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199B1 - 모래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199B1
KR860002199B1 KR1019830005423A KR830005423A KR860002199B1 KR 860002199 B1 KR860002199 B1 KR 860002199B1 KR 1019830005423 A KR1019830005423 A KR 1019830005423A KR 830005423 A KR830005423 A KR 830005423A KR 860002199 B1 KR860002199 B1 KR 86000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iltration
sand
wal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254A (ko
Inventor
가쯔미 이와사끼
가쯔야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긴죠꾸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노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긴죠꾸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노 노리오 filed Critical 히다찌 긴죠꾸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84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spr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B01D24/06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the pervious walls comprising a series of louvre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2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moving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30Trans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89Displacement of the filtering material to a compartment of the filtering device for regen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래 여과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래 여과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모래 여과장치의 여과실내의 여과재 결정입도의 분배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적층모래층의 높이와 모래 여과장치내의 여과 손실 수득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모래 여과장치와 종전기술의 하향 유동형 여과장치의 여과속도 여과 손실수두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물이 모래여과장치 안으로 유동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관도.
제6도는 하견판의 각도와 모래의 유동성을 일으키기 위한 임계속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7(a)도 내지 제7(d)도는 모래여과실과 수직 위치에 관하여 처리수실 사이의 벽의 하부부분 속에 원추형상의 갓으로 형성된 각도와 본 발명에 따라 모래여과장치내의 여과재의 움직임에 의해 적용된 거리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8(a)도 내지 제8(c)도는 본 발명에 따라 모래여과장치가 2차 처리수를 여과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때 얻은 자료 즉, 각각 SS, BOD 및 COD에 관하여 자료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9도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래 여과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받침대 16 : 입구실
22 : 원통형 탱크몸체 12, 13 : 원통형 지지벽
15 : 여과실 17 : 처리수실
30 : 갓 21 : 탱크밑바닥
29 : 입구도관 25 : 출구도관
26 : 분무노즐 19 : 순환도관
18 : 활강사면로 27 : 조절도관
28 : 분리탱크 31 : 찌꺼기방출도관
16B, 16B' : 입구실 15B, 15B' : 여과실
17B, 17B' : 처리수실 26B : 분무노즐
19B' : 순환도관
본 발명은 모래여과 장치에 관련된 개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체가 여과로 깨끗한 액체를 얻으려면 수평 방향으로 모래 여과층을 빠져나가는 기술된 형태의 장치와 관계가 있다.
모래 여과는 모래층내의 침전과 충돌로 액체속의 부유 또는 뜬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고체 및 액체분리 기술중의 하나다. 모래 여과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고, 수도속에서 처럼 사용된 느린 여과 과정과 응고제가 이용될 때 처럼 사용된 신속한 여과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제로 신속한 여과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를 가리킨다.
지금까지 모래 여과 장치는 수도 또는 공업용수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수자원이 고갈되고 있고, 폐수관리가 절박하게 되는 사실때문에, 모래여과 장치의 급증하는 큰 수요가 근년에 있었으며 이의 이용범위는 증가되고 현재 제3의 처리 즉 대도시의 하수처리, 도시사회의 적은 규모의 하수처리 및 배설물의 처리, 공업용수의 고도처리, 공장용수의 간단한 처리와 다용도 용수 및 급수의 다른 시스템을 포함한다.
모래여과 즉 고정시킨 베드형 여과에 있어서, 여과재가 막히게되고 여과성능이 감소되어 적어도 하루에 한번 여과재를 닦거나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과재가 세척되는 동안, 여과 작용은 중단시켜야 한다. 그래서 부가 여과장치는 하루 24시간동안 계속해서 여과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예비로 제공된다. 이것은 부속장치와 여과재의 막힘을 검출하고 주기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조절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필요하게 만든다. 이전기술의 이러한 단점들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은 여과가 여과층으로부터 여과재의 막힌 부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고 여과재의 신선한 보급을 제공함으로써 수행되는 움직일 수 있는 베드형 여과를 채택하도록 만들어 졌다. 오늘날 모래 여과기술의 분야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경향은 움직일 수 있는 베드형 여과가 고정시킨 베드형 여과를 대체하도록 한다.
몇가지 모래여과 장치에 있어서, 처리되는 액체는 통상적으로 깨끗한 액체가 여과층으로 처리된 후 여과층의 하단부에서 얻게되도록 모래여과층을 통해 아래쪽으로 유동을 일으킨다. 다른 모래여과장치에 있어서 처리되는 액체는 깨끗한 액체가 여과층의 상단부에서 얻을 수 있도록 모래 여과층을 통해 위쪽으로 유동을 일으킨다. 모래 여과장치로 처리한 액체량은 유동하는 모래여과층 횡단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이전기술의 모래여과장치에 있어서 만일 처리된 액체의량을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래여과 장치에 있어서, 모래여과층은 장치의 입구측이 거친 모래입자를 모으고 모래의 입자 규격은 출구측으로 진행하면 점차 감소하도록 제작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달리 기술하면, 입구측에 가까운 모래여과층의 일부분에 있어서 공극률은 단지 미세한 부유물질 또는 침전되는 떠 있는 물질 또는 모래에 부착되는 물질없으면 거친 모래 입자에 의해 걸려 처리되는 액체속에 혼합된 다량의 물질을 허용하도록 증가하고, 공극률은 모래여과층내의 공극률이 침전되거나 모래에 부착되고, 그것에 의해 깨끗한 액체를 얻을수 있으려면 아주 작은 외부물질을 허용하게끔 더 작아지도록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 쪽으로 감소되는 것이 필요하다. 모래여과층은 앞서 말한 모래입자의 분배를 갖는 것은 필수적이다. 만약 거칠고 아주 작은 모래입자의 정렬이 역류되거나 또는 아주 작은 모래입자가 모래여과층의 입구측에 배치되면, 크고 작은 외부물질이 둘다 모래에 부착되고, 모래 여과층의 밀폐가 짧은 순간에 일어나고, 그것에 의하여 종종 모래여과층의 반응성을 달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화한 여과재가 여과층에 다루어질때 대형 입자규격의 여과재가 모래여과층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작은 입자규격의 여과재가 모래여과층의 출구측에 설치되도록 액체의 여과를 수행하는 동안 대형여과 면적을 제공하거나 또는 설치면적에 관계없이 처리된 물의 양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한 모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래 여과장치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여과층의 일부분을 통하여 처리되는 액체의 단회로 유동의 발생을 피함으로써 모래 여과층의 층면적의 효과적 이용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모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에 대체로 수직한 벽으로 둘러싼 처리수실과, 처리수실에 인접하게 설치한 여과재를 포함하는 모래 여과실과, 바닥에 대체로 수직한 벽을 통하여 모래 여과실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모래 여과실을 둘러싼 입구실과, 입구실에 비처리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입구실에 연결된 도관을 가진 입구실 및 처리수실로부터 외측으로 처리수를 안내하기 위하여 처리수실에 연결된 도관을 가진 처리수실과 모래 여과실의 하부 부분에서 모래 여과실의 상부 부분가지의 순환속에서 여과재를 움직이게 하는 수단과 여과재가 순환속에서 모래여과실 안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모래여과실의 상부부분속의 여과재로부터 접착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과 비교적 거친 입자의 여과재는 비처리수를 위한 모래여과실의 입구측에 배치하고, 비교적 미세한 입자의 여과재는 비처리수를 위한 모래여과실의 출구측에 배치하는 그런 방법으로 모래여과실속의 여과재를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모래여과장치를 본 발명에 따라 제공하며, 이 장치에 의해 입구실에 공급된 비처리는 장치에 의해 처리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장치를 통하여 유동하는 바와 같이 외부물질을 모래 여과실속의 여과재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에 있어서, 처리수실과 모래 여과실을 포함하는 벽은 그곳을 통과하며 운반되는 물을 허용하나 여과재는 그곳을 통과하여 운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모래 여과실은 역 원추형상의 바닥표면을 제공하는 하부를 가질 수 있다. 즉, 여과실과 입구실간의 벽과 여과실과 처리수실간의 벽은 각각 내, 외측을 향하여 위쪽으로 복수의 하견판 구멍을 만들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제작할 수 있고, 벽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선재그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업에 있어서, 이들 벽은 되도록이면 대체로 서로 중심이 같은 원통형 벽의 모양으로 한다. 모래 여과실과 처리수실간의 벽을 구성하는 하견판의 맨 밑바닥의 한개는 원추형상갓과 바닥표면간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갓을 형성하는 역 원추형상의 바닥표면 쪽으로 연장되는 원추형상속에 유리하게 형성되고 여과실속의 모래의 일정한 순환을 얻을 수 있다.
여과실의 하부부분으로부터 여과실의 상부부분까지 여과재의 순환을 위한 수단은 여과실의 중앙하부부분으로부터 여과실속으로 공기를 불게하기 위한 구멍과, 여과재를 여과실의 상부부분으로 공기와 함께 안내하기 위한 구멍 상부에 설치된 도관 즉, 여과실의 상부부분속에 설치한 상부구멍을 가지는 도관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모래 여과장치의 분배 수단은 도관의 상부구멍 둘레에 설치한 원추형상의 갓을 포함한다. 가급적이면 갓은 사용하는 여과장치의 정지각인 경사도를 갖는다. 가급적이면 갓은 그것과, 여과실과 처리수실간의 벽을 구성하는 외견판간의 거리에 동등한 길이를 갖는다.
각은 여과실과 처리수실간의 벽을 구성하는 외견판에 의해 형성되고 수평위치는 가급적이면 20°와 45°사이의 범위만에 있고 더 될 수 있으면 30°와 40°도 사이의 범위안에 있다.
비처리수는 가급적이면 입구실의 하부부분을 통하여 이송되고, 입구도관은 개방단부에서 비처리수의 유동속도를 간막이 벽에 의해 감소되도록 입구실속에 배치된 입구도관에 간막이벽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처리수실에부터 처리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도관은 가급적이면 처리수실 속에 사수영역을 감소시키도록 처리수실의 하부부분안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장점과 다른 목적과 상기한 내용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할때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히 될 것이다.
제1도를 참고하면, 모래 여과장치의 한 실시예가 단면도안에 도시된다. 받침대(20)는 비처리수 입구실(16)속에 분리된 원통형 탱크몸체(22) 즉, 원통형 지지벽(12, 13)에 의해 여과실(15)과 처리수실(17)을 그위에 지지한다. 지지벽(12, 13)은 원통형 탱크 몸체(22)와 함께 대체로 같은 축이다. 모래같은 여과재는 여과재를 통과하는 물을 허용하나 여과재를 통과하는 여과재를 허용하지 않도록 제작된 지지벽(12, 13) 사이를 한정한 여과실(15)속에 포함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12 '13)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각각 내, 외측을 향하여 위쪽으로 향한 간막이 벽으로 구성된다. 여과실(15)과 처리수실(17) 사이의 지지벽(13)은 그것의 하부부분에 장착된 원추형상의 갓(30)을 갖는다. 여과실(15)은 역원추형상의 탱크밑바닥(21)을 구성하는 바닥을 가지고, 갓(30)은 순환속에 바닥을 통하여 이동하는 여과를 위한 탱크 밑바닥(21)과 갓(30) 사이의 공간을 한정하도록 탱크 밑바닥(21)쪽으로 연장한다.
입구실(16)은 입구실 하부부분에 연결된 입구도관(29)을 가지고 입구실 구멍에 부착된 간막이판을 가진다. 처리수 실(17)은 그것에 연결된 출구도관(25)을 가지고, 처리수실(17)의 하부부분의 처리수실의 구멍에서 연장된다.
분무노즐(26)은 여과실(15)의 하부부분속에 장착되고, 위쪽으로 연장되는 순환도관(19)은 분무노즐위로 연장되며 여과실(15)의 상부부분 속에 구멍을 갖는다. 원추형상의 활강 사면로(18)는 그것의 상부구멍 바로아래 순환도관(19)의 부분에 부착되고 지지벽(13)에 연장된다.
조절도관(27)과 배출되는 찌꺼기를 위한 분리탱크(28)는 순환도관(19)의 상부 구멍 둘레에 장착된다.
입구도관(29)을 통하여 이송되는 비처리수는 입구실(16)속으로 들어가고 여과실(15)속으로 지지벽(12)을 통하여 통과된다. 비처리수의 압력 때문에, 물은 지지벽(13)을 통하여 처리수실(17)속으로 들어가는 여과실(15)속의 여과재를 통하여 유동한다.
물이 여과실(15)속의 여과재를 통하여 통과할 때 물속의 이 물은 물로부터 분리되고 여과재 또는 모래에 부착한다. 그래서 얻은 깨끗한 물은 출구도관(25)를 통하여 처리수실(17)로부터 방출된다.
공기는 여과실(15)속으로 분무노즐(26)을 통하여 분다. 공기 흐름은 여과실(15)의 역원추 형상의 탱크밑바닥(21)위의 모래를 순환도관(19)안의 난류속으로 솟구치게 한다. 여과재를 부착되는 이물은 날류의 공기흐름에 의해 여과재로부터 분리되고 순환도관(19)의 상부구멍을 통하여 모래와 함께 방출된다. 이 물은 여과재보다 더 가볍기 때문에 이물은 물의 표면에 함께 수거되고, 찌꺼 방출도관(31)을 통하여 분리탱크(28)로부터 방출된다. 비록 이 물질이 비교적 무겁다 하더라도 이 물질은 분리탱크 속에 수거되게 분리탱크(28)쪽으로 향하는 물위에 뜨게 된다. 한편으로 순환도관(19)의 상부구멍을 통하여 방출되는 이 물질은 조절도관(27)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이르게 되고 활강사면로(18)를 통하여 여과실(15)로 되돌아 온다. 이때, 여과재는 큰 입자 규격의 모래가 입구측면 가까이 놓이고, 작은 입자 규격의 모래가 처리수실 가까이 배열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활강사면로에 의해 분배된다.
실제시간을 위한 분무노즐(26)을 통하여 연속하는 부는 공기흐름에 의해, 여과실(15)속의 모든 여과재는 순환도관(19)을 통하여 이동하는 동안 복귀될 수 있다.
여과실(15)과 처리수실(17) 사이의 지지벽(13)을 구성하는 하견판은 가급적이면 수평위치에 대하여서는 20°와 45°사이의 범위로 각을 형성한다.
각이 30°일 때 모래는 여과실(15) 내부의 위치안에 가장 유리하게 유리될 수 있다.
각(30)의 각도는 일정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여과실(15)속의 여과재를 일으키는데 중요하다. 수직위치에 대하여서 갓(30)에 의해 형성된 각이 20°와 45°사이의 범위속에 있을 때, 여과재는 아래쪽 방향으로 대체로 일정하게 움직일 수 있다. 30°와 40°도 사이의 범위는 더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여과장치에 있어서, 모래여과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이 물질에 의해 복귀된 여과재는 실의 상부중앙부분을 통하여 여과실(15)속의 여과재 더미로 되돌아오며, 거친 여과재는 입구실(16)부근위치로 분배되고 미세한 여과재는 처리수실(17) 부근위치로 분배된다. 즉, 제1도에 있어서, 거친 여과재는 지지벽(12)의 안쪽으로 직접 분배되고, 미세한 여과재는 입구실 측면으로부터 여과실(15)안의 처리수측면을 향하여 진행되어 연속적으로 감소된 결정입도를 가지는 중간에 설치한 여과재와 같이 지지벽(13)의 외측으로 직접 분배된다.
제2도는 여과실(15)안의 여과재의 분배를 도시한다. 입구측면의 모래층을 선별하여, 중앙부분과 출구측면은 성취되고, 여과재는 0.8mm이하, 0.8과 1mm사이, 1과 1.19mm사이 및 1.19mm 이상의 그룹으로 그 결정입도에 따라 나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9mm 이상의 여과재는 입구측면의 모든 여과재의 60%로 보고 되었고, 0.8mm 이하의 미세한 여과재는 발견되지 않았다. 출구측면에 있어 1.19mm 이상의 여과재의 수효는 0.8mm 이하의 여과재 또는 0.8과 1mm 사이의 여과재가 점차 증가되는 동안 점차 감소되었다.
큰 규격의 모래 입자가 외측 주변 부분에 설치되고 작은 규격의 모래 입자가 내측 주변부분에 설치된 여과실(15)안의 여과재의 분배는 아주 유익한 본 발명에 따르는 모래 여과장치를 만든다. 원통형 형상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물은 여과층의 외측 원주로부터 내측으로 유동하여 물이 여과되는 속도 또는 여과속도는 여과층의 내부부분을 향하여 진행하는 가운데 더높아 진다. 이와 같이 관계는 여과속도가 거친 모래입자로 이루어지는 높은 공극률의 여과층의 부분속에서 낮아지고 미세한 모래 입자로 이루어지는 낮은 공극률의 여과층의 부분속에서 높아져, 고체입자는 전체 여과층을 통하여 고도의 효율을 가진 여과제에 의하여 걸리게 된다. 모래 입자의 상술한 분배는 부동 또는 물속에 떠 있는 재료가 여과층의 밀폐를 일으키기전에 시간이 걸린다는 부가적 이점을 제공한다. 그래서 문제점은 여과재가 항상 위에 설명한 모래의 순환유동에 의해 복귀되기 때문에 여과층의 밀폐에 관하여 일어나지 않게 된다.
여과재의 상술한 분배는 여과 손실수두가 감소되는 부가적 이점을 제공한다. "여과 손실수두"라는 용어는 장치속으로 들어가는 물과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물사이의 압력 차이에 관하여 설명함으로써 정의되고 mmAq의 용어로 여과장치를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의해 허비한 압력을 나타낸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모래 여과장치 속에서 200m/일의 여과속도로(여과실 내부의 물 인입비율)100에서 500mm까지 변화하는 높이의 여과층을 통하여 운반되는 물에 의해 여과손실수두(mm)에 처리한 시험결과를 도시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모래 여과 장치와 이전기술의 아래쪽으로 지시된 유동형 여과장치안에서 100 내지 300mm의 여과속도(유입속도)로 길이600mm의 여과층을 통하여 흐르는 물에 의해 여과 손실수두로 행한 시험결과를 도시한다. 여과손실 수두는 이전기술의 여과장치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모래 여과장치속에서 약 30% 만큼 더 작다는 것을 제4도에 도시된 그래프로 알 수 있게 될 석이다.
모래 여과장치는 실제 수직 높이의 여과층을 통하여 연장하는 수평으로 지시된 액체수로를 가질 때 본 발명에 따르는 모래 여과장치가 있듯이, 비처리 액체측으로부터 처리액체측을 향하여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속도는 액체의 위치에 의존하는 변화를 도시할 수도 있다. 제5(a)도 또는 물이 입구실(16)로부터 여과실을 통하여 처리수실(17)까지 유동하는 횡단면내의 장치의 왼쪽 절반부분을 모형처럼 도시한다. 제5(b)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유동하는 물의 유동속도를 도시한다. 유동속도는 유출의 상부를 향하여 진행하면 더 높고 유출의 밑바닥을 향하여 진행하면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게될 것이다. 만약 여과층을 통하여 흐르는 물의 흐름이 일정하지 않은 유동속도를 가질때, 여과층의 상부부분은 단락통로를 제공하도록 높은 유동속도의 물로 멀리 스쳐지나간다. 이 현상을 피하려면 입구실(16)과 처리수실(17)은 가급적이면 각각 간막이벽으로 이뤄진다. 간막이벽을 가진 모래여과장치내부의 하부부분에서 입구실(16)로 비처리수를 급하는 것은 위에 설명하였고, 비처리수는 상부, 중앙 및 하부부분안의 여과층을 통하여 대체로 일정한 유동속도에서 유동하게 만들 수 있으며, 처리수의 회수는 하부부분에서 처리수실(17)로부터 유익하게 달성된다.
여과실(15)과 처리수실(17) 사이의 지지벽을 구성하는 하견판 사이의 이동으로 처리수실(17)속에서 여과재의 삽입은 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만약 수평위치에 관하여 하견판으로 구성된 각도가 작다면, 모래는 하견판의 경사표면을 올라가도록 만들 수 있고 물의 유동으로 처리수실(17)속으로 움직인다.
만약 이 각도가 너무 크다면, 물의 유동은 중단되고, 유동속도는 하견판위로 움직이는 모래로 생기는 구멍에서 상승된다. 제6도는 모래가 하견판 위로 움직일 수도 있는 각도를 결정을 예상하여 물의 유동속도에 관하여 수평위치에 관하여 하견판으로 형성된 각도로 행한 시험결과를 도시한다. 제6도에 도시된 그래프는 만약 물의 유동속도가 곡선 위쪽에 위치하면 모래는 하견판위로 움직이고, 유동속도가 곡선 아래에 있을 때 모래는 하견판위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수평위치에 관하여 하견판으로 형성된 각이 20°와 45°사이 범위내에 있을 때 비록 물의 유동속도가 800m/일(입구실측에 있어) 이더라도 모래는 처리수실(17)속으로 유입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고, 모래의 움직임이 유동속도가 최대로 될 때까지 회피되는 각도는 약 30°라는 것을 제6도에 도시된 그래프로 알수 있을 것이다.
지지벽(13)이 철사 그물로 구성될 때 사용한 철사 그물은 가급적이면 스테인레스스틸로 형성하고 그 물은 가급적이면 20 내지 40메시이다. 철사 그물의 이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물의 유동속도가 800m/일 이상일때까지 철사그물을 통하여 모래의 움직임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과실(15)내부의 모래 움직임 속의 조사가 행해졌다. 여과실속의 여과재는 가급적이면 비처리수 입구측과 처리수 출구측에 동일한 일정한 유동성을 갖는다.
제7(a)도 내지 제7(d)도는 여과실과 수직위치에 관하여 처리수 실(17)사이의 지지벽(13)의 하부단부에서 갓(30)에 의해 형성된 각도 θ가 0°,40°,50°,60°로 변화하였을 때 얻은 여과재의 움직임을 행한 시험결과를 도시한다.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θ가 0°일때 처리수출구측에 있는 모래는 높은 유동성을 가지고 비처리수출구측에 있는 모래는 거의 유동성이 없는 것을 도시한다. 이 현상은 처리수측이 공기 급상펌프 쪽으로 움직이는 모래를 위해 통로를 제공하고 깨끗한 모래는 양이 작다는 사실로써 설명된다.
제7(c)도 및 제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θ가 50도 내지 60도였을 때, 비처리수측에 있는 모래는 움직이는 모래를 위한 통로가 모래층의 중앙부분보다 비처리수 입구측에 더 가깝기 때문에 높은 유동성을 갖고, 처리수 출구측에 있는 모래는 움직이는 모래를 자극하는 힘이 이미 갓(30)의 경사각도가 물속의 모래 정지각도(30°)에 대체로 동일한 수평위치에 관하여 30도 및 40도 사이의 범위내에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적기 때문에 움직이는 경향이 거이없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θ가 40도였을 때, 비처리수 입구측에 있는 모래는 고속도의 움직임을 갖고 처리수 출구측에 있는 모래는 움직임에 있어 그렇게 느리지는 않으며, 여과실내의 모래는 유동성에 있어 전체로 균형되었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예]
본 발명에 따르는 모래여과 장치는 제공되었고 시험은 장치의 작동방법을 알기 위해 약 한달동안 가동시켰다. 장치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탱크의 직경은 2.2m, 탱크몸체(22)의 높이는 탱크바닥(21)로부터 4.7m 지지벽의 경사각도는 30도, 갓(30)의 경사각도는 40도 여과층을 통하는 물의 유동속도(유입속도)는 200m/일, 비처리 수의 유동률은 60m3/시간, 세척공기의 유동률은 6m3/시간, 방출된 세척수의 유동률은 6m3/시간이다. 2차 진행폐수를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 시험과 결과는 각각 SS농도, BOD농도, COD농도를 가리키는 제8(a)도, 제8(b)도, 제8(c)도에 도시된다. 제8(a)도 내지 제8(c)도에 도시된 그래프에 있어서, × 및 △는 각각 비처리수, 처리수, 방출세척수를 표시한다. 처리수의 SS, BOD 및 COD의 값은 비록 비처리수의 SS, BOD 및 COD가 값으로 변화를 나타내더라도 떨어진다.
설명은 형을 원통형으로 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래 여과장치에 관련하여 위에 설명하였다. 그러나 장치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입구실 16B 및 16B'는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고 여과실 15B 및 15B'는 입구실 16B 및 16B'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처리수실 17B 및 17B'는 여과실 15B 및 15B'의 내측으로 설치된다.
분무노즐 26B 및 순환도관 19B'는 중앙부분안에 설치된다.

Claims (12)

  1. 여과재로 가득차고 여과실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을 수용하나 여과실의 움직임으로부터 여과재를 막아주는 구조의 외부벽(12)으로 한정된 여과실(15)과, 외부벽의 외부벽 표면과 여과탱크의 내부벽 표면으로 한정된 비처리수를 위한 입구실(16)과, 상기 입구실은 입구실속으로 비처리수를 급송하기 위한 입구실에 연결된 도관(29)를 가지며, 여과실 속에 장착한 내부벽으로 한정된 처리수실(17)과, 상기 내부벽은 내부벽을 통하여 운반되는 물을 허용하나 내부벽을 통하여 움직이는 여과재를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순환실의 하부부분으로부터 순환실의 상부부분까지 순환가운데 여과재를 움직이게 하기 위한 수단과, 여과실의 비처리수 입구측에 비교적 거친 입자의 여과재를 분배하고 여과실의 처리수출구측에 비교적 미세한 입자의 여과재를 분배하기 위한 수단과 여과실의 상부부분속의 여과재로부터 부착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정되는 여과탱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실은 역 원추형상의 바닥표면(21)을 제공하는 하부를 갖고, 여과실을 한정하는 외부벽과 내부벽은 각각 외, 내측 위쪽으로 열린 하견판으로 구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여과재는 외부벽과 내부벽사이에 가득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벽과 내부벽은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벽을 구성하는 하견판의 맨 밑바닥의 하나는 내부벽으로부터 여과실의 바닥표면쪽으로 연장되는 원추형으로 갓(30)을 제공하며, 이것에 의해 공간은 원추형상의 갓과 여과재를 움직이기 위한 여과실의 바닥표면의 역원추형상의 바닥표면 사이에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여과재를 여과실의 하부부분으로부터 여과실의 상부부분까지 순환가운데 움직이게 하기 위한 수단은 여과실속으로 공기를 불기위해 여과실의 중앙 하부부분에 형성된 구멍과, 구멍위에 설치되고 여과실의 상부부분에 여과재를 안내하는 처리수실 내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며, 여과실의 상부부분속에 설치한 상부구멍을 가진 도관(19)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여과재를 분배하는 수단은 여과실의 상부부분 속에서 도관의 상부구멍에 부착한 원추형상의 갓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내부벽은 수평위치에 관하여 20°와 45°사이 범위내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내부벽과 수평위치로 형성된 각도는 약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내부벽의 하단부에 설치한 원추형상의 갓은 수직위치에 관하여 20°와 45°사이 범위내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내부벽의 하단부와 수직위치에서 원추형상의 갓으로 형성된 각도는 30°와 40°사이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비처리수는 입구실로부터 하부부분으로 급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처리수는 처리수실로부터 하부부분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장치.
KR1019830005423A 1983-06-13 1983-11-15 모래 여과 장치 KR860002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3105794A EP0128234B1 (en) 1983-06-13 1983-06-13 Sand filtration apparatus
EP83105794.8 1983-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54A KR850000254A (ko) 1985-02-26
KR860002199B1 true KR860002199B1 (ko) 1986-12-31

Family

ID=819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423A KR860002199B1 (ko) 1983-06-13 1983-11-15 모래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128234B1 (ko)
KR (1) KR860002199B1 (ko)
DE (1) DE337466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279A (ja) 1996-12-23 2001-06-05 シャーデ ホルスト 液体を連続的に濾過する方法及び装置
US6077426A (en) * 1997-02-05 2000-06-20 Grabowski Tropfkorper-Technik Gmbh Filter filled with loose bulk material
DE19704238A1 (de) * 1997-02-05 1998-08-06 Grabowski Tropfkoerper Technik Filter mit Schüttgut
DE19929637B4 (de) * 1999-06-28 2007-12-13 Wabe Wasseraufbereitung Gmbh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Filtrieren von Flüssigkeiten
JP3524447B2 (ja) * 1999-10-27 2004-05-10 株式会社広洋技研 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4114A (ko) * 1969-06-11 1971-06-03
FR2030013A1 (ko) * 1969-09-09 1970-10-30 Lagoutte Pierre
FR2068023A5 (en) * 1969-11-25 1971-08-20 Trest Mosochistvog Uprav Water purifying sand filter
HU166502B (ko) * 1970-05-25 1975-03-28
US4060484A (en) * 1974-07-15 1977-11-29 Simon-Hartley Limited Fil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28234B1 (en) 1987-11-25
KR850000254A (ko) 1985-02-26
EP0128234A1 (en) 1984-12-19
DE3374664D1 (en) 198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33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ded solids from liquids
US5976365A (en) Biomass growth control apparatus for fluid bed biological reactor
US4547286A (en) Water filtration process and apparatus having upflow filter with buoyant filter media and downflow filter with nonbuoyant filter media
US4643836A (en) Radial flow filter having air fluidizing backwash means
US3667604A (en) Moving be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fluid
US5122287A (en) Filtration system
US6641737B2 (en) Vertical filter
KR100404716B1 (ko) 액체로부터 비용해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479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lecting granular material away from the outlet of a filtration bed
US3598235A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the purification of liquids by filtration
KR860002199B1 (ko) 모래 여과 장치
CA1291953C (en) Buoyant filter media
US5698106A (en) Filtration process and apparatus
EP0053115B1 (en) Liquid filtering apparatus
CA1102233A (en) Apparatus for the wet separation of foreign particles from air
EP042874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iltering medium circulation type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JP2599538B2 (ja) 傾斜板式沈殿槽およびその閉塞防止方法
US424611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 and liquid
KR102367543B1 (ko)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가 적용된 여과지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JPH0450842B2 (ko)
GB2293988A (en) Sedimentation tanks
US6077426A (en) Filter filled with loose bulk material
GB2080696A (en) Upflow water filtration with buoyant filter media
GB2118452A (en)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