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042A - 역류식 공기 여과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역류식 공기 여과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042A
KR860003042A KR1019850005847A KR850005847A KR860003042A KR 860003042 A KR860003042 A KR 860003042A KR 1019850005847 A KR1019850005847 A KR 1019850005847A KR 850005847 A KR850005847 A KR 850005847A KR 860003042 A KR860003042 A KR 86000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housing part
separation chamber
clea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웨스 디·프랭클린
Original Assignee
호웨스 디·프랭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657,712 external-priority patent/US4681609A/en
Application filed by 호웨스 디·프랭클린 filed Critical 호웨스 디·프랭클린
Publication of KR86000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0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역류식 공기 여과기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제2도의 선 Ⅰ-Ⅰ을 절취한 공기여과기 유닛의 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공기여과기 유닛의 부분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절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공기여과기유닛 12:하부하우징부품 24:입구관 28:상부횡단단부벽 34:안내지지부재 36:여과기부품 37:다공성물질장벽부재 44,79:분할판 46:상부하우징부품 60:청정공기유동관 62:가스킷부재 148:제거식덮개 162:밀폐링 186:저장탱크 212:하우징 228:보조분리실 246:경사벽 252:차폐부 258:청정공기유동실 280:가압공기저장실 285:가압공기원 342:힌지식문 355,356:청정공기실 361:청정공기플리넘실.

Claims (22)

  1. 기류로부터 부유성 고형물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질 분리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통하여 부유성 고형체를 함유한 공기를 상기 분리실로 유동시키는 입구관과, 상기 분리실의 일부를 한정하는 상기 하우징의 횡단벽과, 상기 분리실에 관하여 장벽식 여과기 부품을 삽입 및 제거하게 하는 충분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횡단벽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이어지는 구멍을 형성하는 수단과, 장벽식 여과기 부품과, 분리실로 들어가지 않고 횡단벽에 관하여 상기 구멍에서 여과기 부품을 삽입 및 제거가능하도록 분리실에서 여과기 부품을 지지하는 여과기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분리실을 형성하는 제1부품을 구비하고 입구관은 분리실로 유입하는 기류에서 실제적인 사이클론유동이 발생되도록 분리실과 통하며, 상기 하우징은 여과기 부품과 하우징의 제1부품을 형성하는 벽사이에서 여과기부품 주위에 배치된 보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분리실을 포함한 제1부품과, 상기 제1부품에 고정되어 여과기부품에서 여과된 공기를 수령하는 제2하우징부품과, 제1하우징부품에 제2하우징부품을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단에 의하여 제2하우징부품은 횡단벽에 있는 구멍에서 양호하게 이동되어 제1하우징부품에서 여과기부품을 제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여과기 부품을 지지하는 수단은 여과기부품의 한단부에 연결된 평판부재와, 여과기 부품에 의해 형성된 청정공기 유동실로 연장하며, 상기 평판부재에 고정된 기다란 제1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부품은 청정공기 유동실과 통하며, 제2하우징부품의 단부벽에서 연장하는 청정공기 유동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하우징부품은 여과된 공기를 여과기부품에서 청정공기 유동실과 이어주는 구멍을 형성하는 횡단벽부분을 구비하고 장치는 횡단벽부분과 여과기부품 사이에 삽입된 밀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직접대기로 분리실을 배기시키는 압력릴리프수단은 제1하우징부품의 횡단벽과 이에 일치하는 제2하우징부품의 벽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제1하우징부품의 횡단벽을 향해 제2하우징부품을 굽힘가능하게 편의시키는 편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편의수단은 분리실내의 소정이 압력에 반응하여 상기 밀폐를 깨뜨리기 위하여 제1하우징부품에 관하여 소정의 거리로 제2하우징부품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수단은 제1 및 제2항우징부품중에서 하나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하우징부품 사이에서 스프링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수단은 제2하우징부품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굽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2하우징부품에 배치되어 유지부재에 접근 가능한 근접구를 폐쇄하는 제거식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제2하우징부품은 힌지수단에 의해 제1하우징부품과 상호 연결되고, 상기 힌지수단은 하우징부품을 상호 연결하는 힌지핀과 제1하우징부품에 관하여 제2하우징부품을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횡단벽에 있는 구멍을 통해 제1하우징부품에서 여과기 부픔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제1하우징부품에 관하여 피버트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하우징부품과 제2하우징부품중 하나에서 베어링수단에 의해 저어널되고 상기 작동수단은 힌지핀의 세로축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제1하우징부품에서 멀어지게 제2하우징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하우징부품에 고정된 결합 수단과 힌지핀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구비함으로써 횡단벽에 있는 구멍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힌지핀의 축에 대하여 제2하우징부품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제2하우징부품내에 배치된 역분사 여과기부품 청정수단은 유동관과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1의 공기분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제1하우징부품에 제2하우징부품을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은 하나의 하우징부품의 외부에서 간격을 이루어 장착된 다수의 연결핀과 다른 하우징부품에서 걸쇠수단에 일치하여 연결되는 지지걸쇠수단을 구비하고, 편의 수단은 다른 하우징부품에 관하여 하나의 하우징부품의 운동을 소정의 압력에서 제한하면서 절쇠수단과 접촉하도록 편의시키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여과기 부품에 으해 형성된 청정공기 내실과 상통하며, 아래로 연장하여 여과기부품에서 하우징의 청정공기 출구까지 청정공기를 유도하는 청정공기유동관과, 구멍에서 여과기 부품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단측에서 개방되게 이동가능한 덮개부재와, 여과기부품에서 축적된 부유성 고형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청정공기 유동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유동관에서 가압공기분류를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분리실로 하우징을 분할시키도록 배치되어 기류에서 분리된 물질을 수령하는 경사벽 수단과 유동관에서 공기를 수령하는 청정공기플리넘실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관은 하우징내에서 상기 벽수단을 통과하여 청정공기플리넘실과 상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여과기부품의 한 단부에서 분리실과 직접 통하지 않게 청정공기실을 밀폐시키기 위해 여과기부품과 연결될 수 있는 상단밀폐수단은 여과기부품의 한 단부에 배치된 차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분리실내에 배치되어서 여과기부품으로부터 청정공기를 유출시키는 하우징내의 청정공기유동관과 제각기 사옹하는 다수의 여과기 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분리실내에서 서로 상통하는 가시유동선에서 여과기 부품을 분리하는 분할수단은 여과해야 할 공기를 각각의 여과기부품으로 유입시키는 구멍을 형성하는 간격을 이룬 유입공기 루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가압공기의 분류를 배축시키는 수단은 방사상 외부로 향한 기류가 여과기 부품에 축적된 부유성 고형체를 제거하게 하고 방사상부로 향한 유속이 여과기 부품의 상단부를 향하여 점차커지게 하는 방법으로서 여과기부품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벽에 가압공기의 분류가 충돌하도록 베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부유성고형체를 함유한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여과기에 있어서, 에워싸인 분리실을 한정하는 횡단상단벽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된 상단측면과 측벽수단을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에서 부유성 고형체를 함유한 공기를 분리실로 유도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수단과, 분리실내에서 분리된 물질을 하우징으로부터 배출시키는 수단과, 여과기부품의 한 단부에 있는 하단밀폐수단과 여과기부품의 다른 단부에 있는 상단밀폐수단 사이에서 분리실내의 수단에서 지탱된 다공성물질 장벽충돌실 여과기부품과, 하우징으로부터 청정공기를 유도하기 위해 여과기 부품으로 형성된 내부의 청정공기실과 상통하는 청정공기배출유동관과, 하우징에 연결되어서 여과기부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단측면에서 하우징을 개방하도록 이동되는 제거식 덮개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여과기부품을 지지하는 수단은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하단밀페수단을 지지하는 평판과, 상기 평판에서 아래로 연장하여 청정공기배출관을 형성하는 수단까지 이르는 유동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부유성고형체를 함유한 공기를 여과하는 장치에 있어서, 에워싸인 물질분리실을 환정하는 횡단상단벽을 형성하는 수단과 측벽수단을 가지는 하우징과, 부유성고형체를 함유한 공기를 분리실로 유도하는 수단과, 분리실에서 분리된 물질을 하우징에서 배출시키는 물질배출수단과, 여과기부품으로부터 여과기부품의 아래에서 플리넘실 및 분리실 사이의 공동벽에 의해 하우징에 형성된 청정공기 플리넘실까지 청정공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여과기부품에 의해 형성된 청정공기내실과 상통하는 청정공기 유동관과, 하우징에 연결되어 여과기 부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단벽에서 하우징을 개방하도록 이동되는 덮게부품과, 플리넘실에 배치되어서 여과기부품으로부터 축적된 부유성 고형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청정공기 유동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유동관내로 가압공기의 분류를 배출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50005847A 1984-10-09 1985-08-14 역류식 공기 여과기 시스템 KR860003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657,712 US4681609A (en) 1983-11-07 1984-10-09 Top loading and inverted backflushed air filter systems
US657,712 1984-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42A true KR860003042A (ko) 1986-05-19

Family

ID=2463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847A KR860003042A (ko) 1984-10-09 1985-08-14 역류식 공기 여과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90718A (ko)
KR (1) KR86000304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90718A (ja) 198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746A (en) Air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air with particulate matter
CA2812340C (en) System for gas cleaning
CA2001050A1 (en) Oil filter
KR860700215A (ko) 흐름전도에 적응하는 종단캡을 갖는 필터
EA002874B1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сепарации/коалесценции
KR890003431A (ko) 오일연무 제거장치
KR950031170A (ko) 클린룸용 개방형 에어샤워장치
US3384242A (en) Apparatus for removing entrapped air in filters
KR850006121A (ko) 건·습식 진공 소제기
KR900004377A (ko) 백와싱 필터(backwashing filter)
US6015488A (en) Filter system for septic tank
US5234483A (en) Negative pressure sanitary installation equipped with a purifier of gaseous fluids
KR900015789A (ko) 여과기
KR860003042A (ko) 역류식 공기 여과기 시스템
US3731467A (en) Gas and liquid separator
NO971398L (no) Separasjonsanordning
US20030062295A1 (en) Self-cleaning filter assembly
SE9603269L (sv) Filterelement för tryckfilter
EP0108043B1 (en) Valve mechanism with built-in purifying filter
JPH11505330A (ja) 格納容器の空気抜き取りシステム
US3059666A (en) Air filter
CA2362120A1 (en) Device for cleaning a fluid in the form of a vapor from a circuit
KR0130576Y1 (ko) 스트레이너
KR19980048354A (ko) 백 하우스 집진장치
SU1487936A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