−タ | |
CN213393629U (zh) | 阀芯组件 | |
KR830001151Y1 (ko) | 수도계량기의 기차 조정장치 | |
CN221121009U (zh) | 阀体结构及燃气热水器 | |
JPS6315777Y2 (ko) | ||
JPH0531531Y2 (ko) | ||
CN113865664B (zh) | 一种调节水表机芯 | |
JPH0519776Y2 (ko) | ||
CN219712392U (zh) | 调节阀 | |
CN216200725U (zh) | 一种可控流量的电动阀 | |
KR200154729Y1 (ko) | 수도미터의 기차 조정장치 | |
JPS5928619A (ja) | 水道メ−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O032 |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O071 |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1018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