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555Y1 -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 Google Patents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555Y1
KR860002555Y1 KR2019840007371U KR840007371U KR860002555Y1 KR 860002555 Y1 KR860002555 Y1 KR 860002555Y1 KR 2019840007371 U KR2019840007371 U KR 2019840007371U KR 840007371 U KR840007371 U KR 840007371U KR 860002555 Y1 KR860002555 Y1 KR 860002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haft
stop
deadloc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753U (ko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박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웅 filed Critical 박세웅
Priority to KR2019840007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555Y1/ko
Publication of KR860001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 데드록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제1도는 해정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제2도는 괘정시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제3도는 안전룩크장치의 정지간을 잠근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갑체 2 : 회전축
2a : 조작핸들 2b : 절결요홈
3 : 괘지편 3a : 괘정간
3c : 장방공 3d : 괘지핀
4 : 작동간 4a : 삽착편
4b : 접동편 5 : 회전축공
6 : 작동축 6a : 작동노브
7 : 정지간 7a : 괘지홈
8 : 코일스프링 8a,8b : 탄지간
본 고안은 일반주택 및 아파트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데드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간이 축착된 조작핸들 회전축의 내측단부에 실린더정의 회전간이 직접 삽입되게 하고, 그 작동간의 회전조작으로 개폐작동되는 괘지편몸체의 중간부에는 장공을 천설하여, 이에 유착되는 정지간의 고정에 따라 괘정간의 괘지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게한 도어용 데드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드록에는 괘정간의 개폐 즉, 원활한 괘정 및 해정을 도모하고 실린더정을 통한 임의 해정을 방지하기위한 여러가지 형태 및 구성을 가진 개폐장치 및 안전록크장치가 채용되고 있으나, 이들 종래의 장치들은 통상 다수개의 부품이 소요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그 작용이 미흡하고 사용하기가 불편하여 사용도중 빈번한 고장이 유발되거나, 불완전한 조작으로 인한 오작동이 유발되는 등의 폐단이 있는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이들 종래 데드록의 구성 및 작용을 좀더 구체적인 실예를 들어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 외부의 실린더정을 통한 키이로써 괘정간을 괘정 또는 해정케함에 있어서는, 키이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회전간의 회전력으로 내측지지판에 유착된 회전링을 회전시키고, 그와 함께 연동되는 하부의 회전핀으로 조작핸들의 회전축에 축착된 작동간을 회전작동케하여 괘지편을 상. 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괘정간의 괘정 및 해정을 기하게 되는바,
이와같은 괘정장치의 작동을 위하여는 상기한 바와같이, 실린더정 회전간의 회전력이 직접 전달되는 회전링을 도어록 외갑체의 내측커버에 유착하는 동시에, 그 회전링의 주벽하부 일측에는 또다른 절곡 회전핀을 하향돌설시켜야하는 한편, 괘지편을 작동시키는 작동간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회전핀의 단부가 삽입 지지되는“∪”형 단면의 접촉돌기를 별도로 착설해야하는 등의 번거로운 가공, 조립공정이 소요되는 복장한 구성을 가지게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요인을 갖게 될뿐 아니라, 상기 유착부 및 작동부의 마모 또는 이완등으로 인한 고장의 우려를 배제할 수 없게되는 결함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작동되는 괘지편 및 그 괘정간의 괘지상태를 고정하여 임의해정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로크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도, 외갑체 하부일측의 고정금구에 유착한 정지간의 선단부가 작동간의 일측주연에 요설된 요입홈내에 삽탈되게하는 동시에, 손잡이에 설치된 별도의 압압간을 눌러 그 단부가 외갑체의 내측면에 천공한 고정고에 삽입고정되게하며 작동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된 것과, 또는 괘지편의 중앙 양측부에 고정공을 천공하고 외갑체의 전면판에는 이들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끼워 그 외측부 손잡이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을 탄설하여 고정나사의 나희에 따라 나사의 단부가 상기 괘지편의 고정공에 삽지되게 함으로써, 괘지편을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같은 종래의 고정 정지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정지간과 요입홈, 압압간과 고정공, 또는 고정나사와 고정공 등의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켜야하는 등의 까다로움과 불편이 따르게 될뿐만아니라, 이와같은 여건에 따라 정지간 및 고정나사등이 고정공등에 확실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괘정간의 괘지상태를 완전하게 고정할 수 없게되는 결함이 있으며, 특히 나사식 고정장치에 있어서는 고정공이 천공된 괘지편과 고정나사의 내측단부가 끼워지는 외갑체의 내측면간에는 괘지편의 상. 하작동을 원활히 하기위한 여울간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여유간격부의 폭은 괘지편의 상. 하작동에 따라 가변하게 되므로, 고정나사가 고정공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거나 완전히 회탈되지 않을 경우에는 확실한 고정 또는 해정을 기할수가 없게되어 출입문의 개폐시에 가해지는 충격등에 위하여서도 쉽게 해정되거나 또는 임의로 고정될뿐 아니라, 한번의 고정 또는 해정시에도 수회 반복하여 돌려야하는 고정나사를 사용함에 따라 그 나사 또는 나사가 끼워지는 외갑체의 나공이 마모될시에는 그 사용이 불가한등 여러가지의 결함과 문제점이 수반되고 있없다.
본 고안을 상기와 같은 종래 도어록의 결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동간이 축착된 조작핸들 회전축의 내측단부에 실린더정의 회전간이 삽입되는 회전축공을 형성하여 그 회전간의 단부가 직접 삽입지지되게 하는 한편, 괘지편의 중간부에는 안전록크장치 정지간의 작동축이 유삽되는 장방공을 천설하고 괘지편의 일측주연에는 정지간의 괘지부가 괘지고정되는 괘지핀을 돌설하는 동시에, 작동축에 축착되는 정지간의 고정부 하측에는 구형접촉편을 갖게하여, 그 접촉편의 양측 접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프링의 탄성으로 정지간의 원활한 고정 및 해정작동을 기할 수 있게하고, 일차고정 또는 해정된 정지간의 위치가 변형됨이 없이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개의 감합부(1a) 및 요입부(1a')가 일측에 형성된 외갑체(1)의 일측에는 조작핸들(2a)이 축착된 회전축(2)이 유착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감함부(1a) 및 요입부(1a')에 내삽되는 ""형 괘정간(3a)이 구비된 괘지편(3)을 설치하여 회전축(2)의 내측단부에 유착되는 작동간(4)의 회전에 따라 괘정 또는 해정할 수 있게된 도어용 데드록에 있어서, 일정구경의 중공부가 형성된 원관형 회전축(2)의 내측단부에는 수개의 절결요홈(2b)을 요설하고, 그 회전축(2)에 축착되는 작동간(4)의 축공 내주연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2)의 절결요홈(2b)에 대응삽착되는 2개의형 삽착편(4a)을 서로 마주보도록 내향돌설하여, 작동간(4)이 축착된 회전축(2)의 내측 단부에는형의 회전축공(5)이 형성되게 하였으며, 일정길이를 가진 작동간(4)의 선단에는 그 중간부를 일정폭으로 절곡하여 형성시킨 접동편(4b)이 하향돌설되게 하는 한편,
이와같이된 작동간(4)의 접동편(4b)에 접촉되는 접촉턱(3b),(3b')을 가진 괘지편(3)의 중간부에는 일정크그의 장방공(3c)을 괘지편의 작동방향으로 천설하여, 그 장방공(3c)에는 외갑체(1)전면판(1b)의 중앙부에 유착한 안전록크장치의 작동축(6)이 유삽되게하고, 장방공(3c)을 통하여 관출되는 작동축(6)의 내측단부에는 괘지홈(7a)이 요설된 정지간(7)을 축착하되,
장방공(3c)의 일측주연부인 괘지편(3)의 일측에는 정지간(7)의 괘지홈(7a)이 괘지되는 괘지핀(3b)을 수직입설하고, 상기 작동축(6)에 축착되는 정지간(7)고정부의하측에는 각기 다른 각도의 평면상 접촉면(7b'),(7b")을 가진 접촉편(7b)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이와같이 설치된 외갑체(1)전면판(1b)의 내측면 일측부에는 코일스프링(8)이 유삽되는 고정보스(9)를 돌설하여 그 코일스프링(8)의 일측 탄지간(8a)의 단부가 상기 정지간(7)하부접촉편(7b)의 일측주벽(7b')에 접촉되게 하는 동시에, 소정형상으로 절곡된 타측 탄지간(8b)이 상기 작동간(4)선단의 접동편(4b)을 탄설하게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3e는 정지간(7)이 정해된 상태의 고정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안내편이고, 6a는 정지간(7)측 작동축(6)의 작동노브이며, 10 및 10a는 실린더정 및 그 회전간, 11은 출입문을 각각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데드록은 괘지편(3) 및 그 괘정간(3a)이 해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간(4)에 탄설된 스프링(8)탄지간(8b)의 탄성으로 그 해정위치가 변형됨이 없이 유지할 수 있으며, 안내편(3e)에 의하여 지지고정되는 정지간(7)의 고정위치 도한 하부 접촉편(7b)의 일측 접촉면(7b')에 접지된 스프링(8)탄지간(8a)의 탄성으로 확실히 고정되므로 외부의 충격등에 의하여 임으로 괘정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괘지편(3)을 이동시키어 괘정할 시에는, 조작핸들(2a)을 회전조작하면 그 회전축(2)에 축착된 작동간(4)이 회전하여 괘지편(3)의 일측 접촉턱(3b)에 접촉된 작동간(4)선단의 접동편(4b)이 타측 접촉턱(3b')에 접동회전하는 동시에 괘지편(3)을 상향이동시키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갑체(1)의 감합부(1a)내에 위치한 괘정간(3a)을 요입부(1a')의 내부로 돌출시킴으로써, 통상의 괘정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 도어록을 출입문(11)외부의 실린더정(10)을 통한 키이로서 개폐할 경우에는 키이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간(10a)의 단부가 회전축(2)의 축공(5)에 삽입되어 회전축(2)을 직접 회동시키게되므로, 별도의 연동장치가 소요됨이 없이 간단히 괘정 또는 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같이하여 괘정되는 괘지편(3)의 임의해정을 방지하기위한 안전록크장치를 잠그기위하여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노브(6a)를 약간만 회동하여 정지간(7)을 회전시키면, 그 정지간(7)의 괘지홈(7a)이 괘지편(3)의 괘지핀(3d)에 감합괘지됨으로써 괘정된 괘지편(3)의 고정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에 이와같은 정지간(7)의 회전에 따라 상기와같이 정지간(7)하부 접촉편(7b)의 일측 접촉면(7b')에 탄지된 스프링(8)의 탄지간(8a)이 타측 접촉면(7b")에 밀착탄지되어 괘지된 정지간(7)의 고정위치를 안정되게 잡아주게되므로 괘정된 괘지편(3) 및 그 괘정간(3a)의 괘정상태를 확실히 고수하게 됨으로써, 그 정지간(7)의 괘지상태를 해탈하지 않고서는 괘정간(3a)의 해정이 불가하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고안 데드록은 그 제조, 가공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게할 뿐만아니라, 간편한 조작으로 작동되는 작동간 및 정지간의 원활하고 활실한 괘정기능으로 사용상에 비롯되는 고장의 우려를 배제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 또는 무단해정등에 의한 임의해정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외갑체(1)의 일측에 유착된 회전축(2)을 조작핸들(2a)로 회동시키어 그 단부에 축착고정되는 작동간(4)의 회전으로 괘정간(3a)이 구비된 괘지편(3)을 이동시키어 괘정 또는 해정을 기하는 데드록에 있어서, 괘지편(3)의 중간부에 천설한 장방공(3c)에는 외갑체(1)의 중앙부에 유착된 작동노브(6a)의 작동축(6)을 유삽하여, 장방공(3c)을 통하여 관출되는 작동축(6)의 내측단부에는 괘지홈(7a)이 요설된 정지간(7)을 축착하고, 괘지편(3)의 일측에는 상기 괘지홈(7a)이 감합괘지되는 괘지핀(3d)을 돌설하되, 정지간(7)하부의 접촉편(7d)에는 코일스프링(8)의 일측 탄지간(8a)을 탄설하고, 괘지편(3)에 접동되는 작동간(4)선단의 접동편(4b)에는 코일스프링(8)의 타측 탄지간(8b)이 탄지되게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용 데드록.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2)의 내측단부에는 수개의 결절 요홈(2b)을 요설하고, 그 회전축(2)에 축착 고정되는 작동간(4)의 고정공에는 절결요홈(2b)에 대응삽착되는 삽착편(4a)을 내향돌설하여, 작동간(4)이 축착된 회전축(2)의 내측단부에는 실린더정회전간(10a)의 단부가 집접 삽입되는 회전축공(5)이 형성되게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용 데드록.
KR2019840007371U 1984-07-30 1984-07-30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KR860002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71U KR860002555Y1 (ko) 1984-07-30 1984-07-30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71U KR860002555Y1 (ko) 1984-07-30 1984-07-30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753U KR860001753U (ko) 1986-03-05
KR860002555Y1 true KR860002555Y1 (ko) 1986-10-06

Family

ID=1923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371U KR860002555Y1 (ko) 1984-07-30 1984-07-30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5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753U (ko) 1986-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832E1 (en) Dual-function locks and sub-assemblies therefor
US4276760A (en) Two-bolt lockset with simultaneous locking and unlocking of its bolts
US4228669A (en) Double cylinder lock with key retention
US9435141B2 (en) Panic exit door lock with an indication of a locking state
US6382006B1 (en) Removable cylindrical lock core
US20020170326A1 (en) Removable cylindrical lock core
KR910004498B1 (ko) 다용도 자물쇠 시린더와 그 조립방법
US2182588A (en) Lock
KR20010014174A (ko) 부정 조작이 방지된 수납체용 회전식 로킹 기구
CA2217392C (en) Multiple backset lock
US3345838A (en) Double sliding door lock
KR860002555Y1 (ko) 도어용 데드록(dead lock)
US20050160775A1 (en) Deadbolt
US1756667A (en) Panic exit lock
US4724690A (en) Security bolt
EA033663B1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пирания защелок створок дверей
PL188350B1 (pl) Zamek bębenkowy
US5551263A (en) Lock with dead bolt camming action on 90 degree lock cylinder rotation
US3690132A (en) Lock plug shell
US2208003A (en) Compartment door latch
SU1013618A1 (ru) Цилиндровый замок
US3804440A (en) Rotary locking bolt
US1086837A (en) Lock and latch.
US4854140A (en) Plunger lock mechanism
US2694919A (en)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