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007Y1 -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007Y1
KR860002007Y1 KR2019840004395U KR840004395U KR860002007Y1 KR 860002007 Y1 KR860002007 Y1 KR 860002007Y1 KR 2019840004395 U KR2019840004395 U KR 2019840004395U KR 840004395 U KR840004395 U KR 840004395U KR 860002007 Y1 KR860002007 Y1 KR 860002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knot
shoe
storag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286U (ko
Inventor
송노일
Original Assignee
송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노일 filed Critical 송노일
Priority to KR2019840004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007Y1/ko
Publication of KR850009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2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05Holding-devices for laces the devices having means to hold the traditional knots or part of it tighte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제1도는 본 고안의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매듭 고정장치를 상세히 보이기 위한 신발의 평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끈수납 고정장치를 상세히 보이기 위한 정면도, (b)는 본 고안 끈수납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보인 부분절개 사시도.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고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무수히 많은 종류의 신발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중 끈을 사용하는 신발의 경우, 특히 운동화 예를 들면, 권투, 테니스, 축구 등과 같은 신발의 경우 운동하는 중에 심한 발의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부지불식간에 끈이 느슨해지거나, 심지어 풀어져서 대단한 불편을 야기시켰다. 또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결속된 끈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운동중 너풀거려 안정된 착용감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끈이 없는 신발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매직테이프를 끈대신 이용한 신발, 일측면에 다수의 고리를 형성하고, 타측면에 다수의 홀더를 장치한 신발 등이 있었다. 전자의 신발들의 구조는 비록 간단하나, 심한 운동을 할시에 쉽게 풀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후자의 것은 견고하긴 하지만 신발제조비가 많이 소요되고, 조임정도를 편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끈을 사용하는 신발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그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결속된 매듭이 풀어지지 않도록 유지시키고 또한 끈이 너덜대지 않도록 해주는 장치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매듭이 항상 일정한 장소에서 결속될 수 있도록 신발 혀부분의 갑피 상단에 좌, 우 양쪽 끈이 각각 관통할 수 있는 고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발 혀부분의 갑피상에 결속된 매듭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고정장치와, 이 고정장치를 보호하도록 또는 심지어 신발등의 모든 노출끈도 함께 보호하도록 덮을 수 있는 보호커버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잔여끈이 길 경우, 매듭이 결속된 후 매듭양쪽으로 늘어져 방치될 수 있는 끈을 안정감있게 수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신발양측면 상단 갑피상에 각각 끈을 수납하는 장치와 수납된 끈을 고정하는 장치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신발은 끈을 사용하는 신발의 혀부분의 갑피상에 매듭이 일정한 위치에서 결속시키기 위한 두개의 고리, 결속된 매듭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그리고 고정장치 또는 심지어 신발등의 모든 노출끈을 덮을 수 있는 보호덮개를 형성하고, 신발양측면 갑피상단에 끈이 길 경우, 매듭양쪽으로 늘어져 방치될 수 있는 끈을 수납시킬 수 있는 장치와 수납된 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목적, 특징, 구성 및 작용효과를 좀더 상세히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는 본 고안의 결속끈 수납 및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번호 "A"는 매듭수납 고정장치이고, "B"는 끈수납 고정장치(30)이 내장부착된 수납대이다. 매듭수납 고정장치 "A"는 신발의 혀부분 "1"상에 설치되며, 착화시에 결속된 매듭이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 및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끈수납 고정장치가 내장부착된 수납대 "B"는 신발갑피 양측면 상단위치에 설치되며, 이것은 매듭 양쪽으로 늘어지는 끈을 안정감있게 수납시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매듭수납 고정장치 "A"를 상세히 보이기 위한 신발의 평면도로써, 이 장치 "A"는 끈관통고리(26), 매듭고정장치(20)와 웅형부재(28a) 및 자형부재(28b)와 보호커버(27)로 구성된다. 매듭 고정장치(20)은 상호 대칭인 두개의 몸체(21a) 및 (21b)가 경첩(22)에 의해 상호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열려진 상태에서 몸체(21a) 및 (21b)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내측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폐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내측공간은 매듭을 보지시키기 위한 장소이다. 몸체(21a)는 그의 양측 각부상에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23)을 각각 갖고 있으며, 그의 각부들과 연장된 부분의 중심에는 일종의 후크(Hook) 또는 스냅버튼(Snap button)과 같은 록킹(Locking)장치의 웅형부재(28a)를 갖고 있다. 이 웅형부재(28a)는 몸체를 관통하여 신발 갑피상에 리벳트로 고정지지 되어 있다.
몸체(21b)도 역시 그의 양측각부상에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련의 톱니(24)를 갖고 있으며, 그의 각부들과 연장된 부분의 중심에는 몸체(21a)의 웅형부재(28b)가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구멍 또는 자형부재(28b)를 갖고 있다. 또한 몸체(21a)의 양측각부와 내측상에는 신발끈이 관통될 수 있는 끈관통고리(26)을 그와 일체로 각각 형성하거나, 신발갑피상에 별도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보호커버(27)은 도면에서는 비록 몸체(21a)의 하부에 인접시켜 고정시켰으나, 필요에 따라 신발 혀부분이 가장 밑부분 즉, 신발끈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하단부부상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제3(a)에서는 본 고안의 수납대 "B"에 내장부착된 끈수납고정장치(30)을 상세히 보이기 위한 정면로서 반대측면에도 동일한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제2도 매듭수납 고정장치 "A"와는 끈관통고리(26)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뿐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나머지 차이점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는 끈수납고정장치(30)이 내장부착된 수납대로서, 끈수납커버(38)은 주머니를 형성하여 신발끈을 내장하며, 신발갑피상에 부착된 테이프 화스너(39a)와 협동할 수 있도록 그의 주변 일부상에 대칭으로 테이프 화스너(39b)를 갖고 있으며, 또한 나머지 주변부는 점선(40a)와 (40b)를 따라 접착 또는 봉착된다. 여기서, 끈수납고정장치(30)의 몸체(31a)는 신발갑피상에 좀더 단단히 고정되도록 인접한 외주변에서 클램프(37a)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으며, 몸체(31b)도 역시 수납커버(38)과 인접한 외주변에서 클램프(37b)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다. 한편, (b)도는 본 고안 끈수납고정장치(3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개사시도로써, 전술한 제3(a)도와 동일하나, 그 차이점 즉, 몸체(31a)상에 내측으로 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부(42)가 형성된 걸림고리(41)이 몸체(31a)와 일체로 클램핑되어 있으며, 몸체(31b)는 걸림고리(41)과 함께 매듭을 보지시키기 위한 내측공간을 갖고 있고, 몸체(31a)에 고정설치된 웅형부재(35c)가 삽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구멍 또는 자형부재(35d)를 갖고 있으며, 클램프(37)에 의해 클램핑됨과 아울러 경첩(32) 및 테이프 화스너(39c)와 (39d)에 의해 상호 협동가능케 구성하였다.
이상 상술한 본 고안의 결속끈 수납 및 고정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 및 제2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 우측 끈은 각각 지그재그로 끈관통구멍(36)을 통과하고, 매듭고정장치(20)의 몸체(21a)의 밑을 통과하여 끈관통고리(26)을 각각 관통한다. 이 끈관통고리(26)에는 신발끈이 항상 관통되어 있으므로 신발착용을 용이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결속된 매듭을 항상 몸체(21b)의 내측공간에 보지시키는 역할을 해준다. 또한, 몸체(21a)의 상단에 인접한 신발갑피상에는 가로방향으로 매직테이프(25a)를 봉착 또는 접착시켜 고정하며, 그의 하단의 인접한 신발갑피상에는 매듭고정장치(20)을 덮을 수 있는 보호커버(27)이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봉착 또는 접착된다. 이 보호커버(27)의 타단상에도 역시 매직테이프(25a)와 협동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매직테이프(25b)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커버(27)은 매듭고정장치(20)의 몸체(21a)하단에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혀부분 "1"의 최하단 갑피상에 노출된 모든 끈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신발의 끈수납고정장치(30)이 내장부착된 수납대 "B"의 개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 "B"도 역시 매듭수납고정장치 "A"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끈수납고정장치(30)과 끈수납커버(38)로 구성된다. 끈수납고정장치(30)은 매듭수납고정장치(20)과 유사하나 몸체(31a)의 중심부분은 클램핑에 의해 신발갑피상에 끈수납고정장치(30)을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나머지 부분들 즉 경첩부(32), 한쌍의 장홈(33)과 톱니(34), 스냅버튼식 또는 후크식의 록킹장치(35a) 및 (35b)는 모두 전술한 장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다음 신발착용을 위해 매듭을 형성하면 그 끈관통고리(26)때문에 매듭은 매듭고정장치(20)의 내측공간에 항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매듭좌우로 늘어지는 끈은 각각 장홈(2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놓고 몸체(21b)를 록킹장치(28a) 및 (28b)로 체결하면 몸체(21b)의 톱니(24)에 의해 끈이 장홈(23)속으로 눌려 들어감으로 결속된 매듭은 절대로 풀어지지 않는다.
그다음 보호커버(27)을 매직테이프(25a) 및 (25b)로 덮으므로써 일단 착용은 완료된다. 그러나, 만일 끈이 길어 좌우로 노출된 경우 늘어지게 되므로 그를 위한 보조장치로서 끈수납고정장치(30)이 내장부착된 수납대 "B"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끈을 고정 및 수납시킬 수 있어 완전하고 안정된 신발착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운동선수들이 사용중 안정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끈을 사용하는 신발의 모델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매듭이 풀어지지 않도록 유지시키고 또한 끈이 너덜대지 않도록 해주는 장치를 갖고 있으며, 그 실용성이 상당히 기대되는 결속끈 수납고정장치를 갖는 신발인 것이다.

Claims (2)

  1. 신발전면갑피 "1"상단부위에 매듭을 결속시키기 위한 매듭수납고정장치 "A"와 , 신발의 갑피양측면 "2"상단에 설치된 끈수납고정장치(30)이 내장부착된 수납대 "B"로 구성하되, 매듭수납고정장치 "A"는 매듭고정장치(20)과 보호커버(27)로 구성하고, 매듭고정장치(20)은 경첩(22)에 의해 상호절첩되는 몸체(21a)와 몸체(21b)를 구성하고, 내측 중앙부분에 공간을 갖는 몸체(21a)는 양측 각 부상의 한쌍의 장홈(23)과 웅형부재(28a) 및 끈관통고리(26)을 갖고 있고, 내측 중앙부분에 공간을 갖는 몸체(21b)는 양측 각부상에 길이방향인 한쌍의 톱니(24)와 자형부재(28b)를 갖고 있고, 보호커버(27)은 결속, 해체가 가능하도록 매직테이프(25a)와 (25b)를 갖고 있고, 끈수납고정장치(30)이 내장부착된 수납대 "B"는 끈수납고정장치(30)과 끈수납 커버(38)로 구성하고, 끈수납 고정장치(30)은 경첩(32)에 의해 상호 절첩되는 몸체(31a)와 (31b)로 구성됨과 아울러 몸체(31a)는 내측 중앙부분에 공간을 구성하고 양측 각부상의 한쌍의 장홈(33)과 웅형부재(35a) 및 클램프(37a)를 갖고 있으며, 몸체(21b)는 내측 중앙부분에 공간을 갖고 있고 양측 각 부상에 길이방향인 한쌍의 톱니(34)와 자형부재(35b) 및 클램프(37b)로 구성되는 한편, 끈수납커버(38)은 상호대칭인 테이프화스너(39a)와 (39b)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 결속끈 수납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끈수납고정장치(30)은 경첩(32)에 의해 상호 절첩되는 몸체(31a)와 (31b)로 구성되어 있되, 몸체(31a)는 웅형부재(35c), 개구부(42)가 형성된 걸림고리(41) 및 클램프(37)로 구성되어 있고 몸체(31b)는 매듭보지를 위한 내측공간 및 자형부재(35d)와 클램프(37)을 갖는 것이 특징인 결속끈 수납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KR2019840004395U 1984-05-12 1984-05-12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KR860002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395U KR860002007Y1 (ko) 1984-05-12 1984-05-12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395U KR860002007Y1 (ko) 1984-05-12 1984-05-12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286U KR850009286U (ko) 1985-12-02
KR860002007Y1 true KR860002007Y1 (ko) 1986-08-20

Family

ID=1923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395U KR860002007Y1 (ko) 1984-05-12 1984-05-12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0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286U (ko) 198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696B1 (en) Protective shoelace storage compartment
US4879787A (en) Shoe lace knot securing device
US4507882A (en) Detachable shoe-pocket system
US6128834A (en) Shoe using a moulded bottom provided with a series of slots for the application of a strap-type closed upper
US4630383A (en) Shoe with gusset pocket
US20020013983A1 (en) Shoelace tightening device
US53534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securing a laced shoe
US5042119A (en) Securement, concealment and containment of footwear lace ends
US4642914A (en) Fastening means for footwear
US6473999B2 (en) Sport boot including an integrated lace storing device
US5996256A (en) Footwear construction with improved closure means
JPS59200606A (ja) 結び目確保器
US6477788B1 (en) Shoe with concealed gaiter fasteners
US20030024088A1 (en) Shoelace tying device
US20080086910A1 (en) Footwear with removable closure
EA00741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развязывания шнурков
US5096059A (en) Accessory saddle member for a golf bag
US7003903B2 (en) Pouch for concealing and containing shoelaces
US20030097765A1 (en) Shoe with concealed gaiter fasteners
RO119109B1 (ro) Dispozitiv pentru legarea şiretului la pantofi
US3948302A (en) Foldable ski cover
KR860002007Y1 (ko) 결속끈 수납 고정장치를 갖는 신발
US20050125972A1 (en) Lace trapping device
GB2067385A (en) Shoe with gusset pocket
CA1147551A (en) Shoe with gusset p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