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899Y1 -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899Y1
KR860001899Y1 KR2019840006352U KR840006353U KR860001899Y1 KR 860001899 Y1 KR860001899 Y1 KR 860001899Y1 KR 2019840006352 U KR2019840006352 U KR 2019840006352U KR 840006353 U KR840006353 U KR 840006353U KR 860001899 Y1 KR860001899 Y1 KR 860001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ail
fastening
stat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268U (ko
Inventor
신명균
Original Assignee
팬드롤-대원주식회사
허영준
이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드롤-대원주식회사, 허영준, 이명열 filed Critical 팬드롤-대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6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899Y1/ko
Publication of KR860001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Landscapes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제1도는 종래의 레일 체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레일 체결장치에 있어서 침목에 보울트 카버가 매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레일 침목에서 보울트 카바를 제거시킨 상태의 구멍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콘크리트 침목에 본 고안 체결장치를 적용함에 있어 구성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5도는 종래 콘크리트 침목의 구멍에 에폭시레진 아교를 충입시킨 상태도.
제6도는 제5도의 과장 이후 본 고안의 고정구를 구멍에 끼워주는 상태도.
제7도는 고정구가 구멍에 고정된 상태에서 레일 클립을 체결한 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레일체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은 일단 설치되었다가 철거되어 폐처리되는 철도용 콘크리트 침목에 적용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용 침목에 있어서는 목재침목과 콘크리트 침목이 있으나 목재 침목은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근래에는 콘크리트침목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레일체결부 구성을 제1동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 침목(1)을 성형할 때 레일을 체결해주는 보울트 구멍자리를 확정하고 그 자리에 내면 나사부(3)를 가진 합성수지 보울트카버(4)를 고정시킨 상태로 성형함과 동시 그 위쪽에는 요구(5)가 형성되게 성형하므로서형 보울트구멍(6)을 가진 콘크리트 침목(1)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콘크리트 침목(1)에 레일(7)을 설치항 때는 요구(5)에 게이지 블록(9)과 게이지 블록 받침(10)을 삽착시켜 레일(7)을 고정시키고 그 위에 체결용 스프링 클립(11)을 괘착시킨 상태로 보울트(12)를 구멍(6)에 나삽하여 이들 전체 체결장치를 일체로 결속시키게한 것이며 레일(7) 양쪽에서 동일한 체결방법으로 고정시키므로 레일(7)이 구심력 및 원심력에 견딜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레일(7)에 받는 진동과 하중에 의해 이들 체결부에는 크랙(crack)현상이 발생되고 뒤이어 급격한 유동력이 발생되므로 이들 체결장치와 콘크리트 침목(1)까지도 교체해 주지 않으면 위험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침목(1)의 보울트 구멍(6)을 형성하는 보울트 카바(40가 유동되거나 균열이 있게되면 각 체결부의 느슨하게 풀려저서 유동력이 생기게 되며 이로인해 콘크리트 침목(1)까지 교체해야 하는 이유는 침목(10)을 최초 성형시 보울트 카바(4)를 끼운 상태로 성형한 것이므로 보울트 카버(4)만을 다시 갈아끼울 수가 없도록 일체로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침목(1) 자체를 교체하지 않으면 않되는 불가피한 점이 있는 것이다.
침목(1)의 보울트 카버(4)를 펀치나 기타 공구호 타발하여 빼낼 수는 있지만 그 자리에 새것을 다시 끼울 수도 없고 약간의 유동력이 없도록 고정시킬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체결부에 크랙이 발생된 콘크리트 침목(1)은 아예 새것으로 교체해 주고 있으며 교체된 헌 침목(1)은 폐처히되어 버려지는 것이며 한번쓰고 버려지는 수량은 대단히 많기 때문에 막대한 소모에 의한 많은 예산이 필요하고 그 많큼 손실도 쿤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이유로 버려지는 콘크리트 침목(1)을 재사용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으며 보울트 카버(4)가 끼워졌던 구멍을 그대로 이용하여 종래보다도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랙현상에 의해 교체되는 콘크리트 침목(1)의 체결용 보울트 카버(4)를 제거한 구멍(6)은 제3도와 같으며 이 구멍에 본 발명의 레일 체결장치를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구멍(6)에 넉넉히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굵기로된 지축(13)과 요구(5)에 괘착될 수 있는 정도의 면을 가진 괘지편(14)을 구성되는 T형 고정구(15)를 사용하며 그 지축 (13)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요홈테(16)를 형성하여 요철면을 갖는 지축으로 형성되게 하고 괘지편(14) 상면에는 공지된 꼬임형 스프링 클립(17)이 삽착될 수 있는 체결공(18)을 형성한 것이다.
먼저 고정구(15)를 구멍(6)에 끼우기 전에 구멍(6) 하방의 협소공(19)에 별도의 름러그(20)를 끼워 막아주고 그 뒤쪽에 에폭시레진 아교(21)를 제5도의 상태처럼 적당량을 충입시킨 상태로 고정구(15)를 끼워주면 제6도의 상태처럼 그 지축(13)이 삽입되는 부피에 비례되는 량의 에폭시레진아교(21)가 상방으로 흘러나와 요구(5)에 고여지면 요구(5)내의 착접되는 괘지편(14)의 저면과 외부부위가 완전히 에폭시레진아교(21)에 의해 묻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고정구(15)의 체결공(18)이 올바른 위치에 있도록 잡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 상태에서 약간의 시간이 경과되면 접착제인 에폭시레진아교(21)가 경화되어 단단하게 굳어지게 되고 에폭시레진 아교(21)는 고강도의 접착제이므로 경화된 후에도 금속재질과 같은 강도를 갖게되며 콘크리트 침목(1)과 고정구(15)를일체화시켜주게 되어 균열이나 크랙이 발생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15)의 지축(13)에는 다수의 요홈테(16)가 형성되어 있어 축상에 파여진 요홈부가 파형굴곡으로 형성되고 그 요홈부마다 에폭시레진 아교(21)가 채워진 상태로 굳어지므로 물림 상태가 월등히 좋고 지축(13)의 유동성도 전혀 없으며 더구나 그 상단의 괘지편(14)이 에폭시레진 아교(21)에 의해 상면만 제외한 나머지 전체면이 묻혀지는 상태로 몰입된 갓이므로 결국 고정구(15)는 침목(1)과 일체로 된 것과 같으며 내구성이나 견고성은 충분히 유지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구(15)를 침목(1)의 구멍(6)에 고정시킨 후 공지된 스프링 클립 (17)의 일단을 고정구(15)의 체결공(18)에 끼워 레일(7)에 재치된 절연판(22)과 고정구(15)를 함께 체결하여 주므로서 레일(7)은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며 레일(7)의 양쪽면을 동일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페처리되는 콘크리트침목(1)에 본 고안의 체결장치를 적용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막대한 경제손실을 줄일 수 있고 종래 체결구성에 비해 오래 사용될 수 있으며 튼튼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고 부품이 간단하여 설치작업 시간도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폐처리되는 철도용 콘크리트 침목(1)의 구멍(6) 하단에 플러그(20)을 끼워 막아준 상태로 에폭시레진아교(21)를 충입시킨 후 다수의 요홈테(16)를 가진 고정구의 지축(13)을 구멍(6)에 삽착시켜서 그 상단 괘지편(14)은 요구에 삽착되고 지축(13)은 구멍(6)에 삽착된 상태에서 에폭시레진아교(21)가 경화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게한 후 고정구의 체결공(18)에 공지의 스프링 클립(17)를 결속시켜 레일(7)을 체결함을 특징으로 한 폐처리되는 철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KR2019840006352U 1984-07-04 1984-07-04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KR860001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352U KR860001899Y1 (ko) 1984-07-04 1984-07-04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352U KR860001899Y1 (ko) 1984-07-04 1984-07-04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268U KR860001268U (ko) 1986-02-28
KR860001899Y1 true KR860001899Y1 (ko) 1986-08-16

Family

ID=1923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352U KR860001899Y1 (ko) 1984-07-04 1984-07-04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8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268U (ko) 198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5821U1 (ru) Дюбель крепежного узл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US8544763B2 (en) Prefabricated plinth for supporting a railway track
KR860001899Y1 (ko) 폐처리되는 첩도용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는 레일 체결장치
KR100776267B1 (ko) Pc침목용 상판 체결장치 및 방법
CN210563064U (zh) 一种预制楼梯
RU185598U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шпала
GB2045320A (en) Rail Securing Arrangement
CA2388220C (en) Subway rail anchor assembly
ES269235Y (es) Un taco que se compone, preferentemente, de material sintetico, para la fjacion de carriles sobre traviesas de hormigon.
JPH0913302A (ja) 直結まくら木の設置構造および直結まくら木の設置方法
RU2741442C1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US4279532A (en) Roadway nosing unit
US4601092A (en) Method of fixing a rail on a support of timber or cast or moulded material
JPS6233958A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固定構造
ATE250690T1 (de) Schalungssystem zur einbettung einer schiene
US9879383B2 (en) Rail fastener and arrangement comprising such a rail fastener
KR200246507Y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매립식 앵커
US20060054714A1 (en) Method of installing a railway sleeper
US3129887A (en) Rail anchorage
US2700434A (en) Masonry structure anchor
SU1092323A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 оборудовани на фундаменте
CA2388277C (en) Subway rail anchor assembly
JP6530439B2 (ja) 軌道構造
JPH09217301A (ja) ラダー型マクラギ用防振部材の取付け方法及びその取付け構造
KR101669473B1 (ko) 베란다 난간 고정용 나사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